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음식문화의 보편화 그리고 슬로푸드 운동

        김양수(Yang-soo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문화연구소 2011 철학과 문화 Vol.23 No.-

        As we entered the 21st century, discussion on the globalization was explosively increased. This became the irreversible trend. Already, the wave of the globalization penetrated our daily life deeply. Even, this has an effect on the dietary life forming the closest relation in the human alive. Particularly, the food culture of the modern peoples pursuing the fast food shows globalized our life style completely. McDonald hamburger and all sorts of processed foodstuffs are the example of the globalized food culture and most of them are the unknown nationality. Fast food and processed foods make human's life conveniently, but there is another problem. The most serious problem in this tames the people to the certain taste and threatens the health. The fast food of the same taste exists everywhere in the world and in fact many people are eating fast food without reluctance. As the food culture of this modern society is continued, the people come to terms with the common experience. In addition, children, who is termed with the strong-tasting foods, unfamiliar or avoids the traditional food(local food) made in local land. This can be said that the problem of the food culture which is becoming more universalized. In this paper, the writer tries to watch the globalization of this type and tendency which especially shows up in the food culture as the critical view. First, I looked into the characteristic of McDonald which can be said as the representative of the fast food business, and arranged problem of McDonaldization. And I analyze the effect that fast foods and each kind industrialized foods cause certain influence in our local community and life space. Finally, I wished to seek the alternative about problem that we are opposite by observing about slow food movement that wish to preserve variety of food culture. 21세기로 접어들면서 세계화에 대한 논의는 폭발적으로 증가했고, 이것은 거스를 수 없는 물결이 되었다. 이미 우리의 일상생활에서도 세계화의 영향을 쉽게 체감할 수 있다. 세계화의 영향은 심지어 인간생존에 가장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식생활에 까지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패스트푸드를 추구하는 현대인들의 음식문화는 세계화 된 우리의 생활모습을 고스란히 보여주고 있다. 맥도날드 햄버거와 각종 가공식품들이 세계화 된 음식문화의 예를 보여주는 것인데, 이것은 대부분 국적불명인 식품들이라고 할 수 있다. 패스트푸드와 산업화 된 식품들은 인간의 삶을 편리하게 만들어줬지만 또 다른 문제가있다. 그것은 바로 사람들을 특정한 맛에 길들이고 건강을 위협한다는 것이다. 이제는 세계 어디를 가든 똑같은 맛의 패스트푸드가 존재하며,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거부감 없이 패스트푸드를 섭취하고 있다. 이러한 현대사회의 음식문화가 지속될수록 사람들은 보편적인 맛에 길들여지게 된다. 또한 자극적인 음식들에 길들여진 아이들은 우리 땅에서 만들어진 전통음식(로컬푸드)을 낯설어하거나 기피하기도 한다. 이것이 바로 점차 보편화 되고 있는 음식문화의 문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필자는 본고에서 특히나 음식문화에서 나타나는 세계화의 경향을 비판적인 관점으로 바라보고자 한다. 우선 패스트푸드 산업의 대표라고 할 수 있는 맥도날드의 특성을 살펴보고 맥도날드화가 가진 문제점을 정리했다. 다음 장에서는 패스트푸드를 비롯한 각종 산업화 된 식품들이 우리 지역사회와 생활공간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를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음식문화의 다양성을 보존하고자 하는 슬로푸드운동에 대해 살펴봄으로서 우리가 마주한 문제에 대한 대안을 모색해보고자 했다.

      • 영화 <스팽글리쉬>로 살핀 미국의 다문화성

        임아영(A-young IM)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문화연구소 2011 철학과 문화 Vol.23 No.-

        오늘날, 우리는 여러 문화들이 마주하며 섞이는 문화 다양성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물론 문화란, 동일 집단 안에서도 저마다 다르기 때문에 우리는 과거로부터 이미 다문화 환경에서 살아가고 있을지 모르지만, 기술문명의 발달 등을 이유로 초국가적 교류가 이루어지는 현대사회에서는 타문화와 공생이 더욱 삶의 필요소로 자리 잡게 되었다. 하지만 실상을 들여다보면, 과거로부터 문화전파나 교류는 주로 개개의 고유성과 특수성을 인정하지 않는 일방적인 문화이식이나 지배로 이루어진 것이었고, 그 결과 타문화에 대한 배려보다 공공연하게 문화의 우열을 가리는 서구중심의 제국주의적 사고가 우리 안에 자리 잡아 문화정체성을 흔들게 되었다. 하지만 문화정체성 없이 문화다양성은 존재 할 수 없으며, 문화다양성 없이 다문화사회가 만들어질 수 없다. 그러므로 오늘날 우리가 말하는 문화다양성은 일방적으로 타자화 된 문화 여럿을 말하고 있을 가능성이 큰 것이다. 이에 대한 문제의식으로, 멕시코 불법이민자의 좌충우돌 미국 적응기를 다룬 영화 <스팽글리쉬>를 통해, 다문화사회라 자부하는 미국사회의 다문화성을 찾아보는 과정으로 글을 진행하였다. 인물 개개인의 특성을 중심으로 이들이 타인과 타문화를 어떻게 마주하는지 들여다보고 현실을 반성해 봄으로써, 다문화 사회의 정체성과 소통이 어떠해야 하는지 생각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언어가 영화에서 중요한 기제라는 전제로, 언어와 소통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주인공 플로르와 딸 크리스티나가 겪는 에피소드를 중심으로 영화의 배경인 미국사회의 다문화성을 관찰하였다. Today, we live in an age with many diversified cultures. While one may argue that people have been living in a multi-cultural environment since many ages ago, because each individual, even within the same group, may have different perspectives and morals; the real multi-cultural environment didn’t really emerge until recently, especially due to fast advancements of information technology. Such advancements of information technology allowed for easier exchange in many information and cultures, and reinforced accepting and embracing other cultures not only symbiotic but also mandatory in our lives today. However, when viewed more closely, such cultural exchange has not really been an “exchange” historically. Rather, transferring or interchanging of culture has always been enforced by stronger nations, ruling and implanting its own culture and neglecting individual’s specialties or characteristics of weaker nations. As a result, we often create a hierarchy of various cultures internally and identify which culture is more superior than the other. Such notion many times brings crisis in our cultural identity. However, cultural identity cannot exist without cultural diversity and cultural diversity cannot exist without cultural identity. Based on these speculations, this thesis emphasizes the existence of the identity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recognition in the differences in communications through the movie "Spanglish", which shows the Mexican illegal immigrant's adopting to American life, and how the individuals' characteristics face different culture and people.

      • 한국과 일본 정원문화에 함축된 철학과 미의식 : 일본의 '료안지'와 한국의 '부용지'를 중심으로

        김후련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문화연구소 2014 철학과 문화 Vol.27 No.-

        본고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는 일본 교토(京都)의 선사(禅寺)인 료안지(龍安寺)와 한국 서울의 창덕궁 후원(後苑) 부용지(芙蓉池)에 함축된 철학과 미의식을 분석한 논문이다. 일본의 료안지는 선불교 코드를 함축한 정원으로, 선(禪, Zen)의 정신을 고도로 함축한 정원이다. 따라서 료안지 정원은 돌아다니면서 감상하는 정원이 아니라, 한 곳에서 조용히 바라보면서 관조하고 사색하는 정적인 정원이다. 반면에 창덕궁 부용지는 성리학 코드가 함축되어 있는 정원으로 물경(物景), 정경(情景), 의경(義景)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정원이다. 부용지는 단순히 한 곳에서 조망하며 감상하는 정원이 아니라 학문과 정치 공간으로도 활용된 동적인 공간이다. 그런데 이들 정원에 함축된 철학과 미의식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발견한 사실은, 선불교 코드의 대표적 정원으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료안지는 선불교의 철학보다 이미지, 즉 미의식에 치중하고 있는 이미지텔링의 정원에 가까웠다. 반면에 자연과 동화되어 아무 것도 담지 않은 것처럼 보이는 한국 정원은 정원의 경물을 이미지텔링하여 당대의 철학을 완벽하게 인코딩(encoding) 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정원은 세계 정원사에 독보적인 지위를 차지하고 있는데 반해, 한국 정원이 차지하는 위상은 아직 미미하다. 그 이유는 한국 정원은 자연과 정원의 구분이 어려울 정도로 자연과 정원이 물아일체(物我一體)가 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 정원에 인코딩되어 있는 철학과 미의식을 우리 스스로 제대로 디코딩(decoding) 해내지 못하면, 한국 정원의 아름다움을 제대로 알릴 수가 없다. This thesis is an analysis of the philosophy and aesthetic consciousness implied in two UNESCO World Heritage sites - Ryoanji, a Zen temple in Kyoto, Japan and Buyongji, the Changdeokgung's main backyard landscape element which is located in Seoul, Korea. Japan's Ryoanji is a garden that poignantly portrays the spirit of Zen Buddhism. On the other hand, Buyongji of Changdeokgung is designed to accommodate three appreciations - object appreciation, landscape appreciation and psychological appreciation. During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philosophy and aesthetic consciousness implied in the these gardens, it was revealed that the Japanese garden, which is acclaimed worldwide as the most renowned Zen Buddhism code garden, is actually an image-telling garden that is lopsided toward the aesthetics consciousness, rather than focusing on the Zen Buddhism philosophy.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arden that looks somewhat desolate by being assimilated with the surrounding nature was actually perfectly "encoding" pertinent period's philosophy by image-telling its landscape elements.

      • 진정성의 의미를 찾아서 : 윤리적 함의를 중심으로 한 스케치

        김세원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문화연구소 2012 철학과 문화 Vol.24 No.-

        ‘Authenticity’ is a routinely often mentioned word. The question of ‘What is authentic?’ is being used in a variety of fields such as a commercial, politics, art, psychology and archeology. We tend to use the word with indifference. When we say the word, we frequently confuse it with ‘sincerity/integrity’, ‘truly’, ‘honesty’, etc. However when it is occurred, the meaning of authenticity could be dismissed just as synonyms of those terms. First of all, the word ‘Authenticity’ is considered very ethically and morall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ketch it by its own idea focusing on ethical implications. I will take The Ethics of Authenticity of Charles Taylor and On Authentic Being of Charles Guignon as main materials and will ask Alasdair MacIntyre and Paul Ricoeur for help. The origin of a word of authenticity is ‘authentikos’. Authenticity has risen by social changes in the background of scientific revolution, the Reformation, the social contract in philosophy and above all thing there has been a capitalism and modern state. These break off a link between the individual and society, inside and outside, also facts and values . Authenticity is the expression of a requirement of integration against it. ‘politics of Identity’ and the culture of self-realization happened in such a context. But this response, on the other hand, seems to get into an extreme individualism, narcissism, subjectivism. In this article, however, I think that the ethical implications of authenticity does not stop here. The modern generated problems has been being modified to continue now. So I think that a search for meaning of the authenticity is indispensable course to read today's society and solve problems. 우리는 일상적으로 ‘진정성’이라는 말을 자주 언급한다. ‘진정성이 있다’, ‘진정한 무엇’이라고 하는 말은 정치, 예술, 심리학, 고고학, 상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우리가 이 말을 할 때, 진짜, 성실성, 정직 등과 비슷한 뜻으로 사용하는 듯하다. 그렇지만 ‘진정성’을 이 용어들의 유의어 정도로 치부한다면 ‘진정성’의 의미를 놓치게 될 수도 있다. 이 글의 목적은 매우 윤리적이고 도덕적인 느낌을 주는 이 말의 의미를, 그 느낌에 걸맞게, 윤리적 함의에 초점을 맞춰 스케치하는 것이다. 찰스 테일러의 『불안한 현대사회』와 찰스 귀논의 『진정성의 대하여』를 주재료로 삼을 것이며, 이 과정에서 알래스데어 매킨타이어와 폴리쾨르의 도움을 받을 것이다. 진정성의 서양어 어원은 ‘자유롭게 자기 자신을 정립함’이다. 진정성이라는 말이 등장한 배경에는 과학혁명, 종교개혁, 사회계약 이념에 근간한 사회 변화, 무엇보다도 자본주의와 근대 국가가 있다. 여기서 개인과 사회, 내면과 외면, 사실과 가치 등의 절연이 발생했으며, 절연에 맞선 통합성의 요구를 표현하는 것이 진정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맥락으로 1960년대 이후에 벌어진 ‘정체성의 정치’와 더불어 자기실현 문화를 들 수 있다. 그렇지만 한편으로 이런 대응은 극단적 개인주의, 나르시시즘, 주관주의로 빠져 들고 있는 듯 보인다. 그런데 이 글은 진정성의 윤리적 함의가 여기에 머물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고자 한다. 근대가 낳은 문제 그리고 그에 대한 대응에서 보이는 문제점들은 조금씩 변형되었지만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그래서 진정성을 고찰하는 것은 오늘날의 사회를 읽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수적인 과정일 것이다.

      • 왕양명과 생명윤리와 전인적 인간관

        양선진(Sun - Jin Yang)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문화연구소 2018 철학과 문화 Vol.38 No.-

        인간이란 무엇인가? 인간의 본질은 무엇인가? 생명이란 무엇인가? 이러한 본질적이며 근본적인 질문에 대해서 생명공학자를 중심으로 과학기술자들은 나름의 답변을 우리 사회에 제공하고 있다. 인간게놈프로젝트(HGP)는 인간의 본성을 인간의 유전자 안에서 찾으려 하는 유물론적 이해 방식을 취하였다. 하지만 왕양명은 인간의 몸과 정신을 모두 인정하면서도 인간의 중심은 몸( )이 아니라 도덕적이면서 동시에 영적 특성을 지닌 마음, 즉 ‘영명( )’하며 ‘양지( )’를 갖춘 마음( )이라고 본다. 이처럼, 왕양명에 따르면, 인간의 본질은 서양의 주류 철학과 달리, 지성과 감성을 넘어서 도덕성과 영성이라는 특성을 모두 인정하는 총체적이며 통합적 인간 이해를 가지고 있다. What is a human being? What is the nature of man? What is life? Scientists and genetic technologists provide their answers to our fundamental questions about the nature of the life. The Human Genome Project (HGP) takes a materialistic understanding of the human nature to find it in human genes. However, while Wang Yang-Ming recognizes both human body and spirit, human center is not a body but a mind with a moral and spiritual character which means the mind with moral and spiritual heart. Thus, according to Wang Yang-ming, human nature has a holistic and integrated human understanding that recognizes both morality and spirituality beyond mind and emotion, unlike western mainstream philosophy.

      • 부처의 무기(無記)와 원효의 존재 이해

        김원명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문화연구소 2008 철학과 문화 Vol.17 No.-

        지식의 근원, 인간이해, 존재이해에 대한 물음은 철학의 영원하고 궁극적인 물음이다. 부처시대로부터 제기되어 전해진 근원적 물음에 대한 이해의 노력은 불교철학사 전체에서 늘 문제의 중심에 있었다. 이에 대한 불교에서의 논리학 인식론이랄 수 있는 인명학이 있는데, 이에 대한 현존 연구서는 한국역사에서 유일무이하게 원효의 『판비량론』 뿐이다. 그리고 그 필사본 일부가 1967년 일본에서 출간되면서 이에 대한 연구들이 일본과 한국에서 진행되었고 최근에 김성철의 연구로 당시 동아시아학계에서의 원효의 수준과 위치 그리고 그의 중요성을 더욱 드러내게 되었다 그리고 김상일의 연구로 원효 『판비량론』 을 세계철학사에서 존재 물음에 대한 인간 의식의 최고발달 단계에 이른 연구로 평가하기에 이르렀다. 논자는 이런 원효 철학 발달의 바탕이 인명학의 불교사적 성과의 문제만이 아니라 는 점에 착안하였다. 그의 초기 저술에서 만년 에 이르기까지 저술 가운데 현존하는 중요 저술의 종체문과 대의문을 통해 저술 전체에 고루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논리와 존재 이해를 숙고하였다 『판비량론』 에 인명학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부정(不定)의 논리와 그의 다른 저술들에 나타나는 대승(大乘) 또는 일심(一心) 혹은 무장무애법계(無障無擬法界)라는 이름으로 나타나는 존재이해가 상관적으로 드러나고 있음을 드러내는 방식으로 글을 전개하였다. 이는 또 신라 내적으로 그리고 전통적으로 사회·문화·정신 발달이 불교를 만나 꽃을 피운 것으로 볼 수 있다는데 착안하여 보편성과 고유성이 상통하는 측면을 부각하는 글을 전개하였다. This article aims at revealing the meaning of Buddha's Avyākrta and Wonhyo's Understanding Being which is corresponded to Buddha's Understanding Being. Buddha's Avyākrta is related with Buddha's Understanding Being. Avyākrta is No response. It is a reference to the Buddha's silence in reply to metaphysical questions put to him by Malunkyaputta. Malunkyaputta put to the Buddha ten well-known classical questions on metaphysical problems and demanded answers. "Sir, when I was all alone meditating, this thought occurred to me: There are these problems unexplained, put aside and rejected by the Blessed One. Namely, (1) is the universe eternal or (2) is it not eternal, (3) is the universe finite or (4) is it infinite, (5) is soul the same as body or (6) is soul one thing and body another thing, (7) does the Tathagata exist after death, or (8) does he not exist after death, or (9) does he both (at the same time) exist after death, or (10) does he both (at the same time) not exist and not not-exist. These problems the Blessed One does not explain to me. This (attitude) does not please me, I do not appreciate it." The Buddha's reply to Malunkyaputta should do good to many millions in the world today who are wasting valuable time on such metaphysical questions and unnecessarily disturbing their peace of mind. Buddha said to Malunkyaputta like this : 'I will not lead the holy life under the Blessed One until I explain these questions such as whether the universe is eternal or not, etc., he may die with these questions unanswered by the Tathagata.' And he exampled 'a man wounded by the poisoned arrow.' Buddha said to Malunkyaputta that the man would die without knowing any of his questions. Then the Buddha explained to Malunkyaputta that the holy life did not depend on these views. Whatever opinion one may have about these problems, there is birth, old age, decay, death, sorrow, lamentation, pain, grief, distress, 'the Cessation of which (i.e. Nirvana) the Buddha declared in this very life.' Whether the universe is eternal or not, etc., (those 10 opinions) Buddha had not explained. Why Buddha had not explained them? Because it is not useful, it is not fundamentally connected with the spiritual holy life, is not conducive to aversion, detachment, cessation, tranquillity, deep penetration, full realization, Nirvana. That is why Buddha had not told his students about them. There is a paradox in this story. This extremely confused to think about. Buddha's advice has not prevented many Buddhists to come up with a myriad of stories, explanations, alterations, and ramifications of these questions on metaphysical problems. Panbiryangron(判比量論) is a book of debates and all the debates are based on Buddhistic logic. Wonhyo(元曉) criticized many syllogisirns that were designed by Hyunzang(玄奘). Moreover Wonhyo himself constructed several syllogisirns that seem to be free from logical fallacies. Wonhyo presented antinomies that can be deduced from the definitions of wisdom of Buddha. And Wonhyo solved these antinomies with a couplet of Hwajaeng(Harmonization). Hwajaeng transcends the sphere of an ordinary logic. Being, understood by Wonhyo, consists of two aspects which are definable and indefinable at the same time. In the respect of the indefinable of Being, antinomy comes out. Wonhoy understood Being as the Great Vehicle(大乘), One mind(一心), No hindrance true world(無障無擬法界) in several his Buddhist works. Wonhoy's understanding Being was influenced by a current social religious cultural tradition in that society in some sense. Poongleudo(和白會議), Hwabaek Conference(風流道) etc. are examples of traditional elements which affects Wonhoy's understanding Being.

      • 그리스 플라톤철학과 히브리 기독교신학의 만남 : 신의 이름 붙이기를 중심으로

        임우형(Woo-hyoung Leem)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문화연구소 2015 철학과 문화 Vol.33 No.-

        Hellenism and Hebraism is not only the root but also the pillar of western ideas. But I wonder, when looking at the historical background each gets out, that it is fact Hellenism and Hebraism have a equivalent position supports the western thoughts. Because Hellenism was set in a huge empire, Hebraism was set in the minorities. If we can speak Hebraism in the circumstances of imbalance equal role to be, we want know how Hebraism with Hellenism to be the shore of Western thoughts. I think Hebraism the Hellenism made equally as a pillar of Western thought for those who are about the second to the 3rd century Christian fathers. I'll get in this process through Origen who was founder of Christian theology for the first time by consilience Greek and Jewish philosophy. I suggest the naming gods shows very well the process of consilience than various other topics. Origen claimed the five propositions about God's name in order to disprove the Celsus of a Christian opponent. The three of the contents came from the Greek philosophy, and two sentiments originated from the Ancient Near East, including the Jewish religion. Origen attempting consilience two parts, Hebrews thoughts in minorities were upgraded as the international mind. 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이 서양 사상의 뿌리요 양 기둥이라 한다. 그런데 각기 흐름이 나오게 된 역사적 배경을 살펴본다면 동등한 기둥으로서 서양 사상을 떠받치고 있다는 것이 의아하다. 헬레니즘은 거대한 제국을 배경으로 하나 헤브라이즘은 소수 민족을 배경으로 하기 때문이다. 불균형적인 관계 속에서 헤브라이즘이 대등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고 했을 때, 우리는 헤브라이즘이 어떻게 헬레니즘과 함께 서양 사상이 버팀목이 되었는가를 살피려 하는 것이다. 헤브라이즘을 헬레니즘과 함께 서양 사상의 대등한 기둥으로 만든 이들이 A.D 2~3세기 기독교 교부이다. 특히 논자 교부들 중에 유대교와 그리스철학을 통섭하여 기독교 신학을 최초로 구성한 오리게네스를 통해 이 과정을 들여다 보려하는 것이다. 오리게네스 내 여러 주제 중에 '신에게 이름 붙이기' 주제가 그리스철학과 유대교를 통섭하는 과정을 잘 보여준다고 생각하였다. 오리게네스는 기독교의 반대자 켈수스를 노박하기 위하여 신의 이름에 관해 5개의 명제를 내세웠다. 이 중 3개는 그리스철학의 내용이고, 2개는 유대교를 포함한 고대근동종교의 생각이다. 이처럼 오리게네스는 두 부분 모두를 통섭함으로 소수 민족인 히브리 민족의 생각을 구제정신으로 격상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 E.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에 남겨진 푸코의 유산

        강미라(Mi-ra KANG)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문화연구소 2012 철학과 문화 Vol.25 No.-

        This study is the analysis of Foucault's influence over Said's Orientalism. When Said wrote Orientalism, he was influenced by F. Fanon(post-colonialism, by R. Williams(power of culture), by A. Gramsci(notion of hegemony), by M. Foucault(analysis of discourses). Especially, This study focuses on the last two influence. In Said, Foucault's notion of the discourse is combined with Gramsci's notion of hegemony. Said accepted their notion in his proper purpose and he often changed those notion in his vision. So we can ask questions : Is combination of Foucault's notion of the discourse with Gramsci's notion of hegemony theoretically valid? Is that useful as methodology in his work? These questions are not asked only on Foucault's influence over Orientalism, but also on methodology of Orientalism. Both Foucault's notion of the discourse and Gramsci's notion of hegemony are in relation with power. Foucault's concept of power is not compatible with Marxist concept of power. This is fundamental reason that Said's synthesization of Foucault and Gramsci failed. And also Said kept his distance from Foucault in terms of the definition of text, the roll of the intellectual, the problem of domination and resistance. 본 논문의 목표는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에 미친 푸코의 영향이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사이드는 『오리엔탈리즘』을 쓸 때, 탈식민주의 담론에 대해서는 파농의 영향을, 문화의 힘에 대해서는 윌리엄스의 영향을, 헤게모니 개념에 대해서는 그람시의 영향을 받았고, 담론 연구라는 방법론과 관련해서는 푸코의 영향을 받았다. 본 논문은 특히 마지막 두 사상가의 영향에 초점을 맞춘다. 사이드는 푸코의 담론 개념을 그람시의 헤게모니 개념과 결합했다. 사이드가 자신에게 영향을 미친 사상가들의 사유를 그대로 물려받은 것이 아니라 자신의 관점에서 수정하여 받아들였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물음이 제기된다. 이러한 결합은 이론적으로 유효한가? 또한 실제로 사이드의 저술에서 유용한 방법론이었는가? 이물음은 『오리엔탈리즘』에 미친 푸코의 영향을 평가하는 물음일 뿐만 아니라, 『오리엔탈리즘』의 방법론을 평가하는 물음이기도 하다. 푸코의 담론 개념과 그람시의 헤게모니 개념은 둘 다 권력과 관계있는 개념이다. 그런데 두 개념이 바탕으로 하고 있는 권력은 각각 푸코와 마르크스주의의 권력 개념이다. 푸코의 권력 개념과 마르크스주의의 권력 개념은 양립하지 않는다. 이러한 근본적인 문제로 인해서 사이드의 시도 즉, 푸코와 그람시에 대한 종합은 성공하지 못한다. 결국 사이드는 텍스트, 지식인의 역할, 지배와 저항 등의 문제에 있어 푸코와 거리가 멀어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