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주지역 문화관광마케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계담 탐라대학교 정책개발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687

        21세기를 흔히 ‘문화의 세기’라 한다. 이는 문화가 개인생활의 중심일 뿐만 아니라, 사회발전의 원동력, 국부창출의 기반이 되며 문화적 창의성이 개인과 국가사회 가치의 중심에 왔음을 의미한다. 특히 창조성을 확산하는 속성으로 인해 문화는 지속적인 성장을 가능케 하는 원천일 뿐 아니라, 부를 창출하는 요소로서 인식되면서 자본재로 간주되고 있다. 여가적인 사치재(luxury goods)로 인식되던 문화가 이제는 가치재(merits goods)로 인식되고 있는 것이다. ‘문화관광’이라는 분야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탄생한다. 문화와 관광을 연계함으로써 문화 자체의 발전은 물론 관광효과를 동시에 얻어내고자 하는 것이다. 특정 지역의 독특한 문화형을 보존하고 발전시켜 다른 문화형에서 살고 있는 방문객들에게 그 관광매력을 전달함으로써 경제적 효과와 연결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이때 개입하는 것이 마케팅적 관점이라 할 수 있다. 문화와 관광 그리고 마케팅을 연계함으로써 문화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함은 물론, 최대한의 경제효과를 올리려는 것이다. 그러나 제주지역에서는 아직까지 이에 대한 확고한 입장이 정립되어 있지 않다. 그간의 관광개발 역사에서 알 수 있듯이 대규모 현대식 시설의 도입과 자연경관 관람위주의 관광행사가 주를 이루면서 문화관광은 뒷전으로 밀려났을 뿐 아니라, 극히 제한적인 범위에서만 이를 활용함으로써 제주지역의 독특한 문화형을 관광객들에게 보여주는 데는 역부족이었다. 이는 문화관광을 위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했던 데서도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지역 문화관광의 실태를 파악하고 그 개선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그리고 그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제주지역의 현황파악을 병행했다. 제2장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한 규범적 접근에 의해 이론체계를 정립하고자 문화·관광·마케팅과 관련된 각종 문헌과 제주지역의 문화자원과 관련한 각종 자료를 수집·검토했다. 그 결과 제주지역에는 다양한 문화자원과 독특한 문화형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문화관광의 최적지로 파악되었다. 제3장에서는 제주지역 문화관광 현황과 관광마케팅에 있어 중심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지방정부의 정책을 검토함으로써 문제점을 파악했다. 이는 국내적으로 문화관광이 체계화되지 않아 일선 업체들이 구체적으로 적용한 사례가 빈약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 아직까지 제주지역에서는 문화관광에 대한 구체적인 패러다임이 형성되어 있지 못하며, 문화자원의 활용도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등 문제점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인 문제점으로는 문화관광자원 개발과 축제 등 문화관광상품 개발 부문에서 특히 두드러졌다. 그리고 제4장에서는 국내와 국외로 구분하여 효과적인 문화관광상품으로 평가되고 있는 사례들을 분석함으로써 제주지역 문화관광상품과 비교하고자 했으며, 제 5장에서는 제주지역 문화관광마케팅의 개선방안 도출을 위해서 선행연구와 관련한 정책대안을 비교·분석했다. 개선방안으로 문화관광정책 개발부문과 마케팅과정의 체계화로 나누어 도출하였다. 문화관광정책 개발부문에서는 크게 문화관광 정책개발시스템 구축과 마케팅과정의 체계화로 구분하여, 전자는 지역주민의 참여확대, 공공기관의 전문성 향상, 문화관광 관련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축 등이, 후자는 주기적인 시장조사와 그 결과에 근거한 표적시장 선정과 시장세분화 등 일련의 목표수립과 홍보 및 판촉 등이 필요한 것으로 제시되었다. 그리고 문화관광자원 및 상품 개발부문에서는 자원범위의 확대, 고유성과 현대성의 조화, 보편성 지향 등을 개선방안으로 제시했다. 1990년대 이후 관광정책은 경제 및 사회정책에서 문화정책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후기산업사회로의 진입이 가속화되면서 국민복지 향상이 관광정책의 주요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즉,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을 요구하게 된 것이다. 여기서 문화관광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개입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제주지역의 관광정책은 아직까지 이렇다할 이념을 갖지 못한 채 주로 경제적 측면에서의 효율성에 우위를 두고 추진되고 있다. 따라서 지역주민의 복리를 위한 관광정책, 특히 문화관광의 활성화를 통한 지역문화의 육성과 관광의 경제적 효용성간의 균형적 발전을 도모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Global economic environment has been rapidly changing and almost all of the countries have been competing with others continuously. Under this situation, the tourist industry, so called "the industry without a chimney", has been understood as the 21C type of high value added industry, and most advanced countries have already made an effort for the development of tourist industry. And modern society is called as a period of cultural war, that is, culture is related with not only the quality of human lives but also the competition of industrial and commercial war. A culture without identity is like a rootless tree so it can not stand firmly as it confronts other cultures. A local festival as cultural tourism has precondition of the traditional culture development of the region and this will help to establish the cultural identity of the residents and bring forth the true taste of the region. Therefore, every local self-government in Korea is trying to solve the problem by developing the tourist industry for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culture, the local economic proliferation and the promotion of the residents welfare. And, on entering the 90s, a model of tourism by the name of "Cultural Tourism" has appeared in the society of Korea. Since the local self-government have begun, they have a tourist festival. The local festival has increased rapidly since the beginning of the local self-system, nevertheless there are a few local culture tourist festival helping the promotion of the local economy. However cultural tourism business with the local festival has many problems and weaknesses in marketing ability, human resources, packages, and framework of cultural tourist resources. In this thesis, we studied the improved way of cultural tourism marketing with focusing on the festival in Jeju region. In Chapter Ⅰ, the purpose and method of this study was described. In Chapter Ⅱ, the theories of cultural tourism and tour business marketing were introduced. In Chapter Ⅲ, the present position of cultural tourism, marketing strategies in Jeju Island were analyzed, and problems were extracted. In Chapter Ⅳ, the case study of internal and external cultural tourism ware was done. In Chapter Ⅴ, the improved ways of cultural tourism marketing were suggested. In Chapter Ⅵ, summary and the critical points were described.

      • 지역 NGO의 지방자치단체 정책참여방안에 관한 연구 :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고윤권 탐라대학교 정책개발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논문은 총 다섯 개의 장으로 나누어져 있다. 제1장 서론에서는 본 연구를 하게 된 배경과 연구를 하게 된 목적, 그리고 연구목적에 걸맞는 연구의 방법과 범위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제2장 이론적 고찰에서는 NGO 활동의 첫 단계라고 할 수 있는 주민참여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며, 여기에서는 특히 주민참여의 필요성과 주민참여 형태의 변화내용을 살펴보면서 NGO에의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이론적 고찰의 두 번째 절에서는 NGO에 대한 전박적인 이론을 언급하였는데, 구체적으로 NGO의 개념과 특징, NGO에 대한 다양한 접근방법, NGO활동의 확대배경, NGO의 활동분야와 유형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이론적 고찰의 세 번째 절에서는 정부와 NGO간의 협력이론에 대해서 언급하면서 정부와 NGO간 협력의 등장배경과 그 영역 및 종류를 살펴보면서 이를 지방정부와 NGO간의 협력방안과 연결시키면서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하여 이론적 고찰의 네 번째 단계에서는 지방자치단체와 지역 NGO의 관계에 대해서 자세하게 기술하였는데, 첫 번째로 지방자치의 현대적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고, 두 번째로는 지방자치단체와 NGO와의 관계에 대한 전제, 세 번째로는 지방자치단체와 NGO간의 협력강화방안 등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마지막으로 지방행정과 NGO의 협력배경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본 논문의 3장에서는 지역 NGO의 정책참여와 협력사업에 대한 실태분석에 대해서 자세하게 살펴보았는데, 우선 정책과정에서 지방정부와 지역 NGO의 역할 및 관계에 대해서 살펴보았고, 그 다음으로는 지방자치단체의 정책과정에서의 지역 NGO의 영향, 정부와 NGO간의 파트너십 유형 및 지방자치단체와 NGO간 협력의 지향점에 대해서 기존 자료들을 종합하여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현황 및 분석결과를 살펴보았는데, 현황 부분에서는 세계 NGO의 현황, 우리나라 NGO의 현황 마지막으로 연구 대상지인 제주도의 NGO현황, 특히 늘푸른 제주21, 참여환경연대, 환경운동연합 등의 현황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지역 NGO의 정책참여 현황을 살펴보면서 우리나라의 경우 서울시 동대문구의 사례를, 외국의 지역 NGO정책참여사례에서는 미국과 일본의 경우를 살펴보았다. 따라서 분석 결과에서는 이러한 현황들을 바탕으로 하여 지역 NGO의 지방자치단체 정책참여 기본방향을 제시하고 NGO의 지방자치단체 정책참여를 위한 지원체계에 대해서 언급하였다. 마지막으로 결론 및 시사점에서는 제주지역 NGO의 지방자치단체 정책참여 방안에 대해서 분석결과 등을 토대로 제시하였으며, 그 결과가 주는 시사점에 대해서는 제주지역은 인구로 보나 경제적 규모로 보나 전국에서 상당히 미약한 지역이기 때문에 지역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 NGO의 전문성이 더 높아야 할 것이고,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체계적인 행?재정적 지원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아울러 지역 NGO의 경우도 반대를 위한 반대가 아닌 협의를 하여 서로가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결론을 도출하여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고, 행정당국에서 제시하지 못하는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여 이를 정책에 반영시킬 수 있도록 지역주민들과의 대화를 한 후 어느 정도 걸러내진 시책들을 제안하는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This study consists of five chapters. The first chapter describes the reasons and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nd also clarifies in what methods and scopes I have carried it out in order to satisfy the very purposes of this research. In the second chapter, a theoretical approach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citizens' participation of the very first step of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NGO) activities was considered. The need and the change of ways of citizens' participation were thoroughly treated. Second, the general theories of various perspectives were introduced. Specifically, they explain some key aspects of NGOs: the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NGOs, the various points of view towards NGOs, the backgrounds of growing activities of NGOs and the scopes and types of the activities of NGOs. Third, the cooperation between a central government and a NGO was mentioned. Understanding the backgrounds, scopes and ways of the cooperation between the two, I tried to find out the ways of how a local government and a NGO work together.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a local autonomous entity and a local NGO was treated in detail: the modern meaning of local autonomy, the methods which were introduced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operation between a local autonomous entity and a NGO and the reasons why they have to cooperate. In the third chapter, I took a thorough research into the examples of the participation of local NGOs and their cooperative activities with a local government. Their respective roles and the relations between them were first brought into my concern. Next, the extent of influence of a local NGO in the policy making process of a local government and finally the types of partnership between a government and a NGO and the desirable cooperative relations between the two bodies were considered by analyzing materials and data available. In the fourth chapter, the present situations of leading NGOs were taken into account from overseas to domestic to local organizations seated in Jeju such as Evergreen Jeju 21, Jeju Solidarity for Participatory Self-government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Korean Federation for Environmental Movement. Also, for the purpose of looking into the participation of a local NGO in the policy making process of a local government, the activities of NGOs in Dondaemoongu of Seoul, Japan and the U.S. were reviewed. After assessing those examples, I tried to show a basic direction for the participation of a local NGO in the policy making process of a local self-government and the supporting system for a NGO to take part in. In the fifth and final chapter, the participatory ways of a local NGO in Jeju in the policy making process of a local government of Jeju were mainly dealt with. In order to develop Jeju that is relatively weak in terms of either economy or population compared to other domestic cities, a local NGO needs to enhance the degree of its own specialties and a local government should support a NGO both financially and administratively. Also, to forge a constructive relation between them, a NGO needs to suggest measures a government can possibly accept as a reasonable alternative to its own policy. For a NGO to play a proper role, its effort to have continuous dialogues with residents is the most important.

      • 사회적 지지가 가정폭력 피해 대학생의 부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선옥 탐라대학교 정책개발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655

        가정폭력은 개인과 가족구성원 모두의 인격발달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매우 높다. 가정폭력에 노출될 경우, 피해 자녀들은 여러 가지 심리·사회적인 부적응 문제를 지니게 된다. 이러한 부적응행동은 또 다른 사회문제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가정폭력의 피해자인 자녀들을 위한 적극적인 예방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사회적 지지는 개인과 상호작용을 하는 아주 중요한 체계로서 개인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사회 적응을 도와준다. 이러한 사회적 지지는 가정폭력 피해 자녀의 부적응행동을 감소시킨다는 연구결과들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가정폭력 피해 대학생들에게 미치는 부적응행동과, 부적응행동을 감소시키는 사회적 지지의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가정폭력 피해 대학생의 적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문제에 개입하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는 연구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알아본 가정폭력은 아내에 대한 언어적 폭력, 신체적 폭력과 자녀에 대한 언어적 폭력, 신체적 폭력으로 한정하였고, 부적응행동은, 사회적 위축, 과잉행동, 공격성, 강박성을 포함하였으며, 사회적 지지체계인 경우, 어머니, 아버지, 형제/친척, 친구, 교사/교수 등을 포함하였다. 제주도내에 위치한 5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중 가정폭력을 목격하거나 경험한 188명의 설문조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들의 경험한 가정폭력을 조사한 결과 가정폭력은 부모의 학력, 경제수준과는 상관없이 발생하고 있으며, 연구대상자들은 아버지가 어머니에게 언어적, 신체적 폭력을 가하는 것을 목격하거나 부모로부터 직접 언어적, 신체적 폭력을 당하고 있다. 이는 가정폭력 피해 대학생들이 가정폭력의 부정적인 영향에 노출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가정폭력 피해 대학생의 부적응행동은 사회적 위축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강박성, 과잉행동, 공격성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정폭력 피해 대학생의 경우 내현화 증상이 외현화 증상보다 높게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가정폭력과 부적응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아내학대인 경우보다 자녀학대인 경우가 가정폭력 피해 대학생의 부적응행동과 상관관계가 비교적 높았다. 넷째, 가정폭력 피해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형태는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정보적 지지 순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체계는 어머니, 친구, 아버지, 형제/친척, 교사/교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정폭력 피해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어머니의 물질적 지지, 정서적 지지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이 친구의 정보적 지지로 나타났다. 이는 가정폭력 피해 대학생들이 어머니로부터는 물질적 도움을, 친구로부터는 정보적 도움을 받고 있다고 지각한다고 볼 수 있다. 다섯째, 사회적 지지와 부적응행동 간의 관계를 단순상관관계로 살펴본 결과 사회적 지지체계 중 어머니 지지, 아버지 지지, 형제/친척 지지, 친구 지지는 부적응행동과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나 교사/교수 지지는 부적응행동과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족, 친구 지지가 교사/교수 지지보다 부적응행동과 부적으로 더 관련이 있다는 것을 말한다. 여섯째, 사회적 지지가 부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어머니, 아버지, 형제/친척 지지는 부적응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 즉 어머니, 아버지, 형제/친척 지지가 높을수록 가정폭력 피해 대학생의 부적응행동을 감소시키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반면 친구, 교사 지지는 부적응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즉, 교사/교수 지지는 가정폭력 피해 대학생의 부적응행동을 감소시키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가정폭력 피해 대학생들에 개입하는 방안으로 부적응행동을 감소시키고 사회적응을 돕기 위해 가족의 지지를 적극 활용할 수 있는 사회복지실천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방안은 가족을 유지하고 통합시키는 가족중심적인 시각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amily violence had a bad effect on individuals and family members.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family violence have various psychological and social maladaptive problems. These maladaptive problems brought about other social problems. Therefore we need social welfare services for children who grew up in violent families. Social support enhanced individual's social function and social adjustment capacity.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maladjustment of battered university students' behavior caused by family violence and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maladjustment of battered university students' behavior.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188 battered university students and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 1. Social shrinkage and obsessive compulsive were more significant than attention deficit and aggressiveness in maladjustment battered university students' behavior. 2. Direct experience of family violence had a more significant effect on maladaptive behavior than indirect experience through the abuse of the mother. 3. Perceived social support systems were mother and friend support systems. 4. Family support was more effective in reducing maladaptive behaviour than peer and teacher support. 5. Family support had an effect on the maladjustment of battered university students' behavior whereas peer and teacher support had no effect. These findings demonstrated that family support had influences on maladaptive behavior. It is, therefore, suggested that we have to strengthen family support in order to reduce maladjustment of battered university students' behavior.

      • 일본의 개호보험제도

        김진광 탐라대학교 정책개발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655

        일본에서는 급속한 노인인구가 증가로 인해 노인요양 문제가 대두되었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회보험방식의 개호보험제도가 2002년 4월에 시행되었다. 일본의 개호보험제도는 기존의 행정이 서비스 대상자 및 내용을 결정하는 조치제도에서 사회보험방식에 의해 필요한 서비스를 이용자가 자유롭게 선택하고 계약에 의해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구조로 전환한 것이다. 본 논문은 일본의 개호보험이 발생하게 된 사회■경제적 배경 및 특성을 살펴보고 개호보험 제도의 문제점 및 향후의 정책과제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또한 일본의 경험을 통하여 한국의 공적요양보장체계 수립의 정책방향을 도출하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일본 개호보험은 특징은 1) 보험자가 시·정·촌 이며, 2) 피보험자는 65세 이상의 노인(제1호 피보험자)과 40세 이상 64세까지의 장애를 가진 개호대상자(제 2호 피보험자)를 피보험자로 한다. 일본의 개호보험의 수급자는 개호에 소요되는 총비용의 1할을 본인이 부담하도록 되어 있다. 3) 재원조달은 사회보험과 조세의 혼합방식을 취하고 있다. 재원의 50%는 피보험자로부터 갹출되고 중앙정부가 25%,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가 각각 12.5%씩 재정 지원을 하고 있다. 개호보험제도는 비교적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는 평가이지만 해결해야 할 여러 가지 문제점 및 과제를 지니고 있다. 제기된 주요 문제점으로는 요개호 인정 방법, 개호의 질적관리, 개호지원 전문인, 저 소득자의 문제, 현금급여의 문제 등이다. 한국은 고령화 시대의 장기요양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일본의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한국은 정책의 우선순위, 공적요양보장 제도의 도입 시기, 공공과 민간의 책임분담, 가족의 역할, 전달체계의 하부구조, 보건의료와 사회적 개호의 조정 문제에 대하여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 The demand for long term care was expected to increase as a result of a rapidly ageing population in Japan. Japan introduced a compulsory social insurance program for its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since April 2000. The system transformed from a service for the elderly on a basis of administration convenient policy into a service on a contract basis. This paper examines the social and economic background that gave birth to long-term care insurance in Japan. It also makes clear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and discusses the issues to be overcome and the future prospects of the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desirable policy directions for long-term care in Korea. The main structural framework of the financing and delivery system of long-term care insurance(LTCI) in Japan are as follows. 1) The insurers are municipalities. 2) Those insured over the age of 65 are defined as the primary insured and those with disabilities in the age bracket of 40 and 64 are defined as the secondary insured. Beneficiaries are required to pay a co-payment, which is 10% of the benefit. 3) The Japanese LTCI program is financed through a combination of social insurance contributions and taxes. Contributions from the insured comprises only a half of the funding and 25 percent is paid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12.5 percent each by prefectures and municipalities. Although the system has started smoothly without serious problems, there are a lot to overcome to build firm foundations for the provision of necessary services. The following are some of the important issues and tasks to be tackled with in order to improve the system for the future. In particular, the eligibility assessment for benefits, the quality care management, care manager problems, low income group and cash benefit problems and so on. The Korean society needs to respond to the elderly and long-term care needs and develop a variety of services from lessons and experiences learned from Japan. Korea should seriously take into account the policy priority, the nature of risk, the optimal timing of introduction, the share of public and private responsibility, the role of the family, the infrastructure of the delivery system and the coordination between health and social care.

      •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 관련변인 분석

        박영미 탐라대학교 정책개발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는 공공분야 사회복지 전달체계에서 복지서비스 실천주체인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 관련변인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효율적인 인력관리와 제도개선을 통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만족과 직무성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제시된 연구문제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개인 변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직무환경 변인이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직무수행능력 변인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 변인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 지역의 사회복지전담공무원 2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첫째, 개인 변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여자보다 남자가, 기혼보다는 미혼이, 1급보다는 2급 자격증 소지자가 직무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무연수가 많을수록 직무만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환경 변인에 따라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직무환경의 하위변인 중 승진기회, 업무량, 전달체계는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직무수행능력변인에 따라 직무성과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직무수행능력이 높을수록 직무성과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만족변인에 따라 직무성과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직무성과도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만족은 직무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낮은 수준의 직무환경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불합리한 직급체제의 정비, 사회복지사무소의 조기확대실시를 통한 전달체계의 확립 및 서비스대상자 수에 따른 인력배치기준 재조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사회복지전담곰무원의 직무수행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문교육기회의 확대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riables influencing job contentment and performance of social welfare officials in charge of putting social welfare service into practice and,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to suggest the way to enhance job contentment and performance of social welfare officials through personnel management and system improve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focused on analyzing the influences of social welfare officials' personal variables on their job contentment, their job environment variables on their job contentment and achievement, and their job performance and contentment variables on their job achievement. The findings through the questionnaires of 252 social welfare officials in big and medium cities and rural areas are as follows. First, influences of personal variables on job contentment are greater in women than in men, in the married than in the unmarried, in the first class officials than in the second class officials. And the greater their job experience is, the lower their job contentment is. Second,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ir job contentment and achievement according to their job environment variables. It shows that they have relatively low recognition about promotion opportunities, job quantity, and communicating system among dependent variables. Third,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ir job achievement according to their job performance variables. It shows that the higher the job performance variables are, the greater the job achievement is. Fourth,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ir job achievement according to their job contentment variables. It shows that the higher the job performance variables are, the greater the job achievement is. In view of the above findings, it was shown that social welfare officials' job contentment directly influences job performance. In order to improve the low level of job environment, we need to reshuffle social welfare officials' unreasonable promotion system, to establish communicating system through an early enlargement of social welfare offices, and to readjust the personnel replacement regulations according to the number of persons requiring services. And in order to enhance the job performance of welfare officials performance, we need to increase the opportunities of professional job training.

      • 서귀포시 재래시장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

        강상주 탐라대학교 정책개발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639

        최근 새로운 유통기관의 등장과 대형소매점의 출현 등 유통분야에 있어서도 일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근대화 이후 70년대 중반까지 우리나라 유통업계를 대표해 오던 재래시장은 90년대 이후 할인점 등 대형소매점의 다점포화 전략에 따른 경쟁심화로 침체 및 낙후의 가속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래시장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노력은 때늦은 감이 있으며, 재래시장 상인 스스로 변화에 대비한 자구책을 마련하려는 의지가 빈약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앙매일시장, 서귀포향토오일시장, 중문오일시장 등 서귀포시 재래시장의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시장상인 및 소비자 면담을 통해 문제점 및 현황을 파악하고, 다른 지역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한 사례연구와 비교하여 서귀포지역 특성에 맞는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현재 서귀포시 재래시장들이 안고 있는 공통된 문제점으로는 전문화된 물류기능의 부재, 시설의 낙후, 주차공간 등 편의시설의 부족, 경영마인드 및 서비스 부족, 주체적 자생의지의 결여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지역균형 발전 및 재래시장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전문적이고 독자적인 경영방식의 도출, 재래시장별 특성화 전략 추진, 인접관광지와의 연계를 통한 관광객 유인 강화, 자구노력을 통한 경쟁력 확보 등이 전략적 과제로 제시된다. Dramatic changes have been occurring recently in the area of distribution, including new types of distribution agencies and large-scale stores. Traditional markets were major distributors in South Korea until the mid 1970s after South Korea was industrialized. They have been, however, facing drastic recession and falling behind due to fierce competition through diversified marketing strategies of large-scale stores including big discount stores since the 1990s.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however, are making belated efforts to bolster the competitiveness of traditional markets, and sellers of traditional markets themselves lack the determination to secure the competitiveness and improve the situ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I was trying to show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that the traditional markets of Seogwipo city, such as Jungang daily market, Seogwipo local five-day market which is open every five days and Jungmun five-day market, are now facing by interviewing sellers and consumers in order to come up with measures to boost the traditional markets. Also I was trying to come up with some measures suitable to Seogwipo city by researching and comparing the examples of measures other cities have taken to activate their traditional markets. These are the problems that the traditional markets have in common at this moment; first, lack of a specialized system for product distribution, second, old-fashioned facilities, third, lack of convenience facilities, like parking lots, fourth, lack of mind-set for management and service, and finally lack of determination to revive the markets. In order to address these problems and boost the traditional markets along with further balanced development of the region, I was trying to suggest some strategical challenges; first, to induce specialized and original ways to manage the traditional markets, second, to push for specialization of every traditional market, third, to attract lots of tourists in connection with nearby tourist attractions, and finally,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by making every effort to survive.

      •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쉼터 서비스 실태 및 서비스 욕구 분석

        현경림 탐라대학교 정책개발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639

        가정폭력은 단순한 '가정 내 사생활' 문제가 아니라 가정 내 약자의 인권을 유린하며, 폭력을 심화시키며, 세대간의 전수되는 심각한 사회문제임을 인식하는 분위기가 확산되면서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을 위한 쉼터의 역할도 중요시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쉼터는 각종 프로그램과 서비스 제공보다는 수용보호시설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향이 많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쉼터에서 피해자에게 제공되어지는 서비스에는 어떠한 것이 있고, 그들이 원하는 서비스 욕구가 무엇인지를 파악함으로써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실천적 시사점을 얻고 대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쉼터를 이용했거나 현재 이용중인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쉼터 서비스 욕구에 대한 보다 심층적 정보를 얻기 위해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폭력 피해여성을 위한 쉼터의 현황은 민간단체가 많았으며, 종사자수는 2-4명 정도로 외국에 비해 인력부족이나 재정적인 부분의 어려움으로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기가 힘든 실정이었다. 둘째,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의 피해 현황은 대부분 폭력 행위자가 배우자이며 폭력의 원인은 남편의 성격, 의처증, 음주 문제이고, 언어·정서적인 폭력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피해 후유증으로는 우울증이나 불안증세, 자신감 상실 등으로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의 일반적인 특성을 보여주었다. 셋째,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은 쉼터에서 제공받은 서비스에 대해서는 대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의 서비스 욕구는 다양하나 숙식제공은 물론 개별상담, 직업교육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서비스 욕구의 각 문항에 대해서 연령, 학력, 직업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폭력 피해여성을 위한 쉼터 서비스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한다. 첫째, 피해여성들의 각 서비스 욕구에 대해서 연령, 학력, 직업유무에 따른 차이만을 보았지만, 가정폭력 이후 대응방식에 따른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쉼터에서 퇴소 후의 어려운 점들이 많다는 점에서 중간의 집 운영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가정폭력 가해자에 대한 실태 및 서비스 실천에 대한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Domestic violence is now widely considered not as a private problem happening within private spaces, but as a serious social problem because it infringes upon the human rights of the weakest of the family as well as being handed down to the next generation. As we gain understanding of domestic violence, the shelter for women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should take an increasing importance. In fact, most shelters in Korea are just a kind of lodging facility for women victims, rather than provision of various services and useful program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ractical services for women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by recognizing what services the shelters provide and what services victims want and need. For this purpose, I have surveyed women who have used or are using the shelters for women victims concerning their needs through a questionnaire. I also interviewed them face to face to get deeper and more detailed informati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as for the shelters for women victims, according to the survey, there are more privately funded facilities than government funded ones. The average number of workers in a shelter is two to four, which is small compared to those of foreign countries. In fact, shelters in Korea have difficulty in providing various services due to the lack of human resources and finance. Second, as for the domestic violence cases, the offenders are found to be mainly the husbands. The husbands's violence is caused from his overly aggressive behavior, an insecurity projected to the wife as jealousy, and/or the effects of drinking. In terms of the types of violence, verbal or emotional violence happens the most often. The result shows that the most damaging aftereffects the women victims suffer from are depression, irritableness, and loss of self-confidence. Third, women victims are mostly satisfied with the services provided by the shelter Forth, it tells that the women victims desire various services. Specifically they have a comparatively higher requirement for one-on-one counselling and vocational education to be added to the existing service of lodging. Fifth, it shows such small differences in women victims' requests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background, and occupation that they are statistically analogou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 would like to suggest the further study of the services provided by the shelter for women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First, while this study has researched the differences in women victims' request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background, and occupation, we need to further analyze the responses of the victims to domestic violence. Second, we should further study on "intermediate shelter" because women victims have a lot of difficulties after leaving the "primary shelter" Third, we also need to research about the offenders of domestic violence. In addition, this study should include the management of the services mentioned in this study.

      • 지능적 지방정부를 향한 지식행정서비스 혁신방안 연구

        정문석 탐라대학교 정책개발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639

        21세기에 전개되는 사회를 소위 지식기반사회라고 한다. 이는 앞으로 개인, 조직, 국가의 가장 중요한 핵심경쟁 자원이 지식이고, 지식의 축적 및 효과적인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즉, 21세기는 지적자원을 바탕으로 조직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 해결하고 환경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것이 국가전략의 초점으로 등장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경쟁상황은 조직이나 개인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런데 중요한 점은 경쟁상황을 맞이하여 어떻게 문제상황의 해결능력과 가치창출능력을 갖추느냐 하는 것이다. 지금 제주도와 4개 시·군은 이전과 다른 상황을 맞이하고 있다. 국제자유도시, 특별자치도시행 등 중요한 과제를 안고 있다. 이런 시점에 행정기관도 급격한 사회변화에 대응하고 지속적인 가치창출을 위해서 지식행정의 근간이 되는 체계적인 지식관리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왜냐하면 지식관리는 조직 구성원간에 지식공유를 활성화함으로써 조직 생산성을 제고시킬 뿐만 아니라 기존자원을 재활용하거나 향후 자산공유를 위한 기반인프라 구축 등 조직문화의 혁신에도 기여하기 때문이다. 이런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노력가운데 하나로 지방정부의 지식능력을 제고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지식행정은 지식사회를 설계하고 지식창출, 형식화, 전파, 활용등 지식관리를 통해 가치창출을 극대화하는 행정이다. 또한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급변하는 환경에서 경쟁력을 갖춘 지능적 행정으로 그 외연적 모습은 지식정부로 나타난다. 이런 지식행정은 기존의 행정이 문제해결 지향적이고, 성과 지향적이며, 미래 지향적으로 개선, 변화된다면 실천이 가능하다. 아울러, 조직의 지능화, 인적자원의 효율화, 환경의 적응성 제고, 정보기술 활용의 최대화 그리고 제도 및 행정문화의 혁신 등 행정의 지식화 조건들도 함께 갖추어져야 한다. 나아가 지식행정의 외연적 모습인 지능적 정부를 위해서도 다음에 언급하는 실천적 요건들이 함께 갖추어져야 한다. 첫째, 물리력(hard power)보다 지력(soft power)을 중시해야한다. 둘째, 지능적 정부의 가능인자(enabler)로서 정보화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한다. 셋째, 인적자원관리의 재구조화가 이루어 져야 한다. 넷째, 조직을 생기 있고 활력 있게 전환시켜야 한다. 다섯째, 행정구조와 기능간 빈틈없고 이음새 없어야 한다. 이와 같이 지식행정서비스를 혁신하려는 방안들이 지방정부와 조직구성원 모두에게 다각적으로 강구되어질 때 바람직한 지방행정의 참모습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Advances in information technology are transforming society and rapidly generating a "knowledge revolution" that matchs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its impact on the dynamics of individual, organizational, socio-economic change. What would be the concrete picture for the knowledge based government? As a administration matter, what kinds of the knowledge management type and do we have orientation? How can local government strategically cope with the domestic as well as international knowledge-based challenges? These are the research topics for the article. Recently, influenced by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and knowledge management(KM) tool, Knowledge Management System(KMS) has been fast advancing in the private and public management sector. Knowledge not only accelerates structural changes ranging from society to public administration as a whole, but also has significant impacts upon government activities as well as corporate processes. In fact, Management of intellectual capital -Knowledge Management- is an emerging administration process that organizes, filters, shares, and retains knowledge as an asset. Especially, to be competitive in today's socio-economy, organizations are finding intellectual capital to be as important an asset as physical capital. This study explored the current comprehension and prospect of Public Administrativ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and suggested implication for the purpose of realizing the Knowledge Government. In order to implement the functions and roles in more fiercely forthcoming competition, the local administration’s effort should be made from the beginning for solving various problems which newly arises in the course of establishing KMS. At this point, the local government should re-examine the basic framework for its overall status and re-organize its strategies. The organization structures need to organically connect the knowledge instruments, networks, tasks, and its visions. At the local level, government needs to strengthen local competitiveness by building up knowledge infrastructure and by promoting human resourses. Also, local government should activate a public-based knowledge-using by encouraging education both at regional community levels.

      • 제3자 물류의 전략적 이용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창기 耽羅大學校 政策開發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는 인터넷쇼핑몰과 제 3자 물류의 이용성과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인터넷쇼핑몰 업체와 물류 전문업체간 전략적 제휴의 성공을 가져오는 요인에서 4 가지 즉, 제휴의 전략적 성격, 투입자원의 특성, 의사소통 활동, 파트너의 태도 등에 대하여 제 3자 물류의 이용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은 국내 인터넷쇼핑몰 중 제 3자 물류를 이용하고 있는 기업 500여개 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는 62개였고, 응답내용의 부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52개 업체를 대상으로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인터넷쇼핑몰 업체와 제 3자 물류업체간 전략적 제휴의 이용성과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자원의 보완성, 의사소통의 질, 몰입 등 3개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아직까지 국내 인터넷쇼핑몰들은 전략적인 차원에서 제 3자 물류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고, 상당수 인터넷쇼핑몰업체들이 단순히 비용절감이나, 단순한 아웃소싱 개념으로 제 3자 물류를 이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물류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음을 감안할 때, 국내 인터넷쇼핑몰 업체들도 전략적인 차원에서 제 3자 물류를 이용해 나감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요즘 물류관리의 한 방편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제 3자 물류서비스 이용성과의 전략적 제휴개념을 적용시킴으로써 그에 관한 연구자들에게 참고가 될 수 있는 사항을 제시하였다. 둘째, 제 3자 물류 이용성과의 물류부문에 대한 전략적 제휴를 통해 경쟁력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고하는 계기를 마련함으로써 국내 인터넷쇼핑몰들의 물류관리 전략에 도움이 되는 사항을 제시하였다. 셋째, 본 연구결과를 통해 인터넷쇼핑몰의 소비자들에게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 중에 하나인 물류서비스에 대한 전략적 제휴의 성공요인 모형을 제시하고 실증분석을 통해 계량화를 시도하였다는 점이다. This study extracts and summarizes four factors to make successful strategic alliance between internet shopping mall companies and logistics companies under the paradigm of internet shopping mall and logistics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on the result for use of the third party logistics and describes their characteristics. In short,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how strategic nature of the alliance, characteristics of input resource, communication activities and partner's attitude will affect the performance for use of the third party logistics. The questionnaire was made on about 500 companies which use the third party logistics among internet shopping mall companies in Korea, and 62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the verification of hypotheses was made on 52 companies except for other companies which submitted poorly prepared questionnaire. The result for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The variables affecting the performance for use of strategic alliance between internet shopping mall companies and the third party logistics companies produced the result to prove what I intend to suggest in this study, in verifying three hypotheses such as complementation of resource, quality of communication and Commitment among ten of entire hypotheses. In the remaining seven hypotheses, however, no significant result affecting the performance for use of the third party logistics as strategic alliance was shown. According to above findings, it is shown that most of domestic internet shopping malls use the third party logistics not to make strategic alliance but just to reduce expenses or conduct outsourcing. Considering logistics is getting important within business, however, domestic internet shopping mall companies should use the third party logistics as strategic alliance. This study suggests as follows. First, it applies strategic alliance into use of the third party logistics service and introduces referential information to the related researchers. Second, as it provides people with an opportunity to review plans to increase competitiveness and efficiency by use of the third party logistics and strategic alliance in logistics, it provides domestic internet shopping mall companies with information helpful to establish the strategy of logistics management. In a nutshell, it provides internet shopping mall companies using the third party logistics with an opportunity to introduce complementary measures like strategic alliance for uncontrollable logistics outsourcing. Third, it suggests successful examples of strategic alliance for logistics service, which is one of the most crucial part for customers, and tried to make quantize on them by conducting empirical analysis.

      • 觀光호텔食飮料 서비스 部門 從事員의 敎育訓練에 관한 硏究

        최외현 耽羅大學校 政策開發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50639

        식음료 서비스 종사원의 친절하고 정성스러운 서비스 자세 및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교육훈련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내용의 절차와 연구를 하였다. 첫째 한국관광호텔 식음료 서비스부문 종사원들의 교육훈련에 관한 이론적 연구를 수행하여 이를 체계화시키고 본 논자가 20년간 식음료 부문의 중견 사원으로서 호텔현장에서 체험하고 익힌 것을 근거로 본 연구에서 분석하고 그 모형을 제시하였다. 둘째 서울지역 특급관광호텔의 교육훈련의 현황과 경영현황을 분석 비교 평가하였다. 이러한 상기의 연구과정을 통해 제1장에서는 서론으로 문제의 제기와 연구목적을 논하고 연구의 방법과 범위를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식음료 서비스부문 종사원의 교육훈련에 관한 이론적 연구를 통해 호텔 식음료의 개념, 식음료 부서의 조직 및 임무, 특성과 현 특급관광호텔의 교육훈련과정과 형태를 기술하였다. 제3장에서는 식음료 서비스 종사원의 교육훈련에 관한 현황분석을 통해 실태를 분석하였으며, 한국관광호텔의 교육훈련과정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이 부문의 실증분석을 하기 위하여 논문 말미에 첨부된 설문지를 통해 설문조사를 한 것을 실증분석하였으며, 또한 현 관광호텔 식음료부문 종사원들의 직접대담도 병행하였다. 제5장에서는 분석결과를 통해, 분석에서 나타난 제반요인을 통해 그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제6장에서는 결론으로 한국 특급관광호텔 식음료 부문 서비스종사원의 바람직한 성과 있는 교육훈련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hotel enterprise of Today's is becoming large-scaled and internationalized and though the quantitative development in the facilities and the scale has achieved to a respectable level, but in the qualitative side, there are lots of un sufficient parts but a fer hotels. As for the hotel management, the occurrence of earnings can be divided to the guest room part and the food & beverage part. In the early period of the hotel enterprise, the guest room part had been regarded more important. But recently, rather than the limited earnings from the guest room part, the earnings from the food & beverage part has been getting higher by and by, and its importance is being emphasized. Since the hotel enterprise is the one that emphasizes the quality of the service provided to an individual guest, the service operative in the food & beverage part performs the role which has an enormous influence to the hotel management. How many guest they may attract, if they don't be provided with the service of a well-mannered and trained operative, their revisit is very far diseant. accordingly, the education of the operatives for the food & beverage part, in the end, becomes the core of the food & beverage management. As a part of effort to promote the kind and elaborate service attitude and the ability of the service operative for the food & beverage part, the fundamental part more than anything else as a method for management promotion in the hotel enterprise is the education training. The actual proof analysis on the education of the food & beverage service operatives for Tourist Hotel is the crossing analysis, which was classified into 1. The educational manner of lecturing, 2. The education in trust, 3. The audio visual education, 4. The actual training and the role performance, 5. the case study. 6. The discussion style and was analyzed. In this study, the education training of the service operatives was affirmative and a lot of interest appeared in the questionnaire research. Also in the result of the truce degree verification, you can see a high numerical value, the average value of 0.8796. The problem is that Hotel adopts a simple and uniform education method . Since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training emphasizes the theoretical side and is a little fa away from the practical business, there appears the point that have some trouble in utilizing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training to the practical business. Even though there are some points to be duly considered that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training is neither systematic, nor deeply treated and that the separation rate of the hotel enterprise is relatively high, still you should not overlook the problem that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training does not be systematically composed under the long term plan and the identical is put in force repeatedly. In order improve the problem, First, The recognition conversion of the manager is needed. With the sure conviction on th investment and the effect on the education, the manager should spare no financial support for a practical and effective education. Second, The recognition conversion of the operatives is needed. They should participate with the sure conviction that the education training is the self-development and should strive to the education training and the service with an affirmative and active attitude. thinking that his(or her) service influences on the hotel management enormously. Third, the result of the education training should be refledted in the personnel management. For the service operatives with a good grade in the education training, there should be different in grades on every kind promotion, salary step and others, accordingly, as enforcing a paid vacation, a prize and others, they should strive for the service operatives to recognize the impartance of the education training. In addition, I think that the various measures of the education training should be groped f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