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유아의 자아개념과 보육시설적응 비교

        최재은 충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 문 요 약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유아의 자아개념과 보육시설 적응에 관해 비교분석하여 다문화가정의 환경과 유아의 특성을 이해하고 다문화가정 유아의 자아개념 및 보육시설적응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제공하고자 하며, 나아가 다문화가정 유아를 지도하는 교사나 부모에게 교육 및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에 필요한 구체적 정보를 제공하는데 의의를 두었다. 이를 위해 충주지역 어린이집 만3세~만5세의 유아 94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연구보조원이 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12.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 등의 기술통계분석과 신뢰도계수(Cronbach's α), 독립 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유아의 전체 자아개념 평균 점수(M=62.66, SD=7.70)는 일반가정 유아의 전체 자아개념 평균 점수(M=56.36, SD=13.44)보다 낮았으며 통계적으로는 유의하게 낮게 나왔다(t=-2.787, p=0.006). 둘째, 다문화가정 유아의 전체 유아 보육시설 적응 평균점수(M=21.64, SD=6.32)는 일반가정 유아의 전체 유아 보육시설 적응 평균점수(M=18.30, SD=5.36)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즉 다문화가정 유아가 일반가정 유아에 비해 유아보육시설에 잘 적응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다문화가정 유아는 일반가정 유아보다 자아개념이 낮았으며 보육시설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유아들이 정서적으로 안정되고 인성 및 창의력이 신장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적 프로그램의 마련과 함께 관련 기관의 정책적 지원과 관심 및 배려가 있어야 할 것이며, 다문화가정 유아를 지도하는 교사들을 위한 다문화가정 지도연수와 교육이 현장에서도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는 실제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가 우리나라 전체 어린이집에 취원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유아의 자아개념 및 보육시설적응의 경향을 나타낸다고 할 수 없으나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유아의 자아개념과 보육시설적응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밝힌 것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 빠른 동특성을 갖는 3상 PWM 컨버터의 전압 및 전류제어기에 관한 연구

        신희근 충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논문에서는 3상 PWM 컨버터의 제어 대상인 출력전압과 입력전류의 안정적인 제어를 위한 기법을 제안하였다. 첫 번째로, 대용량 전원장치의 정류기는 입력전류의 고조파를 줄이기 위해, 입력 전류 제어 기능을 갖는 3상 PWM 컨버터의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3상 PWM 컨버터의 전압제어기는 일반적으로 PI 제어기가 사용되며, 출력 전압의 안정성을 얻고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압 제어기는 출력전압의 과도상태에서 오버슈트(Overshoot)를 작게 설계한다. 그러나 부하 변동이 급격한 대용량 전원 장치에 3상 PWM 컨버터가 적용될 경우 빠른 부하 변동에 대한 안정적 전압 응답을 얻기 위하여 보다 넓은 대역폭을 갖도록 전압 제어기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넓은 대역폭을 갖는 PI 제어기는 과도한 출력전압의 오버슈트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 과도한 출력전압 오버슈트는 전원장치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과도 상태에서 출력전압의 오버슈트를 작게 하기 위하여 IP 제어기를 갖는 3상 PWM 컨버터의 전압 제어기를 제안한다. 제안된 전압 제어기는 3상 PWM 컨버터의 기동 시와 부하 변동시의 과도 응답특성을 개선될 수 있음을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두 번째로, 본 논문은 상용의 전원 전압이 불평형 및 왜곡을 갖는 경우, 전원전압 불평형 및 왜곡 보상기능을 갖는 전류제어기를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3상 전원 시스템은 공통 입력 단자 (Point of Common Coupling)에 단상 부하 및 비선형 부하가 3상 부하와 같이 연결될 수 있어 종종 불평형과 왜곡이 발생한다. 이런 조건하에서 3상 PWM 컨버터를 일반적인 전류 제어기로 제어 할 경우, 3상 PWM 컨버터의 입력 전류가 불평형 및 왜곡을 갖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간단한 모델 기반 적응 제어 시스템(Model Reference Adaptive System)기법을 이용하여 3상 입력 전압의 불평형 및 왜곡을 관측하고 전향 보상하는 전류 제어기를 제안하며, 모의해석과 실험을 통하여 그 효용성을 입증한다.

      • 상처장루실금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선희 충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31

        요 약 제목: 상처장루실금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 간호업무성과는 간호조직의 업무 효율성 및 생산성 향상과 긴밀한 관련성이 있으며, 간호의 질 향상과 간호전문직 발전에 중요한 요소이다. 최근 의료 및 간호 대상자의 건강문제와 간호요구도가 이전과는 달라지면서 상처장루실금 간호문제를 지닌 대상자수가 증가하여, 상처장루실금 간호영역에 대한 전문 업무가 세분화되었다. 상처장루실금 간호사(Wound Ostomy Continence Nurse; WOCN) 개인이 지각한 간호업무성과는 이들이 속한 간호조직의 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며, 간호조직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이에 본 연구는 상처장루실금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와 임파워먼트, 전문직 자율성, 직무만족 수준을 파악하고,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상처장루실금 간호업무의 질 향상 전략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2011년 9월 9일부터 2011년 10월 7일까지 상처장루실금 간호사 80명에게 자가보고형 질문지를 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총 임상경력은 평균 11.53년으로 5년 이상 10년 미만의 임상경력 간호사가 31.3%(25명), 상처장루실금 임상경력이 5년 미만인 간호사가 61.3%(49명)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처장루실금 간호교육과정을 이수한 간호사가 60.0%(48명)였으며, 처방권을 일부위임 받고 있는 간호사가 67.5%(54명)로 가장 많았다. 연구 대상자 중 상처장루실금간호와 외과전담 간호업무를 함께 담당하고 있는 간호사가 43.8%(35명)로 가장 많았으며, 상처장루실금 간호업무만을 단독으로 담당하고 있는 간호사는 22.5%(18명)였다. 2) 여자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 수준이 남자 간호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t=2.141, p=.035), 상처장루실금 간호교육 과정이수(t=3.614, p=.001)와 담당업무(F=4.957, p=.005)에 따라 간호업무성과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연구 대상자의 간호업무성과와 임파워먼트(r=.524, p=.001), 전문직 자율성(r=.569, p=.001), 직무만족(r=.398, p=.001)의 관계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연구 대상자의 간호업무성과에 주요 영향을 미친 요인은 전문직 자율성이었으며(F=37.37, p=.000), 이 요인의 간호업무성과에 대한 설명력은 32.4%였다. 다음으로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임파워먼트(F=33.10, p=.001), 상처장루실금 교육과정 이수여부(F=7.46, p=.008)순으로, 이들 요인들이 간호업무성과를 각각 9.8%, 5.2%를 설명하여 이들 3개 요인이 간호업무성과를 47.4%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상처장루실금 간호사를 대상으로 이들의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미흡한 상황에서 시행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상처장루실금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 향상을 위해 전문직 자율성을 확보하고 임파워먼트를 강화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상처장루실금 교육과정의 이수가 중요함을 규명함으로써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간호조직 내에서 상처장루실금 간호사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 용어: 상처장루실금 간호사, 간호업무성과, 임파워먼트, 전문직 자율성, 직무만족

      • 음성지시에 따른 전통적 심폐소생술과 가슴압박소생술시 흉부압박 정확도와 피로도 비교.

        윤병길 충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전통적 심폐소생술과 가슴압박소생술의 정확도와 피로도를 비교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목적 :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일반인이 흉부압박만 실시하는 가슴압박소생술(Hands- Only CPR : HOCPR)과 흉부압박과 인공호흡을 하는 전통적 심폐소생술(Treditional CPR : TCPR)을 수행 시 정확도와 피로도를 비교 분석하여 일반인을 위한 전화상담 시 지침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응급의료정보센터를 통하여 4시간이내의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후 6개월 이상 지난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여, HOCPR 수행 군(52명), TCPR 수행 군(48명)을 2분간 시행하였다. 2010 미국심장협회 지침을 기준으로 흉부압박의 깊이, 흉부압박의 속도, 흉부압박의 위치로 흉부압박의 정확도를 측정하였고, 실험 전․후 심장 박동수 변화, 산소포화도 변화로 생리적 피로도를 측정하였으며, 주관적 피로도는 설문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 흉부압박의 정확도은 평균깊이와 흉부압박깊이의 정확도, 흉부압박위치의 정확도에서 가슴압박소생술 수행 군이 전통적 심폐소생술 수행군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평균속도와 흉부압박 속도의 정확도에서는 가슴압박소생술 수행 군이 전통적 심폐소생술 수행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생리적 피로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행 전․후 심장박동수 변화와 산소포화도 변화에서 HOCPR 수행 군이 더 낮은 변화를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주관적 피로도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 HOCPR 수행 군에서 주관적 피로를 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시행한 가슴압박소생술과 전통적 심폐소생술의 흉부압박 정확도와 피로도를 비교한 결과 가슴압박소생술을 실시한 군에서 더 정확하게 압박하고, 피로도도 더 낮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심폐소생술 음성지도 시 교육을 받은 일반인에게도 가슴압박소생술 지도가 더 효율적임이 나타났다. Objectives :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accuracy of and fatigue felt by ordinary persons who have received CPR training when he/she performs hands-only CPR (HOCPR) that entails only chest compressions and traditional CPR (TCPR) that entails chest compressions and rescue breathing, we attempt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the creation of dispatcher guidelines for the general public. Methods : Using ordinary persons who have received CPR training (lasting less than 4-hours) at least 6-months prior through the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Center as subjects, hands-only CPR (HOCPR) was conducted by 52 subjects and traditional CPR (TCPR) was conducted by 48 subjects for a 2-minute duration. The accuracy of chest compressions was measured using the 2010 American Heart Association; the fatigue levels of before-experiment and after-experiment were measured; and the subjective fatigue levels were measured through a questionnaire. Results : Although the HOCPR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scores, compared to the TCPR experimental group, in the accuracies for average depth, chest compression depth and chest compression location in terms of the accuracy for chest compression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experimental groups in terms of the accuracies for average speed and chest compression speed. In terms of the changes in heart rate and oxygen saturation before-experiment and after-experiment for measuring physiological fatigue levels, although the HOCPR experimental group showed less chang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the subjective fatigue level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experimental groups with the HOCPR experimental group showing lower subjective fatigue levels. Conclusions : In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chest compression accuracies and fatigue levels in performing hands-only CPR (HOCPR) and traditional CPR (TCPR) using as subjects ordinary persons who have received CPR training,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erformed HOCPR showed better accuracy in terms of compression speed and showed lower fatigue levels. As such, these results showed that, for conducting voice-instructed CPR training on ordinary persons who have been trained, HOCPR training would be more effective.

      • 2개의 H형강이 합성된 장지간 가설교량 상부구조의 거동평가

        김덕원 충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31

        일반적으로 가설교량은 교량의 신설을 위한 한시적인 우회도로로 활용되거나, 장비의 이동통로, 시공시의 임시 동바리로 활용되는 등 여러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최근 교통량 및 물동량의 증가로 새로운 도로의 개설 및 기존 도로의 확장공사가 실시됨에 따라 가설교량의 수요도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가설교량 공법으로는 단순 H형강 또는 외부 긴장된 H형강을 이용한 가설교량 공법, 트러스 거더를 이용한 장지간 조립식 가설교량 공법 등이 주로 사용되어지고 있지만, 공사량의 증가에 따른 공사비의 증가와 공사방법에 따라 주변 환경과의 조화 및 소음 등에 의한 민원발생 등의 사회적인 문제와 공기 및 공사비의 절감 등의 경제적인 문제 등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재래식 공법이나 기타 공법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강성과 처짐에 유리한 새로운 가설교량을 개발함으로써 구조적인 안정성의 확보 및 공기,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장지간 가설교량에 대한 구조 안전성 및 사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현장재하시험 및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가설교량의 구조거동을 분석하고, 전단좌굴에 대한 안전성 및 구조물의 동적거동 그리고 비선형 거동을 검토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현장재하시험에 의해 장지간 가설교량의 실거동과 해석거동이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지간 가설교량의 좌굴강도가 일반 가설교량의 좌굴강도 보다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장지간 가설교량의 DB-24 하중에 의한 수직처짐은 허용치 이내로 나타났다. 동적처짐에서는 장지간 가설교량이 일반 가설교량의 처짐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장지간 가설교량의 가속도는 일반 가설교량 보다 낮은 것으로 분석되어 사용성에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적으로 나타났다. 한편 2가지 제원의 H형강을 합성하여 강성을 확보하는 가설교량이 현장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평가되며, 그에 따라 형하공간 확보와 복공판 이탈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conducted a field load test and finite element analysis in order to assess the structural safety and serviceability of long‐span temporary bridges, and based on the results, examined safety from shear buckling and the dynamic behavior and non‐linear behavior of structures. The results of the field load test showed agreement between the real behavior and analyzed behavior of long‐span temporary bridges, and the buckling strength of long‐span temporary bridges was assessed higher than that of ordinary temporary bridges. What is more, vertical deflection caused by DB‐24 load on long‐span temporary bridges was smaller than the tolerance. Dynamic deflection was larger in long‐span temporary bridges than in ordinary temporary bridges, but acceleration was lower in long‐span temporary bridges than in ordinary temporary bridges. These analytical results show that there would be no problem in serviceability. On the other hand, temporary bridges securing rigidity through combing H beams of two specifications are expected to be applicable in the field and such bridges are expected to ensure overhead clearance and minimize the breakaway of lining boards.

      • 태양광 발전모듈 발코니 난간 거치시스템 장치개발 및 발전성능 향상방안에 관한 연구

        조정제 충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31

        태양광 발전은 대기오염이나 소음이 없고, 에너지원의 고갈 위험이 없으며, 태양의 빛이 닿는 곳이면 어디서든지 발전이 가능하고, 연료 공급 없이 20년 동안사용 이 가능한 대체 에너지 자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하지만 태양전지의 효율성 문제와 추적형 발전시스템의 고가인 점과 추적 장치의 내구성 문제 등이 추적형 태양광 시스템의 일반 보급이 꺼려지고 있다. 이 때문에 대부분 고정식의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양축형 시스템이 아닌 단축형 발전시스템으로 고도각과 방위각을 각각 시각에 따라 이동시켰을 경우 고정식에 대한 효율성을 비교 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측정 데이터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하루 중 태양의 고도가 가장 높은 정오부근에서 고도각 추적방식과 방위각 추적방식 두 방식의 태양의 고도가 낮아지는 시점부터는 발전량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고, 날씨가 흐린 날보다 맑은 날에 이동방식의 발전량의 상승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도각 추적방식과 방위각 추적방식에서 태양과 태양전지 모듈의 각도범위의 차이에 의해서 발전량이 하강함을 보였고, 흐린 날에는 각도차이가 많은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실험의 결과와 시뮬레이션의 결과가 동일하게 모듈의 각도가 90°고정 상태 보다는 30°의 고정방식이 효율이 좋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현장실험에서는 고도각 추적방식이 방위각 추적방식에 비해 효율이 좋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시뮬레이션 분석에서는 고도각 추적보다는 방위각의 추적방식의 효율이 좋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현장실험과 시뮬레이션 분석에서 추적방식에 따른 발전성능이 오차범위는 허용이내의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또한 태양의 궤도에 맞게 추적하는 일반 방식보다는 반사경의 부착으로 태양의 입사각을 조절한 집광방식의 효율이 좋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본 논문은 향후 추적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보다 효과적인 시스템 구축에 있어 기초 자료가 되리라 판단된다. 이를 위해서 앞으로 고효율의 구동식 모터와 경제적 시스템의 구축 등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국내의 경우 일반적으로 1개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시스템을 구동하는 단축 구동형 제어 방식을 채택하여 태양위치 변화에 따른 고도각 또는 시간각만을 추적하고 실정이다. 이로 인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태양의 방위각을 고려되지 있지 않아 정확한 태양 추적이 어려운 단점을 지고 있고 이를 해결하는 것도 연구 되어야 할 것이다.

      • Ag 나노 박막을 적용한 ZnO:Ga 투명 전도막 특성 개선에 관한 연구

        이용구 충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15

        최근 급속도로 발전해 가는 스마트 정보 기술, 태양전지기술, 디스플레이 기술 등으로 인해 투명 전도막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투명 전도막에 주로 사용되는 ITO(Indium Tin Oxide)는 In의 희소성으로 인한 고가격과 유독성, 화학적 불안정성의 문제 때문에 이를 대체 할 수 있는 물질인 ZnO(zinc oxide)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Ga 원소를 도핑하면 내산화성이 높고 Zn과의 격자결함을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ZnO:Ga 타겟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Ag 박막을 삽입하여 다층 투명 전도막(GZO/Ag/GZO)을 제조하고 전기적, 광학적,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GZO/Ag/GZO 박막 공정 시 Ag 박막과 GZO 박막 사이의 계면에 형성되는 산화층과 미세하게 유입된 불순물 및 수분에 의한 결함을 줄이기 위해 열처리를 하였다. 열처리 시 온도를 변화하여 이에 따른 전기적, 광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 하였다. 본 연구는 4인치의 GZO(ZnO 95wt% : Ga2O3 5wt%) 타겟(target)을 RF Magnetron Sputtering법을 이용하여 유리기판(Corning glass 1737)에 GZO 박막을 증착하고, E-beam evaporation을 이용 하여 Ag 박막을 형성, 다시 GZO 박막을 증착 하였다. 다층 투명 전도막(GZO/Ag/GZO)의 Ag 박막의 두께 및 GZO 박막 형성 시 공정압력에 따른 광학적, 전기적 및 구조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또한 후 열처리 온도가 다층 투명 전도막(GZO/Ag/GZO)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GZO 박막의 경우 RF power가 150 W 일 때, 1.3×10-3 Ω·cm의 비저항을 나타내었으며 90 %이상의 높은 투과율을 나타내었다. 20 nm의 Ag 박막을 삽입한 결과 2.46×10-5 Ω·cm로 비저항이 감소하였으며, 16 nm의 Ag의 박막 두께에서 85 % 이상의 투과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5 mtorr의 공정 압력에서 가장 낮은 3.0×10-5 Ω·cm 비저항을 나타내었으며, 투과율 역시 85%이상의 투과율을 보였다. 다층 투명 전도막을 300 ℃에서 열처리한 결과 비저항이 2.06×10-5 Ω·cm로 낮아졌으며, 400 ℃에서 열처리 한 결과 89 %까지 투과율이 향상되었다.

      • 충주시 미세입자(PM2.5)의 화학적 특성 및 계절변동 특성

        최준락 충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15

        산업의 급속한 발달과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에너지 사용량과 자동차 연료 사용량은 증가 되어가고, 에너지원으로는 대부분 석유·석탄 및 천연가스와 같은 화석연료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화석연료의 연소시 오염물질로써 입자상 물질 뿐만 아니라 가스상 물질도 다량 배출되고 있다. 이러한 원인으로 대기 중에는 부유 먼지와 가스상 물질이 다량 존재하고 있으며, 부유하는 먼지 중 입자의 크기가 2.5 ㎛이하의 미세입자(PM2.5)는 연소과정에서 직접 배출되거나 배출된 후 대기 중에서 응집, 응축, 가스에서 입자로의 전환 등에 의해 2차입자로 생성된다. 이러한 미세입자(PM2.5)를 구성하는 주된 수용성 성분은 SO42-, NO3-, NH4+ 등으로 분류하고, 가스상 물질의 주요 성분으로는 HNO3, HNO2, SO2, NH3로 분류 할 수 있다. 미세입자(PM2.5)의 주요 성분인 SO42-, NO3-, NH4+ 성분들은 대기중에서 시계감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호흡기계통의 질병에 영향을 주는 입자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미세입자는 화학적 특성을 볼 때 산성오염물질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그리고 이러한 SO2와 SO42-같은 산성 대기오염물질들은 주로 호흡기 질환 등과 관련하여 인체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세입자(PM2.5)에 대한 관리가 성공적으로 수행되어지기 위해서는 미세입자의 농도 및 화학적 특성의 규명이 이루어져야 하고, 미세입자(PM2.5)의 계절에 따른 농도와 화학적 조성 변화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계절별 농도 및 특성 규명 또한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미세입자(PM2.5)에 대한 화학적 특성과 계절변동 특성에 대해 알아본 결과 미세입자(PM2.5)의 평균농도는 40.84 ㎍/㎥이었고, 계절변동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미세입자 중 수용성 성분인 SO42-, NO3- 그리고 NH4+의 평균농도는 7.61, 7.14, 3.74㎍/㎥이었으며, 수용성 성분 중 NO3-만이 가을철과 겨울철 농도가 여름철보다 2.5∼4.5배 높은 계절변동 특성을 나타내었다. 가스상 성분인 HNO3, HNO2, SO2 그리고 NH3의 평균 농도는 0.64, 3.00, 12.91 그리고 4.30㎍/㎥이었고, 가스상 성분 중 HNO2의 농도는 가을(4.48㎍/㎥)과 겨울(3.96㎍/㎥)이 여름(1.41㎍/㎥)에 비해 2.8~3.2배 높은 농도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HNO3의 농도는 겨울(0.91㎍/㎥) 보다 여름(0.54㎍/㎥)이 2배정도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고, NH3의 농도는 여름(7.19㎍/㎥)에 최고 농도를 나타내었으며, 겨울(1.61㎍/㎥)에 가장 낮은 농도특성을 나타내었다. 충주시의 미세입자(PM2.5)의 농도는 2015년 대기환경기준에 편입될 PM2.5 연평균 농도기준인 25㎍/㎥과 비교해 볼 때 매우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충주시의 미세입자(PM2.5)에 대한 측정 자료가 전무한 상태이기 때문에 기초적인 자료로서 미세입자의 정책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고, 2015년 대기환경 기준 달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전력품질 관리를 위한 배전계통의 고조파 분석에 관한 연구

        김경환 충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15

        디지털 정보화 사회로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새로운 유형의 전기사용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는 시점에서 전력공급자뿐만 아니라 전기사용자 입장에서의 전기품질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배전계통의 환경변화에 따른 전력품질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서 배전지능화시스템의 감시 및 분석기능을 활용하여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 배전선로의 실시간 고조파전압과 전류를 분석함으로써 매우 의미 있는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기존의 전통적인 현장인력 위주의 고장예방 활동으로는 사전 대응이 곤란했던 고조파로 추정되는 일부 원인불명 고장과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미소외란에 대해서도 온라인 실시간 감시 및 분석을 통하여 고장예측이 가능한 진보된 배전계통운영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으며 실시간 취득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누적 관리함으로써 고조파에 의한 배전선로 보호기기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고조파 필터링 알고리즘 개발, 고조파 발생원에 대한 필터링 설계 등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따라서 배전계통의 실시간 건전성 판단을 통한 불안정 요인에 대한 신속한 사전대응과 전력설비 자산관리 측면에서의 장기 계획보수에 중요한 투자 자료를 계통운영자와 관리자에게 적기에 제공하기 위해서는 센서기술 기반의 전력품질 감시, 기기별 잔존수명, 과부하 상태, 분산전원 연계 조류해석 등의 데이터를 활용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추가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 가온 공기 분사를 이용한 히트펌프 착상 지연에 대한 실험적 연구

        박철승 충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15

        겨울철 실외기에 발생하는 착상을 제거하기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역사이클 제상법의 경우 평균 제상난방 COP를 약15~17% 정도 감소시킨다. 특히 히트펌프 냉온수기의 경우 냉수가 발생하기 때문에 실제적인 COP는 30% 이상 감소된다. 또 다른 제상방법의 하나인 핫가스 바이패스 방법의 경우에도 부가적인 바이패스 밸브와 바이패스 라인 등 냉매 유로의 변경이 요구됨은 물론 바이패스 되는 핫가스 량을 적절하게 조절하지 못하는 경우 제상기간이 길어지고, 기계적인 충격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기존의 역사이클 제상법 또는 핫가스 바이패스 제상법이 아닌 실외 공기 온도보다 5℃ 이상 가온 시킨 공기를 실외기 코일 전면에 분사함으로써 제상을 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제상난방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가온 공기 분사에 의한 제상법은 역사이클 제상법보다 평균난방능력과 COP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며, 제상과정 기간 동안에도 정상운전 난방능력의 약 50% 수준으로 연속난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보조 송풍기의 회전속도에 따라 제상효과 및 난방 성능도 변하는데 본 실험의 경우 보조송풍기의 회전 속도가 50Hz인 경우 가장 성능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