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베르그송 철학에서 직관의 위치

        김윤제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문화연구소 2010 철학과 문화 Vol.20 No.-

        이 글의 목적은 베르그송의 철학에서 직관이 갖고 있는 고유함을 드러내는 것이다. 잘 알려져 있듯, 베르그송의 철학은 이전의 철학이 시간을 공간화를 통해 파악한 것을 비판하며, 이에 대해, ‘지속’이라는 실재적 시간을 회복을 시도하는 철학이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르그송의 지속에 대해 숙고하고자 할 때, 지속에 어떻게 도달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물음이 제기된다. 베르그송에 따르자면, 지속은 그 자체가 순수한 운동이며 변화이고, 그렇기에 이질적인 것들 자체이다. 따라서 지속은 그것의 외부를 돌면서는 파악될 수 없으며, 이러한 접근은 오히려 실재적 시간으로서 지속을 다시금 공간화 시켜버릴 뿐이다. 베르그송의 직관이 갖는 독특성은 이러한 철학적 숙고에서 드러난다. 여기서 우리는 베르그송의 직관이 갖는 독특함을 철학사적 접근을 통해, 특히 세계의 인식에 집중했던 근대철학자들이 직관을 어떻게 파악해왔는지, 그리고 그들의 입장에 대한 베르그송의 전반적인 비판은 무엇인지를 검토하면서 그 독특함을 드러내고자 한다. 이러한 비판은 자연스럽게 지성과 직관의 관계로 이끌린다. 이전의 철학자들이 시간을 파악함에 있어서 비번하게 사요했던 방식은 모든 것을 공간화시키는 지성에 의한 것이기 때문이다. 베르그송에게 있어 지성은 제작인(homo faber)으로서 인간을 잘 드러내는 역능이다. 지성은 인간의 생존을 도우며, 도구의 제작을 통해 인간을 물질의 지배자로 만든다. 사실 지성은 유용성에 입각해 있으며, 베르그송은 이러한 지성은 지속을 파악하기 위해 그것을 자신에게 용이하게 바꾸고자 하며 이러한 결과가 지속의 공간화라 본다. 지성과 달리 직관은 무관심한 본능이며, 지속에 직접 침투하는 것이다. 직관은 항상 운동하여, 변화하는, 그리고 이질성인 지속에 직접 닿는 것이기에 섬세의 역능이다. 결국 지속에 침투하는 직관을 자신의 철학에 있어 주요한 위치에 정립하면서 베르그송의 철학은 총체적인 경험주의, 미래성을 향한 철학이라는 고유한 특징을 드러낸다. 그리고 이야말로 베르그송의 철학 내에서 직관이 갖는 함축이다. A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manifest a characteristic of the intuition in Bergson's philosophy. As well known, Bergson's philosophy criticizes a former philosophy that grasps the time by spatializing the time. On the contrary, it is a philosophy that attempts to restore the duration(la durée) as a real time. But when we try to consider the duration, it makes a problem. 'How can we reach to the duration?" According to Bergson, the duration is pure movement, pure variation, so that it is the heterogeneous itself. For tills reason, the duration is not grasped by going around the outside of it, and it just spatializes again the duration. A characteristic of the intuition in Bergson's philosophy appears this philosophical deliberation. In this article, this characteristic will be manifested by the historical access of philosophy. Especially we will see a notion of intuition of some modern philosophers who concentrate on the cognition of the world, and Berson's critique to them. This critique is leaded to the relation between the intelligence and the intuition. To cognize the time, former philosophers use the intelligence what spatializes everything. On Bergson's philosophy, the intelligence is capability that makes homo faber of human. It helps human to survive, it makes a dominator of human. The intelligence in fact, is based on the utility, Bergson understands this intelligence as a agency of the spatializing of time, because it easily modifies the duration for grasp of the duration. Unlike the intelligence, the intuition is an disinterested instinct, it permeates directly the duration. And it reaches the duration that always moves, changes, so that it is capability of fineness. After all, to posing the intuition what permeates the duration for a principal position, the philosophy of Bergson manifests the integral empiricism and the philosophy toward futurity as proper characters. And this is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 of the intuition in Bergson's philosophy.

      • KCI등재

        근대 일본에서 철학 비판의 윤리적 배경

        아사쿠라 토모미(朝創友海),이원석(번역자)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6 철학사상 Vol.62 No.-

        근대 일본에서는 “윤리”와 “철학” 사이에 일종의 상호적대 또는 충돌이 있었다. 전자는 근대 일본 지식인들에 의해 후자를 비판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곤 한 용어였다. 와츠지 데츠로(1889-1960)는 철학 대신 윤리학 이라는 이름 하에서 인간 존재에 대한 연구를 추구했다. 왜냐하면 “윤리”라는 말은 일본의 지적 전통, 특히 유학과 어떤 관계를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일본어 “철학”이 지닌 부적절성은 마루야마 마사오(1914-1996)에 의해 비판받은 바 있는데, 그는 그 당대의 지적 환경이 지닌 구조적 문제를 이해하기 위한 열쇠가 바로 에도 시기 신유학의 발전에 대한 이해라고 보았다. 와츠지 데츠로와 마루아먀 마사오는 서양 철학에 일본이 동화되어 가는 것에 비판적 태도를 보이면서, 인간 조건을 분석하고 인간 존재를 이해하는 데에 유가적 사유와 윤리가 기본조건이 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와 반대로, 니시다 기타로(1870-1945)와 그 이후의 교토학파 철학자들은 “철학”을 도덕과 관련이 없는 것 또는 초도덕적인 것으로 보았다. 비록 전후 도덕 교육의 재건이 그들에 의해 가능했지만 말이다. 이 논문은 철학에 대한 비판으로서의 윤리학과 초도덕적 · 종교적 철학 사이의 대비를 검토함으로써, 이러한 상호 적대가 유가와 불교 사이의 역사적 대립에 뿌리 내리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There is a kind of antagonism or confrontation between “ethics” (rinri or rinrigaku) and “philosophy” (tetsugaku) in modern Japan. The former is the word that has often been used by modern Japanese intellectuals to criticize the latter: it is under the name of rinrigaku instead of tetsugaku that Watsuji Tetsurō (1889-1960) pursues the study of human existence because it has a certain connection to the Japanese intellectual tradition, especially to the Confucian one; the inappropriateness of Japanese tetsugaku is further denounced by Maruyama Masao (1914-1996), who finds the peculiar development of Neo-Confucianism in the Edo period as the key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problems of the contemporary intellectual milieu. These thinkers are critical of the Japanese assimilation of Western philosophy, finding the Confucian thought or rinri as the basis to analyze the human condition and to comprehend human existence. In contrast, tetsugaku is defined as amoral or trans-moral by Nishida Kitarō (1870-1945) as well as by the subsequent Kyoto School philosophers- although the reconstruction of moral education in postwar Japan owes much to them. This paper shows, by examining the contrast between the rinrigaku as a critique of philosophy on the one hand and the trans-moral or religious tetsugaku on the other, how this apparent antagonism has roots in the historical confrontation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 KCI등재

        코메니우스의 종교 철학적 사유 -아우구스티누스와 관련하여

        조관성 ( Kwan Sung Cho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5 철학연구 Vol.0 No.52

        연구 주제에 관한 논증적 주장의 연구 보다 내재적 해석의 연구를 지향하는 아래 논문의 목적은, 철학사와 교육사에 주목하여 첫째로 코메니우스의 교육학함과 교육학이 담고 있는바 그의 종교 교육학의 기초를 이루는 종교철학적 사유의 모습과 특징 그리고 현대적 의미와 시사점을, 둘째로 코메니우스의 종교철학적 사유 속에서 읽어낼수 있는 아우구스티누스와 코메니우스의 영향사적 연관을 밝혀내는 데있다. 아래 논문은 가장 넓은 문맥 안에서 파악하고 정식화한바 다음과 같은 주요 논제들을 대변 한다. 1. 코메니우스는 그의 종교철학적 사유에서 실재주의 철학 모형 또는 밖으로부터의 길과 내면성의 철학 모형 또는 안으로부터의 길 모두를 도입하면서 전자를 보조 모형으로 그리고 후자를 주요 모형으로 선택한다. 2. 코메니우스가 그의 종교철학적 사유의 무게 중심을 후자에 두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두 가지 길은 코메니우스의 종교철학적 사유에서 공존하고 양립하며 상호 결합한 채 상호 순환 관계와 상호 보완관계를 이루고 있다. 3. 코메니우스는 그의 종교철학적 사유에서 아우구스티누스의 내면성의 철학 모형에 의존하여 영혼적 자아와 신과의 만남을 영원히 연속하는 현재의 흐름으로서의 내적 의식의 삶 속에서 구한다. 4. 아우구스티누스의 영향 아래 코메니우스는 내적 의식의 삶의 주체인 영혼적 자아를 기독교의 문맥 안으로 끌어들여서 이를 불멸하며 영속하는 영혼적 실체로 본다. 코메니우스는 이러한 기독교적 호교론의 시각을 데카르트와 로크 그리고 라이프니츠와 공유한다. 5. 우리는 코메니우스의 종교철학적 사유에 규정적 영향을 미치는 아우구스티누스의 내면성의 철학 모형과 안으로부터의 신 존재 증명을 충실히 따르는 전형적 예를 코메니우스의 이전에는 보나벤투라와 안셀무스에게서 그리고 코메니우스의 동시대에는 데카르트에게서 만날수 있다. 6. 코메니우스의 종교철학적 사유와 함께하는 내면성의 철학 모형은, 생명력과 설득력을 갖춘 전통적 패러다임으로서 실증주의와 물리주의와 무신론에 젖어 있는 현대인의 마음과 시각을 되돌리고 바로잡는 데기여할 수 있다고 평가될 수 있다. Diese Studie geht nicht logisch argumentierend, sondern hermeneutisch aufweisend und auslegend vor. Sie versucht, das Comenius religionsphilosophische Denken, das in ihrem Hauptzug von Augustinus stammt, herauszuarbeiten. Im Blick auf Augustinus ist sie bestrebt, die in den Comenius padagogischen Schriften enthaltenen religionsphilosophischen Implikationen aufzuzeigen. In dieser Abhandlung lassen sich vor allem die folgenden im grossen Umfang aufgefassten Haupthesen herausstellen: 1. In seiner mit dem religionsphilosophischen Denken verbundenen Religionsphilosophie benutzt Comenius den von Aristoteles und Aquinas vertretenen Weg vom Aussen her (d.h. den Weg aus der Gotteserkenntnis im Aussen) als Nebenweg und den von Augustinus erlebten Weg vom Inneren her(d.h. den Weg aus dem Gottesglauben im Inneren) als Hauptweg. 2. Diese zwei Wege, die wir im Comenius religionsphilosophischen Denken auffinden konnen, und die auf die zwei Denkmodelle und Gottesbeweise vom Aussen her und von Inneren her hindeuten, stehen nicht im Konflikt, sondern lassen sich erganzen und miteinander harmonisieren. 3. Comenius stutzt sich in seinem religionsphilosophischen Denken auf Augustinus Denkmodell der Innerlichkeitsphilosophie und sucht die Existenz des Gottes und spurt sie im inneren Bewusstseinsleben auf. 4. Beeinflusst von Augustinus charakterisieren Comenius, Descartes und Leibniz sowie Locke als die wichtigen in die Neuzeit hineinlebenden und -denkenden Philosophen dieses inneres Bewusstseinsleben des geistigen Ich als unsterbliche und ewig fortwahrende Seele. 5. Wir konnen den mit dem Denkmodell der Innerlichkeitsphilosophie verwachsenen Gottesbeweis aus dem Inneren her, der von Augustinus herkommt, nicht nur an Bonaventura und Anselm, sondern auch an Comenius und Descartes ablesen. 6. Das vor allem von Augustinus, Comenius und Descartes sowie Husserl befurwortete Denkmodell der Innerlichkeitsphilosophie, das in der Philosophiegeschichte seine lebendige Uberzeugungskraft nicht verloren hat, kann dazu beitragen, die heutzutage unter dem Positivismus und Materialismus sowie Atheismus leidenden Menschen sich von diesen extremen negativen Umformungen des Weges vom Aussen her (d.h. des Denkmodells des Realismus) abwenden zu lassen.

      • KCI등재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주의 비판

        박정일(Park, Jeong-Il)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2 철학사상 Vol.43 No.-

        이 글의 목적은 논리주의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생각을 그의 전체 철학의 지평에서 비판적으로 해명하는 것이다. 먼저 나는 『논리철학논고』에서 제시된 비트겐슈타인의 수학철학은 대단히 불안정한 것이었으며, 이는 그 저작을 포기하게 했던 주요 난점으로 작용했을 것이라는 점을 보이고자 한다(2절). 그런데 비트겐슈타인은 『논리철학논고』를 포기한 후에, 수학철학에 관한 기존의 입장과는 완전히 다른 생각을 하게 된다. 이러한 비트겐슈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수학철학에 대한 그의 근본적인 관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학의 본성에 대한 그의 탐구는 철학자는 “수학자에게 개입해서는 안 된다”는 그의 전략적 원칙을 귀결시켰다(3절). 이러한 수학철학에 대한 새로운 입장에서, 그는 한편으로는 프레게의 수에 대한 정의와 규정을 매우 높이 평가하지만, 철학적 관점에서는 대단히 비판적이다(4절). 뿐만 아니라, 그는 산술적 명제가 동어반복으로 환원되기 때문에 수학은 논리학으로 환원된다는 러셀의 논리주의를 명시적으로 거부한다(5절). 그는 수학과 논리학을 ‘행위의 관점’에서 해명하는데, 그에 따르면 수학과 논리학은 서로 상이한 기술이다(6절).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elucidate Wittgenstein’s thoughts of logicism in his whole philosophical perspective. First I will show that Wittgenstein’s philosophy of mathematics in his Logico-Philosophico Tractatus was very precarious so that he could not but withdraw it(§2). But after Wittgenstein abandoned his Tractatus, he conceived new thoughts entirel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nes. Above all, to understand his criticism of logicism, it is most important to comprehend Wittgenstein’s fundamental point of view of the philosophy of mathematics. His investigation of the nature of mathematics led him to his strategic principle of the philosophy of mathematics that philosophers must not interfere with mathematicians (§3). From this new philosophical standpoint on the philosophy of mathematics, he highly appreciates Frege’s definition of the cardinal number on the one hand, but he is very critical of it on the other hand(§4). Furthermore, he explicitly rejects Russell’s logicism that mathematics is reduced to logic because arithmetical propositions are reducible to tautologies(§5). He illuminates mathematics and logic from the perspective of actions, and claims that they are techniques which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6).

      • KCI등재

        데카르트의 『제일철학에 대한 성찰』에서 초월론적 타자이론

        이종주(Lee, Jong-Ju)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5 철학사상 Vol.56 No.-

        『제일철학에 대한 성찰』을 중심으로 이해되는 데카르트의 철학은 근대이후 주체철학의 출발로 여겨진다. 특히 칸트, 헤겔, 후설을 통해서 데카르트는 초월론적 주체철학의 전통의 출발로 해석되어 왔다. 프랑스의 대표적인 데카르트 연구자인 장-뤽 마리옹의 경우에도 1991년 논문에서는 데카르트의 주체철학을 유아론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1996년 논문에서는 마리옹은 데카르트의 『제일철학에 대한 성찰』속에서 새로운 초월론적 타자철학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 국내 근대철학 연구자인 진태원 교수는 마리옹의 논변을 반박하면서 그와 같은 해석은 오히려 『제일철학에 대한 성찰』속에서 드러나는 데카르트의 철학이 갖는 담론적 구조, 바로크 시대적 특성이라는 장점을 간과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본 논문의 전반부에서는 데카르트의 코기토의 초월론적 타자성에 대한 마리옹의 입장을 원칙적으로 동의하면서 그의 논변을 다시 한번 재검토하고, 나아가 그의 논변 속에서 취약점, 즉 텍스트 해석의 문제, 경험적 증거해석의 결핍문제를 밝혀낸다. 그리고 후반부에서는 텍스트 내재적 해석 차원에서 제1, 2성찰 전체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 및 경험적 증거차원에서 20세기 후반 발달심리학의 사회적 인지발달이론의 연구성과에 대한 현상학적 재해석을 통해서 ??제일철학에 대한 성찰』속에서 초월론적 타자의 철학가능성을 적극적으로 해명하고자 한다. Descartes’ philosophy in Meditations on First Philosophy is believed to be the starting point of modern philosophy. Especially Kant, Hegel, Husserl and Heidegger interpreted Descartes’ philosophy as the origin of the tradition of transcendental philosophy. Jean-Luc Marion, as a representative scholar on Descartes, also interpreted Descartes’ subject-philosophy as a solipsism in his article “Does the Ego Alter the Other? The Solitude of the Cogito and the Absence of Alter Ego” (1991). But in his other article, “Original Otherness of Ego” (1996), he sought the possibility of the philosophy of the transcendental other. Professor Tae-won Jin criticized Marion by saying that in this article he had ignored the peculiar characteristics of Descartes’ philosophy, “the structure of discourse of the Meditations and its baroque characteristics.” In the first half of our article we agree with Marion’s thesis on the transcendental otherness of ego in Descartes’ philosophy in principle, but we also criticize Marion’s argument for its insufficient explanation of the two doubts: “Isn’t the omnipotent demon as a transcendental other only a hypothetical character?” and “Why does the demon enter the inner side of the ego as a soul?” In the last half of our article we support Marion’s thesis by interpreting evidences phenomenologically on the development of a baby’s social cognition which come from developmental psychology and are also reinterpretations of Descartes’ text, especially the first meditation and the second meditation. Through these somewhat rash endeavors, we aim to establish the possibility of transcendental otherness in Descartes’ Meditations.

      • KCI등재

        불행을 극복하는 ‘삶의 예술의 철학’과 ‘개인법칙’ - 짐멜의 생철학을 중심으로 -

        홍경자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6 철학논집 Vol.46 No.-

        본 논문은 인간정신 및 개인의 삶과 행위를 규정짓는 원리이자 법칙으로 간주되는 삶의 예술의 철학의 핵심주제인 ‘개인법칙’을 선구적으로 선취했던 짐멜 의 철학을 통해 인간의 자기치유의 길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우선 1970년대 이후 철학 내 새로운 분야로서 철학의 역할에 대한 격렬한 논쟁의 한복판에 서 있는 삶의 예술의 철학이 무엇이며, 그 철학이 지향하는 근본적인 목 표가 무엇인지에 대해 규명하고, 삶의 예술의 철학에서 가장 핵심적인 개념인 삶이 무엇인지 짐멜의 삶의 개념과 본질에 대해 살펴본다. 나아가 인간의 가치와 밀접하 게 연관된 삶의 예술의 철학이 어떤 측면에서 정언명령에 기반한 ‘보편법칙’이 아 닌 스스로가 자기 자신에게 부여하는 ‘개인법칙’이어야 하는지, 주관적 개인법칙이 어떤 측면에서 도덕적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는지, 또 이렇게 확보된 개인법칙이 어떻게 불행을 극복하고 행복에로 나아갈 수 있는지, 그 철학적 근거와 정당성을 짐멜의 ‘개인법칙’을 통해 살펴보고, 이를 철학상담적 관점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그 논의의 지평을 확장, 심화시켜 나가고 있다.

      • KCI등재

        철학의 길, 그리고 우리의 길

        최성환(Choi, Sung-Hwan)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5 철학탐구 Vol.37 No.-

        이 글은 오늘날 우리나라 대학의 철학과가 처한 상황을 진단하고 앞으로의 미래를 전망하려는 목적으로 가진다. 시대적·사회적 요구에 능동적으로 부응하여 새로운 학문문화를 창출하여야 한다는 것은 대학의 사명이라할 수 있다. 그러나 때로 학문과 대학의 과제와 존재이유에 대한 선입견과 편견이 작용하는 것도 분명하다. 그러므로 좀 더 객관적인 시각에서 철학과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성찰적 입장에서 필요한 단기적·장기적 과제를 설정하는 것은 중요한 작업이다. 그러나 지금 철학의 변신을 요구하는 사회적·시대적 요구를 외면할 수 없는 것 또한 분명한 현실이다. 이제 철학과의 내적·외적 역량과 이론적·실천적 노력 모두를 발휘하여 여전히 철학이 인간의 삶을 가치있게 만드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이러한 상황을 헤쳐 나갈 때 비로소 사회와 인간의 삶에 봉사(기여)할 수 있는, 따라서 진정한 의미에서의 ‘우리의 철학’이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배경에서 이 글은 먼저, ‘통념의 상식’을 파괴하고 새로운 공통감각(sensus communis)에 기초한 대학문화를 새롭게 형성하고, 추종하는 자세가 아니라 주도면밀하게 우리의 길을 찾아가는 ‘철학적 근본주의’(ein philosophischer Radikalismus)를 제안한다. This passage is to diagnose what the department of philosophy in university faces nowadays in our country and to prospect upcoming future. It is an obligation for university to actively meet the needs of the times and the society and thus to create a novel academic culture. However, apparent is a prejudice against the mission and the justification of existence for academic learning and the university. Therefore, more objective perspective is demanded to diagnose the current location where the philosophy discipline is situated and to establish a long and short-term assignment within introspective position. Nonetheless, it is undeniable reality such social and periodic demand for a change of philosophy exists. From now on, the internal and external capability and also theoretical and practical exertion of the philosophy department must be performed as a very significant tool to make lives valuable and get on such situation of the day. Then the philosophy can contribute to the society and the humanity. Only with this, ‘our philosophy’ can be presented in an authentic way. In such background, this passage suggests new formation of the academic culture based on ‘sensus communis’ which would devastates ‘the conventional sense’, and ‘the philosophical fundamentalism’ proceeding to our way thoroughly not the following stance.

      • KCI등재

        청소년 치유인문학 사례기반 교재 탐색 - 실존현상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

        이진오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6 철학논집 Vol.46 No.-

        치유인문학을 위한 교재는 단지 이론적 지식을 담는 데 그쳐서는 안 되고 상담과 치료를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어야 한다. 상담과 치료는 책임이 무거운 일 이며, 이 책임은 목적한 상담과 치료가 성공할 때 완수된다. 따라서 상담치료적인 교재는 단지 이론적 탐구가 아니라 실제로 진행하여 성공한 교육 사례에 근거해서 집필될 필요가 있다. 상담과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치유인문학에 사용될 교재는 반 드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 교육경험과 거기에 쓰인 텍스트와 주제, 교수법 등을 기반으로 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필자는 이 논문에서 치유인문 학을 위한 교재 집필 작업에 반영한 상담치료적인 철학수업 사례를 수업상황과 적 용된 철학, 교수법을 중심으로 소개하였다. 철학이 단지 이론적인 탐구에서 뿐만 아니라 상담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수업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사실 을 보여주는 것이 철학을 중심으로 한 치유인문학의 가능성을 입증하는 데 필요한 첫 번째 작업이기 때문이다. 그런 다음 필자는 이러한 수업경험과 거기에 적용된 철학과 다양한 텍스트와 교수법 등을 기반으로 집필한 교재를 소개하고 분석을 시 도하였다. 교재가 객관적으로 분석되기 위해서는 그것을 평가할 기준이 먼저 마련 되어야한다. 교재가 수업사례를 기반으로 한다면, 그 수업사례를 평가할 기준 또한 마련되어야한다. 이런 이유에서 필자는 사례와 교재를 소개하기 직전에 수업과 그 교재를 평가할 기준을 먼저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 소개된 상담치료적인 철학수업 과 그 교재는 주로 실존현상학적인 관점에서 구성된 것이다. 이 연구 또한 실존현 상학적인 관점을 중심으로 전개된 것이다. 필자는 실존철학적인 관점에서 진행된 상담치료적 철학교육과 관련된 주요한 이론적인 쟁점들을 위에서 언급한 두 가지 작업에 앞서서 살펴보았다.

      • 그리스 철학신의 탄생과 완성

        김민수(Min su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6 철학과 문화 Vol.35 No.-

        본 논문은 서양 고대철학에서 철학신이라는 철학적 개념이 만들어진 과정을 철학사적인 맥락에서 살펴본다. 탈레스, 아낙시만드로스, 크세노파네스, 파르메니데스로 대표되는 자연철학자들의 학설을 우선적으로 살펴본 뒤, 그들의 후계자인 플라톤이 스승들의 학설을 어떻게 수용하고 자신만의 독보적인 이데아론으로 발전시켜 신학(또는 신론) 이라는 체계로서 서양철학의 합리주의적 토대를 구축하였는지를 보여줄 것이다. 결론에서 본 논문은 플라톤 철학에서의 이데아가 아르케·원인·로고스·근거·hypothesis로서의 원리임과 동시에, 신·목표·선으로서의 이상임을 밝히고자 한다. 또한 소크라테스 이전의 자연철학자들과 플라톤이 스승들의 학설을 계승·비판함으로써 탄생·완성시킨 그리스의 철학신이 비합리적인 신 전통으로부터 벗어나, 오늘날 이성을 기반으로 한 합리주의 전통의 거대한 토대를 구축하였음을 이해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arch the process which the concept of philosophical god had been formed in ancient greek philosophy in a historical context. First we look into the doctrines of the early natural philosophers like Thales, Anaximander, Xenophanes, Parmenides, and also how Plato as their successor had accepted their explanations so that he developed them as his own theory of Idea , constructing the foundation of rationalism in western philosophy. In conclusion, this paper explains the Idea in Plato s philosophy means the principle as arche, cause, logos, hypothesis, and at the same time the ideal as god, telos, and the go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