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비스 회복의 공정성 인식이 회복만족을 통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김덕원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오늘날 항공, 호텔, 외식 등 서비스업의 공급증가로 인해 많은 서비스기업들이 고객지향적인 마케팅전략들을 구사하며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 많은 노력과 함께 고객만족경영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또 소비자와 관련한 법과 제도도 강화되고 있지만 소비자와 생산자의 간격은 좀처럼 좁혀지지 않고 있다. 서비스 소비 생활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문제로 소비자는 화가 나고 고객의 강성 민원과 불량행동에 기업은 어려운 상황인데 정책은 매우 미흡한 것이 현실이며 그로 인해 소비자와 기업 간의 갈등 역시 매년 되풀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고객의 욕구는 갈수록 점점 복잡해지고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에서 서비스기업들은 고객만족에 대해 전력을 기울인다고 할지라도 완벽하게 만족스러운 결과를 가지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왜냐하면 서비스는 제품과는 달리 이질성, 무형성, 소멸성, 비분리성 등의 독특한 특성이 있기 때문에 실패의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또한 서비스는 운영과정의 많은 부분이 고객과 직원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서비스실패는 서비스는 운영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고객들의 회복만족 또는 불만족으로 인해 가지게 되는 긍정적, 부정적 감정으로 인한 고객 애호행동 또는 고객 불평행동과 같은 역기능적 행동에도 관심을 가지고 이에 대한 관리와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기업의 고객만족 노력의 일환으로서의 서비스 회복만족의 올바른 추진 방향과 고객의 악성적 불평행동을 예방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차원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한 자료 분석은 먼저 설문조사의 측정항목인 모든 변수들의 설문지 구성요인에 대한 척도의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을 실시하였고, 측정척도의 신뢰성 검증으로 크로바하 알파(Cronbach a) 계수를 구하였으며, 변수들 간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모형에서 제시한 측정개념들 간의 영향력 검증과 모형의 적합성 분석 등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을 위한 통계프로그램은 SPSS Win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회복의 공정성인식이 회복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실증분석을 하였는데 도출된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회복의 공정성에 대한 고객의 인식은 4가지 변수요인 중 처리를 제외한 보상, 태도, 정보 요인이 고객의 회복 후 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공정성요인 중 정보 공정성이 가장 높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고객의 회복 후 만족은 서비스실패에 대한 회복 노력을 추구하는 처리과정에서 진행과정에 대한 정보 전달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국 서비스실패로 인한 고객의 불만이 발생하는 경우 고객이 기대하는 실패한 서비스에 상응하는 적절한 보상과 회복을 처리하는 겸손하고 진심어린 직원의 태도와 신속한 반응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둘째, 고객의 서비스 회복 후 만족은 고객의 애호행동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서비스 회복 처리결과에 대한 만족감이 높을수록 긍정적인 구전활동과 추천의도, 고객충성도, 고객시민행동 등을 보이게 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선행연구에서도 이미 밝혀진 것으로 서비스회복에 대한 서비스기업의 지속적인 노력은 결국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충성고객을 지속적으로 만들어가는 데 필수적인 요인이 된다. 셋째, 서비스 회복 후 만족이 고객의 애호적 행동의도를 만들어 내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은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고객의 성격특성이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외향형 성격을 가진 고객의 경우 회복만족이 애호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가 내향형 성격을 가진 고객과 비교하여 보다 높게 나타났다. 행동과 결과 지향적이면서 쾌활한 스타일의 외향형 성격특성을 보유한 고객이 애호행동 의도가 더욱 관심 있게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즉 외향형 고객에 대한 회복 처리 과정에서 보다 신속하고 보다 즉각적이며 결과 중심적인 보상과 직원의 응대 태도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서비스 회복 후 만족이 고객의 불량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설정된 가설은 유의미한 통계적 지표가 도출되지 않아 기각되었다. 또한 성격유형이 회복만족과 불량행동 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5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인 회복만족과 불량행동 간에 인과관계가 검증되어야 한다. 그러나 회복만족과 불량행동 간에 부(-)의 관계가 있다는 가설 3이 기각되었기 때문에 조절효과의 검증은 무의미하며 따라서 가설 5는 기각되었다. 서비스현장에서는 서비스회복을 경험한 고객일지라도 애호행동보다는 서비스실패나 보상결과를 악용하거나 자신의 이해관계만을 주장하는 불량행동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회복만족이 불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검증하고자 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나 나타나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기입식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자신이 불리하게 보일 수 있는 부분에 대한 성실한 답변이 부족한 상황에서 나타난 결과로 추정되며 조사의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서비스회복의 공정성에 대한 고객의 인식은 보상, 태도, 정보 요인이 고객의 회복 후 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처리 공정성은 회복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공정성요인 중 정보 공정성이 회복만족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서비스실패에 대한 회복 노력과 처리의 진행과정에 대한 정보제공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오늘날 개성화, 개인화가 뚜렷해지고 고객의 감성적 요인이 경제활동은 물론 개인의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e effect of expanded service recovery justice-compensation, procedural, attitude, informational justice- on recovery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To achieve these purposes, this study provides understanding of equity which newly presented in service researches, service recovery justice, recovery satisfaction and customer behavior intention by literature review to apply into service sector. therefore, in a research model, service recovery justices were proposed to affect recovery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by moderating role of personality types. Then, recovery satisfaction affects behavior intention consist of loyalty behavior and badness behavior. Accordingly, hypotheses were formulated after setting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is study by doing several literature reviews and data from 364 customers from service companies in Seoul. The several statistical methods were used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factorial analysis, reliability test, correlation analysis, AMOS 19.0 with the SPSS 20.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s: First, the Hypothesis 1 indicates that compensation, attitude, informational justice are critical factors for increasing recovery satisfaction. First of all, informational justice should be delivered to a high level as offering information in process of service recovery is very important to recovery satisfaction. Second, Hypothesis 2 supports that the recovery satisfaction showed a positively, statistically signifiant effect on loyalty behavior. Third, Hypothesis 3 did not supports that recovery satisfaction showed statistically negative signifiant impact on badness behavior. Fourth, Hypothesis 4 supports and Hypothesis 5 did not supports that hypothesis 4 to find out the moderating role of personality types between recovery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The result shows that among the of behavior intention, loyalty behavior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Extraversion in personality should be delivered to a high level as offering output in process of service recovery is very important to compensation and attitude in recovery satisfaction. The below i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is study`s results. At academic views, this study applied recently expanded service recovery justice into service sector to find out direct effect on recovery satisfaction. Second, it makes recognition of crucial role of personality types between recovery satisfaction and loyalty behavior and it shows needs for extension study of personality typer in service industry. Also, in order to maximize a service firm's management effectiveness, recovery satisfaction is important, therefore service failure could be a solution. Service company should maximize recovery satisfaction and loyalty behavior by keeping existing customer with offering outstanding service recovery strategies and training of employee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customer behavior and preference. Based on data analysis, theoretical/manageri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 및 자아존중감 안정성의 관계

        김덕원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 안정성의 조절효과와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실시되었다. 남녀 대학생 총 400명(남: 174, 여: 226)을 대상으로 개정판 대학생용 생활스트레스 척도, 자아존중감 안정성 척도, 통합적 한국판 CES-D척도를 활용하여 변인들을 측정하였다.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활스트레스, 우울, 자아존중감 안정성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생활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안정성의 상호작용은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생활스트레스가 자아존중감 안정성을 매개로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미와 한계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stability on the relation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among college students. A total of 400 college students(male; 174, female; 226) completed Stress scale, CES-D, SSES. In analyzing data, this study employed statistical terms and method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Cronbach's alpha, moderator regress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SPSS 18.0 and AMOS 18.0 program. In clarifying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s, the Sobel`s test was use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 first,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the study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relation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unvaried according to the level of self-esteem stability. Thus, self-esteem stability did not act as a moderating variable. Third, stress had direct effects on depression and it also had indirect effects on depression mediated by self-esteem stability. That is, stress lowered self-esteem stability, which led to higher level of depress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implications for the counseling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 Parachlorella sp. 와 Pseudomonas protegens sp. 의 공동배양에 의한 폐수에서 질소 및 인의 제거 향상

        김덕원 충북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native microalgae and bacteria were isolated from agricultural water and rivers to increase nutrient removal efficiency through co-culture. As a result of the isolation, the microalgae Parachlorella sp. and the obligate aerobic bacterium Pseudomonas protegens sp. were selected. Optimal growth conditions for Parachlorella sp. were 14 : 10 (L : D cycle), glucose 15 g/L, 35℃ and pH 7. Optimal growth conditions for Pseudomonas protegens sp. were 25℃ and pH 7. By synthesizing this, the co-culture conditions of Parachlorella sp. and Pseudomonas protegens sp. were established.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growth of microalgae using chlorophylla content analysis during co-culture, the growth of Parachlorella sp. increased in the order of 3:1, 5:1, 1:1, 1:1, 1:3, and 1:5 on the 10th day after incubation. And when microalgae and bacteria were co-cultured at a ratio of 3:1, the overall growth rate increased by 66% compared to the single culture of parachlorella sp. The components of the extracellular polymeric material (EPS) solution extracted from Parachlorella sp. were 4.18 × 104 mg /L of polysaccharides and 6.9 × 103 mg /L of proteins. The components of the EPS solution extracted from Pseudomonas protegens sp. were 2.29 × 103 mg/L of polyaccharides and 4.06 × 102 mg/L of proteins. Parachlorella sp. cultured for 10 days by adding 20 mL of EPS of Pseudomonas protegens sp. increased its growth rate by 27%. In addition, the growth rate of Pseudomonas protegens sp. cultured for 30 hours by adding 20 mL of EPS of Parachlorella sp. increased by 112%. The growth rates of Parachlorella sp. and Pseudomonas proteges sp. cultured for 10 days by connecting the headspace increased by 80% and 10% compared to that of a single culture, respectively. Finally, Parachlorella sp. and Pseudomonas proteges sp. were co-cultured for 10 days, and the removal efficiency of nutritional salts was compared with that of a single culture,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emoval efficiency by single culture and the removal efficiency by ball culture in the nitrogen and phosphorus treatment regions with an initial concentration of 50 mg/L, respectively. When the initial nitrogen concentrations were 500 mg/L and 1000 mg/L, the nitrogen removal efficiency of the Parachlorella sp. single treatment area was 62.3% and 30.1%, respectively. The nitrogen removal efficiency of the Pseudomonas protegens sp. single treatment area was 53.7% and 40.7%. The nitrogen removal efficiency in the co-culture treatment areas of Parachlorella sp. and Pseudomonas proteges sp. was 82.1% and 63.8%. When the initial phosphorus concentrations were 500 mg/L and 1000 mg/L, the phosphorus removal efficiency of the Parachlorella sp. single treatment area was 50.8% and 26.1%, respectively. Pseudomonas protegens sp. The phosphorylation efficiency of single treatment was 57.4% and 33.1%. Phosphorus removal efficiency in the co-culture treatment of Parachlorella sp. and Pseudomonas proteges sp. was 79.6% and 64.2%. Therefore, this study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growth increase due to co-culture of microalgae and bacteria,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as an effective means of removing nutrients.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수 및 하천으로부터 자생 미세조류와 박테리아를 분리하여 공동배양을 통해 영양염류의 제거 효율을 높이고자 하였다. 분리 결과, 미세조류인 Parachlorella sp. 와 절대호기성 박테리아인 Pseudomonas protegens sp. 를 선별하였다. Parachlorella sp. 의 최적생장조건은 14 : 10 (L : D cycle), glucose 15 g/L, 35℃ 및 pH 7이었다. Pseudomonas protegens sp. 의 최적생장조건은 25℃ 및 pH 7이었다. 이를 종합하여 Parachlorella sp. 와 Pseudomonas protegens sp. 의 공동배양 조건을 설정하였다. 공동배양 시 미세조류의 생장을 chloropyll a 함량 분석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배양 후 10일 차에 3 : 1, 5 : 1, 1 : 1, 1 : 3, 1 : 5 순으로 Parachlorella sp. 의 생장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미세조류와 박테리아를 3 : 1의 비율로 공동배양을 했을 때 600 nm의 OD (Optical Density)에서 전체 생장을 측정한 결과 Parachlorella sp. 의 단일배양보다 66%의 생장률이 증가하였다. Parachlorella sp. 로부터 추출한 EPS (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 용액의 성분은 polysaccharides 4.18 × 104 mg /L, proteins 6.9 × 103 mg /L였다. Pseudomonas protegens sp. 로부터 추출한 EPS 용액의 성분은 polysaccharides 2.29 × 103 mg /L, proteins 4.06 × 102 mg /L였다. Pseudomonas protegens sp. 의 EPS를 20 mL 첨가하여 10일간 배양한 Parachlorella sp. 는 27%의 생장률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Parachlorella sp. 의 EPS를 20 mL 첨가하여 30시간 배양한 Pseudomonas protegens sp. 의 생장률은 112% 증가하였다. Headspace를 연결하여 10일간 배양한 Parachlorella sp. 와 Pseudomonas protegens sp. 의 생장률은 각각 단일배양했을 때보다 80%, 10%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Parachlorella sp. 와 Pseudomonas protegens sp.를 10일간 공동배양하여 각각 단일배양했을 때와 영양염류의 제거효율을 비교하였다. 초기 농도가 50 mg/L인 질소와 인 처리구에서 각각 단일배양에 의한 제거효율과 공동배양에 의한 제거효율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하지만 초기 농도가 500 mg/L, 1000 mg/L인 고농도 처리구에서 각각 단일배양에 의한 제거효율과 공동배양에 의한 제거효율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초기 질소의 농도가 500 mg/L, 1000 mg/L였을 때 각각, Parachlorella sp. 단일 처리구의 질소 제거효율은 62.3%, 30.1%이었다. Pseudomonas protegens sp. 단일 처리구의 질소 제거효율은 53.7%, 40.7%이었다. Parachlorella sp. 와 Pseudomonas protegens sp. 의 공동배양 처리구에서 질소 제거 효율은 82.1%, 63.8%이었다. 초기 인의 농도가 500 mg/L, 1000 mg/L였을 때 각각, Parachlorella sp. 단일 처리구의 인 제거효율은 50.8%, 26.1%이었다. Pseudomonas protegens sp. 단일 처리구의 인 제거효율은 57.4%, 33.1%이었다. Parachlorella sp. 와 Pseudomonas protegens sp. 의 공동배양 처리구에서 인 제거 효율은 79.6%, 64.2%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세조류와 박테리아의 공동배양으로 인한 생장 증가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영양염류 제거를 위한 효과적인 수단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집단놀이 활동이 ADHD학생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덕원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집단놀이 활동이 ADHD 학생의 부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단일대상 실험연구로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놀이 활동이 ADHD 학생의 주의력결핍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집단놀이 활동이 ADHD 학생의 충동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집단놀이 활동이 ADHD 학생의 과잉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 D초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ADHD 학생 3명을 선정하였으며, 실험기간은 2013년 8월 26일부터 2013년 11월 1일까지 매 회기 30분씩, 주 3회 6주간 총 18회기를 실시하였다. 집단놀이 활동 프로그램은 김학래(2003), 김선미(2011), 권영활(2011)의 프로그램을 참고로 하고,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초등학교 1학년 통합교과서에 소개된 놀이 활동 중 연구 목적과 연구 대상의 수준에 맞는 집단놀이를 추출하여 재구성하였으며, 평가도구는 단일대상연구의 등간 기록법에 의거한 관찰기록표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행동의 빈도 변화를 표로 제시하였고, 이것을 대상자간 그래프로 나타내었으며, 실험 장면에서 나타난 대상 학생의 변화 추이를 관찰, 연구자의 소감을 종합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놀이 활동은 ADHD 학생의 주의력결핍을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집단놀이 활동 중 놀이의 지시를 끝까지 따르며 해야 할 일이나 활동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감정을 긍정적인 방법으로 표출하는 대집단 놀이 활동 등은 활동이나 과제에 필요한 물건을 자주 잃어버린다든지, 놀이 활동에 한참 동안 집중하기 어려워하는 행동 등의 주의력결핍이 감소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집단놀이 활동은 ADHD 학생의 충동성을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집단놀이 활동 중 집단 별로 경쟁을 유발하는 소집단 놀이 활동 등을 통하여 자기 차례를 기다릴 줄 아는 집중력과 통제력을 향상시켜 자기 차례를 기다리지 못하고 다른 사람의 행동을 방해하거나 간섭하는 행동 등의 충동성을 감소시킨 것으로 보인다. 셋째, 집단놀이 활동은 ADHD 학생의 과잉행동을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집단놀이 활동 중 친구들과 상호작용이 빈번한 짝 활동 놀이, 모둠 활동 놀이 등이 수업시간에 교사의 허락 없이 10초 이상 자리를 떠나는 행동, 손발을 가만히 두지 못하는 행동, 의자에 앉아서 몸을 계속 움직이는 행동, 자기 주변에 있는 아이와 지나치게 수다스럽게 말하는 등의 과잉행동이 감소된 것으로 보인다.

      • 新羅 中古期 舍輪系의 政治活動 硏究

        김덕원 明知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新羅 中古期는 新羅史의 많은 부분에서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던 시기이다. 本稿는 이와 같은 시기에 舍輪系의 政治活動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고에서 사용한 '舍輪系'라는 용어는 眞興王의 次子인 舍輪(鐵輪)을 중심으로 한 그의 直系 子孫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진흥왕의 차자로서 이후 眞智王으로 즉위하는 舍輪과 그의 아들인 金龍春(樹), 그리고 손자인 金春秋를 말한다. 그리고 그 시기는 太子 銅輪이 죽은 572년부터 김춘추가 武烈王으로 즉위하는 654년까지 약 82년 동안의 기간으로 限定하였다. 이 기간은 약 140년 동안의 중고기에서 절반 이상에 해당하며, 또한 신라 사회가 중요한 변화와 발전을 하던 시기와 같이하고 있다. 舍輪은 太子 銅輪이 죽은 이후 眞興王 後期의 政局에서 國政을 주도적으로 운영하다가 眞智王으로 즉위하였다. 이 과정에서 居柒夫와 金武力 등의 도움을 받았지만, 그가 즉위할 수 있었던 背景에는 개인적인 자질과 함께 당시 대내외적인 상황이 작용하였다. 개인적인 자질에 대한 것은 우선 진지왕이 태자 동륜의 아들인 白淨보다 나이가 많았고, 이것을 토대로 정치적인 경륜과 지혜, 그리고 정확한 판단력을 갖추고 있었던 사실이 상대적으로 유리하게 작용하였다. 또한 대내적으로는 진흥왕대의 佛敎政策을 계승하여 추진하고, 대외적으로는 漢江유역으로 진출한 이후에 百濟와 高句麗의 침입을 방어하고 확대된 영토를 안전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백정보다 진지왕이 더욱 적합하였을 것이다. 진지왕은 즉위한 이후에 자신의 정치적인 후원세력이었던 거칠부와 김무력의 죽음 이후에 독자적으로 정국을 운영하려고 하였으나 銅輪系도 무시하지 못할 정도의 세력을 형성하고 있었다. 진지왕은 이와 같은 동륜계의 위협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沙梁部의 桃花女 세력과 정치적인 결합을 추진하여 불리하게 전개되고 있는 상황을 타개하려고 하였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진지왕은 동륜계에 의해 폐위되었고, 그 과정에서 桃花女·鼻荊郞 說話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따라서 도화녀·비형랑 설화의 '정난황음'이란 기록도 진지왕의 개인적인 성품과 행동에 따른 失政의 결과가 아니라 당시 동륜계의 위협에 대한 불안감의 표현으로 진지왕의 정치적인 위기의식을 나타낸 것이다. 진지왕이 폐위되었다고 하여 사륜계가 완전히 몰락한 것은 아니었다. 이것은 진지왕의 아들인 金龍春이 진평왕대에 활동하고 있는 사실을 통해서 알 수 있다. 김용춘은 도화녀·비형랑의 설화의 鼻荊으로 추정되는 인물이다. 그는 일찍부터 진평왕대의 정국에 참여하며 사륜계 세력을 유지하였고, 天明夫人과 혼인한 이후에는 大等과 兵部令을 거치면서 활동을 하였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기반을 토대로 622년(眞平王 44)에 內省私臣으로 임명되었다. 김용춘은 진평왕 후기에 더욱 활발한 활동을 하였다. 622년에 내성사신으로 임명된 후 진평왕 후기의 官制整備를 주도적으로 추진하였을 것이다. 이와 같이 김용춘이 내성사신에 임명된 것은 진평왕 후기에 발생한 王位繼承 문제와 관련된 것이다. 진평왕은 여자인 善德에게 왕위를 계승시키기 위해서 사륜계인 김용춘과 정치적인 타협을 하였고, 김용춘은 선덕왕의 즉위에 도움을 주면서 정국의 주도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진평왕과 김용춘의 정치적인 타협은 '女王'의 즉위를 반대하는 세력들의 반발을 불러왔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이찬 柒宿의 모반사건이었다. 이 모반사건은 김용춘과 金舒玄이 진압함으로써 善德王이 즉위할 수 있는 확실한 배경을 마련하였다. 이후 김용춘은 선덕왕대에 金春秋가 활동할 수 있는 정치적인 후원세력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金春秋는 642년(善德王 11) 百濟에 의해 大耶城이 함락된 후에 高句麗와 倭에 대한 외교를 수행하면서 백제의 침입을 방어하려고 하였다. 이러한 김춘추의 외교활동은 '請兵'이라기보다는 政變을 겪은 두 나라의 내부사정을 직접 경험하고, 서로 和平을 위한 '請和'의 성격을 갖고 있었다. 선덕왕 말년에 毗曇이 '女主不能善理'를 주장하며 亂을 일으켰다. 이 난은 上大等인 毗曇이 사륜계 세력이 확대되는 것에 대한 불만으로 일으켰지만, 金庾信에 의하여 진압되었다. 비담의 난은 사륜계를 반대하던 세력들의 마지막 저항이었으며, 이 난을 진압한 이후에 사륜계는 정국을 완전히 장악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聖骨 출신의 眞德王을 옹립하며 이전과는 다른 정책을 추진하였다. 毗曇의 亂을 진압하고 정권을 장악한 김춘추는 對唐外交를 통해서 적극적인 漢化政策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한화정책은 唐에 대한 '請兵'의 결과인 羅唐同盟의 체결로 나타났으며, 그 과정에서 儒敎的인 政治理念의 강화를 위하여 당의 문물을 수용하였다. 이것은 동륜계 진평왕이 즉위하면서 佛敎에 의한 聖骨이라는 神聖化 觀念을 내세웠던 것과 구별하려는 의도에서 비롯되었다. 김춘추는 이와 같은 한화정책을 기반으로 改革政治를 실시하였고, 마침내 武烈王으로 즉위하여 中代라는 새로운 시대를 열게 되었다. 김춘추가 무열왕으로 즉위할 수 있었던 것은 伽倻系 金庾信의 적극적인 지원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舍輪系와 伽倻系의 관계는 舍輪이 眞智王으로 즉위하는 과정에서부터 성립되어 이후 김춘추가 무열왕으로 즉위하는 과정까지 상호 긴밀한 협조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사륜이 진지왕으로 즉위하는 과정에는 居柒夫 뿐만 아니라 金武力의 도움을 받았는데, 이때 형성된 두 家門의 관계는 진지왕이 폐위된 이후에도 계속 유지되어 眞平王 때의 金龍春과 金舒玄, 善德王·眞德王 때의 金春秋와 金庾信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리고 사륜과 김무력, 김용춘과 김서현, 김춘추와 김유신의 3代에 걸친 이 두 가문의 관계는 이후 중복되는 혼인을 통해서 더욱 강화되었고, 마침내 中代라는 새로운 시대를 열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다. The Middle ancient period(中古期) of Shilla Dynasty(新羅) is when changes and developments are repeated in many fields. This article aims to research into Saryungye's political activity at such era. The term of 'Saryungye(舍輪系)' used at article means the lineal descendant of the second son of King Jinheung(眞興王), Saryungye. That is, it refers to Saryungye(舍輪) throned to King Jinji(眞智王) as the second son of King Jinheung, and his son Kim, Yong-choon(金龍春), and grandson, Kim, Choon-chu(金春秋). And that period was limited to about 82 years from the year 572, the Crown Prince Dongryun(銅輪) died till 654 Kim, Choon-chu ascended the throne. This period falls under over half the Meddle ancient period of about 140 years, when Shilla society went through significant change and development. Saryungye initiatively operated national politics in the later rule of King, Jinheung after the death of the Crown Prince, Dongryun, and ascended the throne as King, Jinji. In this process, he got assistance from Geochilboo(居柒夫) and Kim, Moo-ryuk(金武力), but the background of his being throned to the king was individual qualities and then domestic and foreign circumstances. For individual qualities, King, Jinji was older than Baek jeong(白淨), the son of the Crown Prince, Dongryun and hand political experience and wisdom and correct judgement based on it. Also he may habe been more fit than Baekjeong, internally, to promote the Buddhist policy at King, Jinheung, and externally to defend the invasion of Baekje(百濟) and Koguryo(高句麗) and maintain expanded territory with safety. King, Jin Ji, ascending the throne, tried to make an independent operation of political situation after the death of political supporting power, Geochilboo and Kim, Moo-ryuk, but Dongryungye(銅輪系) organized disregardable power. King, Jinji attempted to break through unfavorably developing situation by promoting political alliance with Saryangboo(沙梁部) and Dohwanyeo(桃花女). Despite of this effort, King, Jinji was dethroned by Dongryungye, and in that course, the story of Dohwanyeo(桃花女) and Bihyungrang(鼻荊郞) was created. Thus the record of 'national political situation being disturbed and obscene(정난황음)' indicates the political crisis of King, Jinji as the expression of unrest to Dongryungye's threat, not the result of failed politics according to King, Jinji's private character and behavior. Saryungye was not entirely collapsed as King, Jinji was dethroned. This can be found through the fact that the son of King Jinji, Kim, Yong-choon was acting at the times of King, Jinpyung(眞平王). Kim, Yong-choon is the figure presumed to be Bihyung(鼻荊) of Bihyungrang(鼻荊郞)'s story. He was early involved in the political situation of King, Jinpyung, and maintained the power of Saryungye, and after marrying Cheonmyong(天明), he may have acted as Daedeung(大等) and Byungbooryung(兵部令). And he was appointed as Naesungsashin(內省私臣) in 622 based on this foundation. Kim, Yong-choon was more active at the latter period of King, Jinpyung. After elected as Naesungsashin in 622, he may have initiatively promoted the arrangement of bureaucratic system at the later period of King, Jinpyung. Likewise, Kim, Yong-choon being appointed as Naesungsashin is related to the issue of succeeding to the throne at the later period of King, Jinpyung. King, Jinpyung politically with Kim, Yong-choon in the line of Saryungye to have a woman, Seondeok(善德) take over throne, and in turn, Kim, Yong-choon came to take up the initiative of political situation helping King, Seondeok(善德王) succeed to the throne. Such political compromise of King, Jinpyung and Kim, Yong-choon brought out the repulsion of the power opposing the enthronement of the queen, whose representative event was the conspiracy of Ichan(이찬), chilsook(柒宿). This treason was quelled by Kim, Yong-choon and Kim, Seo-hyun(金舒玄), and definite background was secured for King, Seondeok to ascend the throne. Latter Kim, Yong-choon played a role of political supporting power for Kim, Choon-chu in the reign of King, Seondeok. Performing foreign affairs to Koguryo(高句麗) and Japan(倭) after Daeyasung(大耶城) was ruined by Baekje(百濟) in 642, Kim, Choon-chu tried to defended Baekje's invasion. This kind of Kim, Choon-chu's diplomatic activity had the character of 'demanding peace(請和)' for experiencing the internal situation of two countries going through political disorders rather than 'requesting forces(請兵)'. At the later year of King, Seondeok, Bidam(毗曇) raised a rebellion contending that the 'queen did not do well in politics(女主不能善理)'. This riot was caused by Sangdaedeung(上大等), Bidam's complaint about the expansion of Saryungye's power, but suppressed by Kim, Yoo-shin(金庾信). Bidam's rebellion was the last resistance of the powers objecting to Saryungye, and after the suppression of this riot, Saryungye completely ruled over political situation. And it backed up King, Jindeok(眞德王) from Seonggol(聖骨), and developed different politics from the past. Suppressing and take up political power, Kim, Choon-chu put forward with 'progressive Pro-Chinese policy(漢化政策)' through diplomacy to Dang(唐). This Pro-Chinese policy led to the conclusion of an alliance between Shilla and Dang, the fruit of 'requesting forces(請兵)' to Dang, in the midst, he accepted Dang's products of civilization to consolidate of Confucian ideology. This was derived from the intention of distinguishing it from King, Jinpyung of Dongryungye promoting the ideology of sanctifying Buddhist Seonggol. Kin, Choon-chu executed reform policy based on this kind of Pro-Chinese policy, finally ascended the throne as King Mooyul(武烈王), and opened the new of the Middle Age(中代). The reason why Kim, Choon-chu was throned as King Mooyul was possible due to positive support of Kim, Yoo-shin from Gaya(伽倻). The relation of Saryungye and Gayagye(伽倻系) formed in the process of Saryun throned as King, Jinji, were on good terms till Kim, Choon-chu was throned as King, Mooyul. In the course of Saryun throned as King, Jinji, it received help Geochilboo and Kim, Moo-ryuk, whose relation was kept on after King, Jinji was dethroned, and connected to Kim, Yong-choon, Kim, Seo-hyun at the time of King, Jinpyung, and Kim, Choon-chu and Kim-Yoo-shin at King, Seondeok, and Jindeok. And The relation of these two families over three generations, Saryun and Kim, Moo-ryuk, Kim, Yong-choon and Kim, Seo-hyun, Kim, Choon-chu and Kim, Yoo-shin was strengthened through overlapped marriage, at last became a motive power to open the new era of Middle Age.

      • 벼 흰잎마름병균의 신규 병원성 Cellulase유전자, xocel5의 분리 및 특성 연구

        김덕원 한경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Novel pathogenecity-related cellulase gene, xocel5 of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KACC 10859 was isolated by transposon mutagenesis, Transposon was inserted in 1,420 bp sequence position downstream from start codon of xocel5 (1,773bp) in the mutant strain 10859Δxocel5. The mutant was non pathogenicity on susceptible rice, Milyang 23 (Tongil type). The cellulase gene region contained additional 1,4-β-cellobiosidase gene named a XOO4035 (2,019 bp). The putative signal peptide consisting of 21 amino acids was present in N-terminal of the deduced Xocel5 protein, suggesting the cellulase can potentially be secreted outside cell gene. The xocel5 was clone in pLM121 plasmid vector and introduced into 10859Δxocel5. The resultant clone pMLxocel5, complementated to the mutant strain, recovering pathogenecity. xpsF (type II secretion system) mutant strain(Xom31) and hrp X mutant (10859ΔHrpX) were cultured in hrp inducing XOM2 medium and their extracellular protein patterns were compared on SDS-PAGE by silver staining. The proteins of the mutants were dramatically reduced compared to wild type strain. Expecially, 53kDa protein was not detected on the the both mutant strains. RT-PCR analysis showed that the xocel5 gene is transcriptionally dependent on hrp X gene.

      • 2개의 H형강이 합성된 장지간 가설교량 상부구조의 거동평가

        김덕원 충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일반적으로 가설교량은 교량의 신설을 위한 한시적인 우회도로로 활용되거나, 장비의 이동통로, 시공시의 임시 동바리로 활용되는 등 여러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최근 교통량 및 물동량의 증가로 새로운 도로의 개설 및 기존 도로의 확장공사가 실시됨에 따라 가설교량의 수요도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가설교량 공법으로는 단순 H형강 또는 외부 긴장된 H형강을 이용한 가설교량 공법, 트러스 거더를 이용한 장지간 조립식 가설교량 공법 등이 주로 사용되어지고 있지만, 공사량의 증가에 따른 공사비의 증가와 공사방법에 따라 주변 환경과의 조화 및 소음 등에 의한 민원발생 등의 사회적인 문제와 공기 및 공사비의 절감 등의 경제적인 문제 등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재래식 공법이나 기타 공법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강성과 처짐에 유리한 새로운 가설교량을 개발함으로써 구조적인 안정성의 확보 및 공기,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장지간 가설교량에 대한 구조 안전성 및 사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현장재하시험 및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가설교량의 구조거동을 분석하고, 전단좌굴에 대한 안전성 및 구조물의 동적거동 그리고 비선형 거동을 검토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현장재하시험에 의해 장지간 가설교량의 실거동과 해석거동이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지간 가설교량의 좌굴강도가 일반 가설교량의 좌굴강도 보다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장지간 가설교량의 DB-24 하중에 의한 수직처짐은 허용치 이내로 나타났다. 동적처짐에서는 장지간 가설교량이 일반 가설교량의 처짐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장지간 가설교량의 가속도는 일반 가설교량 보다 낮은 것으로 분석되어 사용성에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적으로 나타났다. 한편 2가지 제원의 H형강을 합성하여 강성을 확보하는 가설교량이 현장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평가되며, 그에 따라 형하공간 확보와 복공판 이탈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conducted a field load test and finite element analysis in order to assess the structural safety and serviceability of long‐span temporary bridges, and based on the results, examined safety from shear buckling and the dynamic behavior and non‐linear behavior of structures. The results of the field load test showed agreement between the real behavior and analyzed behavior of long‐span temporary bridges, and the buckling strength of long‐span temporary bridges was assessed higher than that of ordinary temporary bridges. What is more, vertical deflection caused by DB‐24 load on long‐span temporary bridges was smaller than the tolerance. Dynamic deflection was larger in long‐span temporary bridges than in ordinary temporary bridges, but acceleration was lower in long‐span temporary bridges than in ordinary temporary bridges. These analytical results show that there would be no problem in serviceability. On the other hand, temporary bridges securing rigidity through combing H beams of two specifications are expected to be applicable in the field and such bridges are expected to ensure overhead clearance and minimize the breakaway of lining boa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