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외환위기 이후 정부의 노동·사회정책 관련 비전 평가

        김성욱(Kim, Seongwook) 중앙사회복지연구회 2021 사회와 복지 Vol.3 No.1

        본 연구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역대 정부의 비전보고서를 통해 해당 정부가 처한 경제, 노동, 사회정책적 상황인식과 그에 대한 각 정부의 대안, 해법, 지향점 등을 살펴보았다. 특히 노동시장정책과 사회정책과의 연계성을 검토한 결과, 외환위기 이후 민주정부의 노동사회정책은 과거의 권위주의적 경제체제의 패러다임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노동과 사회정책이 분절적으로 검토-실행되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역대 정부의 경험을 통해 사회정책 간의 연계성 혹은 이중적 노동시장 구조의 문제는 그 역사적 성립과정이 짧지도 단순하지도 않은 한국 노동사회정책의 역사적 유산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노동과 복지를 토대로 한 동반성장이라는 노무현 정부의 정책기조나 소위 성장을 위한 안정전략이 여전히 유효한 것으로 판단한다. 즉 우리에게 전략이 없다기보다 그러한 전략을 실천할 수 있는 역량과 실천 그 자체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하겠다. 다만 개혁의 대상, 주체, 방식, 시기 등을 어떻게 협의하여 타협할 것인가에 관한 어려운 과업이 남아 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주체 간 이해의 공유, 정치적 리더십이 필요한 상황이다. This study looked at the economic, labor, and social policy situation perceptions of the respective governments, and each government s alternatives, solutions, and directions through the vision reports of previous governments. In particula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linkages between labor market policies and social policies, the labor and social policies of the democratic government after the financial crisis did not deviate significantly from the paradigm of the authoritarian economic system of the past, and labor and social policies were reviewed and implemented segmentally. was confirmed. Under the policy of the conservative government, which regarded labor and welfare only as a means of growth, neither labor nor welfare failed to enrich the lives of the people. Establishing a government vision for labor and social policies and preparing specific action plans will be a major policy task in the current Moon Jae-in government. Through the experiences of previous governments, we have learned that the problem of irregular labor, which seems to be far from a solution as it is fixed in the linkage between labor and social policy or the dual labor market structure, is a historical legacy of the Korean welfare state, whose historical establishment is neither short nor simple. will be. The policy stance of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of shared growth based on labor and welfare and the so-called stabilization strategy for growth are considered valid even now. In other words, it is not that we do not have a strategy, but rather the time when we need the capacity to implement such a strategy and practice itself.

      • KCI등재후보

        코로나19 이후 사회복지 실천현장은 어떻게 변화하였나?

        김승용 중앙사회복지연구회 2022 사회와복지 Vol.4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countermeasures for social welfare facilities through changes in social welfare practice after COVID-19. To this end, 12 social workers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were interviewed in-depth from December 20, 2021 to January 30, 2022.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view results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t was possible to derive changes in 88 semantic units, 20 subcategories, and 7 categories. The seven categories were conversion and reduction to non-face-to-face businesses, increase in work, change in education system, stigma and difficult life due to COVID-19, increasing stress, difficulty in neglecting clients and providing services, and disconnection from individuals, colleagues, and communities. As countermeasures after COVID-19, it was proposed to implement preventive education for infectious diseases, prepare alternative programs, prepare stress relief programs, and produce manuals.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코로나19 이후 사회복지 실천의 변화 현상을 통하여 사회복지 시설의 대응 방안을 찾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시설 경력 5년 이상 된 12명의 사회복지사를 눈덩이 표집을 통하여 2021년 12월 20일부터 2022년 1월 30일까지 심층 인터뷰하였다. 인터뷰 결과는 현상학적 질적연구 방법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88개의 의미단위, 20개의 하위범주, 7개의 범주로 변화를 도출할 수 있었다. 7개의 범주는 비대면 사업으로 전환과 축소, 업무의 증가, 교육시스템 변화, 코로나로 인한 낙인감과 힘든 생활, 점증하는 스트레스, 클라이언트 방치와 서비스 제공의 어려움 발생, 개인․동료․지역사회와 단절 등이었다. 코로나19이후 대응 방안으로는 감염병에 대한 예방 교육 시행, 대체 프로그램 마련, 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 마련, 매뉴얼 제작 등을 제안하였다.

      • 보건복지분야 종사자의 생활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양기훈(Yang, Ki-Hun),남진열(Nam, Chin-Yeol) 중앙사회복지연구회 2020 사회와 복지 Vol.2 No.1

        본 연구는 제주지역 보건복지분야 종사자를 대상으로 생활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력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주지역 병 · 의원 종사자 및 사회복지기관 종사자 3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와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지역 보건복지분야 종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성별과 월소득에서 자살생각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생활스트레스는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고, 특히 인간관계 스트레스와 건강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활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우울을 통한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높은 생활스트레스를 겪고 있을 보건복지분야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및 우울을 예방하기 위한 중재프로그램에 있어 이론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life stress of health and welfare workers in Jeju on thoughts on suicide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data from 313 health and welfare workers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1) Gender and monthly incom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oughts on suicide. 2) Life stres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oughts on suicide, especially human relationships stress and health stress have effected on thoughts on suicide. 3) Life stress did not directly affect thoughts on suicide, but it has been shown that depression has a full mediating effect.

      • 코로나19 이후 사회복지 실천현장은 어떻게 변화하였나?

        김승용(Seong Yong Kim) 중앙사회복지연구회 2022 사회와 복지 Vol.4 No.1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코로나19 이후 사회복지 실천의 변화 현상을 통하여 사회복지 시설의 대응 방안을 찾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시설 경력 5년 이상 된 12명의 사회복지사를 눈덩이 표집을 통하여 2021년 12월 20일부터 2022년 1월 30일까지 심층 인터뷰하였다. 인터뷰 결과는 현상학적 질적연구 방법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88개의 의미단위, 20개의 하위범주, 7개의 범주로 변화를 도출할 수 있었다. 7개의 범주는 비대면 사업으로 전환과 축소, 업무의 증가, 교육시스템 변화, 코로나로 인한 낙인감과 힘든 생활, 점증하는 스트레스, 클라이언트 방치와 서비스 제공의 어려움 발생, 개인․동료․지역사회와 단절 등이었다. 코로나19이후 대응 방안으로는 감염병에 대한 예방 교육 시행, 대체 프로그램 마련, 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 마련, 매뉴얼 제작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countermeasures for social welfare facilities through changes in social welfare practice after COVID-19. To this end, 12 social workers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were interviewed in-depth from December 20, 2021 to January 30, 2022.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view results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t was possible to derive changes in 88 semantic units, 20 subcategories, and 7 categories. The seven categories were conversion and reduction to non-face-to-face businesses, increase in work, change in education system, stigma and difficult life due to COVID-19, increasing stress, difficulty in neglecting clients and providing services, and disconnection from individuals, colleagues, and communities. As countermeasures after COVID-19, it was proposed to implement preventive education for infectious diseases, prepare alternative programs, prepare stress relief programs, and produce manuals.

      • 담당공무원의 인터뷰를 통해 살펴본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사업 읍면적용방안

        성은미(Seoung Eun-Mi) 중앙사회복지연구회 2019 사회와 복지 Vol.1 No.1

        본 연구의 목표는 2016년부터 이뤄지고 있는 공공복지전달체계 개편 사업인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사업이 읍면에 적용되는데 한계가 있는지, 읍면 지역의 지역특성 때문에 이런 한계가 발생하는 것인지, 지역특징에 맞춰 별도의 전달체계 모형이 필요한 것인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내 군 지역, 도농복합시의 읍, 면 지역 실무자를 대상으로 4차례 초점집단 인터뷰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사업의 핵심인 복지 사각지대발굴, 통합사례관리, 민관협력으로서 읍면사회보장협의체 업무 추진 과정에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둘째, 읍면 지역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의 대부분은 읍, 면 지역의 지역특징에서 기인하는 근본적인 한계 때문이었다. 즉 인구가 적고 인구이동이 적어서 복지사각지대 발굴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읍면동사회보장협의체 위원 구성도 어려운 한계가 있다. 또한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통합사례관리의 목적이 위기가구의 자활, 자립인 반면, 읍면 지역의 인구대다수는 노인인구였다. 사업의 목적과 지역사회 주요거주 대상자 특징이 서로 부합하지 않는 한계가 있었다. 무엇보다 읍면 지역은 마을공동체 문화가 남아있어 지역자체적인 지원체계가 운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읍면 공무원들은 찾아가는 복지서비스에서 읍면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별도의 모델에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사업이 읍면에서 체계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사업목표를 마을자생력강화로 전환하고, 공공인력이 단순히 복지행정업무가 아니라 복지서비스업무를 함께 수행하는 방식으로 변경이 필요하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whether the EupMyeonDong Welfare-Hub Project, which has been undergoing a reform project since 2016, is subject to limitations on application to Eup and Myeon regions. And Whether the cause of the limitations are due to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Eup and Myeon regions, and a special delivery model is required for rural regions. The first analysis results, Public Officials of Eup and Myeon regions were experienced it difficult to work the Welfare-Hub Projects. And the Second analysis results, These difficulties occurred because of the small population, small demographic movements, and the size of the age peoples. Thrid, Public Officials of Eup and Myeon regions were found to recognize that they are needed for a special model for Eup and Myeon regions. Accordingly, in order for the Welfare-Hub Projects to be operated systematically at Eup and Myeon regions, the Welfare-Hb project needs to be changed to foster the aim of the Eup and Myeon regions, and the change in welfare services is needed to perform welfare services rather than simply welfare administrative duties.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 이용시설 격차 및 유형 분석 연구 : 경기도를 중심으로

        성은미 중앙사회복지연구회 2023 사회와복지 Vol.5 No.1

        This study’s purposes are to identify the level and characteristics of the gap in the use of welfare facilities from the viewpoint that the use of welfare facilities is important in the balanced development of community welfare. The gap was analyzed using a SSD index, and the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Gyeonggi-do. According to the SSD index, a disparities exist in the use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community.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the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Group 1 was rural and urban-rural complex areas, which lacked welfare facilities for the low-income class and the disabled. Groups 2 and 3 are urban areas and urban-rural complexes adjacent to Seoul, where the population is increasing, but appropriate welfare facilities have not been expanded to meet the growing population. Finally, group 4 is an area where the population is declining, and the number of children is decreasing and the elderly population is increasing. In order to decrease this gap, it is necessary to actively expand facilities in accordance with population growth and aging. 본 연구는 사회복지시설의 격차수준과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복지시설에 주목한 이유는 지역사회보장 균형발전과 관련된 여러 과제 중 복지시설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책임과 권한이 시군에 부과되어 있기 때문이다. 분석대상이 되는 복지시설은 노인대상 시설, 아동대상 시설, 장애인대상 시설, 저소득층대상 시설, 정신장애인대상 시설 중 이용시설이다. 복지시설 격차 분석은 표준화상이점수(SSD)를 활용했고, 시군단위 분석을 위해 광역 중에서 시군수가 가장 많은 경기도를 대상으로 연구를 추진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표준화상이점수에 의거해볼 때, 지역별로 사회복지 이용시설에 격차가 존재하며 둘째, 이런 격차를 도시유형별로 일반화하긴 어려웠다. 즉 도시지역, 도농복합지역, 농촌지역 특징으로 볼 수 없는 다양한 현상이 나타났다. 이에 군집분석을 진행하여 총 4개 집단으로 시군을 구분하였는데, 1집단은 저소득층과 장애인대상 복지시설이 부족한 지역이었다. 2집단과 3집단은 서울시에 인접한 도시지역과 도농복합지역으로 증가하는 인구에 맞춰 적절한 복지시설이 확대되지 못한 지역들이다. 마지막으로 4집단은 인구 감소지역으로서 아동인구 감소, 노인인구 증가에 맞춰 노인대상 시설이 부족한 지역들로 유형화되었다. 이런 시설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지역별로 인구증가, 인구고령화에 맞춘 적극적 시설 확대가 필요하며, 광역과 중앙정부는 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한국 사회보장제도와 사회적 갈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용재,김성욱,이연정 중앙사회복지연구회 2023 사회와복지 Vol.5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exploratory identification of the cause and specificity of the conflict surrounding the social security system in Korea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mai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conflicts related to the Korean social security system continue to occur, and conflict structures that cause conflicts exist visibly and inherently within the system. In particular, conflicts over the social security system have arisen as pressure for system reform has appeared before the system matures. Second, conflicts related to Korea's social security system include generational conflict issues due to rapid population aging, lack of basic philosophy and perspectives related to social security, politicization and limitations of social consensus because of electoral mobilization of social security issues, and a unique structure of interests between the government and private providers surrounding the system Third, in order to manage conflicts in the Korean social security system, a democratic and participatory social security conflict management and mediation system must be established, and structural problems that trigger social conflicts must be resolv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ublic's perception of social security based on citizenship and to improve factors that trigger conflicts such as the press and media. In the future, it is critical to address social security conflicts by developing a social security conflict scale which can evaluate as well as manage the level of conflict in the Korean social security system and continuously monitoring them.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한국 사회보장제도를 둘러싼 갈등의 발생원인과 한국적 특수성을 탐색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사회보장제도와 관련된 사회갈등은 과거부터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갈등을 유발하는 갈등구조가 사회보장제도내에 가시적, 내재적으로 존재하고 있었다. 특히, 사회보장제도와 관련된 갈등은 제도가 성숙하기 이전에 제도 개편에 대한 압박이 가해짐으로써 발생하고 있었다. 둘째, 한국 사회보장제도 관련 갈등은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급격한 고령화로 인한 세대갈등 이슈 심화, 사회보장 관련 기본철학과 관점의 부재, 사회보장 이슈의 선거동원으로 인한 정치화로 사회적 합의 어려움, 제도를 둘러싼 재정당국과 민간공급자 등 특수한 이해관계 구조를 특징으로 하고 있었다. 셋째, 한국 사회보장제도 갈등관리를 위해서는 민주적이고 참여적인 사회보장 갈등관리와 중재 시스템을 구축하고 사회갈등을 촉발하는 구조적 문제를 해결해 나아가야 한다. 또한 시민권에 근거한 사회보장 관련 국민 인식전환과 언론, 미디어와 같은 갈등촉발 요인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향후 한국 사회보장제도의 갈등수준을 평가하고 관리할 수 있는 사회보장갈등 척도를 개발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사회보장 관련 갈등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성과(performance) 영향요인 분석

        성은미(Seoung, Eun-Mi) 중앙사회복지연구회 2020 사회와 복지 Vol.2 No.1

        본 연구에서는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의 성과(performance)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분석해 향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의 개선과제를 도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 읍면동단위의 행복e음과 행정자료를 활용해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에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 1월~10월까지 취합된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실적자료를 활용하였다. 종속변수는 복지사각지대 발굴, 찾아가는 방문상담, 통합사례관리, 민관협력사업으로 설정하였다.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영향 요인으로는 지역변수, 조직변수, 인력변수를 활용해 중다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찾아가는 복지팀 인력수, 기본형, 방문간호사 배치여부, 통합사례관리사 배치여부가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찾아가는 보건복지팀 유형, 팀장직렬은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실적과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점검이 필요하다. 향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체계화 과정에서 팀 유형, 팀장 역할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Visiting Health and welfare services’ are being promoted recently as a project to reform the public welfare delivery system. But there is a lack of empirical analysis. In this study, we will analyze the factors that have affected the performance of the visiting health and welfare services. To that end, we would like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health and welfare services that are visited by using the administrative data of Gyeonggi-do.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set up as blind spots, visiting counseling, case management, and public-private partnership projects. Among the factors affecting were regional variables, organizational variables, and human resources variable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number of workers visiting the welfare team, basic type, visiting nurses, case managers were important factors.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type of team and the role of team leader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the upcoming health and welfare services.

      • KCI등재후보

        조직갈등이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강상훈,김석주 중앙사회복지연구회 2022 사회와복지 Vol.4 No.2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onflict on job stress among employees who work at social welfare agencies. By using on-line survey, this study recruited 1,027 employees working at social welfare agencies in Gyeongsanbuk-do, South Korea.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found that an increase of overall organizational conflict affected an increase of their job stress. As well, the relational and emotional conflicts positively influenced on their job stres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e implications of ameliorating the organizational conflict and job stress at social welfare agencies.

      • KCI등재후보

        중고령 발달장애인 서비스 종사자를 위한 시설유형별 교육과정 개발 연구

        김현숙(Hyunsuk Kim) 중앙사회복지연구회 2023 사회와복지 Vol.5 No.2

        본 연구는 중고령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다양한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서비스 개입을 수행하는 종사자의 전문성 함양을 도모할 수 있는 차별화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고령 발달장애인, 발달장애인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사회복지학, 특수교육학, 직업재활학 등의 석사 이상의 학위를 소지하거나 장애인복지 현장에서 최소 20년 이상의 경험을 가진 중고령 발달장애인 현장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델파이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거주시설, 장애인복지관, 주간보호시설, 기타시설별로 종사자에게 필요한 시설 공통 기본 필수 교육 주제와 시설유형별 선택 교육 주제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중고령 발달장애인 실천개입 종사자가 이수해야 할 필수 및 선택 사항의 교육과정 내용에 내포된 직무역량의 주요 특성과 이에 대한 실천적 제언 5가지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urriculum that can bolster the expertise of workers who perform service at various social welfare sites for the middle-aged and elderly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this end, we will look at literature and prior studies related to middle-aged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17 expert panel members with higher degrees with at least 20 years of experience in the field were assembled and two-round Delphi study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common basic mandatory education topics for workers in residential facilities,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day care centers, and other facilities and optional education topics by facility type were derived. Based on thi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job competencies contained in the mandatory and optional curriculum that middle-aged and olde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ust complete and five practical suggestions for these were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