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과 인문학적 바탕

        전선자(Cheon, Seon-Ja)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1 한국문학과 예술 Vol.8 No.-

        지금은 과학기술의 시대이다. 이 시대에 ‘우리를 자유롭게’ 혹은 ‘인간답게’ 하는 ‘인문학의 전형은 무엇인가’라는 명제를 갖고, 문화예술교육에서 인문학적 바탕을 문화예술의 현장에서 명확히 반영되는 새로운 지식의 활용을 통해 고찰한 연구논문이다. 이 연구방법을 택한 것은 현장은 살아남기 위해 항상 앞서가는 고도의 전문지식을 활용하기 때문이다. 또 현장의 문화예술인들은 끊임없는 노력으로 지식을 습득하고 창의적인 지식을 생산하며 또 그 지식을 확산해 사회적으로 활용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들이 창출한 지식은 자신을 성찰하고 정신적 성장만을 도와주는 전통적 의미의 지식이 아니라, 상상력으로 기존의 틀을 깨고 창의적이고 새로운 실용성을 입증하는 새로운 시대의 지식을 창출한 것이다. 사회 현상 속에서 이 같이 꼭 필요한 지식은 교육의 장에서 반드시 가르쳐야 할 학습대상이다. 그 이유는 교육의 장에서 무엇이 결핍되어 있는지를 알려주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문화예술의 현장 속에서 과학시대의 인문학적 소양이 어떻게 변화하고 무엇을 필요로 하는가를 알아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과학기술의 시대의 ‘인문학’과 ‘과학’은 인류문명의 두 축이다. 이 관계는 대립이나 경쟁관계가 아니고 서로를 필요로 하는 관계이다. 바로 인간과 인간적 삶의 가치에 대한 인문학적 이해가 전제된 가운데 자연과 인간에 관한 과학적 탐구와 그 의미도 소용이 된다. 문화예술분야도 이제 과학기술의 활용 없이는 거의 불가능하다. 그래서 ‘인문학과 과학의 융합’은 문화예술교육에서도 불가분의 관계가 되었지만, 그럼에도 현장 속의 문화예술인들의 전문지식활용을 통해 보면, 과학과 인문학과 문화예술의 창조적 발전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은 인간을 ‘인간답게’하는 인문학적 바탕을 여전히 필수전제조건으로 갖는다. 따라서 우리 문화예술교육의 혁신과 발전은 인문학의 중요성을 새로운 지식창출과 활용능력과 함께 교육목표로 삼았을 때 가능할 것이다. 자동차디자인, 광고디자인, 미디어아트라는 문화예술의 실상이 이제는 우리 공교육현장이 변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사실을 입증한다. In the era of science and technology, I asked the question "what is the typical model for humanities that "set us free" or make us "humanly"?" and looked up the study of arts educations with humanities in the very field that arts education is being applied. What is the necessary in the field of society is the targets that must be learned in the field of education. This is the study that indicates knowledge of humanities are strongly essential in the field where arts education is applied, through several cases. In the era of technology, "Humanities" and "Science" are the two axes of human civilization, and these two axes are not antagonistic nor competitive but rather compatible, and need each other. It is useless of scientific study of nature and human without the understanding of humanities which includes comprehension of human and the value of human lives. Also, nowadays arts education needs the scientific technology. Therefore, "the merge of Humanities and science" is undetachable in the field of arts education. However, I found the appropriateness of humanities being prerequisites in arts education, for the creative evolution of science, humanities, and arts education. This work looks up "humanities" in 3 cases of arts educational field: Car Design, Advertisement Design, and Media Art. I hope this work be a help to the internal change and development of our arts education.

      • KCI등재

        월극 춘향전의 시대적 음악 양상

        박은옥(Piao Enyu)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1 한국문학과 예술 Vol.38 No.-

        춘향전은 한민족의 고전 예술이지만 한국전쟁이라는 특별한 상황에서 중국의 월극 공연자가 춘향전을 접하게 되면서 월극으로 개편한 동기, 조건을 제공해 주었다. 이로 인해 월극 춘향전은 빠른 속도로 개편의 작업을 거쳐 1954년 화동월극단실험극단제2단(華東越劇團實驗劇團第二團)에 의해 상해의 장강극장(長江劇場)에서 초연할 수 있었다. 또한 월극 공연자들은 춘향전이 유입된 원인에 대하여 기존의 한국전쟁설 이외에도 두 가지의 측면이 더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첫째, 월극은 중국의 희곡으로 남녀간의 사랑 이야기를 잘 다룬 양식이며, 춘향과 이몽룡의 사랑이야기 역시 월극의 기존 주제와 유사한 관계로 자연스럽게 받아드릴 수 있었다는 점; 둘째, 40, 50년대의 월극 공연계에는 외국의 유명한 소재를 월극의 형식으로 개작하는 분위기가 강하게 일어났고, 이러한 작품이 여럿 있다는 점이다. 춘향전은 월극의 형식으로 중국에 정착된 후, 세월의 흐름에 따라 시대적인 특징도 나타나고 있다. 각 시대의 특징을 정리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월극 춘향전은 북한과 한국의 영향을 모두 받았으며, 50년대, 80년대에는 북한의 영향을 많이 받은 반면 2000년 이후부터 한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는 사실이 확인된다. 50년대의 월극 춘향전은 북한의 창극 춘향전을 개작하였으므로 북한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당시 월극 춘향전의 공연내용, 복식, 무대배경 등 부분에는 원작인 창극 춘향전의 것을 따르려고 했던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80년대의 녹화본을 통해서도 그대로 유지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000년 이후부터 한국 예술계와의 많은 교류, 공연을 하면서 한국 예술의 영향도 점차 받게 된다. 이는 2015년의 월극 춘향전에 그대로 나타나며, 장고춤, 부채춤, 칼춤, 학춤, 장수(長袖)춤 등 한국식 무용의 추가, 판소리형식의 모방, 한국어의 사용, 태평소, 장고 등 악기의 연주가 추가된 것을 통해서 확인된다. 둘째, 월극 춘향전의 음악은 시대에 따라 약간의 변화가 생겼지만 대체적으로 원래의 선율을 유지하고 있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양가의 선율을 통해서도 확인되며, 시대의 상황과 관객의 감상 기준을 고려하여 가사의 수정이 불가피한데, 가사의 수정에 따라 선율의 변화도 약간씩 발생하였다. 셋째, 월극 춘향전의 공연형식은 시대에 따라 변화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50년대의 월극 춘향전은 노래를 위주로 한 공연이었고, 이는 80년대까지 유지되어왔다. 하지만 2000년 이후의 춘향전에는 무용의 요소가 점차 추가되어 2015년의 춘향전이 그 절정을 이르면서 가무음악극의 공연형식으로 되었다. 다시 말해 노래 위주로의 공연에서 노래, 춤을 병행하는 공연으로 전환된 것이며, 듣기 위주의 예술양식에서 보고 듣는 예술양식으로 전환하게 된 것이다. Chunhyangjeon is a classical art of the Korean people, but as China’s Yue Opera performers’ exposure to Chunhyangjeon under the unusual circumstances, i.e. the Korean War, provided the motive and condition for making it Yue Opera. As a result, Yue Opera Chunhyangjeon quickly went through the reorganization process, and in 1954 it was premiered in the Changjiang Theater (長江劇場) by the second experimental troupe of East China Yue Opera Troupe (華東越劇團實驗劇團第二團). Also, Yue Opera performers can say that there are two reasons for the inflow of Chunhyangjeon other than the Korean War. First, the Yue Opera is a Chinese play that dealt with the love story about a man and woman well, and the love story of Chunhyang and Lee Mong-yong can also be accepted naturally as it is similar to the existing subjects of Yue Opera; second, among the Yue Opera performers in the 1940’s and the 1950’s, there was a strong tendency to adapt famous foreign plays to the Yue Opera format, and there are several such plays. After it settled in China as Yue Opera, Chunhyangjeon also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with the passage of tim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ra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Yue opera Chunhyangjeon have influenced from both South and North Korea. As 1950’s Yue opera Chunhyangjeon was an adaptation of North Korea’s Changgeuk Chunhyangjeon, it can be said to have been greatly influenced by North Korea. Yue opera Chunhyangjeon at that time tried to follow content of performance, customs, stage background, and others of Changgeuk Chunhyangjeon, which is the original work of Yue opera Chunhyangjeon. We can find that this phenomenon also was maintained in the recorded version of the 1980’s. Since 2000, many interactions and performances with the Korean artistic world have led to mor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Korean art, and so the influence of the Korean art gradually increased. Such changes were shown in Yue opera Chunhyangjeon of 2015, adding Korean traditional dances: Janggo dance, Korean fan dance, sword dance, dance of crane, and long-sleeve dance, and the imitation of Pansori, and the usage of Korean, and traditional Korean instrument playing: Taepyeongso and Janggo. Second, although music of Yue opera Chunhyangjeon had few changes in different era, it mainly retains its original form. The melody of Duan yang ge represents such tendency. However, modification of lyrics was inevitable according to the appreciation of the contemporary audience so that the melody had changed gradually to harmonize with the lyrics. Third, the music of Yue Opera Chunhyangjeon slightly varied in different eras, but on the whole, it maintained the original melody. It can also be verified in the melody of Duan yang ge. Yue Opera Chunhyangjeon of the 1950’s was performed with focus on singing, and this tendency was maintained until the 1980’s. But dance elements were gradually added to Chunhyangjeon after 2000, and as Chunhyangjeon of 2015 reached it peak, it was performed as a dance musical. In other words, it was converted from singing-oriented performance to performance featuring both singing and dancing, and it switched from a audio-oriented art form to an audiovisual art form.

      • KCI등재

        시에 있어서의 미술과 음악 이론ㆍ기법의 차용

        김철교(Kim, Chul-Kyo),이승하(Lee, Seung-Ha)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7 한국문학과 예술 Vol.21 No.-

        음악·미술·문학은 서로의 이론이나 방법론을 교환해가면서 발전해왔다. 김춘수는 미술과 음악에 기대어 무의미시론을 전개한 대표적 시인이다. 이 글은, 다 장르의 예술들이, 무의미시론 형성과 시 쓰기에 어떻게 공헌하고 있는지, 김춘수의 「이중섭」 연작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김춘수는 무의미시론을 전개하면서 세잔·잭슨 폴록·피카소 등의 화가와 모차르트 등의 음악에 힘입은 바 크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비유적 이미지’보다 ‘서술적 이미지’가 더 순수하다 하여 이에 천착했으며, 의미·대상·이미지마저도 극복하여 ‘리듬’을 얻고자 하였다. 김춘수는 시에서 내용과 의미와 이미지를 버리면 리듬만 남는다고 한다. 교향곡 작곡가들은 제목을 붙이지 아니하고 작품 번호로 발표하고 있는데, 제목이나 구체적인 대상이 없어 보이는 ‘절대음악’들이 훌륭한 호소력을 갖고 있는 것처럼, 시 작품에서도 대상이나 의미, 더 나아가 ‘통일된 이미지’까지 제거해도 훌륭한 작품으로 수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김춘수의 생각이었다. 잭슨 폴록이 그리는 대상이나 의미 없이 물감을 흩뿌려 작품을 만들어내는 것처럼, 시도 대상이나 의미가 없다고 해도 훌륭한 작품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김춘수의 작품에 ‘처용단장’ 같은 제목이 제시되고 있는 것은 예술가의 의도, 즉 해석의 가이드라인을 시사하는 것으로 보인다. 표제음악과는 달리 절대음악에서는 작품번호, 장조, 단조 등으로 작품을 구분표시하고, 작곡을 하게 된 대상(제목)을 명시하지 않은 것처럼, 시(時)에 있어서도 ‘처용단장’ 같은 구체적인 제목 대신 ‘무제’라고 했다면 수용자는 대상과 의미와 이미지에 대한 선입견 없이 오직 수용자 자신의 이미지로 해석할 수 있었을 것이다. 김춘수의 ‘서술적 이미지’는 미술의 ‘미니멀 아트’에서 그 아이디어를 차용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자신이 창안한 무의미시 이론을 활용한 작품들이 세잔과 잭슨 폴록에 기대고 있다고 밝히고 있으나, ‘「이중섭」 연작’은 세잔과 피카소의 영향 아래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폴록의 `흩뿌리기 기법’은 대상도 의미도 통일된 이미지도 없이 오직 그리는 행위만 있으나, 피카소의 ‘분석적 큐비즘’은 파편화된 이미지들이 대상과 의미와 통일된 이미지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김춘수의 무의미시론은 미술과 음악의 기법을 차용하여 형성되었고, 한국시단을 풍성하게 했다는 점에서 새로운 이론과 기법을 모색하는 시인들에게 꾸준하게 주목을 받아 왔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의 시문학이 이웃 예술로부터 얻은 영감으로 그 영역을 풍성하게 하는 측면이 있다. 현대는 모든 예술이 통합하고 융합하면서 새로운 창조 에너지를 발산하는 시대이므로, 시작(時作) 과정에서도 단지 언어적 기교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언어 외적인 상상력으로 시의 내포와 지층을 깊게 해야 한다. 그 방법을 다른 예술장르에서 찾아보는 것은 유의미한 일이다. Music, fine arts and literature have developed by exchanging theories or methodologies with each other. Especially, Kim Chun-Su developed his nonsense poetry theory based on fine arts and music. This thesis aims to examine how these other genres of arts contributed to the forming of his nonsense poetry theory and the writing of his poetry focusing on his poem “Lee Jung-Seob Series.” The poem suggests that he was heavily indebted to painters including Cezanne, Jackson Pollock, and Picasso and Musicians including Mozart, etc in developing his nonsense poetry theory. He also developed descriptive images believing they were more pure than metaphorical images and tried to overcome even the meaning, object, and image of poetry. While Kim Chun-Su said that he borrowed descriptive image in his poetry from the minimal arts of fine arts and his poetry was based upon his nonsense poetry theory that was influenced by Cezanne and Jackson Pollock, it seems clear that that Lee Jung-Seob Series also came under the influence of Cezanne and Picasso. Kim said that if a poem failed to possess content, meaning, and images, there would remain only rhythms. Just as we think that symphonies don’t have any particular subject matter or refer to specific objects, because composers don’t confer any title on them except numbers, and so are quite appealing to us, Kim thought that a poem could be considered a good poetic work even if its objects, meanings, and unified images were removed.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just as Jackson Pollock produced his work of arts by scattering paints over the canvas, a poem could be a wonderful poetic work without particular objects or meaning. However, a title such as “Cheoyongdanjang” appears in his poems, which means that his intention was presented as a guideline for interpretation. If he had given such a title as “Untitled” to his poem instead of a specific title, his readerscould embrace the poem without associating their own impression with any object, meaning or images. Furthermore, the poem “Lee Jung-Seob Series” is not a genuine nonsense poem because it contains image conveyed by phrases related to Lee Jung-Seob’s life and paintings as well as having a title. However, his nonsense poetry is receiving a great deal of attention from poets who are seeking new theories and techniques because it borrowed the techniques of fine arts and music and enriched the Korean world of poetry based on theories and techniques of poetry. In the future, poetry should borrow theories from the neighboring arts and expand its domain as a form of literature. Especially as all arts are being integrated and blended as a way of seeking new directions, poets should not depend on only linguistic techniques but seek methodologies beyond language when writing poems. The theories and techniques of neighboring arts could provide a rich source or wellspring for such a quest.

      • KCI등재

        근대기의 한국연극과 한국 근대극운동의 특징

        장원재(Wonjae Jang),백로라(토론자)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09 한국문학과 예술 Vol.4 No.-

        본 연구는 근대 한국연극의 구체적인 전개 양상과 한국 근대극 운동의 특징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한국 근대극 운동은 유럽과 미국의 근대극을 국내에 도입하려는 시도였는데, 3.1운동의 실패 이후 근대화에 대한 열망이 거세지던 1920년대에 시작되어 1930년대에 본격적으로 전개되었다. 1920년 김우진이 주축이 되어 설립된 ‘극예술협회’는 연극에 대한 사회적 관념을 변화시키고, 근대극 운동의 실천방법과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신극’의 초석을 다지는 데 기여하였다. 또한 박승희를 중심으로 조직된 학생 단체 ‘토월회(1922)’는 근대극을 정기적으로 상연함으로써 근대극의 저변을 넓히고, 유럽의 근대적인 무대장치를 재현함으로써 관객에게 새롭고도 사실적인 연극을 경험시켜주었다. 이후로 일본 유학파 출신의 소장학자들에 의해 ‘극예술연구회(1931)’ 가 조직되었는데, 이들은 1930년대 내내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근대극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기울였다. 정기적인 연극 강좌와 강연회를 개최하여 유럽 근대극에 대한 관객의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으며, 유치진, 이무영, 이서향, 이광래, 김진수, 함세덕 등과 같은 극작가들을 발굴하여, 창작극의 공연 풍토를 활성화하였다. 당대 한국 근대극 운동을 주도한 지도자들은 근대 유럽의 ‘사실주의’ 연극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자 하였는데, 이것은 사실주의가 ‘연극을 통한 사회교화’라는 과업을 수행하는 데 적절한 양식이라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즉 사실주의 연극 양식을 수용함으로써 그 안에 내재된 서구 근대의 과학주의와 합리주의를 관객에게 경험시켜주고, 이를 통해 관객의 의식을 근대적으로 계몽 혹은 교화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바로 이 때문에 한국 근대극 운동은 전통극의 유산을 계승하지 못했을 뿐 아니라, 일본의 근대극 운동과는 또 다르게, 정치 사회적 성격을 강하게 드러내었던 것이다. This research explored aspects of Korean theater’s development in modern tim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odern theater movement. The movement of Korean modern theater began in the 1920s and underwent vigorous development in the 1930s. This movement was led by three theater associations: the Theater Arts Association (1920), the Earth-Moon Society (1922), and the Theater Arts Research Association (1931). These associations took the lead in establishing, staging, and popularizing Korean modern theater. In particular, the Theater Arts Research Association made diverse efforts to improve public understanding of modern theater: offering regular lectures on modern theater; discovering outstanding playwrights such as Chijin Yu, Mooyoung Lee, Seohyang Lee, Kwanglae Lee, Jinsoo Kim, and Seduk Ham; and revitalizing the staging and performance of Korean plays. The leaders of the Korean modern theater movement attempted to import the Realism Theater of modern Europe because they considered it pertinent to the task of “social enlightenment through theater.” In other words, they wanted spectators to learn the scientific thought and rationalism that were internalized in the Realism style. For these reasons, Korean modern theater broke away from Korean traditional theater, and it manifested socio-political characteristics that were different from Japanese modern theater.

      • KCI등재

        20세기 초 한국 음악의 감성과 채동선 음악예술의 문화사적 가치

        이혜진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7 한국문학과 예술 Vol.24 No.-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cultural-historical value of music art by Chae Dong-Seon who led the import/settlement of Western classical music in the colonized Joseon of the 1930s. The music art by Chae Dong-Seon in the same way of doing activities for the first generation of Western classical music like Ahn Eak-Tai and Hyeon Jae-Myeong has been evaluated as establishing the basis of Korean modern music of nationalism by concentrating on the transcription/preservation of gukak(Korean classical music) and folk songs, on top of the characteristic like composing songs by borrowing poems by Jeong Ji-Yong. However, his whole works could not be revealed in public, so that the accurate activity contents were partially transmitted. Moreover, under the political chaos filled with the left-winger and right-winger right after the liberation, Chae Dong-Seon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basis of Joseon's art policies as a representative of the right nationalism camp, which was halted by the Korean War. Thus, this paper newly reviewed his music art by concentrating on the re-examination of his work activities and contents partially known so far, and also the modification of errors. For example, an accurate chronological list was written based on the scattered data by reviewing the contents/number of his composition that has been wrongly informed, and the process of modifying lyrics after Jeong Ji-Yong defected to North Korea. Just like Bach, Beethoven, and Brahms, the transmission of memories about an artist who pursued the high artistic ideals and lived a fierce life in the previous century is directly connected to people's love and respect, and finally, it gets the vitality. In this aspect, all the works to remember Chae Dong-Seon including the completion of an accurate chronological list and the restoration of the first data related to his work activities should be considered as joint tasks for our generation. 이 글은 1930년대 식민지 조선에서 서양 고전음악을 수입하고 정착하는 데 선도했던 채동선 음악예술의 문화사적 가치를 재조명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안익태, 현재명과 같은 서양 고전음악 1세대의 활동과 궤를 같이 하는 채동선의 음악예술은 정지용의 시를 차용하여 가곡을 작곡했다는 특성과 함께 국악과 민요를 채보하고 보전하는 데 전념한 한편 해방 이후 한국 근대 민족주의 음악의 기초를 확립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그 동안 그의 작품이 완전히 공개되지 못한 탓에 정확한 활동상이 부분적으로만 전해져왔다. 더욱이 해방 직후 좌우익이 정치적으로 난립하는 가운데 채동선은 우익 민족주의 진영을 대표하여 한국 예술정책의 기초를 마련하는 데 기여했으나 한국전쟁으로 인해 그 역시 중단되고 말았다. 이러한 저간의 사정에 따라 이 글은 지금까지 부분적으로만 알려져 있던 그의 작품 활동을 재검토하고 오류를 수정함으로써 그의 음악예술을 재조명했다. 가령 그 동안 잘못 알려져 있던 그의 작곡 내용과 작품 편수, 그리고 정지용의 월북 이후 가사를 수정해갔던 과정을 재검토하고 산재된 자료를 기초로 하여 정확한 연보를 작성했다. 바흐와 베토벤, 브람스가 그랬던 것처럼 현실에 철저히 발을 딛고 높은 예술적 이상을 추구하며 치열한 삶을 살았던 전 세기 예술가에 대한 기억의 전승은 곧 대중의 사랑과 존경으로 직결되면서 생명력을 얻게 된다. 그런 점에서 채동선의 정확한 연표 작성은 물론 그의 작품 활동과 관련된 1차 자료에 대한 복원을 비롯하여 그를 기억해가기 위한 작업들은 우리 세대의 몫이 되어야 할 것 같다.

      • KCI등재

        정선의 진경산수화, 동국진경의 생명정신 및 생명미학의 원리

        김연재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2 한국문학과 예술 Vol.44 No.-

        The essay is focused upon analyzing Jeong Sun’s Jinkyong landscape painting in his artistic way. The world of Donggukjinkyong is characteristic of the methodology of Jinkyong in landscape paintings, which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horizon of life Aesthetics. The methodological idea of Jinkyong provides a kind of foundation for the artistic theory of landscape paintings. It is a clue to what is a rule of Jinkyong landscape painting so as to apply it into a technique of landscape paintings, and ultimately to attain to the Donggukjinkyong way. From the viewpoint of the philosophy of art, his Jinkyong of landscape painting is a symbolic crystallization of real scenery landscapes in such a process of space turn as the epistemological vision of Natural landscape, the ontological world of actual scenery landscape and the axiological horizon of real scenery landscape. It has an integral reality of artistic way toward life spirit in the Aesthetical methodology of Donggukjinkyong. Thus, it is consequent that his artistic character of Jinkyong landscape painting is at a central point not only for an origin stream of the Korean artistic spirit of landscape painting but also for the archetype and ethos of Korean culture in the East Asia. 본고에서는 산수화의 작품에서 예술성의 요체가 어디에 있는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그 구체적 사례로서 정선의 진경산수화와 그 동국진경의 생명정신을 고찰한다. 특히 정선의 말년에 작품이자 그의 독특한 화풍을 잘 드러낸 두 작품, 즉 인왕제색도와 금강전도를 집중적으로 살펴본다. 이들 산수화의 특성을 밝히는 데에 실경(實景)과 진경(眞景)의 본질적 관계에 주목하고 그 논법으로서 의상(意象)과 의경(意境)의 예술철학적 원리를 활용한다. 산수화의 생명정신은 산수의 의상과 의경을 실경의 재현과 진경의 표현과 어떻게 연관시키는가 하는 점에 달려있다. 이는 산수의 공간이 전환하는 과정, 즉 실졍(實景)의 진경화(眞景化)에서 접근된다. 여기에서는 자연산수의 물리적 공간에서 실경산수의 사생정(寫生的) 공간으로 확장되고 진경산수의 사의적(寫意的) 공간으로 확충된다. 이들 공간은 인간의식의 차원에서 각각 인식론적 시계, 존재론적 세계, 가치론적 경계로 전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의 전환에서 진경산수화의 요체, 즉 동국진경의 생명정신을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동국진경의 생명정신은 생명미학의 예술철학적 방법론에서 도출된 결과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예술철학적 방법론 속에서 동국진경의 생명정신은 한국의 회화사에서 미래지향적 청사진의 단면을 드러낸다고 말할 수 있다.

      • KCI등재

        문화 허브로서 유라시아 한인 예술단체의 역할과 비전 -카자흐스탄 국립 고려극장의 춤예술 활동을 중심으로 -

        양민아(Yang, Mina)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2 한국문학과 예술 Vol.41 No.-

        카자흐스탄에 소재한 국립 공화국아카데미 고려희가극 극장(이하 고려극장)은 1932년 9월 9일 연해주에서 창립되어 2022년은 창립 90주년을 맞는 해이다. 고려극장은 1세기 가까운 시간동안 중앙아시아의 한인 디아스포라의 문화적 구심점으로 남·북한춤을 비롯하여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러시아의 민속춤 등 다양한 춤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고려극장은 러시아 한인들의 역사적 조국에 대한 향수를 불러일으키고 그들의 정체성을 가시화하며, 그들의 마음의 고향 역할을 하고 있다. 고려극장의 춤예술 활동은 총 4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제1기 원동변강조 선극장의 탄생: 조선춤 유입기(1932~1937); 제2기 주립 고려 음악-드라마 극장: 중앙아시아와 북한춤 유입기(1937~1968); 제3기 공화국 고려 희가극 극장: 자체레퍼토리확립기(1968~1990); 제4기 국립공화국 아카데미 고려 희가극 극장: 한국춤 유입기(1991~현재) 고려극장은 한 발 더 나아가 전 세계 한민족의 문화와 예술을 자유롭게 연결하고, 교류하여 새로운 작품들로 재탄생될 수 있는 확장된 개념의 문화 허브, 즉 한민족 문화창조의 플랫폼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이처럼 문화허브로서 유라시아한인 단체인 고려극장의 역할과 비전은 4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남·북한 춤문화 교류의 교두보; 둘째, 디아스포라 예술인들의 화합의장; 셋째, 세계 한인문화예술의 멜팅팟(melting pot); 넷째, 차세대러시아 한인 예술인 양성의 인큐베이터이다. The State Republican Academic Korean Theater of Musical Comedy in the Republic of Kazakhstan(Abbr. the Korean Theater), was founded on September 9, 1932 in Primorsky Krai, USSR. The Korean Theater had been deported to Kazakhstan in 1937, it will celebrate its 90<SUP>th</SUP> anniversary in 2022. For nearly a century, The Korean Theater as a cultural center for the Korean diaspora in the CIS countries, has various dance cultural assets, from North and South Korean dances to Russian, Kazakh and Uzbek folk dances. The Korean Theater arises the nostalgia for Korean-Russians’ historical homeland and visualizes their identity, and serves as the hometown of their hearts. The dance art activities of the Korean Theater can be divided into the four periods. First, The Birth of Far East Maritime Provincial Joseon Theater: Influx of Joseon Dance (1932~1937); Second, The Regional Korean Music and Drama Theater: Central Asian and North Korean Dance Inflow (1937~1968); Third, the Republican Korean Theater of Musical Comedy: Establishment of its own repertoire (1968~1990); Fourth, the State Republican Academic Korean Theater of Musical Comedy: Introduction of South Korean Dance (1991~Present) In the future, the Korean Theater should play a role as a cultural hub with an expanded concept that can freely connect and exchange the culture and art of the Korean people around the world and re-created as new works, that is, a platform for creating Korean Culture. As such, the role and vision of the Korean Theater, an Eurasian Korean art organization as a cultural hub, can be summarized into the four categories. First, a bridgehead for inter-Korean dance culture exchange; Second, a Field of harmony among Korean diaspora artists; Third, the melting pot of Korean culture and art in the world; Fourth, an incubator for nurturing next-generation Korean-Russian artis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