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체육교사의 교수행동이 학생들이 인지하는 체육교사신뢰에 미치는 영향

        김주영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체육교사의 교수행동이 학생들이 인지하는 체육교사신뢰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김주영 본 연구는 전국의 중∙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체육교사의 교수행동이 학생들이 인지하는 체육교사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전국의 중∙고등학교 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편의표집법(convenience sampling)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509명을 대상으로 자료가 수집되어 연구에 활용되었으며 수집된 자료의 정규성과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 21.0을 이용한 기술통계분석과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 및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대상자들의 특성에 따른 체육교사 교수행동 및 체육교사신뢰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들 요인 간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Amos 21.0을 이용하여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절차에 따라 결과는 다음과 같이 도출 되었다. 첫째, 체육수업에 참가한 학생들의 성별과 소속에 따라 체육교사의 교수행동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수업에 참가한 학생들의 성별과 소속에 따라 체육교사신뢰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교사의 교수행동과 체육교사신뢰의 관계에서는 교수행동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Effect of teaching behaviors on teacher-trust of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Kim, Ju-Yeong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Behavior and Teacher-trust on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In compliance with the purpose, the nationwide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were set as population, and 509 copies of data were collected utilized in study, using of random sampling method. To comply with the purpose, the construct validity and the reliability of measured data were verified by using of SPSS 21.0 & AMOS 21.0 program. In addition,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Behavior and Teacher-trust, the difference between Teaching Behavior and Teacher-trust according to the character of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level of participation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T test and One way ANOVA with SPSS 21.0 program,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related factors were analyzed by Path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difference between sex and group, according to the level of Teaching Behavior. Second, for the difference between sex and group, according to the level of and Teacher-trust. Thir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Behavior and Teacher-trust on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Teaching Behavior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had positive effect on Teacher-trust on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 아로니아(Aronia melancocarpa)의 안토시아닌 색소를 이용한 모발의 염색 특성

        김주영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아로니아(Aroniamelancocarpa)의 안토시아닌 색소를 이용한 모발의 염색 특성 김주영 지도교수: 박철호 남부대학교 대학원 향장미용학과 본 연구는 아로니아의 안토시아닌 색소를 이용한 모발 천연염색으로 염색온도, 염색시간 및 pH를 변화시켜가며 염착도와 색변화를 관찰하였으며,매염제로 황산제 일철(FeSO4),초산(CH3COOH), 명반[AlK(SO4)2], 황산구리(CuSO4), 황산마그네슘(MgSO4), 황산망간(MnSO4), 질산코발트(Co(NO3)2), 탄산칼슘(CaCO3), 탄산나트륨(Na2CO3)을 사용하여 매염방법에 따른 매염효과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아로니아를 저온압착법으로 추출한 결과 400∼ 700nm 의 파장영역에서 흡수가 나타났으며, 520nm에서 최대흡수파장을 나타내었다. 2.아로니아 안토시아닌 색소의 추출시 저온압착법은 안토시아닌의 추출효율이 높아 무매염시에도 K/S 값이 70.812로 모발의 염색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하지만 무매염시 세정견뢰도는 삼푸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나빠져 착색 안정화를 위해 매염제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3.모발 염색시 염색온도(20℃ ∼ 60℃)가 증가함에 따라 염착량(K/S)도 증가하였고, 모발은 적색에서 자주색으로 변성되었다. 아로니아의 염색온도 20℃, 염색시간 40분에서 염색이 잘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4.모발 염색시 pH의 증가에 따라 a* value가 +(red)에서 -(green)으로 진행되거나 본래의 탈색모의 노란색에 색차계가 반응하여 알칼리 상태에서는 안토시아닌 염제의 본래의 색이 퇴색하여 적갈색, 적녹색, 황녹색을 띠게 되며, 이로 인하여 모발의 염착이 불량하게 되어 염색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되었다.이는 안토시 아닌 염제가 pH에 특히 민감하게 반응하고 대부분 pH가 증가함에 따라 염착성은 급격히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5.모발 염색시 산성경향의 매염제에서는 적색을 기본으로 녹색, 청색, 다크블루, 보라 등의 화려한 색상을 낼 수 있으나, 알칼리성 매염제에서는 알칼리작용으로 인해 큐티클에 갖혀 있던 안토시아닌 색소가 일부 분해되어 나타나는 색으로 볼 수 있다. 6.모발 염색시 매염방법(선매염, 동시매염, 후매염)은 매염제의 특성(염착량, 명도, 채도, 색상)을 전체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하여 선택해야하고, 염착량(K/S)만을 기준으로 본다면 선매염은 황산철, 황산마그네슘, 명반, 아세트산, 탄산칼슘, 탄산나트륨 매염제에 효과적이고, 동시매염법은 황산구리, 질산코발트 매염제에 효과적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아로니아 추출물의 안토시아닌 색소는 인간의 모발에 적용 가능한 천연염모제로서의 가능성을 가지며 다른 천연색소에 비해 다양한 색을 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하지만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한 매염제중 명반이나 철은 주로 직물의 매염제로 쓰여 왔으며 소량의 경우 인체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황산구리는 주로 살균제로 쓰여 독성이 있으며,기타의 매염제 역시 인체에 유해하여 이를 모발에 사용하는 이상 매염제에 따른 유독성 연구도 함께 진행 되어져야 할 것이다. 앞으로 더 다양한 색깔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매염제를 이용한 천연염색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주거단지의 공간배치 구조와 사회연결망의 관계 분석 : 서울시 영구임대아파트를 중심으로

        김주영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Social Network is social relationship formed by interactions with other people, which is germane the quality of life. Especially. the Neighbourly Social Network formed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spaces in that people share their primary living territory. This Social Network of Residential Environment directly affects to residents in negative ways, such as social pathology, when the Social Network is disbanded or weakened. This phenomenon worsens the weakness of Social Network and spreads to social issues finally causes a vicious circle. Therefore, the study on Social Network is dealt with significantly in the Spatial Field since it can be used in understanding of social life and taking action to social issues. However, most of the studies on Social Network of Residential Environment remain at understanding the Phenomenon of Social Relationships level. These still can’t analyze the Residents’ Social Relationship. Thus, to explain the social phenomenon by Social Relationship,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individuality which forms Social Network and the intensity of solidarity objectively. In addition, Seeing the Social Network from the view of the Relation between space and society,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Characteristic of Residential Environment and Residents’ Social Network is regarded as an important factor to explain the region's Social Configuration and Social Issues. Amo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Spatial Configuration is known as a primary factor which determines people’s Space usage behaviors. Recently, many scholars have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Configuration and Social Network in interaction space(Sailer and Penn, 2007; Wineman et al., 2009). Though, the Study on Social Network focused on Residential Environment is nonexistent. Since a Residential Space is different from an Interaction Space in Social Interaction Behavior, the Relationship between a Residential Space of Residential Environment and Social Network needs a analysi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s research on Interaction Behavior of Residential Area through Spatial Configura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and Social Network Relevance.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ing the grade of the Residents’ Social Network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Configuration of Unit, which is regarded as the Residential Space. The Unit is a unique space which is characterized as a personal territory and it is important as a fundamental space since the interaction begins to occur. The case of the permanent rental apartment in Seoul is the subject site of this study. As the Social Network of the area concentrated by a neglected class of people changes easily for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the permanent rental apartment is considered appropriate for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tial Configuration and Social Network. Therefore, this study goes on research analysis based on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is figuring out the Spatial Configuration Permanent Rental Housing Complex which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ide housing complex, the unit, and the interaction space. The Axialline Analysis and the VGA(Visual Graph Analysis) based on the theory of Space Syntax are used as the method of analysis. The second is identifying the Residents' Social Relationship in Permanent Rental Housing Complex which includes analysis of neighbourly intimacy, neighbourly relationship, Interaction Space usage behaviors and housing satisfaction. The NetMinet based on Network Science - the social network analysis, the factor analysis, and the description analysis - have adopted as the method of analysis. Lastly, the Social Network is analyzed by Spatial Configuration of Residential Space from the Permanent Rental Housing Complex case. Based on the result obtained earlier from analyzing the Spatial Configuration and the Social Network,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the Unit and the Social Network, the Spatial Configuration and the use of frequency of the Interaction Space, and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the Unit and the Interaction Behavior are analyzed. The ANOVA and the Crossover Analysis are applied to the method of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below. First,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 Permanent Rental Housing Complex has an unfavorable Spatial Configuration in residents’ interaction both internal and external of complex. Since the connection of the space network of the internal and the external of the complex is weak, the internal of the complex has the isolated Spatial Configuration from surroundings. The Community Facilities in the internal of the complex is not only separated from the buildings but also restricted to Spatial Accessibility, so the Spatial Configuration seems to be unfavorable to the residents as the interaction space. Second, the Permanent Rental Housing Complex has insufficient Social Network and lower Local Society Attachment. Yet, it shows the potential for improvements in the Social Network through the Official Acquaintance. The number of friendly neighbors is 1-2 families on average and the interest in neighbors and complex also appears to be low. While the public manager is at the center of the Social Network, he/she plays the hub administrator role in relations between neighbors. Therefore, in the majority of cases, the absent of the public manager causes the disbanding of the Social Network. However, the Official Acquaintance discussing the complex problems seems to maintain the basic connection system, it is expected to be an important connection in rebuilding the local community. Thir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Social Network according to Spatial Configuration of residential space of the Permanent Rental Housing Complex, the residents living in the places which have the high spatial accessibility have lower interaction with neighbors unlike the pattern of common interaction space. In other words, when the Residential Space has the high spatial accessibility, the residents who live in that space experience unnecessary personal relationship and it causes the evasion of interaction. This phenomenon is understood to mean the weakened relationships between neighbors. Whereas the residents who live in the place which has the low spatial accessibility feel detached from neighbors, which brings the desire of interaction. As the result, the residents in that situation show the intentional interaction behavior. It mean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and Social Network is opposite of the Common Interaction Space. Fourth, the result from analyzing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the Interaction Space and Interaction Behavior, the Interaction Behavior of the Residents in the Permanent Rental Housing Complex can be explained. Since there are limits and restrictions in Residents’ External Activities, the residents usually interact with a limited number of people in their private houses. As a consequence of high frequency in Spatial Accessibility and interaction in passage way and elevator, the Residents prefer natural interaction by an accidental meeting with neighbors. In addition, the purposeful interaction and the deliberate interaction, such as activities in community center and following the trail, can be shown by using the Community Facilities. On the other hand, the Management Office and Stores inside the Complex can’t perform the function of the Interaction and the playground and the Recreation Center are verified as the useless facilities in the Interaction. When all the studies above are combined,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the Permanent Rental Housing Complex and the Characteristic of Social Network are basically verified. As the result, ultimately, the Social Network var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Spatial Configuration and it i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h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ommon Interaction Space. From this result, the Residents’ Interaction Behavior can be explained by reinterpreting the Characteristic of Spatial Configuration of the Permanent Rental Housing Complex and the Social Network. Therefore, this Study has scientific significance in that it primarily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 Residents’ Social Network. 사회연결망은 사람들 간의 상호작용에서 형성되는 사회적 관계로 삶의 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주거환경에서 형성되는 이웃 간의 사회연결망은 사람들의 주요 생활영역을 공유한다는 점에서 어느 공간보다도 중요하다. 이러한 주거환경의 사회연결망은 해체되거나 약화될 때 사회병리현상과 같은 부정적인 문제가 주민들에게 직접 영향을 미친다. 이는 다시 사회연결망 약화를 심화시키고 사회문제까지 확대되어 악순환이 된다. 이처럼 사회연결망 연구는 사회생활을 파악하고 사회문제를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주거환경에서 사회연결망을 분석하는 대부분의 연구는 사회적 관계 현상만 파악하고 있어 주민 간의 연결 관계를 분석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사회현상을 사회적 관계로 설명하기 위해서는 사회연결망을 형성하고 있는 개인의 특성과 결속 강도를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공간과 사회의 관련성 관점에서, 주거환경의 공간적 특성과 사회연결망의 관계는 그 지역의 사회구조와 사회문제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요인이다. 공간적 특성 중에도 공간구조(Spatial Configuration)는 사람들의 공간이용 행태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Hiller et al., 1992). 따라서 최근에는 여러 학자들이 교류공간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와 사회연결망의 관련성을 논의하고 있다(Sailer and Penn, 2007; Wineman et al., 2009 등). 그러나 주거환경 분야에서는 공간구조와 사회연결망의 관련성을 밝혀내지 못하고 있다. 거주공간에서의 교류행태는 일반적인 교류공간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교류와 다르다. 이러한 맥락에서, 주거환경의 공간구조와 사회연결망과의 관계 규명은 공간·사회 분야에서 중요한 시각을 마련래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거환경의 공간구조와 사회연결망과의 관련성을 입증하고 거주공간의 교류행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근본적인 연구의 목적은 거주공간인 주호의 공간구조 특성에 따라 주민의 사회연결망 정도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주호는 개인의 생활영역을 특성 지을 수 있는 고유한 공간이며, 교류가 발생하기 시작하는 기초 공간으로서 중요한 연구대상이다. 이에 사례대상지는 서울시 영구임대아파트를 대상으로 한다. 소외계층의 사회연결망은 주거환경 변화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다는 차원에서, 공간구조와 사회연결망의 관계를 분석하기에는 소외계층이 밀집한 영구임대아파트가 적합하다. 이에 본 연구는 3단계로 분석을 진행한다. 첫째, 영구임대아파트의 공간구조를 파악하는 것으로 단지내부, 주호, 교류공간의 특성을 분석한다. 분석 방법은 스페이스신택스 이론을 기반의 축선분석과 VGA를 진행한다. 둘째, 영구임대아파트 주민의 사회적 관계를 파악하는 것으로 이웃친밀감, 이웃관계망, 교류공간 이용행태, 주거환경 만족도를 분석한다. 분석 방법은 네트워크 과학을 기반으로 한 사회연결망분석(넷마이너)과 요인분석, 기술통계분석을 한다. 셋째, 거주공간의 공간구조에 따른 사회연결망을 분석한다. 앞서 분석한 공간구조와 사회연결망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주호 공간구조와 사회연결망, 교류공간의 공간구조와 이용 빈도, 주호 공간구조와 교류행태, 공간구조와 사회연결망의 계획적 특성 등을 분석한다. 분석방법은 ANOVA, 교차분석 등을 적용한다. 이에 따른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구임대아파트의 단지 내·외부 공간연결 관계는 주민들이 교류하는데 불리한 공간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단지 내·외부의 공간네트워크는 연결성이 약하여 단지 내부가 주변지역으로부터 고립되는 공간구조로 나타난다. 단지 내의 부대복리시설은 주동과 분리되어 있고 공간적 접근성도 낮아 주민들이 이웃을 찾아가기에 어려운 공간구조로 되어있다. 이는 이웃과의 자연스러운 교류에 불리한 환경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영구임대아파트는 사회연결망이 열악한 수준이며 지역 애착도 낮지만, 공적 연락관계망을 통해 사회연결망을 회복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었다. 친한 이웃의 수는 평균 1~2가구 수준으로 사회적 관계가 낮고 이웃 및 단지에 관한 관심도도 부정적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사회연결망 중심은 주민이 아닌, 공공관리자가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공공관리자가 부재하면 대부분의 사회연결망은 해체되는 현상이 나타난. 단, 단지 문제를 상의하는 공적 연락관계망은 기초적인 연결 체계를 유지하고 있어 지역공동체를 회복하는데 중요한 관계망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셋째, 주민의 사회연결망은 거주공간의 공간구조적 접근성이 높으면 낮아지고, 공간구조적 접근성이 보통이거나 낮으면 교류가 양호해지는 패턴으로, 일반적인 교류공간의 패턴과 상이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즉, 거주공간의 공간적 접근성이 높으면 주민들은 불편한 대인 접촉을 경험해야 하므로 교류회피 현상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이웃 간의 연결 관계가 낮아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거주공간의 공간적 접근성이 낮으면 주민들은 고립감을 느끼고, 이에 따라 교류욕구가 발생함으로써 의도적인 교류 활동이 보이는 것으로 해석된다. 넷째, 영구임대아파트의 주민들은 신체적 활동영역에 한계가 있어 내집 또는 이웃집, 복도 및 엘리베이터에서 이웃과 교류를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복도 및 엘리베이터에서 교류하는 빈도가 높은 것은 주민들이 우연히 이웃을 만나는 자연스러운 교류를 선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부대복리시설 중에는 복지관과 산책로에서 교류행태가 주로 나타나는데, 이는 목적성 교류나 의도적 교류로 이해된다. 반면 관리사무소나 상가는 교류기능이 없는 시설이며, 놀이터나 운동시설은 교류활동에 활용되지 못하는 시설로 확인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기본적으로 영구임대아파트의 공간구조와 사회연결망의 관계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거주공간의 공간구조 특성에 따른 사회연결망과 교류행태는 일반적인 교류공간에서 발생하는 교류행태와 상이하게 나타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결과는 영구임대아파트의 공간구조와 사회연결망의 계획적 특성을 논의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주거환경의 공간구조와 주민의 사회연결망 관계를 최초로 규명하였다는 점에 학술적 의의가 있다. 또한 기존 사회연결망 연구에서 고려하지 못했던 거주공간에 주목하여, 개인의 사회연결망 강도를 분석한 것은 공간과 사회적 특성을 통합적인 관점에서 접근한 시도에 의미가 있다. 이는 주거환경 연구 분야의 새로운 시각을 마련해 주고 향후 확대 연구가 가능한 기반을 마련해 준 중요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구임대아파트의 주거환경과 사회연결망을 개선하는데 있어서, 사회·공간적 통합 방안을 제시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특히 영구임대아파트의 새로운 모델을 모색하는 시점인 만큼 단지의 사회연결망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계획 측면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카드뮴에 노출된 마우스 신장세포에서 자가포식 손상과 p53 응집에 의한 세포사멸 유도에 관한 연구

        김주영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스트레스에 의해 유전자의 손상을 받게 되면, 세포는 p53 의존성의 세포자가포식을 유도한다. 본 연구는 세포질 존재 p53이 카드뮴 독성에 의한 세포사멸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신장 사구체 세포 (MES13E)에서 밝혔다. MES13E 세포에 카드뮴 노출은 카스 페이스 의존성 PARP-1 절단과 소포체 스트레스 매개 CHOP의 유도를 통해 세포사멸을 유도했다. 카드뮴에 노출된 ME13E 세포에서 p53 단백질은 단량체 p53 및 폴리 유비퀴틴 화된 p53 (polyUb-p53)으로 발현되었다. 단량체 p53은 카드뮴의 농도와 노출 시간에 의존적으로 감소되었다. PolyUb-p53은 세포질에서 일시적인 축적 현상과 함께 응집 현상을 나타냈으며, 이 결과는 프로테아좀 활성에 비의존적인 것으로 확인 되었다. 카드뮴 처리 후 세포 자가포식 기질인 p62 / sequestosome-1 (SQSTM1)는 면역 침강 분석에 의해 유비퀴틴 (Ub) 과 상호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62 단백질은 단량체 및 폴리 유비퀴틴화 (polyUb) 된 형태로, 세포질에서 일시적으로 축적되었으며, 축적 패턴은 p53의 축적 패턴과 유사했다. 면역 침강분석에 의해 p53은 Ub 및 p62과 상호 작용하는 것으로 규명하였다. p62의 유전자 발현 억제는 polyUb-p53을 억제하였으며, 단량체 p53의 핵으로의 이동을 증가시켰다. 자가포식 관련 유전자 Atg5의 발현 억제는 카드뮴 유도 polyUb-p62 및 polyUb-p53을 억제하고 단량체 p53의 핵으로의 이동을 증가시켰다. LC3B의 면역 침강분석을 통해 LC3B는 p53 및 p62와 상호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p53의 단백질 수준과 세포 내 분포가 p62 매개 세포 자가포식작용에 의해 조절됨을 나타낼 뿐 아니라 세포질 내의 축적이 세포 자가포식작용의 일시적인 손상에 의해 초래되었음을 나타낸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는 polyUb-p62에 의해 p53이 세포 자가포식 소포로 이동된 후 일시적인 축적을 통해 세포사멸을 유도함으로써, 이는 카드뮴에 의한 세포 및 신장의 조직 손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결과를 보여준다. Upon genotoxic stress, cells can induce p53-dependent autophagy. Here we show that cytoplasmic p53 plays a critical role in cadmium (Cd) induced apoptosis in kidney messangial cells (MES13E), which was regulated by p62-mediated autophagy. Cd exposure to MES13E cells induced apoptosis through caspase-dependent PARP-1 cleavage and endoplasmic reticulum (ER) stress-mediated CHOP induction. In Cd-exposed ME13 cells, p53 protein detected as monomeric p53 and poly-ubiquitinated (PolyUb)-p53 forms. Monomeric p53 decreased concentration- and exposure time-dependent manner, and PolyUb-p53 transiently accumulated and revealed aggregated in the cytosol compartment, which was independent of proteasome. After Cd exposure, p62/sequestosome-1 (SQSTM1), an autophagy substrate, interacted with ubiquitin (Ub) as demonstrated by immunoprecipitation analysis. p62 accumulated in monomeric and polyubiquitinated (polyUb) forms, and their accumulation patterns were similar as those of p53. Immunoprecipitation analysis revealed that p53 interacted with Ub and p62, respectively. Knockdown of p62 suppressed polyUb-p53, upregulating monomeric p53, and increasing nuclear localized p53. Autophagy inhibition by knockdown of autophagy related 5 (Atg5) suppressed Cd-induced polyUb-p62 and polyUb-p53, upregulating monomeric p53, and increasing nuclear p53, indicating that p53 protein level and subcellular localization were regulated by p62-mediated autophagy. IP analysis for LC3B revealed that LC3B interacted with p53 as well as p62. Overall, our findings show that polyUb-p62 targeted p53 to autophagosomes, playing a crucial role in Cd-induced cell death and kidney damage.

      • 천문과학관을 활용한 통합과학 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 : 국립과천과학관 천문우주관을 중심으로

        김주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요약 천문과학관을 활용한 통합과학 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 -국립과천과학관 천문우주관을 중심으로 - 김주영 통합과학교육 전공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체험학습은 학생이 주체적으로 학습 활동에 참여하여 창의적 문제해결력, 인성발달, 잠재능력 등을 신장할 수 있으며 2015 개정 통합과학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학생 참여형 학습에 가장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이다. 현재 공립 및 사립 천문대가 30여개에 이르며 국·공립 및 사립 과학관에도 천문과학관 전시물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과학관에 대한 체험학습 프로그램은 많이 연구되어 왔으나 천문과학관을 이용한 체험학습 프로그램 연구는 천체 투영관을 활용하는 정도의 프로그램만 몇 개 있을 뿐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국립과천과학관 천문우주관의 스페이스월드, 천문대, 천체투영관을 활용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과학의 물질의 규칙성과 결합 단원과 연관된 전시물을 분석하여 체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체험학습 전 준비 단계 과정을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제시하여 과학적 호기심을 자극하였고, 체험학습 중에 다양한 과제를 제시하고,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학생들이 체험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다. 국립과천과학관 천문우주관에 있는 전시물 내용을 바탕으로 메타버스 플랫폼 ‘게더타운’을 이용하여 가상 교실 제작하였고, 의자, 책상, 칠판, 게시판 등 현재 교실과 같은 모습으로 만들어 학생들이 교실에서 수업받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게 하였다. 또한,‘게더타운’의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쉬는 시간 동안 교실을 둘러보면서 친구들과 대화도 하고, 전시관 관련 영상도 보는 공간을 제작하여 의사소통이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수업이 시작되면 전체 알림을 이용하여 학생들이 자리에 앉도록 하고, 국립과천과학관 가상 전시관에 접속하여 화면공유기능을 이용하여 스페이스월드, 천문대, 천체투영관의 전시물에 대한 대략적인 설명을 통해 현장에서 수업을 받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게 하였다. 체험학습 전·중·후와 체험학습 연계 창의적 체험활동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과학적 사고력과 잠재력 뿐만 아니라 자기주도성, 자아효능감까지 성장할 수 있는 정교화된 체험학습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모든 프로그램은 단계별로 연결되어있어 과학에 대한 호기심과 흥미를 갖게 하고, 체험학습 중 학생의 자율성을 최대한으로 보장하여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과 자존감 향상에 크게 도움이 된다. 또한, 4차 산업시대를 살아가야할 학생들에게 적합한 종이로 된 활동지가 아닌 온라인 플랫폼 설문지와 메타버스 플랫폼 가상 교실을 제공함으로써 교육 플랫폼의 변화를 찾아보았다. 그리고 친구들과 함께 플라네타리움(Planetarium)을 제작하는 활동은 함께 하면 해낼 수 있다는 팀워크의 중요성을 기대할 수 있는 유의미한 학습 프로그램이며, 과학과 핵심역량 함양에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Abstract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Science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 Utilizing Astronomical Science Museums - Focusing on the Astro-Science Museum of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 Jooyoung Kim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maj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onsei University Experiential learning is the most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student participatory learning pursued by the Integrated Science subject of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as students can participate in learning activities independently to enhanc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personality development, and potential. Currently, there are more than 30 public and private observatories in the country. Also, an increasing number of public and private science museums are having exhibitions related to astronomical science museums within them.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s related to science museums. However, there have been only a handful of programs that utilize planetariums when it comes to the studies on experiential learning utilizing astronomical science museums.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utilized the Space World, observatory, and planetarium of the Astronomical Science Museum of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and analyzed the exhibitions that were related to the chapter on the regularity and combinations of matters in the Integrated Science subject of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to develop an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 By presenting the preparatory process before experiential learning as a metaverse platform, scientific curiosity was stimulated, various tasks were presented during experiential learning, and the program was operated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student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experiential learning. Based on the exhibitions in the Astronomical Science Museum of the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prior to the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the researcher utilized the 'Gather Town, ' which is a metaverse platform in order to build a virtual classroom that included chairs, desks, blackboards, and bulletins, making it look like a real classroom, which yielded an effect that was comparable to a class that was conducted in a real classroom. Also, by utilizing the objects in Gather Town, the students were allowed to look around the classrooms, talk to their peers, and watch the videos of the exhibition halls, making it possible to communicate. Also, once the class began, the alert message was sent to all to make sure the students were seated in their places. Then, the virtual exhibition room of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was accessed, utilizing the screen sharing function, to give a general description of the Space World, Observatory, and Planetarium, yielding an effect that was similar to a class conducted in the field. The time points before, during, and after the experiential learning and the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that were connected to the experiential learning were seamlessly interconnected, in order to design a refined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 where the students can develop scientific thinking and potential, along with self-autonomy and self-efficacy. Each step of all programs was connected to another so that the students developed curiosity and interest in science. Self-autonomy of the students during the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was allowed to the maximum level, which can help the enhancement of self-autonomous learning skills and self-esteem greatly. Also, the researcher intended to bring changes to the educational platforms by providing a metaverse-based virtual classroom and an online class survey form rather than paper-based activity sheets to prepare the students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of the 21st century. The learning program had a significant meaning as the students could learn the importance of teamwork, which allows them to do anything when working as a team, as they built a planetarium with their friends. It is expected that this program c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core capabilities.

      • Development of β-glucan-enriched materials from mushrooms by green processing and evaluation of their processing performance in foods

        김주영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Low grade Chamsong-I mushrooms (Lentinus edodes) were utilized to produce β-glucan-enriched materials (BGEMs) in an environmentally friendly way and their baking performance was investigated as a high-fiber and less-calorie flour substitute. Chamsong-I mushroom that was finely ground to pass through a 50 mesh sieve, was subjected to several thermo-physical/mechanical treatments (homogenization, ultrasonication, autoclaving, and boiling) and sequential enzymatic treatments were applied. Then, the combined physical/enzymatic processing procedures were established to produce BGEMs. The isolated BGEMs contained 48.62% (1-3)-β-glucans with (1-6)-β-linked side chains of which chemical structure was confirmed by (13)^C NMR and FT-IR analysis and their average molecular weight was determined to be 220kDa. When BGEMs were used for wheat flour, the water absorption index and swelling power at 25oC increased with increasing levels of BGEMs while significant decreases in the water hydration properties were observed. Also, replacement of some of wheat flour with BGEMs gave the solutions with lower pasting parameters and also caused significant changes in starch gelatinization. When BGEMs were incorporated into cake formulations, the batter viscosity increased with more shear-thinning behaviors which could be well described by the Power law equation. In addition, more elastic properties were observed in cake batters with increasing levels of BGEMs. After baking, there was an overall tendency that the cakes containing more BGEMs exhibited decreased volume and increased hardness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control and BGEMs cakes containing 1 g per serving β-glucan. Thus, as a wheat flour substitute, the BGEMs that were prepared from low grade Lentinus edodes mushrooms, could be successfully used to produce cakes containing 1 g per serving β-glucan with similar quality attributes to the control. 저 등급 참 송이 버섯을 활용하여 친환경 천연공법을 통해 베타글루칸 강화 소재를 생산하고 고식이 섬유, 저칼로리 밀가루 대체 소재로써 그 가공적성을 조사 하였다. 50 mesh를 통과한 참 송이 버섯 분말에 열-물리적/기계적 처리 그리고 효소처리를 통하여 베타글루칸 강화 소재를 만들 수 있는 물리적 처리와 효소처리가 결합된 공정을 만들었다. 분리된 베타글루칸 강화 소재의 베타글루칸 함량은 48.62% 이며 (13)^C NMR 과 FT-IR을 통하여 그 구조가 곁사슬 (1-6) 결합을 가진 베타-(1-3)-글루칸 임을 확인하였으며 평균 분자량은 220kDa 으로 측정되었다. 베타글루칸 강화 소재를 밀가루에 적용하였을 때 상온에서는 베타글루칸 강화 소재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물 흡착능과 팽윤력 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용해도는 감소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베타글루칸 강화 소재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페이스팅 형성 능를 감소시키고 전분 호화에 영향을 미쳤다. 한편, 베타글루칸 강화 소재를 cake에 적용하였을 때 베타글루칸 강화 소재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cake batter의 점도는 증가하였고 Power law 모델식에 적용해 봄으로서 점점 shear-thinning의 유동특이성을 보여줌을 알 수 있었다. 게다가 cake batter는 베타글루칸 강화 소재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점점 탄성적인 성질이 강해짐이 관찰되었다. 베이킹 후, 더 많은 양의 베타글루칸 강화 소재를 함유한 cake일수록 cake 부피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경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1인분당 1 g의 베타글루칸을 함유한 cake까지는 control cake과 비교하여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국, 저 등급 참 송이 버섯에서 생산한 베타글루칸 강화 소재를 밀가루 대체 소재로서 cake에 적용하였을 때 control cake과 품질이 같은 cake(1인분당 1g의 베타글루칸 함유)을 생산할 수 있었다.

      • 강박과 분노의 관계 : 적대적 귀인편향에 의해 조절된 낮은 지각된 통제감의 매개효과

        김주영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강박과 분노의 관계에서 낮은 지각된 통제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이 경로에서 적대적 귀인편향이 낮은 지각된 통제감과 분노의 관계에 작용하여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 336명을 대상으로 한국어판 단축형 강박증상 목록(OCI-R-K),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STAXI-K), 한국판 Shapiro 통제척도(K-SCI), 가설적 상황도구(Hypothetical situation instrument)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효과,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 모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강박증상과 역기능적 분노표현(분노표출, 분노억제)의 관계에서 낮은 지각된 통제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여, 강박증상은 낮은 지각된 통제감을 매개하여 역기능적 분노표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낮은 지각된 통제감과 역기능적 분노표현의 관계에서 적대적 귀인편향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여, 적대적 귀인편향이 높을수록 낮은 지각된 통제감이 역기능적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를 통합한 강박증상과 역기능적 분노표현 사이를 낮은 지각된 통제감이 매개하는 경로에서, 적대적 귀인편향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강박증상이 낮은 지각된 통제감을 거쳐 역기능적 분노표현으로 가는 경로에서 적대적 귀인편향이 위험요인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와 한계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