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로마서 12-15장의 바울의 구약 인용

        송영목(Young Mog Song)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16 신약연구 Vol.15 No.2

        Scholars have paid much attention to Paul’s logic in Romans 1-11 which is full of OT quotations. However, enough research has not been done regarding Paul’s Old Testament quotations in Romans 12-15. This paper probes the function of the OT quotations by Paul in Romans 12-15, which includes paraenesis towards the Gentile and Jewish Christians in Rome. When the Apostle Paul quotes the Hebrew text or LXX with frequent alternation, we have to strive to find the reasons for change by investigating both the context of the quoted OT passages and Paul’s theological-contextual-stylistic purposes. The present researcher utilizes the following steps to obtain the goal of this paper: (1) studies on the 10 instances of OT quotations in Romans 12-15 by comparing GNT5 with the LXX, and if necessary, a comparison with the Hebrew text included, and (2) examining both Paul’s method of OT interpretation and the function of the OT for Paul’s argument. Through these steps we come to the conclusion that Paul, who excelled at Christological and typological exegesis, primarily relies on the LXX instead of the Hebrew text and alters the OT texts for his purpose by considering his Jewish and Gentile readers who must be united in Christ the Lord and Judge.

      • KCI등재후보

        요한계시록의 생태신학적 해석의 적합성

        송영목(Song, Young Mog) 한국개혁신학회 2011 개혁논총 Vol.20 No.-

        환경보호와 환경에 대한 사람의 청지기 자세에 관한 신학적 이해가 점증하고 있다. 이 글은 하나님의 창조의 완성을 다루는 요한계시록의 생태신학적 해석의 적합성에 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1) 생태 신학의 정의와 전개과정을 간략히 살피고, (2) 요한계시록의 기록목적과 해석방법을 논하고, 마지막으로 (3) 요한계시록의 생태신학적 해석이 생태계의 파괴와 관련하여 가지는 제한된 적합성을 유대-로마 전쟁과 팍스 로마나(Pax Romana)정책을 통해 살피고, (4) 생태계의 회복과 관련된 생태신학적 해석의 제한된 적합성을 네 생물의 경배와 만유를 새롭게 하시는 그리스도의 재창조 사역의 관점에서 연구할 것이다. 이 글은 계시록의 내용이 AD 1세기에 문자적으로 성취될 경우와 예수님께서 신천지를 통해서 만유를 회복하시는 종말론적인 경우에만 생태신학적 해석이 제한적으로 적합함을 밝힌다. The concern of the environment preservation and the environmental stewardship from Christian's theological understanding have been increased.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levance of eco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Book of Revelation. In order to meet this aim, the following steps are probed: (1) short survey on the definition and development of ecotheology, (2) the purpose and proper interpretive method of the book of Revelation, finally (3) the relevance of eco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Revelation in terms of the destruction of eco-system from the Jewish-Roman War and Pax Romana policy, and (4) the relevance of eco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Revelation in terms of the restoration of ecosystem in the light of the worship of the four living beings and Christ's recreational and renewal work of all. This paper is to demonstrate that the book of Revelation allows a limited relevance of ecotheological interpretation in two cases: first, the literary fulfillment of the book of Revelation in the first century, second, Christ's eschatological fulfillment of panta through the New Heaven and the New Earth.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한국장로교회 100년 회고와 전망

        송영목(Song, Young Mog) 개혁신학회 2012 개혁논총 Vol.22 No.-

        이 글의 목적은 한국의 대표적인 4개 장로교단(기장, 통합, 합동, 고신)의 성경 해석을 회고하되, 구속사적 해석에 초점을 두어 비교하는 것이다. 2012년은 장로교총회(1912-2012)가 설립된 지 100주년 되는 해이므로 이 글을 통하여 장로교의 바람직한 성경해석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글의 방법은 4개 장로 교단의 신학교 저널에 실린 글 중에서 구속사적 해석과 관련된 논문을 분석하는 것이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서“구속사와 역사비평의 조화를 꾀한 것이 기장과 통합의 흐름이라면, 합동과 고신은 역사비평을 배제한 구속사적 해석을 추구해 왔다”라는 결론을 내렸다. 앞의 두 교단에서 구속사적 해석에 관한 관심이 약회되어짐에도 불구하고, 구원은 성경에 나타난 하나님의 계시의 핵심이므로 장로교회에서 이 해석 방법은 더 촉진되어져야 마땅하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urvey the biblical interpretation over the last 100 years by focusing on the redemptive-historical interpretation of the four major Presbyterian denominations(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Republic of Korea[Kijang],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Tonghap], the General Assembly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Habdong], the General Assembly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Kosin]) in South Korea. The year of 2012 marks the centennial(100 year) anniversary of the foundation of the General Assembly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1912-2012). The method of this paper is a comparative study on the various articles relating to the redemptive-historical interpretation which have appeared in the each of the seminary journals of the four denominations during this 100 year period. The conclusion is that on the one hand, the Kijang and Tonghap have paid major attention to the combination of historical criticism and the redemptivehistorical interpretation, on the other hand Habdong and Kosin have pursued the redemptive interpretation by rejecting historical criticism throughout their whole existence. Even though a decrease of interest in the redemptivehistorical interpretation has occurred in the first two denominations, this method should be promoted in all the Presbyterian Churches due to the fact that redemption is the core of God’s revelation in the Scripture.

      • KCI등재

        요한복음 14장의 거주지의 성격

        송영목(Young-Mog Song)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5 신학논단 Vol.79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obe the characters of the dwelling places in the Gospel of John 14. There is no consensus among exegetes as to the place and character of the dwelling places. To solve this difficulty, the present researcher investigates the words of dwelling places in John 14:2, 3, 4, 23. And then the relation between the dwelling places and the written purpose of the Fourth Gospel and the readers’ responses to the dwelling places are dealt with. The dwelling places of John 14 are not related to the Second Coming, but should be 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Jesus’ ascension and the Pentecost and the persecution of the Jews. Like Jesus as the true temple, his disciples as the family of God become the dwelling places of God the Father, that is, the eschatological temple. Through the Holy Spirit on the Pentecost, God the Father and Jesus come to and dwell in the disciples. And when the disciples persecuted by the Jews die, their souls will go to the place where the ascended Jesus dwells. There is the paradise and a temporal heaven till the Second Parousia. Therefore the dwelling places in John 14 not only indicate the fact that the disciples will become eschatological temple by the Holy Spirit on Pentecost but also are related to the paradise as a temporal heavenly kingdom.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obe the characters of the dwelling places in the Gospel of John 14. There is no consensus among exegetes as to the place and character of the dwelling places. To solve this difficulty, the present researcher investigates the words of dwelling places in John 14:2, 3, 4, 23. And then the relation between the dwelling places and the written purpose of the Fourth Gospel and the readers’ responses to the dwelling places are dealt with. The dwelling places of John 14 are not related to the Second Coming, but should be 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Jesus’ ascension and the Pentecost and the persecution of the Jews. Like Jesus as the true temple, his disciples as the family of God become the dwelling places of God the Father, that is, the eschatological temple. Through the Holy Spirit on the Pentecost, God the Father and Jesus come to and dwell in the disciples. And when the disciples persecuted by the Jews die, their souls will go to the place where the ascended Jesus dwells. There is the paradise and a temporal heaven till the Second Parousia. Therefore the dwelling places in John 14 not only indicate the fact that the disciples will become eschatological temple by the Holy Spirit on Pentecost but also are related to the paradise as a temporal heavenly kingdom.

      • KCI등재

        종말론과 크리스천의 환경 책무 : 베드로후서 3:10-13을 중심으로

        송영목(Young Mog Song)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1 갱신과 부흥 Vol.27 No.-

        환경 상태가 급격하게 악화일로에 처해 있다. 이렇게 악화되는 현상은 성령론적 생태신학, 종말론적 생태신학, 생태여성신학, 그리고 생태정의와 같은 생태신학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촉진시켜 왔다. 그런데 연구자의 종말론은 본인의 연구의 방법과 결론 모두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이 사실을 염두에 둔 채, 본 연구자는 종말론과 그리스도인의 환경 책무의 관련성을 베드로후서 3:10-13을 주해함으로써 탐구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네 가지 단계를 따라 진행된다. (1) 여섯 개의 이문들을 분석함으로써 베드로후서 3:10의 본문비평을 시도한다. (2) 베드로후서 3장의 담론분석을 시도한다. (3) 지구 소멸과 지구 재창조 사이의 관계성을 밝히기 위하여 베드로후서 3:10-13을 자세히 주해한다. 그리고 (4) 베드로후서의 기록 목적과 세상 갱신설의 빛 하에서, 예수님의 재림을 기다리는 크리스천의 환경 책무가 무엇인지 탐구한다. 크리스천은 세상 갱신을 추진 중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동역자가 되기 위하여 하나님의 신성한 성품에 마땅히 참여해야 한다. 본 연구는 베드로후서의 종말론과 크리스천의 환경 책무를 연결하여 종합함으로써, 지역 교회는 물론 개별 크리스천이 환경에 대해서 어떤 자세를 취해야 하며 어떻게 실천해야 할 것인지 통찰력을 제공할 것이다. The environmental condition has rapidly been worsening. This phenomenon has resulted in diverse researches on eco-theology including pneumatological eco-theology, eschatological eco-theology, eco-feminism, and eco-justice. The eschatology of the investigator affects the way and result of the research. Keeping this in mind the present researcher delve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eschatology and Christians’ eco-responsibility by interpreting 2 Peter 3:10-13. To this end, the following four steps are utilized: (1) textual criticism of 2 Peter 3:10 by analyzing six textual variants; (2) discourse analysis of 2 Peter 3, (3) exegesis of 2 Peter 3:10-13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world annihilation and world re-creation, and (4) understanding the eco-responsibility of Christians who are waiting for the second coming of Christ in terms of the purpose of 2 Peter and of the re-creation of the world. Christians have to be coworkers of the renewing work of Christ by participating in the divine characteristics. By integrating the eschatology of 2 Peter and Christians’ environmental responsibilities, this study is to provide insights into what individual Christians as well as local churches should stand and practice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 KCI등재후보

        요한이서와 요한삼서의 구문과 구조 비교

        송영목(Song, Young Mog) 개혁신학회 2019 개혁논총 Vol.48 No.-

        요한이서와 요한삼서는 분명한 사랑과 진리의 복음 메시지로 인해 많은 사랑을 받아왔다. 그런데 현재까지 요한이서와 요한삼서를 구문과 구조를 비교하면서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러한 미진한 연구의 틈을 염두에 두고, 이글은 구문분석과 담론분석을 통해서 이 두 서신을 비교한다. 구문분석은 한문장 안의 단어들 간의 관련성을 밝히는 작업으로서, 사고구조분석의 작은 단계를 활용한다. 구문분석은 모든 단어들 사이의 관련성을 도표로 제시하고, 구문적 특성을 통계화 한다. 구조분석(콜론분석)은 문장이나 문단 안에서 저자의 사고의 흐름을 수평적 표지와 수직적 표지를 통해서 파악하는 작업이다. 구조분석에 본문비평, 그레코-로마 서신의 구조와의 비교, 그리고 수사학적 분석도 필요시 포함된다. 이 글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요한이서의 구문 및 구조분석, (2) 요한삼서의 구문 및 구조분석, 그리고 (3) 이 두 서신의 구문 및 구조적 특징 비교. 이 글을 통해 요한이서와 삼서는 단순명료한 논리전개를 치밀한 구문과 구조와 수사학적 기법을 통해 전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비록 요한이 독자에게 권면하는 논리적 순서에 있어서 두 서신은 차이를 보이지만, 동일한 수사학적 기교들을 활용하여 독자를 설득하는 점에서는 유사하다. 2 John and 3 John are favored by many Christians because of their lucid messages and encouraging tones of love and truth. But until now, there has been no research on the comparison between 2 John and 3 John in terms of both syntax and structure. In order to fill this research gap, this paper compares these two epistles by syntactical and discourse analyses. For syntactical analyses, the thoroughgoing method of the micro level of thought structural analysis (TSA) is used. TSA focuses on the thought flow of the author by finding the relationships among words in a sentence. For structural analyses, the colon analysis or the discourse analysis is applied to the two Johannine Epistles. Colon analysis focuses on the interconnectedness among the sentences by scrutinizing the vertical and horizontal markers. Three steps are followed to investigat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epistles which are the shortest books of the New Testament: (1) the syntax and structure of 2 John, (2) the syntax and structure of 3 John, and (3) a comparison of syntactic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epistles. Through this research, it is manifest that logical thought of the elder John is unfolded in a simple and lucid way in the well interwoven syntax and structure and rhetorical devices for effective persuasion. While the orders of petitions are varied in 2 John and 3 John, common rhetorical strategies make the elder’s petitions towards the readers effective.

      • KCI등재후보

        신학 6년 연계 교과과정의 필요성: 고신대학교를 중심으로

        송영목 ( Young Mog Song ),정찬도 ( Chan Do Jung ) 한국개혁신학회 2016 개혁논총 Vol.38 No.-

        오늘날 신학교육은 교파와 인종에 따라 다양할 뿐 아니라 실천적 적합성을 추구하고 있는데, 특히 IT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신학교육은 현장성이 무시된 채 그 자체가 목적이 되어 신학교에만 고립될 것이 아니라, 기독교대학, 신학대학원, 교회, 사회가 상호 연결되는 실제적인 방식으로 교회와 사회를 변화시키는 수단으로 전개되어야 한다. 한국의 경우 학부에서 신학을 전공하지 않은 학생들이 신학대학원 목회학석사 과정에서 3년간 속성으로 수학 한 후 목회자가 되는 경우가 허다한데, 이것은 한국교회의 다양한 문제와 무관하다고 말할 수 있을까? 신학과 출신들이 신대원에서 심화된 연계교육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은 큰 손실인데, 많은 교단신학교들에게 숙제로 남아있다. 이 글에서는 고신대학교를 중심으로 연계교육의 필요성을 살펴보되, 총신대 및 해외의 연계 과정을 지속하고 있는 개혁신학교들의 교과과정과 비교할 것이다. 그 후 신학과와 신대원의 6년 연계 과정을 실행할 수 있는 교과과정을 제시하고, 비신학과 출신들을 위한 신대원 교과과정도 제시할 것이다. Globally, theological education is facing a crisis in its quality as well as its quantit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lve into the necessity of a 6-year consistent theological curriculum implementation by Kosin University. The most serious problem in terms of theological curriculum between undergraduate and M.Div. programs is the duplication and repetition of subjects. By comparing curricula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formed theological universities, the present researchers suggest a progressive system of a 6-year consistent curriculum from undergraduate through M.Div. studies. During 4 years of undergraduate courses, students take basic subjects like biblical languages, classical languages, philosophy, reformed creeds, and an introduction to each genre of the Bible in order to set a base for advanced training in M.Div. coursework. Then, during 2 years of M.Div. courses, students take subjects focusing on exegesis, homiletics, church history, dogmatics, and practical and ecclesiological issues caused by churches and society. The 6-year consistent curriculum seems to play a key role for solving problems in the Korean church which are raised fundamentally by ineffective theological education.

      • KCI등재

        아브라함 카이퍼, 헤르만 바빙크, 그리고 벤자민 워필드의 재림 이해 및 평가

        송영목(Young Mog Song)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2 갱신과 부흥 Vol.29 No.-

        아브라함 카이퍼(1837-1920)는 76세 때부터 6년간 자신이 편집장으로 섬긴 주간지 ‘De Heraut’에 요한계시록에 관해 기고했다. 이 책은 그의 사후에 출판되었는데, 국내에는 생소하다. 그 무렵 헤르만 바빙크(1854-1921)는 『개혁교의학 4』(1895/1906)의 마지막 제11부에서 예수님의 재림을 포함하여 종말을 다루었다. 그런데 국내에서 넓게는 바빙크의 종말론, 좁게는 재림에 대한 조직신학 및 성경신학적 연구를 거의 찾아볼 수 없다. 그리고 워필드의 재림 이해도 큰 주목을 받지 못해 온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한 채 연구의 미진한 부분으로 남겨진 카이퍼와 바빙크 그리고 워필드의 종말론 가운데 예수님의 재림에 초점을 모아 그들의 이해를 소개하고 비교하며 평가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교부들의 계시록 주석, 세 학자 당시의 네덜란드어 요한계시록 주석, 그리고 현대의 요한계시록 주석과 연구를 참고한다. 마지막으로 이 세 학자의 예수님의 재림 이해에 나타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올바른 주석의 방향을 간략히 제시할 것이다. 개혁주의 종말론 가운데 예수님의 재림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역사적 개혁주의가 그리스도의 재림에 대해 어떻게 이해해 왔는가를 동시적으로 살피는 의의가 있다. Abraham Kuyper(1837-1920) wrote about the book of Revelation in the weekly magazine De Heraut for which he served as the editor for six years from the age of 76. His commentary on the book of Revelation as one volume book was published after his death, but it is still unfamiliar in Korea. Around that time, Herman Bavinck(1854-1921) dealt with the eschatology including the Second Coming of Jesus, in the last part 11 of Volume 4 (1895/1906) of Reformed Dogmatics. In Korea, however, there are hardly any systematic theological and biblical exegetical studies on Bavinck’s eschatology in general, and the Second Coming in particular. Similarly, a proper attention to the eschatology focused on the Second Coming by Benjamin B, Warfield has not been pai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compare, and evaluate their understanding by focusing on the Second Coming of Jesus in the eschatology of Kuyper, Bavinck, and Warfield. To evaluated the theories of the Second Coming of these three theologians, the present researcher refers to the commentaries of Revelation by the Church Fathers, a Dutch New Testament scholar at the time of theses three theologians, and recent scholars. Finally, a brief comment is to given for overcoming the weaknesses of Kuyper, Bavinck, and Warfield on their understandings of the Second Com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