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영토 개념의 재고와 홍일식의 문화영토 개념의 함의 - 『文化領土時代의 民族文化』, 『문화대국으로 가는 길』을 중심으로

        박치완 재단법인 문화영토연구원 2023 문화영토연구 Vol.4 No.2

        If a territory does not exist, we cannot even ask whether people exist. Territorial rights are the minimum conditions for a nation to be a nation. Personal freedom and sovereignty are only given to citizens whose territorial rights are guaranteed. In this regard, the importance of territory as a community member’s horizon and stage of life cannot be overemphasized. That is why “territorial transformation thinking” is necessary in today’s era of de-territoriality and de-bordering. Territory-nation-state is like “one living thing.” The protection of national sovereignty and the promotion of civil rights are rights required and practiced on the territory. Hong Il-Sik had previously emphasized that it was time for “a great awakening and eruption of intellectuals toward national culture,” targeting intellectuals in the Republic of Korea who had forgotten the value of their own culture and were wandering without direction due to being enchanted by foreign colonial theories. For people who forget, according to Hong Il-Sik, the “history of the nation’s cultural territory,” only the history of colonialism is repeated. Hong Il-Sik believed that only when the cultural territory, not the economic or political territory, is solid, can one fight against the unjust and unequal external hegemony that breaks the boundaries and seizes power within the country's territory. In this study, we will attempt a new interpretation of Hong Il-Sik's “cultural territory theory” by focusing on creating of a common human culture in Chapter 2, and on cosmopolitan citizenship as a humanism and democracy in Chapter 3. In the conclusion, I would like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reevaluate the message of cultural territory theory from a “homo glocalicus perspective”. 영토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국민이 존재하느냐고 물을 수조차 없다. 영토권은 한 국가가 국가로서 존재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이다. 개인의 자유도 주권도 영토권이 보장된 국민에게만 부여된다. 공동체 구성원의 삶의 지평이자 무대인 영토의 중요성은 이런 점에서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오늘과 같은 탈영토·탈경계의 시대에 역으로 ‘영토 전환적 사고’가 필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영토-국민-국가는 ‘하나의 생명체’나 같다. 국권의 수호도 민권의 신장도 모두 영토 위에서 요구되고 실천되는 권리이다. 일찍이 홍일식은 제 문화의 가치를 망각하고 외래의 식민지 이론에 넋이 빠져 방향성 없이 갈팡질팡하는 대한민국의 지식인들을 겨냥해 “민족문화에 대한 지식인의 대오각성과 분발”이 필요한 때라고 강조한 바 있다. 그에 따르면 “민족의 문화영토가 지닌 역사”를 망각한 국민에게는 식민의 역사만 반복될 뿐이다. 홍일식이 정치-경제영토가 아닌 문화영토가 견고해야만 경계들을 부수고 자국의 영토 내로 권력을 장악해 들어오는 부정의·불평등한 외부적 패권에 맞설 수 있다고 강조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홍일식의 ‘문화영토론’을 제2장에서는 인류 공동문화의 창조에 초점을 맞추어, 제3장에서는 인본·민본주의로서 세계시민론에 초점을 맞추어 새로운 해석을 시도할 것이다. 그리고 결론에서는, 문화영토론의 메시지를 ‘호모 글로칼리쿠스적 관점’에서 재평가해 볼 계획이다.

      • KCI등재후보

        중국 연구자는 K-드라마를 어떻게 읽는가? - 의미 네트워크(Semantic Network)로 보는 중국의 K-드라마 연구 담론

        이유정 재단법인 문화영토연구원 2023 문화영토연구 Vol.4 No.2

        중국의 한국드라마 연구는 한국 드라마의 대중적 인기에 힘입어 시작되었다. 한중 양국의 정치외교 갈등으로 인해 양적 감소가 있었으나 한국드라마에 대한 관심과 학술적 연구는 지속되어 왔다. 이 연구는 한류 연구의 한 축으로 본 중국의 한국드라마 연구 담론에 대한 보완적 성격을 가지며 최근의 중국 학술 담론의 변화와 동향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중국 최대 학술문헌 아카이브 知網(CNKI)에서 핵심 학술지를 대상으로 ‘한국드라마(韓劇)’을 키워드로 학술문헌 총 149편을 수집하여 논문초록을 텍스트 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한 결과, 1단계 2013~2016년 기간 중국 연구자는 한국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 <태양의 후예> 등 중국사회에서 인기 있었던 한국드라마의 성공 요인을 분석하는 학술 담론이주를 이루었다. 특히 한국 드라마를 매개로 한국의 문화산업 발전 전략, 세계 대중문화에의 영향을 ‘문화수출’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중국 문화산업에 참고할 것을 주문하는 연구가 많았다. 중국 시청자가 한국드라마를좋아하는 원인 분석에서 한국드라마 텍스트가 지닌 서사적 특징, 영상 편집을 유미주의(唯美主義) 경향으로 보고, 이를 중국드라마 발전에 활용 방안을 제언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2단계 2017~2023년에는 <오징어게임>의 글로벌 대유행에 주목하고 그 원인이 넷플릭스와 같은 글로벌 플랫폼의 활용에 있다고 인식하면서 한국드라마를 매개로 주로 미디어 플랫폼을 둘러싼 매체 효과와 전략에 관한 학술 담론이 등장하였다. 또한 중국 드라마의 해외진출, 한국을 사례로 드라마를 통한 국가 소프트파워 증진에 인터넷과 미디어를 활용하는 정책 시행을 제언하는 실용적 담론이 많았다. 주목할 만한 점은2013~2023년 기간 동안 중국 연구자는 한국드라마가 중국에서 대중화되면서 시청자 특히 여성, 대학생의 가치관 형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수용자 연구 담론이 증가 추세하고 있는 것이다. Research on Korean dramas in Chinese academia began thanks to the popularity of Korean dramas. Although there has been a quantitative decline due to political and diplomatic conflicts between Korea and China, academic research and perspectives on Korean dramas have continued. This study has a complementary nature to the existing meta-analysis of Korean drama research discourse in Chinese academia and seeks to examine recent changes and trends in academic discourse.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beginning of the Korean Wave in China originated from ‘Korean dramas.’ Chinese viewers have experienced changes in Korean dramas for a long time, and Korean dramas are currently recognized as the most interesting dramas in China. As a result of text mining and network analysis of the abstracts, a total of 149 academic papers were collected using the keyword 'Korean drama' from key academic journals at CNKI, China's largest academic literature archive, from 2013 to 2016 in the first stage. During this period, Chinese researchers paid attention to the popularity of Korean dramas in Chinese society, such as <My Love from the Star> and <Descendants of the Sun>, and mainly conducted academic discourse analyzing the factors of their success. In particular,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analyzing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cultural industry through Korean dramas and the influence of world popular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export’ and calling for reference to the Chinese cultural industry. In analyzing the reasons why Chinese viewers like Korean dramas, research that suggests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Chinese dramas is mainly based on the romance of Korean drama texts, the narrative composition reflecting real-life subjects, and sophisticated video editing, which are seen as aesthetic tendencies. achieved. In the second stage, from 2017 to 2023, attention was paid to the global pandemic of <Squid Game> and the cause was recognized as the use of global platforms such as Netflix, and academic discourse emerged mainly on media effects and strategies surrounding media platforms. In addition, there was a lot of practical discourse suggesting the implementation of policies that utilize the Internet and media to expand Chinese dramas overseas and promote national soft power through dramas using Korea as an example. What is noteworthy is that between 2013 and 2023, as Korean dramas became popular in China, Chinese researchers began to engage in audience research discourse that analyzed the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values of viewers, especially women and college students.

      • KCI등재후보

        K-Culture의 핵심 동력, 한국어의 세계화 전략 - 전 세계 한국어 보급 관련 문화체육관관광부 정책 ‘한국어 세계화 전략’을 중심으로

        정원기 재단법인 문화영토연구원 2023 문화영토연구 Vol.4 No.2

        본 논문은 한글의 세계화 전략에 대한 방안으로 전 세계 한국어 보급과 관련하여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발표한 ‘한국어 세계화 전략’이라는 정책을 중심으로 정책의 과제를 제언하고 향후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한국어 세계화 전략’으로 문화체육관광부에서 공시한 ‘한국어 세계화 전략’ 다섯 가지 전략(‘촘촘하게, 똑똑하게, 문화로 재미있게,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현지 기반 탄탄하게’)을 제시하고 다섯 가지 키워드로 제시된 정책을 중심으로 정책의 과제를 제언하고 향후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하면서 한국어와 한국문화의 보급 및 발전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본고에서 제시한 ‘한국어 세계화 전략’에 대한 발전 방향성의 내용을 크게 다섯 가지로 요약하면 첫 째, 해외 많은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육원 및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접할 수 있는 곳이 늘어나야 한다는 것이고, 두 번째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교육, 보급하기 위해 교원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세 번째는 문화교육 측면에서 언어에 집중된 교육을 한류를 통한 다양한 콘텐츠의 개발을 하여 해외 한국 문화 보급에 더 많은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네 번째는 최근 온라인 관련하여 다양한 플랫폼이 개발되고 이러한 콘텐츠를 활용하여 한국어 및 한국 문화를 교육하고 보급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은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배우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직접 교육을 할 수 있는 전문적인 인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현지 기반을 탄탄하게 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policy tasks and derive implications for future development, focusing on the policy of "Korean Globalization Strategy"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regarding the distribution of Korean language around the world. As a "Korean Globalization Strategy," five strategies for "Korean Globalization Strategy"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ight, Smart, Fun with Culture, Anytime, Convenient, and Local-Based Solid') were presented, and policy tasks were suggested around the policies presented with five keyword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development were drawn, suggesting the direction of the spread and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o summarize the five major development directions for the "Korean Globalization Strategy" presented in this paper, first, there should be more educational centers for many Korean language learners abroad and places where they can access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nd second, teacher education is needed to educate and disseminat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ird, in terms of cultur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make more efforts to spread Korean culture abroad by developing various contents through the Korean Wave through language-focused education. Fourth, various platforms have recently been developed in relation to online, and these contents should be used to educate and disseminat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e last is to strengthen the local base so that Korean language learners can grow into professional manpower who can directly educate themselves, not just learn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