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훈민정음 창제 정신에 따른 통일 시대의 한국어 정보화

        정달영 한국어정보학회 2013 한국어정보학 Vol.15 No.2

        한국어ž한글 정보화란 우리 한국어와 한글문화를 정보화 하고, 외래 정보 문화를 한국어ž 한글로 정보화하는 것을 말한다. 한국어와 한글문화를 전산 정보화 하여 새로운 문화 형 태로 재창조하고 발전시켜 나아가는 일이 한국어⋅한글 정보화의 한 측면이다. 한국어⋅한글 정보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주체성을 잃지 말아야 한다. 우리 자신이 능 동적으로 독창적인 한국 언어 문화를 ‘세계 문화 마당’에 확산시켜야 한다. 그리하여 세계 언어 문화의 동산에 한국어와 한글문화의 꽃을 조화롭게 피우는 것이 한국어⋅한글 정보 화의 핵심이라 하겠다.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하여, 우리 겨레의 생활을 획기적으로 변화시켰다. 21세기에는 컴퓨터를 활용한 한국어⋅한글의 자료 구축과 연구 사업을 통해서, 다시 한 번 한국어와 한글의 가치를 새롭게 높여 나아가야 한다. 우리는 이를 위하여 한국어⋅한글 정보화 및 산업화의 효과적인 방안을 찾아야 한다. 특별히 우리는 남북 간의 IT 산업 교류 활성화로 통일 시대를 준비한다는 사명감을 가지고, 한국어와 한글의 정보화 및 세계화의 기틀을 튼튼히 쌓아 나가길 바란다.

      • 국제 한국어 응용 언어학 특집을 꾸미면서

        김남길 한국어정보학회 2011 한국어정보학 Vol.13 No.2

        1950년 후반에서부터 구조주의 언어학의 영향을 받은 한국 언어학은 1960년 중반 이후 Chomsky의 생성 문법을 받아들임으로써 한국어를 자원으로 하는 한국어 언어학이 지금까지 눈부신 발전을 이루어 왔다. 이와 비교하여 응용 언어학은 영어를 바탕으로 한 영어 교육이 중심이 되어 발달하여 왔다. 1988년의 올림픽 대회의 개최와 한류의 영향으로 외국의 한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한국어 교육이 부흥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한국어 부흥을 가져오게 한 근본적인 원동력은 한국의 급격한 경제 발전과 안정된 정치 현상임은 누구나 인정하는 사실이다. 한국의 경제 성장은 한국 체류 외국인 노동자 수의 증가와 한국인과 결혼한 외국인 여성인구의 증가를 불러 왔으며 이와 더불어 외국 유학생의 증가는 한국어 교육의 팽창을 가져 오게 하였다. 한국어 교육-여기서 말하는 교육은 습득, 학습 및 교수를 포함한다-이 활발해짐에 따라 이에 대한 연구도 활발해졌다. 구미의 응용언어학 동향을 볼 때 언어 교육이 항상 응용 언어학을 이끌어 왔음을 알 수 있다. 응용 언어학의 대다수가 언어교육과 관계되는 연구 활동이다. 한국어 교육도 이러한 면에서 예외가 아니다. 대부분의 구미 언어학자들도 언어 교육과 관계되는 학문에 종사하고 있다. 이러한 면에서 한국어 교육은 대표적인 응용 언어학이다. 한국어 교육은 두말 할 것 없이 한국어를 기반으로 하는 응용 언어학이다. 이제부터는 외국어가 아닌 한국어가 중심이 되는 응용 언어학을 시작 할 때라고 믿는다. 한국어 응용언어학은 한국어 교육뿐만 아니라 한국어와 관계가 있는 모든 응용 학문을 포함하는 학문 분야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예로서 2010년 USC에서 있었던 제1회 국제 한국어 응용언어학 학술대회는 한국어 교육뿐만 아니라 한국어와 관계가 있는 많은 응용 학문들이 한국어 응용 언어학으로 출발하는 대회였다고 믿는다. 그러한 의미에서 그때 발표된 논문들을 한국어 응용 언어학 활동 분야로 나누어 볼 때 ‘제2언어 학습과 한국어 교육', ‘한국어 교수법', ‘문체와 담화', ‘번역학', ‘재외 동포를 위한 한국어 교육',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학', 방송통신과 언어', ‘한국 한자음 연구' 등 다양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어 응용학을 시작함에 있어 응용 언어학이 무엇을 하는 학문인가를 살펴 보고 한국어를 기반으로 하는 응용 언어학의 활동이 무엇을 할 수 있는 지를 알아 보는 것이다. 본 논문은 위의 머리말을 필두로 다음과 같은 주제로 내용이 되어 있다

      • 한국어 고유어 낱말의 발생원리

        김구룡 한국어정보학회 2018 한국어정보학 Vol.20 No.2

        한국어 순수 고유어 낱말들을 모두 모아놓고, 먼저, 고유어 낱말 각각의 의미장을 분석해 뜻이 반대 되는 것끼리 짝을 지어 분류해보면, 거기서 어떤 원리로 순수 고유어 낱말이 발생하게 됐는지를 어느 정도는 분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나서, 인간의 생존방식인 최소노력 최대효율이라는 원리, 자연계의 운행원리 등을 도입해보면, 고유어 낱말의 발생원리가 좀더 뚜렷해질 것이다. 그와 같은 최소노력 최대효율 원리, 자연계의 운행원리, 그리고 현상계를 음성/양성 2분법으로 인식 하려는 본성 등을 도입해, 한국어 고유어 낱말을 분석-정리하는 연구를 진행했고, 그 결과 한국어 고유어 낱 말들이 양성계과 음성계가 상반의미쌍을 이루고 있고, 자연계의 운행원리를 담았으며, 현상계를 인식하려는 인간의 본성에 부합하도록 낱말이 발생했음을 논증했다.

      • [정원수 리듬법칙]을 통한 새 ‘한글문명’의 세계적 보급 전략

        한국어정보학회 한국어정보학회 2014 국제학술대회 Vol.2014 No.07

        21세기 인터넷 기반의 창조경제 시대와 정보통신 및 문화의 시대를 맞이하여, 한글은 로마자 알파벳을 넘어서 이제 명실상부한 ‘세계 통일 문자’로 부상할 때가 되었다. 20세기까지가 영어와 로마자, 한자의 시대였다면, 21세기는 전 세계적으로 한글(훈민정음)의 시대, 한국어의 시대가 되도록 해야 한다. ‘정원수 리듬범칙’ 과 ‘한글문명론’을 기반으로 한 많은 기들이 창업되어 ‘교육문화산업’을 부흥시킴으로써 ‘한글과 한국어의 세계화’라는 큰 꿈을 실현함은 물론, 다언어와 다문화에 능통한 글로벌 인재들을 대량으로 양성하고, 국내 및 세계 교육(Teaching for the World) 의 혁신에 앞장서야 할 때다. 또한, 고부가가치의 지적재산권을 다량확보하고 첨단 ICT 기술 소프트웨어들을 많이 제작함으로써, 대한민국은 21세기 인류의 새 문명세계를 건설할 명실상부한 제3차 산업혁명(교육산업, 문화콘텐츠산업)의 진원지가 될 수 있다.

      • 한국말 정보 학습 실태와 혁신 방안 : 한국말 정보를 어떻게 배워야 할까

        김두루한 한국어정보학회 2013 한국어정보학 Vol.15 No.2

        567돌 한글날을 맞아 중등 한말글(국어) 교사로서 정보 시대의 ‘한말글(국어)’이 지닌 뜻을 되새기게 된다. 과연 21세기 대한민국에서 모두가 임자되어 갈라진 겨레를 하나로 만들 며 그야말로 배움터와 일터에서 참배움꽃을 피워 복을 누리도록 하려면 무엇을 어떻게 해 야 할까? 우리는 이 물음에 최선을 다 해 성실히 답하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이제까지 한국말로 정보를 받아서 새기고 드러내는 정보학습과정이 제대로 이루 어졌는지, 앞으로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다루고자 한다. 2장 <한국말과 정보 학습론>에서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잘 살게 된 까닭을 ‘한국말’과 ‘한글’(한말글)덕분임을 밝히고자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가 여느 나라보다 지식과 정보를 배우고 나누는 ‘교육’을 크게 꽃 피웠으나 새롭게 부딪히는 문제가 드러나고 있는 바, 이 제는 ‘한국말 정보학습론’의 처지에서 칸막이(분절)가 아닌 어우름(통합)으로 나아갈 것을 제안한다. 3장 <한국말 정보 학습 혁신 방안>에서는 ‘한국말’로 가르치고 배우는 학교 교육 현장에 서 이제껏 가르치고 있는 실제 모습을 들고 제대로 가르치려면 무엇이 어떻게 달라야 하 는지를 살피고 앞으로 학생들이 어떻게 배워야 할지를 다루었다. Celebrating the 567th Han-guel day, I ruminate of the meaning of ‘Korean in the information era’ as the Korean teacher in the high school. What should we do for spreading the knowledge of Korean from the school to the office while uniting the broken parts of korea to one in the 21st century? We have to work hard on answering diligently this question. Hence, this article presents how the process of learning information in korea has been done and suggest how it should be dealt in the future. In the chapter 2, <The method of learning korean information> illuminates the reason why the south korea has been incredibly developed is all about both 'Korean' and 'Hanguel'. The education of our country, learning and spreading both knowledge and information, is the best among the countries over the world, until now. However, the problems have been newly coming up. From now on, I propose we need to focus on uniting the knowledge from different subjects, but not separating those in terms of 'The method of learning korean information'. In the chapter 3, <Proposal of innovation in learning korean inforamtion> suggests which one should be changed for teaching properly with the practical example of current teaching method in the school and shows how the students learn the Korean and information in the future.

      • 한글문화 자강활동과 한글독립투쟁의 발자취 : 한글학회외 성립과 발전을 중심으로

        이대로 한국어정보학회 2011 한국어정보학 Vol.13 No.1

        19세기말( 1890년대 ) 20세기(1990년)말에 걸친 지난 100년간 초창기의 한글자강활동, 일제강점기의 한글문화독립투쟁, 광복이후 한글문화 운동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기술하였다. 초장기의 문화자강활동을 간략하게 정리하였으며 광복이후 문명퇴치와 기계화 운동에 대하여도 간략 기술하였다. 이 시기 가장 특기 할만한 사건은 한글학회(조선어학회)를 중심으로 전개된 통칭 조선어학회 사건이다. 한글문화 독립투쟁사는 물론이고 국권회복의 독립 투쟁사에서도 빛나는 성과이며 오늘날 한글문화 운동의 금자탑을 이룬 밑바탕이 되었다. 21 세기의 한글은 지난 시기 축적된 한글 문화 역량을 바탕으로 한글문화세계의 창조라는 새로운 과제를 안고 있다. 이 말은 한글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자주적 언어문화, 보편적 한글 정보문화, 새로운 한글문화 산업의 전개를 통하여 문화 강국을 지향하고 국격을 높이는 활동을 말한다. 이를 국제적으로 확대하여 보편성을 확보하여 인류 문화발전에도 이바지 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