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합교육과정 연구 학술지 연구 동향 분석: 2007년부터 2020년을 중심으로

        윤옥한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in 255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Curriculum Integration from 2007 to 2020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integrated curriculum research.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the combined number of universities and elementary schools by researcher affiliation was 236 (92.5%). Secon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rends analysis by research method revealed that theoretical research articles, numbering 123, constituted the most articles (50%), followed by 46 qualitative (18.2%), 43 quantitative (13.6%), and 43 practical research articles (13.6%). Thir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rends analysis by study subject reveale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the subject comprising the most articles (138 or 54.1%). Fourth,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rends analysis by research topic indicated that articles in the curriculum theory field, numbering 78, comprised the most articles (30.6%). Sugges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area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should be expanded. Second, resistance that appears when the integrated curriculum is constructed and applied must be overcome. Third, for the realization of the integrated education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national curriculum and legal basis.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통합교육과정학회지에서 발행하는 통합교육과정 연구논문을 2007년부터 2020년까지 총 255편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통합교육과정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 소속별로 보면 대학교와 초등학교를 합치면 236편(92.5%)으로 연구자 대부분은 대학교수와 초등학교 교사로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 방법별 현황분석 결과는 이론연구가 123편(50%)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다음이 질적연구가 46편(18.2%), 양적연구 43편(13.6%), 실천연구 43편(13.6%)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대상자별 현황분석 결과는 초등학생이 138편(54.1%)으로 가장 많았다. 넷째, 연구 주제별 현황분석 결과는 교육과정 이론 분야가 78편(30.6%)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과정의 연구 영역을 확장해야 한다. 둘째, 통합교육과정이 구성되고 적용될 때 나타나는 저항을 극복해야 한다. 셋째, 통합교육과정의 구현을 위해서는 국가교육 과정과 법적인 근거 마련이 필요하다.

      • 통합관점의 기술준비지수와 도입 효과에 관한 연구

        프파 레스레이 암비(Pupah Lesley Ambi ),타베 이카오카 엘비스(Tabe Ekouka Elvis ) 글로벌융합연구학회 2022 글로벌융합연구학회지 Vol.1 No.2

        한국의 식품의약국(FDA)은 환자가 약의 복용 여부를 의사에게 얄릴 수 있는 센서가 있는 의약품인 디지털 알약을 승인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알약이 제기하는 윤리적, 사회적 문제를 진단하고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디지털 알약의 올바른 사용에 기여하는 것이다. 첫째, 사용자가 우리의 삶을 건강하게 변화시키는 디지털 알약 혁명을 수용할 수 있는 좋은 인식을 준비 한다. 둘째, 디지털 알약의 채택을 위해 기술준비지수와 기술수용이론을 개발, 테스트 및 검증한다. 셋째, 디지털 알약의 채택에 대한 사용자의 이해와 계속 사용을 고려한다. 연구의 방법론은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실증적 연구를 수행한다. 디지털 알약의 기존연구의 한계를 최소화하면서, 디지털 알약의 필요성을 알리는 것을 목표로 기존연구의 개념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연결한다. 문헌 검토에서 공식화된 기술준비지수 및 기술수용모델은 Amazon Mechanical Turk에서 수행된 온라인 설문조사에서 얻은 데이터로부터 실증적으로 검증되었다. 총 319개의 데이터 표본을 수집하고 9개의 무효 응답을 제거한 후 310개의 유효 응답을 분석했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 기법을 사용하였다. 설문 분석에는 Smart PLS 3.0 및 IBM SPSS 버전 23.0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기술준비지수와 기술수용모델을 조사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하여 기술준비지수와 도입 의도와의 관계를 살펴본다. 분석 결과는 낙관론, 혁신성, 불안정, 불편함이 인지된 사용 용이성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실증적 공헌은 디지털 알약 사용에 의한 의사결정 과정의 중요한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와 설명이다. Korea's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authorized digital tablets, which are pharmaceuticals with a sensor that may notify doctors whether or not patients are taking their med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proper usage of digital pills, by highlighting the main ethical and social challenges it raises and providing solutions. The purpose are as follows. (1) to prepare a good perception for users to accept the digital pills revolution that is changing our lives health-wise, (2) to develop, test, and validate TRI and TAM for the adoption of digital pills, (3) to strengthen the user's understanding of the digital pill's adoption and continue to use, this study's methodology is appropriate for gathering data and addressing the research questions via an online survey. The methodologies are conceptually and practically linked with previous research, with the goal of building on them while minimizing the limitations of previous work. The TRI and TAM formulated from the literature review were empirically validated from data acquired in an online survey conducted on Amazon Mechanical Turk. ln total 319, samples were gathered and 310 valid responses were analyzed after eliminating 9 invalid responses. This study us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chnique, which allows for simultaneous analysis. SmartPLS 3.0 and TBM SPSS version 23.0 were used for the analysis. Moreover, this study investigates TRI and TAM, however, the primary purpose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ntecedents' (TRI) technological readiness index and Adoption Inten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how that optimism, innovativeness, discomfo1t, and Insecurity have positive impacts on perceived ease of use. The majority of the given hypotheses are supported by a satisfactory overall model fit index. The empirical findings of this study add to our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of the critical mechanism underlying digital pill users' adoption intention decision-making process.

      • KCI등재

        중국 초등 융합교육과정의 특징과 융합수업 모형 분석

        Jiuxiang Li,김선미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11

        본 연구는 최근 중국 기초교육 개혁의 주된 관심으로 대두되고 있는 초등학교 융합교육과정의 특징과 실행을 이해하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중국 융합교육과정 정책 자료와 초등학교 융합교육과정 관련 문건, 그리고 중국학자들의 초등 융합교육과정에 대한 최근 논의를 검토함으로써 중국 융합교육과정의 동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융합교육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하기 위하여 어떠한 융합수업 모델들이 제시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지역 교육청과 학교 수준의 융합수업 모형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중국은 2001년 교육과정 개혁을 통해 통합교육과정을 도입하게 되었으며, 이를 기본 바탕으로 이후 개정과 보완을 통해 실질적인 운영과 실천이 가능할 수 있도록 심화 발전시켜 나가고자 하였다. 2014년 개정교육과정 이후에는 핵심역량을 구심점으로 하는 주제 중심 융합교육과정의 실천을 강조하고 있으며, 교과목 지식의 학제 간 연결을 넘어서 생활과 교수방법 측면에서의 총체적인 통합과 문제해결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도구로서의 융합수업을 강조하고 있었다. 특히, 스포츠, 노동, 과학기술 영역을 융합교육과정에서 주요 교과목으로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 초등교육에서는 융합교육 시범학교를 중심으로 융합수업 설계를 위한 수업모형을 활발히 연구하려는 추세에 있지만, 아직은 대체로 실험단계에 놓여 있으며, 향후 각 지역의 학교 단위로 점차 박차를 가하여 다양한 지역에 균형 있는 확산이 진행되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Chinese elementary school education, especially the integrated curriculum, and characteristics of it which has recently become a critical issue in Chinese educational reform. It focuses on Chinese educational reform policy on the integrated curriculum from 2000 to present, as well as the model development for the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provided by region and school levels in China. For this inquiry, materials such as the curriculum documents of the Chinese Ministry of Education since 2000 and school districts in China were thoroughly reviewed. Also, it intended to analyze the research works on the integrated curriculum and models of it produced mainly by Chinese scholars. China introduced an integrated curriculum through curriculum reform in 2001. After that, it had been expended in depth to enable operation through continuous revision and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curriculum models. In particular, through the revised curriculum introduced in 2014, Key-skills and subject-centered integrated curriculum became central points on curriculum issues. It was noticed that the Chinese curriculum emphasized to improve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connected with daily life and learning process beyond the simple interdisciplinary connection of subject knowledge. It is found that school subjects such as Sports, IT & science, and labor education were more emphasized among school subject matters than previous curriculum. In order to help the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model schools or pilot schools were selected and being tried to study actively on the integrated curriculum, but it is yet at the beginning, and the balanced spread toward each local school unit is expected to accelerate.

      • KCI등재

        청소년 상담에서 예술매체를 활용한 공감 연구동향 분석 및 고찰

        박선영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21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7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onsider research trends on empathy theory based on studies using various arts media in the field of youth counseling. First, the research trend of empathy theory using art media in youth counseling is the subject word of 'Adolescent Empathy' and 'Adolescent Empathy Arts among academic journal papers registered in KCI on RISS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from 2010 to April 2021 a total of 78 articles were retrieved. Among them, 'Adolescent Empathy' and 'Adolescent Empathy Arts were searched for in 9 academic journal areas, and 32 papers containing 'Empathy' in the thesis title were finally se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tatus of adolescent empathy papers by year was 3 in 2010, 3 in 2012, 3 in 2013, 1 in 2014, 6 in 2015, 3 in 2017, 7 in 2018, 4 in 2019, and 2020 was reported as one in a year and one in 2021, The age division of the group was confirmed as early adolescents, middle 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late adolescents, and adolescent-related adults. Also, as for group design, single-experimental group studies were the most common, and there were many studies using quantitative analysis. Among them, research related to arts therapy using arts media was found to be very incomplete with a total of 4 out of 32 papers. Therefor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that the number of empathy studies using art media in youth counseling is very limited and insufficient, future research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basic data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rts as a therapeutic tool.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상담 분야에서 다양한 예술매체를 활용한 연구들을 기초로 하여 공감에 대한 연구동향을 분석 고찰하는 것이다. 먼저 청소년 상담에서 예술매체를 활용한 공감의 연구동향은 2010년부터 2021년 4월까지 RISS(학술연구정보 서비스)에 KCI 등재된 학술지 논문 중 ‘청소년 공감’, ‘청소년 공감 예술’이라는 주제어 키워드로 검색된 논문은 총 78편이었다. 이 중 9개의 학술지 영역에서 ‘청소년 공감’,‘청소년 공감 예술’을 검색하여 논문 제목에서‘공감’이 포함된 논문 32편을 최종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도별 청소년 공감 논문 현황은 2010년 3편, 2012년 3편, 2013년 3편, 2014년 1편, 2015년 6편, 2017년 3편, 2018년 7편 2019년 4편, 2020년 1편 2021년 1편으로 보고 되었으며, 집단의 연령 구분을 초기 청소년, 중학생, 고등학생, 중-고등학생, 후기 청소년, 청소년 관련 성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집단 설계는 단일 실험 집단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양적 분석을 활용한 연구가 많이 나타났다. 그중 예술매체를 활용한 예술치료 관련 연구는 전체 논문 32편 중 총 4편으로 매우 미비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청소년 상담에서 예술매체를 활용한 공감 연구 수는 매우 한정적이고, 충분하지 않다는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추후 연구에서는 치료적 도구로서 예술이 지닌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아동 대상 자기격려 프로그램 연구동향 분석

        최승아,이미나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2

        In this study, by examining research trends in self-encouragement-related dissertations and academic dissertations for children, this study examines research related to encouragement and provides directions and basic data for follow-up research. It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presenting future self-encouragement research directions by arranging research results and trends through analysis. Using the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ISS), we searched for degree thesis and domestic academic thesis published in Korea for 11 years from 2010 to 2020. After searching for keywords such as 'Encouragement group program' and 'Children', 37 articles related to encouragement were selected for children. Among the articles searched for 'Encourage others' and 'Children', two articles were included, excluding duplicate articles. Among them, 20 research studies and 41 experimental studies were finally selected, excluding papers that could not be viewed in the original text. The characteristics analysis criteria of the research subjects can be explained by dividing them into individual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dividual factors were divided into 'general', 'school violence', 'learning difficulty', and 'maladjustment'. ‘General’ was classified as students with normal cognitive and emotional levels, and ‘School Violence’ was classified as students who experienced violence due to exposure to school violence. 'Difficulty in learning' refers to children who have difficulties in any one of poor learning, learned helplessness, low achievement motivation, and high test anxiety. were classified as children with. 본 연구에서는 아동을 대상으로 한 자기격려 관련 학위논문과 학술논문의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격려관련 연구를 고찰하고 후속 연구에 나아가야 할 방향과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을 통하여 연구성과와 흐름을 정리하여 향후 자기격려 연구 방향을 제시를 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학술연구 정보서비스(RISS)를 활용하여 2010년부터 2020년까지 11년간 국내에서 발표된 학위논문과 국내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검색하였다. 격려집단 프로그램’, ‘아동’의 주제어를 검색한 후 아동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격려 관련 논문 37편을 선정하였고, ‘자기격려’, ‘아동’ 검색어로 논문 중 중복된 논문을 제외한 22편과 ‘타인격려’, ‘아동’ 검색어 검색된 논문 중 중복된 논문을 제외한 2편을 포함하였다. 그 중 원문보기가 안되는 논문을 제외하여 조사연구 20편, 실험연구 41편 총 61편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의 특성 분석기준은 개인요인과 환경요인으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개인 요인은 ‘일반’, ‘학교폭력’, ‘학습곤란’, ‘부적응’영역으로 나누었다. ‘일반’은 연구대상이 인지와 정서 수준이 보통인 학생들이고, ‘학교폭력’은 연구대상이 학교폭력에 노출되어 폭력을 경험한 학생들로 분류하였다. ‘학습 곤란’은 연구대상이 학습부진, 학습된 무기력, 낮은 성취동기, 높은 시험 불안 중에 하나라도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아동들이고, ‘부적응’은 연구대상이 학교생활에서 어려움을 겪거나 부적응 경험을 겪고 있는 아동들로 분류하였다.

      • KCI등재

        건물의 조명환경 성능개선을 위한 채광시스템 연구동향 분석 연구

        정수연,이민구,이행우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5

        Energy consumption is increasing year after year, and the energy consumption in the building sector accounts for a significant part of the total consumption. The demand for technology development and research to solve increasing lighting energy consumption in buildings is growing, and daylighting systems are receiving much attention as a possible solution.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research on daylighting systems compared to building cooling energ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rend of daylighting system research related to improving the lighting environment and saving building energy and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daylighting systems. Academic articles related to daylighting systems published in Korea after 2000 were analyzed, an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main content of most related papers was centered on combining various element technologies. These combinations focused on offering different functions from daylighting systems and integrating other fields, and most results showed improved daylighting performance compared to the single-structured daylighting systems. Also, recent research has begun to integrate IT, one of the core technologies of Industry 4.0, and this trend is expected to continue. 2) Most research on developing daylighting system technologies focused on daylighting control, which requires an optimal combination of operation and control, as mentioned above. 3) Most previous studies on daylighting systems valid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technologies but only focused on energy savings. These performance evaluations should have also considered the demand and satisfaction of occupants to verify the proper performance of daylighting systems. 4) Most previous works on developing daylighting system technologies did not consider or review economic feasibility (such as initial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costs), which is a major omission in demonstrating their effectiveness and a limitation of previous studies. 에너지 사용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그중 건물에너지의 사용량은 전체 사용량에 대비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건물 에너지중 조명에너지의 사용량의 증가 문제로 인한 기술개발 및 연구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중 채광시스템은 조명에너지 사용량 증가에 대한 하나의 해결책으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채광시스템 관련한 연구분야는 건물부분의 냉방에너지 관련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빛환경 개선 및 건물에너지 저감과 관련된 채광시스템 연구의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채광시스템과 관련한 연구 방향에 대한 분석을 목표로 한다. 이에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발간된 채광시스템 관련 국내논문의 경향을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채광시스템의 기술개발에 대한 관련 논문의 주요한 내용은 요소기술간의 결합으로 보여지고 있다. 요소기술간의 결합은 채광시스템과는 다른 기능을 가지거나 타분야와의 결합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채광시스템의 단일구조에 의한 것보다 채광성능이 개선된다는 결과가 보여지고 있다. 또한 최근 연구는 4차혁명의 핵심기술인 IT기술과 결합된 연구로 이러한 경향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2) 채광시스템의 기술개발과 관련한 연구의 주요한 내용은 채광제어에 대한 수준으로, 앞서서 언급한 가동 및 제어 분야와 적절한 결합이 요구된다. 3) 채광장치의 선행연구는 기술개발에 대한 유효성 검증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에너지저감의 측면에 초점이 맞추어져 진행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채광시스템에 대한 적절한 성능검증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에너지저감 및 재실자의 요구수준 및 만족도에 근거한 성능평가가 반영되도록 개선되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 본 연구에서 수행된 채광시스템과 관련한 개발 연구 기술개발에 대한 초기 구축 비용 및 유지관리 관련 경제성을 검토하고 있지 않고 있으며, 이는 기술개발의 실효성 입증에 부적합하다. 이러한 부분은 선행연구들이 가지는 한계로 보인다.

      • KCI등재

        OTA 서비스 특성이 브랜드 선호도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

        주성완,이정실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4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10 No.3

        본 연구는 온라인 여행사(Online Travel Agency, OTA)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한 고객이 브랜드 선호도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검증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제시하고 구조방정식 경로분석을 통해 제시된 연구가설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가설 검증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OTA 서비스 특성의 적시성, 신뢰성, 정확성 및 풍부성은 브랜드 선호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1, 가설 2, 가설 3 및 가설 4의 검증결과, 적시성, 신뢰성, 정확성 및 풍부성은 브랜드 선호도에 유의한 정(+)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브랜드 선호도는 브랜드 충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5의 검증결과, 브랜드 선호도는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가 갖는 의미는 첫째, 현재 국내외의 OTA 서비스가 지닌 특성인 적시성, 신뢰성, 정확성 및 풍부성은 이용객에게 브랜드 선호도를 높일 수 있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최근 과열현상을 보이고 있는 OTA 시장에서 영속성과 생존을 위해서는 이용객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온라인 여행사는 정확한 정보과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해야 할 것이다. 둘째, 온라인 여행사의 브랜드 선호도는 이용객의 브랜드 충성도의 고취로 이어지므로 직접적인 경제수익과 연관성을 지닌 브랜드 충성도의 고취를 위해 OTA 서비스 제공 여행사는 서비스 이용객에게 정확한 정보와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있도록 지속적인 서비스 품질의 개발과 서비즈 제공 능동적 활동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성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연구의 진행에서 나타난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어 향후 연구에서는 개선할 여지가 있어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국내 OTA 업체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국한하여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점에서 연구결과가 지는 의미에 다소 미흡한 점이 있다고 판단된다. 둘째, 국내외 온라인 여행 서비스 제공업체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특성을 비교해 본다면 근본적으로 외국 온라인 여행서비스 업체와 경쟁력을 파악해볼 수 있는 연구결과의 도출이 이루어졌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brand preference and brand loyalty of customers using services provided by Online Travel Agency (OTA). To this end, research models and hypotheses were present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path analysis.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of the research hypothesis verification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Hypothesis 1, Hypothesis 2, Hypothesis 3, and Hypothesis 4 that timeliness, reliability, accuracy, and abundance of OTA service characteristic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brand preference, timeliness, reliability, accuracy, and abundanc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brand preference.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Hypothesis 5, brand preference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brand loyalty. The meaning of the above research results is. First, it was found that timeliness, reliability, accuracy, and abundance,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current domestic and foreign OTA services, can increase brand preference among users. Therefore, for persistence and survival in the OTA market, which has recently been overheating, online travel agencies should continuously provide accurate and reliable information to increase user accessibility. Second, since online travel agencies' brand preference leads to the promotion of users' brand loyalty, to promote brand loyalty that is directly related to economic profits, travel agencies that provide OTA services will need to continuously develop service quality and actively provide services to provide accurate and reliable information to service users. Despite these research achievement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in the progress of the study, so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in future studies, suggesting the following. First, the meaning of the research results is insufficient in that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ly on the services provided by domestic OTA companies.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s offered by domestic and foreign online travel service providers should be compared. The research results that can fundamentally grasp the competitiveness of foreign online travel service companies have been derived.

      • KCI등재

        대학생 관점에서 본 다학제적 학습역량에 관한 연구

        김혜진(Kim, Hye Ji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0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8 No.4

        본 연구는 세계 각국의 데세코 프로젝트 결과를 근거하여 교육정책 및 과정 그리고 혁신적인 교육(학습)역량이라는 범위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시작되었다. 학습역량을 특정 영역에 대한 복합적인 지식, 인지적, 실용적, 기술, 태도, 정서, 가치, 동기 등 다방면을 이용하여 성공적인 해결능력을 키우기 위한 융합적인 모형의 틀로 보고 있다. 다시 말해, 다학제적인 성격을 가진 학습역량이 중요한 만큼 개발된 자료와 학생들 간의 실질적인 차이와 인식에 대한 요소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다학제적인 학습역량의 자료에서 융합 부분과 그 외 영역에 대한 의미를 구분해 보았다. 연구자료를 살펴본 결과, 연구자들의 융합적인 영역으로 학습동기 및 학습심리로 보았고, 그 외 학습환경에 따는 영역으로 구분했다. 이 부분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 및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전공이 다른 대학생 대상으로 소그룹을 구성하여 2회에 걸쳐 인터뷰를 진행했다. 질문내용은 문헌 정보 및 연구자료를 토대로 내용축약과 질문유형으로 구분했다. 1차 인터뷰에서는 총 25문항으로 학업비전, 학습동기 학습조건, 학습전략, 학습환경, 학업 극복, 그 밖에 기타 문항으로 진행했고, 2차 인터뷰는 15문항으로 학습동기, 기초학습역량, 일반학습역량, 전공프로젝트 학습역량, 대인관계, 기타 문항으로 1차 내용을 반영하여 재설계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학생들은 역량이 제대로 발휘하기 위해서는 학습에 동기 여부에 달려 있다고 보았다. 연구자료 및 인터뷰 내용에서 일괄적으로 학습동기가 학습에 중요한 역량으로 파악되었다. 학생이라는 조건으로 예상된 결과라고 볼 수 있지만, 또 다른 시각으로는 많은 학생이 학습 동기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도 볼 수 있다. 학습역량이 다학제적이고 혁신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학습에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학습역량에 관한 이론과 근거도 중요하지만, 학습능력을 발휘하고 재능을 펼칠 수 있는 계기와 전공별 맞춤형 학습역량을 진단할 수 있는 도구개발 하여 유형별 학습 동기가 유발할 수 있는 개발 및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Based on the results of the Deseco project around the world, this study began in the course of studying the scope of education policy and course and innovative educational (learning) competency. The definition of learning competency is discussed in various ways by researchers. Learning competency is viewed as a convergence model framework for developing successful resolution capabilities by using multiple aspects, including complex knowledge of a particular area, cognitive, practical, technical, attitude, emotion, value and motivation. In other words, as learning competencies with a multidisciplinary nature are important,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actual differences between the developed materials and students and the factors of perception. In the data of multidisciplinary learning competencies, the meaning of the fusion part and other areas was divid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search data, it was viewed as a study motivation and learning psychology in the convergent areas of the researchers, and was divided into other areas for learning environment. In order to understand students’ opinions and perceptions on this part, a small group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ifferent majors was formed and interviewed twice. The contents of the questions were divided into summary of the contents and types of questions based on the literature information and research data. In the first interview, a total of 25 questions were conducted in terms of academic vision,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conditions, learning strategy, learning environment, academic overcoming, and other questions, and the second interview consisted of 15 questions. , Major project learning cap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other questions were redesigned to reflect the first content. Through interviews, students saw that in order to demonstrate their competence, it depends on their motivation for learning. In the research data and interview contents, collectively, learning motivation was identified as an important competency for learning. While the expected results can be seen as a condition of being a student, another view is that many students do not have a motivation to study. In order to develop multidisciplinary and innovative learning capabilities, we believe that various institutional devices that can motivate learning are needed. In addition, the theory and evidence of learning ability are important, but development and research that can be induced by type of motivation should be carried out by developing a tool that can diagnose customized learning competencies by major and an opportunity to demonstrate learning ability.

      • KCI등재

        나노 사회에서 중소기업 CEO의 상담코칭 융합 연구

        서우경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9

        본 연구는 나노 사회에서 기업의 위기를 겪은 중소기업 CEO의 삶의 경험을 내러 티브 탐구 방식을 통해 이해하고 그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담코칭 융합적 접근 방식으로 연구 참여자에게 2020년 2월부터 2023년 3월까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질적 연구에서 비확률적표집의 하나로 이용되는 유목적 표집 방법으로 중소기업 CEO 한 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나노 사회에서 화재, 구치소 수감, 집 경매 등으로 경영 위기와 심리적 어려움을 경험한 연구 참여자에게 상담과 코칭의 융합적 접근을 적용함으로써 문제로부터 빠르게 벗어나 트라우마를 극복하고 새로운 인식 전환을 가져오게 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나노 사회에서 상담 영역만 으로 해결이 어려운 연구 참여자에게 코칭과의 융합적 접근을 적용해 봄으로써 불안과 외로움, 위기 극복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담코칭 두 영역의 적용은 연구 참여자의 만족도를 높이며, 외상 후 성장을 경험하게 하는데 매우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상담코칭 융합을 위한 후속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o understand and search for meaning in the life experiences of CEO of SMEs who suffered a business crisis in the nano-society through a narrative inquiry method. To this end, this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tudy participants from February 2020 to March 2023 using a counseling coaching convergence approach. A research participant selected one CEO of SMEs through purposeful sampling, which is used as one of nonprobability sampling in qualitative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applied a convergent approach of counseling and coaching to research participant who experienced management crises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due to fires, detention centers, and house auction in the nano-society. Through this, research participant quickly escaped from the problem, overcame trauma, and brought about a new perception shift. In conclusion, this study was found to be very effective in overcoming anxiety, loneliness, and crisis through a convergence approach with coaching to research participant who are difficult to solve only in the area of counseling in the nano-society. It was shown that the application of the two areas of cou-nseling coaching was very effective in increasing the satisfaction of the research participant and experiencing post-traumatic growth. This is meaningful in providing basic data for follow-up research for counseling and coaching convergence.

      • KCI등재

        한국 콘텐츠 소비가 베트남 소비자들의 구매의도와 국가이미지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철한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12

        한국과 베트남은 문화교류와 교역에서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오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련 연구는 충분치 않았는데 따라서 한국의 드라마나 영화 음악이 베트남 소비자의 한국 제품에 대한 관점이나 한국 이미지에 대한 평가 연구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또한 기존연구들이 주로 학생을 대상으로 한 경우가 많아서 보다 일반화를 위해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기존의 제한된 수의 연구를 보완하고 실무적이고 학문적인 함의를 더하기 위해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문화권간 영향을 고려한 소비자의 행동을 연구하기 위해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의 미디어 콘텐츠 소비가 한국제품 브랜드와 국가 이미지 그리고 자민족중심주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한국의 드라마, 영화, 음악을 중심으로 수행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192명의 베트남 소비자를 대상으로 편의표집 방식으로 서베이를 하였고 서베이 장소는 호치민 1군 지역이며 2022년 7월 1일부터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회귀분석을 통해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한국의 음악이 한국 제품과 한국 국가이미지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끼침이 발견되었다. 하지만 영화나 드라마에서는 이러한 유의미한 결과가 발견되지는 않았다. 또한 주목할만한 결과로 베트남 응답자의 나이가 많을수록 더 한국 브랜드와 한국 이미지 이식에 긍정적인 영향이 나타난 것이었다. 이 연구는 향후 보다 일반화할 수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 한류 콘텐츠 다양화를 제안하는 바인데 웹툰이나 소설, 텔레비전 프로그램, 순수미술, 한식등에 대해서도 연구에 포함시키는 것을 향후 연구로 제안하는 바이다. South Korea and Vietnam has a close relationship in trade and cultural exchange. However, previous studies scarcely explore how Korean dramas, movies, and music influence Vietnamese consumers’ views on Korean products and the image of Korea. In addition, unlike studies focused on student samples, this research targeted the general public, offering more comprehensive insights. With limited existing research in this area, the findings become essential for businesses and academics, providing crucial insights into the cross-cultural impact on consumer behavior, especially considering the strategic ties between Korea and Vietnam in trade and cultural exchange. Thus,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Korean media contents on attitude toward Korean product brand, national image, and ethnocentrism.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d on Korean dramas, movies, and music. For this purpose, 192 Vietnamese consumers were recruited using convenience sampling. A survey was conducted on from July 1st to July 30th 2022 at Hochimin District 1 areas.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revealed a significant impact of experiences with Korean music on shaping both brand attitudes toward Korean products and national image. Conversely, no discernible effects were observed for film and drama in this context. Notably, as Vietnamese respondents aged, there was a corresponding increase in favorable brand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the Korean nat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future research diversification, urging a closer examination of various Korean Hallyu contents beyond music, such as webtoons, novels, television programs, fine arts, and Korean cuis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