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대학 교양 체육 교수의 리더십 유형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여대생의 수업몰입과 지속적 참여 의도 및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

        왕박유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63

        이번 연구는 리더십 유형과 교사-학생 상호작용이 수업에 대한 몰입, 지속적인 참여, 자기 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함으로써 중국대학 교양체육과 교사의 리더십 유형과 교사-학생 상호작용이 여대생의 수업몰입, 지속적인 참여, 자기 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영향과 구조적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향후 리더십 유형, 교수-학생 상호작용, 수업몰입, 지속적인 참여의도 및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관한 연구에 대한 이론적 근거와 실천적 근거를 제공합니다. 본 연구는 무작위 추출법을 사용하여 중국 네이멍구 자치구, 랴오닝, 허베이, 허난 등 지역에서 채택하였습니다. 교양체육 과목에 참가한 여대생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고 회수하였습니다. 회수된 데이터를 정리한 후 무효 설문지를 제거한 후 806건이 데이터 분석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데이터 분석 과정에서 SPSS 26.0과 AMOS 20.0을 사용하여 주파수 분석, 탐색적 인자 분석, 신뢰성 분석, 다중 회귀 분석 등 통계학적인 측법. 그래서 연구결과가 나왔고, 연구결과와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가 나왔다. 첫째, 교양과정에 참여하는 여대생의 일반적인 특징, 교수의 리더십, 교수-학생 상호작용은 여대생의 수업몰입에 현저한 정(+)적인 영향을 준다. 둘째, 교양수업 참가 여대생의 일반적인 특성, 교사의 리더십,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 능력은 여대생의 지속적인 참여 의도에 현저한 정(+)적인 영향을 준다. 셋째, 교양과정에 참가한 여대생의 일반적인 특징, 교사지도 유형, 상호작용 능력은 여대생의 자기주도 학습 능력에 현저한 정(+)적인 영향. 교양과목에 참가한 여대생의 일반적인 특성, 교사의 리더십, 상호작용 능력은 여대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인 학습계획에 현저한 정(+)적인 영향을 준다. 여대생 참여교육의 일반적인 특징, 교사의 리더십, 상호작용 능력은 여대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인 학습실시행태에 현저한 정(+)적인 영향을 준다. 교양과목에 참가한 여대생의 일반적인 특징, 교사 리더십 유형, 상호작용 능력은 여대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인 학습평가에 현저한 정(+)적인 영향을 준다.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impact of leadership types and teacher-student interactions on class immersion, continuous particip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nd to identify the impact and structural correlation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s on female college students' class immersion, continuous particip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Provi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basis for future research on leadership types, professor-student interactions, class immersion,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s, and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This study was adopted in regions such as Neymung District, Liaoning, Hebei and Henan, China, using randomization methods.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nd collected for 1000 female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liberal arts and sports subjects. 806 cases can be utilized for data analysis after clearing the retrieved data and removing the invalid questionnaire.Statistical measures such as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26.0 and AMOS 20.0 during data analysis. So the research results came out, and after reviewing the research results and prior studies,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came out.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female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liberal arts course, the leadership of professors, and the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female college students' immersion in class. Seco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female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liberal arts classes, teacher leadership, and teacher-student interaction skill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female college students' continuing intentions to participate. Thir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eacher guidance types, and interaction abiliti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 liberal arts course ar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female colleg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eacher leadership, and interaction skills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liberal art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of female college student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female college student engagement education, teacher leadership, and interaction skill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eacher leadership types, and interaction skills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liberal art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of female college students.

      • 고위험산모와 일반산모의 산후 6주간 증상에 대한 전향적 관찰 연구 : 일개 한방병원 산후조리원을 이용한 산모를 중심으로

        정종관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목적 : 산후 6주 동안의 증상을 고위험군과 일반군을 구분하여 관찰하고, 치료 시 적용된 KCD 코드 분석, 삶의 질, 산후우울을 측정하여 산모의 증상 변화를 객관화 하고, 삶의 질 및 우울 변화를 전향적으로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17년 9월 27일부터 2018년 1월 5일까지 출산 후 우석대학교부속한방병원 한방부인과 외래에서 한의치료를 받은 27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우석대학교 부속한방병원 전공의인 두 연구자 (KPH, KMY)가 연구등록당일(산후 1주차)부터 6주차까지 매주 1회 문진을 통하여 주요 산후 증상 VNRS를 기록하고, 초기 산욕기 2주간 외래를 방문하여 한의치료를 받을 때마다 적용된 KCD코드를 수집하였다. 또한 산후 1주차, 산후 2주차, 산후 6주차에 각각 부종지수, 삶의 질, 산후우울정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저자는 2017년 9월 27일부터 2018년 1월 5일까지 분만 후 우석대학교한방병원 한방 부인과 외래에서 한의치료를 받은 27명의 산모들을 대상으로 산후 6주간의 증상에 대한 전향적 관찰연구를 실시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27명의 산모 중 고위험 산모가 17명(63.0 %), 일반 산모가 10명(37.0 %)이었다. 고위험군의 평균 연령은 35.12±3.66세였으며, 일반군의 평균 연령은 30.30±2.45세였다. 산후 2주일간 외래진료를 받은 27명의 환자의 총 치료횟수는 184회이며, 1인당 평균 6.81±1.88회의 치료를 받았다. 고위험 환자들의 치료횟수는 6.76±2.11회, 일반 환자들의 치료횟수는 6.90±1.52회로 나타났다. 두 군 간의 치료횟수는 통계적으로 차이나지 않았다(p=0.899). 2. 1주차에 평균 VNRS가 가장 높은 것은 부종이었으며, 2~6주차에는 관절통이 가장 점수가 높았다. 고위험군의 요통의 회복이 일반군에 비해 더디다. 3. 2주간 외래진료에서 사용된 상병코드는 35가지로 총 343회 사용되었으며, 다빈도 상위 10개 상병코드 중 가장 많이 사용 된 코드는 총 47회로 M2557(관절통, 발목 및 발)이었고, 나머지 9개의 코드 중 R601(전신부종), U684(비양허증)을 제외하여 7개의 코드가 모두 M코드(근골격계통)였다. 고위험군에서는 R601(전신부종-28회)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일반군에서는 M2557(관절통, 발목 및 발-29회)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4. ECW/TBW는 전체 대상자들에서 산후 1주차 평균 0.399±0.011에서 산후 2주차 0.385±0.008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p<0.001), 산후 2주차 0.385±0.008에서 산후 6주차 0.383±0.006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85). 산후 1주차와 2주차 사이 고위험군(0.403±0.011→0.387±0.006)과 일반군(0.393±0.070→0.383±0.01)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졌고(p<0.05), 산후 1주차 고위험군은 평균 0.403±0.011으로 부종 상태였고 일반군은 산후 1주차 평균 0.393±0.070으로 부종 전 단계였다. 5. EQ-VAS는 고위험군에서 산후 1주차 64.12±13.941에서 산후 2주차 69.35±18.15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234). 일반군은 산후 1주차 62.50±21.763에서 산후 2주차 74.00±9.66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6. EPDS는 전체대상자들에서 모두 시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9점 이상인 환자는 1주차에 고위험군에서 6명(35.29%), 일반군에서 1명(10%)이며 2주차에는 고위험군에서 8명(47.06%), 일반군에서 1명(10%)이고 6주차에는 고위험군에서 5명(29.41%), 일반군에서 2명(22.22%)이었다. 결론 : 1주차에 평균 VNRS가 가장 높은 것은 부종이었으며, 2~6주차에는 관절통이 가장 점수가 높았다. 고위험군의 요통의 회복이 일반군에 비해 더디다. 근골격계 코드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고위험군에서는 R601, 일반군에서는 M2557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산욕기 초기 고위험군의 부종지수가 일반군에 비해 높다. 또한, EQ-VAS는 일반군이 산후 2주간 유의하게 증가함에 비해, 고위험군은 유의하게 증가하지 않았다. EPDS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고위험군이 일반군에 비해 산욕기 초기 2주간 2점 이상 큰 수치를 보였고 9점 이상인 비율도 산욕기 2주간 2배이상 높았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changes of women's postpartum symptoms, KCD codes that were used when participants were treated, the quality of life (by EQ-VAS) and depression scale EPDS over the first six weeks after childbirth.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7 postpartum women that were treated in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 Gynecology, at Korean Medicine Hospital of Woosuk University, from September 27th, 2017 to January 5th, 2018. The collection method of the postpartum numerical rating scale was to interview each participant once a week, who treated by Korean medicine by two residents (KPH, KMY) at Woosuk University Korean Medicine Hospital from the research registration day(first week) to 6th week after childbirth. During the first 2 weeks, the residents investigated the KCD codes when the participants were treated by Korean medicine. Also the residents evaluated edema index ECW/TBW, the quality of life (by EQ-VAS) and depression scale EPDS at 1st, 2nd and 6th week after childbirth, and compared the averages. Results: 1. There were 17 high risk participants(63.0 %) and 10 normal participants(37.0 %). The average of high risk group was 35.12±3.66 and the average of normal group was 30.30±2.45. Over the first two weeks of postpartum period, the number of 27 patients` treatment was 184 and mean value was 6.81±1.88. The mean value of high risk group`s treatment was 6.76±2.11, and the mean value of normal group`s treatment was 6.90±1.52.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p=0.899). 2. The VNRS of edema is the highest in the first week, and the VNRS of joint pain is the highest from the second week to the sixth week in all patients. The lower back pain score of high risk group restored slower than normal group. 3. 35 kinds of code were used and the total number of used KCD code was 343 times. The most used KCD code in the first 2 weeks was M2557(Pain in joint, ankle and foot-47 times). Of the remaining 9 codes, all seven codes were M codes (musculoskeletal system) except for R601( Generalized oedema-40times), U684(Pattern of spleen yang deficiency-18times). R601(Generalized oedema-28times) was most used in high risk group and M2557(Pain in joint, ankle and foot-29times) was most used in normal group. 4. During the first 2 weeks of postpartum period, the ECW/TBW of all participant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0.399±0.011 to 0.385±0.008(p<0.001). From the 2nd week to the 6th week, the ECW/TBW decreased from 0.385±0.008 to 0.383±0.006,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p=0.585). The ECW/TBW of high risk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0.403±0.011 to 0.387±0.006(p<0.05) in the first 2 weeks. The ECW/TBW of normal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0.393±0.070 to 0.383±0.011(p<0.05) in the first 2 weeks. The mean of high risk group in the first week of the postpartum period was 0.403±0.011 and they were edema. The mean of normal group was 0.393±0.070 and they were pre-edema. There was a statistically difference between high risk group and normal group in the first week(p<0.05). 5. The EQ-VAS of high risk group increased from 64.12±13.941 to 69.35±18.155(p<0.05) in the first 2 weeks.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p=0.234). The EQ-VAS of normal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62.50±21.763 to 74.00±9.661(p<0.05) in the first 2 weeks. 6. The difference of EPD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first week and the sixth week in every participants. In the first week, there were 6 people(35.29%) in high risk group and 1 person(10%) in normal group that got more than 9 points. In the second week, there were 8 people(47.06%) in high risk group and 1 person(10%) in normal group. In the sixth week, there were 5 people(29.41%) in high risk group and 2 people(22.22%) in normal group. Conclusion: The VNRS of edema is the highest in the first week, and the VNRS of joint pain is the highest from the second week to the sixth week. The lower back pain score of high risk group restored slower than normal group. The musculoskeletal system and connective tissue code was most used in all participants, R601(Generalized oedema-28times) was most used in high risk group and M2557(Pain in joint, ankle and foot-29times) was most used in normal group. The edema index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high risk group and normal group in the first week(p<0.05). The EQ-VAS of normal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p<0.05) in the first 2 weeks but high risk group didn`t increase significantly. The difference of EPD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first week and the sixth week in every participants. But high risk group was 2 points higher than normal group in the first 2 weeks. The ratio of 9 points or more of high risk group was more than twice than normal group in the first 2 weeks in the postpartum period.

      • 다문화가정 자녀와 일반가정 자녀의 외모만족도가 심리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

        이경남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자녀와 일반가정 자녀의 외모만족도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고, 외모만족도가 그들의 심리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목적에 따라 전라북도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자녀 70명, 일반가정 자녀 74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자녀와 일반가정 자녀의 외모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모만족도의 하위영역인 신체만족에서는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보고되지 않았으나, 얼굴만족과 외모에 대한 타인인식에서는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자녀와 일반가정 자녀의 자기존중감과 우울성, 공격성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모만족도와 심리적 변인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유아의 외모만족도가 높을수록 자기존중감이 높은 반면, 유아의 외모만족도가 낮을수록 우울성과 공격성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해 외모에 대해 서로 다름은 인정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 강조되며, 본 연구를 기초로 다문화가정자녀의 외모만족에 대한 질적 연구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Abstract Effects of the Appearanc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Family’s Children and racially homogeneous Family’s Children on Psychological Variables Lee Gyeong-nam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Koo Hyo-jin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looking into effects of the appearance satisfaction in multicultural family’s children and racially homogeneous family’s children after inquiring about differences of appearance satisfaction on both children. As a result of executing a survey research by objecting 70 multicultural family’s children and 74 racially homogeneous family’s children at the same regions who lived in Jeollabuk-do, Korea according to research purposes, and its results are sam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s appeared from the appearanc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family’s children and racially homogeneous family’s children. In the physical satisfaction as a subordinate scop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reported, bu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turned out to be displayed from others recognitions on the face satisfaction and appearance.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came out between groups in self-respect, depressive symptom, and aggressive symptom of multiple family’s children and racially homogeneous family’s children. Third,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shown between the appearance satisfaction and physical variables. The self-respect was high as much as the appearance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was high, but depressive, aggressive symptoms were high as much as the appearance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was low. Therefore, the necessity of having to develop various programs by which differences of the appearance could be admitted each other is emphasized for multicultural family’s children, and needs on quality researches regarding the appearanc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family’s children were suggested based on this study.

      • 중국대학 배드민턴 학생선수가 지각한 코치 신뢰와 스포츠자신감, 운동몰입, 운동만족도 간의 인과관계 분석

        양개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47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대학 배드민턴 학생선수들의 감독에 대한 신뢰, 선수들의 스포츠자신감, 운동몰입과 운동만족도 사이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변수들 사이에 직접과 간접의 인과관계가 존재하는지를 더 검증하는 것이다. 중국대학 배드민턴 학생선수의 훈련 방법과 운동 성적의 향상에 기초 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중국 배드민턴 스포츠에 참고할 수 있는 경험 모형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 중국의 여러 대학교의 468명의 배드민턴 학생선수를 선정하였고, 불성실하게 응답한 18부를 제외한 450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코치 신뢰를 독립변수로, 스포츠자신감, 운동몰입 및 운동만족도를 독립변수로 하여 SPSS 25.0과 Amos 24.0 소프트웨어를 통한 기술통계 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변량분석, Bonferroni 사후검정(post-hoc), 탐색적 요인분석, Amos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라 코치에 대한 신뢰의 차이는 연령, 학년 및 운동경력에서 현저한 차이를 보였으며, 연령이 어린 집단이 연령이 많은 집단보다 높았다. 학년이 낮은 집단이 연령이 많은 집단보다 높다. 운동 경험이 많은 집단이 적은 집단보다 높았다. 운동에 대한 자신감은 연령, 학년, 주당 운동 횟수 및 운동 경험에서 모두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연령이 많은 집단보다 어린 집단이, 고학년 집단보다 저학년 집단이, 주중 운동 횟수가 적은 집단이 많은 집단보다, 운동 경험이 많은 집단이 적은 집단보다 많았다. 운동몰입에 대한 결론에 의하면 연령, 학년, 운동 경력에 있어서 현저한 차이가 존재하는데 연령이 어린 집단이 연령이 많은 집단보다, 학년이 낮은 집단이 학년이 높은 집단보다, 운동 경력이 많은 집단이 연령이 적은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만족도 역시 연령, 학년, 운동 경험에서 큰 차이를 보였는데 연령이 어린 집단이 연령이 많은 집단보다, 학년이 낮은 집단이 연령이 많은 집단보다, 운동을 많이 한 집단이 적은 집단보다 높았다. 둘째, 배드민턴 학생선수의 코치 신뢰 하위요인 감성적 신뢰, 인지적 신뢰, 행동적 신뢰 성향이 스포츠자신감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배드민턴 학생선수의 코치 신뢰 하위요인 감성적 신뢰, 인지적 신뢰, 행동적 신뢰 성향이 운동몰입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배드민턴 학생선수의 코치 신뢰 하위요인 감성적 신뢰, 인지적 신뢰, 행동적 신뢰 성향이 운동만족도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배드민턴 학생선수의 스포츠자신감 하위요인 능력입증, 신체 및 정신적 준비, 코치지도력, 사회적 지지 성향이 운동몰입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배드민턴 학생선수의 스포츠자신감 하위요인 능력입증, 신체 및 정신적 준비, 코치지도력, 사회적 지지 성향이 운동만족도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배드민턴 학생선수의 운동몰입 하위요인 인지몰입, 행위몰입 성향이 운동만족도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스포츠자신감, 운동몰입, 스포츠자신감과 운동몰입은 코치 신뢰와 운동 만족도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중개효과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a research model based on the preliminary research between coach trust, sports confidence, sports engagement and sports satisfaction. Specifically based on this research model, this study investigated direct and indirec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oach trust and sports confidence, sports flow, and sports satisfaction in Chinese badminton players. It provides basic information for the training methods and performance improvement of Chinese college badminton players,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a empirical model for Chinese badminton sports. To this end, 468 badminton players from many universities in China were selected. After data verification, 450 samples were finally analyzed. In this study, coach trust was us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 exercise confidence, exercise engagement, and exercise satisfaction were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through SPSS 25.0 and Amos 24.0 software, independent sample T 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post-hoc verification. ,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mo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differences in the trust of coaches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grade and sports experience. The younger group is higher than the older group; the lower grade group is higher than the older group. Groups with more sports experience are higher than those with less. The conclusions on sports confidence and confidence show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grade, weekly exercise frequency, and exercise experience. The younger group is higher than the older group, the lower grade group is higher than the upper-grade group, the group with less weekly exercise is higher than the group with more, and the group with more exercise experience is higher than the group with less. The conclusion of sports investment shows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grade, and sports experience. The younger group is higher than the older group, the lower grade group is higher than the higher grade group, and the group with more exercise experience is higher than the younger group. The conclusion of sports satisfaction shows that there a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grade, and sports experience. The younger group is higher than the older group, the lower grade group is higher than the older group, and the group with more exercise experience is higher. For groups with little sports experience. Secondly, it shows that perceptual trust, cognitive trust and behavioral trust tendencies of coach trust sub-factors of badminton players have a positive effect on sports self-confidence. Thirdly, it shows that perceptual trust, cognitive trust and behavioral trust tendencies of the coach trust sub-factors of badminton players have a positive effect on sports investment. Fourthly, it shows that perceptual trust, cognitive trust and behavioral trust tendencies of coach trust sub-factors of badminton players have a positive effect on sports satisfaction. Fifthly, the confirmation of badminton players' sports self-confidence sub-factor ability, physical and mental preparation, coaching ability, and social support tendency have a positive effect on sports investment. Sixthly, the confirmation of badminton players' sports self-confidence sub-factor ability, physical and mental preparation, coaching ability and social support tendency have a positive effect on sports satisfaction. Seventhly, it shows that cognitive investment and behavioral investment tendency of badminton players' sports investment sub-factors have a positive effect on sports satisfaction. Eighthly, Sports confidence, athletic immersion, sports confidence and athletic immersion have a partial intermediation effect between coach trust and athletic satisfaction.

      • 유아교육기관 CCTV 설치·운용에 대한 인식 연구

        김진숙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9647

        A Study on The Awareness of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CCTV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Kim Jin-sook Major in Child Welfare &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of Child Welfare Studies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Ha Seung-m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wareness of directors and teachers on CCTV installation and oper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by conducting a survey targeting 513 daycare and kindergarten directors and teachers in Northern Jeollabuk-do province. Measurement tools for the purpose and influence of CCTV installation and operation used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from those used in Seo et al.(2016) and measurement tools for statu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CCTV installation and operation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from those used in Kang et al.(2015).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e follows: First, the results from analysis of CCTV installation and operation status awareness in terms of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occupational positions, institute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occupational positions regarding the main reason for CCTV installation, but both directors and teachers sympathized with the idea 'for child safety and prevention of abuse'. Directors showed greater awareness towards CCTV installation necessity, installation and operation satisfaction levels, the fact that 'parent's will be able to identify whether a safety incident, involving their children, has occurred using CCTV' than teachers. Regarding differences among institutes, 'for child safety and prevention of abuse' appeared in common as the reason for CCTV install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Both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therefore, showed sympathy towards the necessity of CCTV installation. Second, the results from analysis of CCTV installation and operation purpose awareness in terms of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occupational positions, meaning that directors perceived the purpose of CCTV installation and operation more positively than teachers, and positively viewed the fact that CCTV was installed for sub-factors such as 'expertise expansion devi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child abuse prevention device', 'parent comfort device'. There was no difference in response to institute types but kindergartens recognized CCTV installation and operation purpose as a 'Child protection device' more than daycare centers. Third, the results from analysis about influence and effect awareness of CCTV installation and operation in terms of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occupational positions but there was a tendency for directors to emphasize the positive functions about influence and effect awareness of CCTV installation and operation than teachers whereas teachers had a tendency to take notice of negative functions. Similarly,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urth, the results from analysis of CCTV installation and operation improvement measure awareness in terms of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occupational positions, meaning that directors possessed more positive perceptions towards CCTV installation and operation improvement measures than teachers.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ut sub-factors showed that kindergartens responded to 'Enhancing CCTV utilization policy' more positively than daycare centers. Fifth, according to results from the research done on CCTV utilization problems and solutions, among the voiced opinions of daycare and kindergarten directors and teachers, 'Increased job stress due to feeling of surveillance' was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problem and 'priority in improving teachers' self-esteem and dependability via work environment improvement' was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solution. The results show the necessity of a political improvement plan that can reduce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 employees' work stress and recover their self-esteem. * Keywords: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CCTV installation and operation, awareness 유아교육기관 CCTV 설치·운용에 대한 인식 연구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CCTV 설치·운용에 대한 원장과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전라북도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원장·교사 5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CCTV 설치·운용의 목적과 영향 측정도구는 서보순 외(2016)의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를 토대로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CCTV 설치·운용 현황 및 개선방안 측정도구는 강은진 외(2015)의 연구도구를 토대로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배경 변인(직급별, 기관별)에 따른 CCTV 설치·운용 현황 인식 분석 결과, 직급 간 차이는, CCTV 설치 주된 이유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원장과 교사 모두 ‘아동안전과 학대예방을 위해서’라는 의견에 공감하였다. 또한 원장이 교사보다 CCTV 설치에 대한 필요성, 설치 및 운용 만족도와 ‘부모가 CCTV로 자녀의 안전사고여부를 파악’할 것이라는 인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 간 차이에서는, 유아교육기관의 CCTV 설치 이유는 ‘아동안전과 학대예방’이라는 점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즉, 어린이집과 유치원 양 기관 모두 CCTV 설치의 필요성에 대해서 공감하고 있었다. 둘째, 일반적 배경 변인에 따른 CCTV 설치·운용 목적 인식 분석 결과, 직급별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원장이 교사보다 CCTV 설치·운용의 목적에 대하여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하위요인별로 CCTV가 ‘유아교육기관의 전문성 확대장치’, ‘아동학대 방지장치’, ‘부모안심장치’로써 설치되었다는 점에 더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기관유형에 따른 차이는 없었지만 유치원이 어린이집에 비해 CCTV 설치·운용 목적은 ‘아동보호장치’를 위한 것이라고 인식하였다. 셋째, 일반적 배경 변인에 따른 CCTV 설치·운용 영향 및 효과에 대한 인식 차이 결과, 직급 간 차이는 없었지만, 원장은 교사보다 CCTV 설치·운용의 영향 및 효과에 대해 더 긍정적인 기능에 주목한 반면, 교사는 CCTV의 부정적인 기능에 주목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치원과 어린이집 기관 간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반적 배경 변인에 따른 CCTV 설치·운용 개선방안 인식 결과, 직급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원장이 교사보다 CCTV 설치·운용의 개선방안에 대하여 더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과 어린이집 기관유형 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하위요인에서 유치원이 어린이집보다 개선방안으로 ‘CCTV 활용정책제고’를 더 긍정적으로 인식했다. 다섯째, CCTV 활용에 따른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문제점으로는 유아교육기관의 원장들과 교사들의 의견이 ‘감시당하는 느낌 속에서 제약 받는 일상으로 직무스트레스가 가중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선방안으로는 ‘교사의 처우개선으로 자존감을 높이고 신뢰성 회복이 최우선 요망’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고 자존감을 회복해야만 되는 정책적 개선방안의 필요성을 나타낸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 주제어: 유아교육기관, CCTV 설치·운용, 인식

      • A Case Study: Academic Adaptation of Chinese Doctoral Students in a Korean University

        배영죽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47

        한국은 아시아에서 좋은 고등 교육 환경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많은 아시아 학생들의 유학 목적지 중의 하나이다. 최근의 한국 교육부 통계에 따르면,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의 수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 유학생들이 새로운 교육 환경인 국내 대학에서 어떻게 학업적인 성공을 거두는지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연구 주제이다. 결국 중국 대학원 유학생들의 국내 대학 학업 적응 문제는 유학생들의 학업 경험과 학업 성취에 있어 필수적인 연구 주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사례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국내 W대학에 재학중인 중국인 박사과정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중국인 대학원생들의 학업적 적응에 연구의 목적을 집중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의 기간은 코로나 상황인 2020년-2021년도에 걸쳐서 진행되었다. 2년 동안 6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접, 온라인 및 현장 강의 관찰, 참가자와 연구자와의 대화, 참가자의 소셜미디어 웹로그 활동 등을 활용해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브라운과 클라크의 주제별 분석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구체적으로 분석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중국인 유학생들의 학문적인 적응 과정에 있어서, 중국 대학원생들의 학문적 기대는 학습자의 자기 성장에 대한 기대, 국내 대학 교수자에 대한 기대, 국내 대학 교육 환경에 대한 기대를 포함하여 3가지로 구분되었다. 구체적으로 중국 유학생들의 학문적 기대는 학습자 스스로의 학습 동기를 촉진 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드러냈다. 둘째, 중국 유학생들이 국내 대학에서 직면하는 학문적 어려움은, 한국어나 영어를 배워야 되는 언어적 장벽이 가장 큰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더불어서, 학부나 석사에서 본인이 전공하지 않은 전공을 박사에서 선택할 경우, 전공지식과 관련된 배경지식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W 대학에서 학업 적응을 하기 위한 중국 대학원 유학생들의 대처 전략은 학습자의 개인적인 노력과 학습능력 활용이라는 두 가지 차원으로 구분되었다. 구체적으로 학습자의 개인적 노력은 자기인식, 계획목표, 학습동기, 자기주도학습, 자기평가, 자기반성 등의 6가지 차원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학생들의 학업 적응을 위한 여러 가지 제안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첫째, 중국 유학생들이 학업적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본인이 그동안 익힌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어떻게 어려움을 해결할 지 구체적인 목표를 세워야 한다. 둘째, 목표에 따라서 구체적인 학습 계획을 세워야 한다. 셋째, 중국 유학생은 스스로 내적 학습 동기를 자극하여 무엇을 공부할지 학습 목적을 명확히 확립해야 한다. 넷째,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에서 적응에 관련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주변 학습 환경을 지혜롭게 활용해야 한다. 다섯째, 중국 유학생 스스로 본인의 유학생활에 대한 자기평가와 자기성찰이 필요하다. 위의 여러 가지 제안점은, 중국 유학생들이 국내 대학에서 경험하게 되는 학업적 어려움을 극복하고 미래의 학업 진로를 원활하게 찾을 수 있도록 도움이 될 것이다. Korea is one of the main destination for Asian students because it has appropriate study fees and a good educational environment. In fact, according to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Statistics, the number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is on the rise. In the process of studying abroad,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may be more challenging than their previous before. The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re eager to know how achieve academic success in the new educational environment. Therefore, academic adaptation is vital part for international students' academic experi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there is a group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Chinese university instructors as doctoral students who need to develop professional career competence and improve their academic level. Even university instructors in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still have obstacles to academic adaptation in the face of new educational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determined the key factors that predict success or failure in academic adaptation from academic adaptation of Chinese international doctoral students. To achieve this goal, the researcher explored the progress of academic adaptation of W University's Chinese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as a case study, which is an empirical survey. The study began in 2019 Fall semester and ended in 2021 Spring. During the four semesters, four in-depth interview, multiple online and on-site classroom observations, informal conversations, and social media web logs were conducted for four participants to collect data and used thematic analysis by Braun and Clark. Then it determined the dimensions of academic difficulties for Chinese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in Korea's academic life. Finally, it constructed an academic adaptation strategies framework for Chinese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The study findings are listed as follows. Firstly, in academic adaptation, the academic expectations of Chinese international doctoral students are divided into three dimensions: learners' expectations for self-growth, learners' expectations for educators, and learners' expectations for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 certain academic expectation can promote learners' learning motivation. Learners who are academic process-oriented have higher self-confidence in their upcoming academic career than learners who are academic result-oriented to obtaining a doctoral degree and can adapt to the academic life in the host country faster. Second, the academic difficulties faced by Chinese students in their academic careers contains two secondary dimensions: language barriers, academic challenges. Third, the coping strategies for the academic adaptation in foreign country divided into two dimensions: learners' instinct efforts and utilizing learning skills. Specifically, learners' instinct efforts were divided into six secondary dimensions: self-cognition, planning goal, learning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self-evaluation, and self-reflection. These six secondary dimensions interact and constitute a circular adaptation process to deal with academic difficulties. In addition, the utilizing learning strategies are helpful for Chinese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to adapt to academic life. Therefore, this study constructs a five-step framework for academic adaptation. In the face of academic difficulties, the first step is for learners to make self-awareness and understand the knowledge and skills they have mastered. The second step is to make a plan and break it down into small goals. Then, the third step is to stimulate the internal learning motivation and establish the learning purpose. The fourth step is to help learners overcome learning difficulties in self-directed learning. The fifth step is self-evaluation. The five-step academic adaptation framework focuses on reflection, and reflection behavior repeatedly appears in each step to help learners implement better. In short, the five-step academic adaptation framework to achieve the goal of helping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overcome academic difficulties and adapt to their academic careers smoothly.

      • 중국 대학생 축구선수의 성취목표성향, 자기 관리, 스포츠 자신감 및 삶의 질 간의 구조적 관계

        후립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differences in achievement goal tendency, self-management, sports self-confidence and life quality among Chinese college football player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demography, finding ou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from various factors, confirming the impact of achievement goal tendency on life quality, and verifying the media effect of self-management and sports self-confid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In this study, the football players from Shandong Institute of physical education, Beijing Sport University, Shanghai Institute of physical education and Guangzhou Institute of physical education were taken as the research objects.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of non probability sampling, the questionnaire star was used to send online questionnaires to 600 people, and 545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60 questionnaires were considered missed questions or judged to be dishonest, a total of 485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result analysis. Data proces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arried out by SPSS 26.0 and Amos 21.0. In order to realize the hypothesis verification of the research model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nine optimal path hypotheses are set, such as the difference of general characteristics, achievement goal tendency and self-management, achievement goal tendency and sports self-confidence, achievement goal tendency and life quality, self-management and sports self-confidence, self-management and life quality, sports self-confidence and life quality, self-management and media effect of sports self-confidence. The validation results of the research model. In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confirmation factor analysis results, the result values of all factors show satisfactory suitability. The detailed hypothesis validation results are as follows. 1.This paper analyzes the differences on achievement goal tendency, self management, sports self-confidence and life quality, and there are differences in gender, grade and sports grad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college football players. 2. The achievement goal tendency of Chinese college football players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self-management. The higher the achievement goal is, the higher the level of self-management will be. 3. The achievement goal tendency of Chinese college football players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Sports confidence. The higher the achievement goal tendency is, the higher the level of sports confidence will be. 4. The achievement goal tendency of Chinese college football players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the life quality. The higher the achievement goal tendency is, the higher the life quality will be. 5. The self-management of Chinese college football players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Sports self-confidence. The higher the level of self-management is,the higher the level of sports self-confidence will be. 6. The self-management of Chinese college football players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the life quality. The higher the self-management is, the higher the life quality will be. 7. The sports self-confidence of Chinese college football players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the life quality. The higher the sports self-confidence is , the higher the life quality will be. 8. The influence of Chinese college football players' achievement goal tendency on the life quality has media effect of self-management. 9. The influence of Chinese college football players' achievement goal tendency on the life quality has media effect of sports self-confidence. As mentioned above, the achievement goal tendency, self-management and sports self-confidence of Chinese college football players go hand in hand, which has a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life quality and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life quality. Therefore, in certain coach and his or her teams, if we can improve athletes' achievement goal tendency, self-management level and sports self-confidence, as athletes, we can improve the happiness of life in getting along with coaches and teammates, and we can highly evaluate our own life quality. The improvement of life quality is not only as athletes themselves, but also an important factor for the growth of college students in our era.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중국 대학생 축구선수의 성취목표성향, 자기 관리, 스포츠 자신감과 삶의 질 간의 차이를 확인하고 각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며 성취목표성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두 변수의 관계에서 자기 관리와 스포츠 자신감의 매개체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산둥체육대학교, 베이징체육대학교, 상하이체육대학교, 광저우체육대학교 등 4개 중국 대학교의 축구 전공 대학생 선수를 대상으로 하고 2021년 6월에 연구설계를 진행하였고, 2022년 2~3월에 비확률 표본추출법(non-probability sampling)에 따른 편의표본추출법 (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채택하고 중국 리서치 전문 업체인 원쬔씽(問卷星)을 통하여 총 600명에게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해 545건 수거하였다. 문항이 누락 되거나 불성실하다고 판단된 60건을 제외한 총 485건의 유효 질문지가 결과 분석에 활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6.0과 AMOS 21.0을 이용해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연구모델의 가설 검증을 위해 일반적인 특성의 차이, 성취목표성향과 자기 관리, 성취목표성향과 스포츠 자신감, 성취목표성향과 삶의 질, 자기 관리와 스포츠 자신감, 자기 관리와 삶의 질, 스포츠 자신감과 삶의 질, 자기 관리와 운동 자신감의 매개 효과 등 9개의 최우선 경로 가설을 설정했다. 연구모델의 검증결과는 관련 관계 분석과 확인요인 분석결과에서 모든 요인의 결과 값이 만족스러운 적합도를 나타냈고 상세한 가설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국 대학생 축구선수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성취목표성향, 자기 관리, 스포츠 자신감과 삶의 질에 대해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학년, 운동등급에 차이가 존재한다. 2. 중국 대학생 축구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은 자기 관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성취목표성향이 높을수록 자기 관리의 수준이 높아진다. 3. 중국 대학생 축구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은 스포츠 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성취목표성향이 높을수록 스포츠 자신감의 수준이 높아진다. 4. 중국 대학생 축구선수의 성취목표성향과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성취목표성향이 높을수록 삶의 질의 수준이 높아진다. 5. 중국 대학생 축구선수들의 자기 관리와 스포츠 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자기 관리가 높을수록 스포츠 자신감의 수준이 높아진다. 6. 중국 대학생 축구선수의 자기 관리와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자기 관리가 높을수록 삶의 질의 수준이 높아진다. 7. 중국 대학생 축구선수의 스포츠 자신감과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자기 관리가 높을수록 삶의 질의 수준이 높아진다. 8. 중국 대학생 축구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자기 관리의 매개체 효과가 존재한다. 9. 중국 대학생 축구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스포츠 자신감의 매개체 효과가 존재한다. 이처럼 중국 대학생 축구선수의 성취목표성향, 자기 관리와 스포츠 자신감을 병행하는 것은 삶의 질과 인과관계가 있어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감독과 소속팀에서 선수의 성취목표성향, 자기 관리수준, 스포츠 자신감을 높일 수 있다면 선수로서 팀과 감독, 동료들과 어울려 삶의 행복감을 높일 수 있고, 자신 삶의 질을 높이 평가할 수 있으며, 삶의 질 향상은 선수 자신뿐만 아니라 우리 시대에 맞는 대학생의 성장에 중요한 요인이다.

      • 대학 운동선수 자기-대인관계적 정서조절, 스포츠 도덕적 이탈이 도덕적 행동간의 관계 : 사회정보처리이론을 중심으로

        서호명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47

        이 연구는 사회정보처리 이론을 바탕으로 중국 대학생 운동선수들의 운동 상황에서의 도덕적 행동을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대학생 운동선수의 자기-대인관계적 정서조절(정서과정), 스포츠 도덕적 이탈(잠재적 심리구조)과 현재 상황 실시간 사회정보처리의 역할 관계를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운동 상황에서 사회정보 처리의 정서-인지 통합 모형이 대학생 운동선수의 도덕적 행동에 대한 예측과 해석 역할을 검증하였다. 자료 수집은 중국 광둥성 대학생 선수들을 대상으로 확률적추출방법을 적용해 총 613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이 중 답변이 불완전하고 규칙적으로 답변한 무효설문지 26부를 제외한 대학생 선수 587명의 조사자료를 분석하였다. SPSS24.0과 AMOS23.0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Kmeans 클러스터 분석, 단일요인검증 및 Scheffe 사후 검증, 상관관계 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Kmeans 클러스터 분석을 이용해 공격그룹, 친사회 그룹, 일반그룹 3개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정서조절 전략의 차이점을 검증한 결과, 내부영향 악화와 외부영향을 받아 악화의 2가지 전략에서 친사회적 그룹과 일반 그룹보다 공격그룹이 높은 점수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영향 개선, 외부영향을 받아 개선과 외부 영향 개선은 3가지 전략 중 친사회적 그룹이 일반 그룹보다 점수가 높았고, 공격그룹은 일반 그룹보다 높았으며 친사회적 그룹은 공격그룹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 영향 악화전략에 대하여 일반 그룹이 친사회적 그룹보다 점수가 높으며, 공격그룹은 일반 그룹과 친사회적 그룹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사회정보처리 단계별 차이 점검 결과 공격그룹의 적대적 귀인, 공격적 목표선택, 공격적 반응생성 및 공격적 반응의 긍정적 평가는 친사회적 그룹과 일반 그룹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일반 그룹의 공격적 반응생성과 공격적 반응의 긍정 평가는 친사회적 그룹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스포츠 도덕적 이탈의 차이 검증 결과 공격그룹의 비인간화, 책임 전가, 유리한 비교, 책임분산, 재해석 행동, 결과왜곡의 점수가 친사회적 그룹과 일반 그룹보다 현저히 높았고, 일반 그룹의 결과왜곡 점수가 친사회적 그룹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대학생 운동선수 스포츠 도덕적 이탈은 사회정보처리에 단계별로 직접적·간접적 효과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스포츠 도덕적 이탈은 단서해석(적대적 귀인), 목표 명료화(공격적 목표선택), 반응 탐색(공격적 반응생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반응 평가(공격적 반응에 대한 긍정적 평가)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도덕적 이탈은 단서해석을 경유하여 목표 명료화와 반응 탐색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도덕적 이탈은 목표 명료화를 경유하여 반응 탐색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도덕적 이탈은 단서적 해석과 목표를 다중매체로 설정해 반응 탐색에 간접 효과가 나타났다. 스포츠 도덕적 이탈은 반응 탐색을 매개로 반응 결정에 간접효과가 나타났다. 스포츠 도덕적 이탈은 단서해석과 목표생성과 반응 탐색을 다중 매개로 반응 결정에 간접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 운동선수 정서조절은 사회정보 처리에 단계별로 직접·간접효과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직접 효과는 내부영향 개선, 외부영향을 받아 개선, 외부영향 개선은 목표 명료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내부영향 개선은 반응 탐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영향 악화, 외부영향을 받아 악화, 외부영향 악화는 목표 명료화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외부영향을 받아 악화와 외부영향 악화는 반응 탐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서해석은 내부영향 악화, 외부영향을 받아 악화, 외부영향 악화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효과에 있어서 단서해석은 내부영향 악화, 외부영향을 받아 악화, 외부영향 악화 것을 매개로 목표 명료화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가지 정서조절 전략은 각각 목표 명료화를 매개로 반응 탐색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영향 개선, 외부 영향을 받아 악화, 외부영향 악화를 주기는 각각 반응 탐색을 매개로 반응 결정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가지 정서조절 전략은 각각 목표 명료화와 반응 탐색을 다중 매개로 추출해 반응 결정에 간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 운동선수들의 자기정서조절, 스포츠 도덕적 이탈, 사회정보처리와 스포츠 친사회적 및 반사회적 행동의 구조적 관계에 따르면 내부영향 개선은 사회정보처리에 부정(-)적 영향을 주고 친사회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영향 악화는 사회정보처리와 스포츠 반사회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정보처리는 친사회적 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스포츠 반사회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도덕적 이탈은 사회정보처리와 스포츠 반사회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영향 개선과 내부영향 악화는 사회정보처리를 매개로 스포츠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영향 악화와 스포츠 도덕적 이탈은 사회적 정보 처리를 매개로 스포츠 반사회적 행동에 간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생 운동선수들의 대인관계적 정서조절, 스포츠 도덕적 이탈, 사회정보처리와 스포츠 친사회적 및 반사회적 행동의 구조적 관계에서 4가지 대인관계적 정서조절전략은 모형에서의 역할효과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모형1. 외부 영향을 받아 악화는 사회정보 처리와 스포츠 반사회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 영향을 받아 악화는 스포츠 반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정보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는다. 모형2. 외부 영향을 받아 개선은 사회정보 처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스포츠 친사회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또한 외부 영향을 받아 개선하여 사회정보 처리를 매개로 스포츠 친사회적 행동에 간접 효과를 나타낸다. 스포츠 도덕적 이탈은 사회정보 처리를 매개로 스포츠 반사회적 행동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3. 외부 영향 악화를 사회정보 처리와 스포츠 반사회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스포츠 친사회적 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 영향 악화의 스포츠 친사회와 반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정보처리 과정을 통하지 않는다. 스포츠 도덕적 이탈이 스포츠 반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정보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는다. 모형4. 외부 영향 개선은 것은 사회정보 처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스포츠 친사회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 영향 개선과 스포츠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에서 사회정보처리가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 영향 개선과 스포츠 도덕적 이탈은 사회정보처리를 매개로 스포츠 반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면 운동 환경에서 대학생 운동선수의 사회정보처리 과정은 정서조절과 도덕적 이탈에 영향을 받는다. 서로 다른 유형의 정서조절 전략이 모형에 포함됐을 때 대학생 선수들의 도덕적 행동에 대한 예측과 해석이 달라진다는 것이 확인 되었다. Based on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oral behavior of Chinese college athletes in sports situations. Firstly, it expound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athletes' self-interpersonal emotion regulation (emotional process) and sport moral disengagement (potential psychological structure), and online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On this basis, it is verified that the emotional-cognitive integration model of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in sports situations can predict and explain the moral behavior of college athletes. A random sampling method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and 613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college athletes in Guangdong Province, China. Among them, 26 invalid questionnaires with incomplete answers and regular answers were excluded, and finally, the survey data of 587 college athletes were analyzed. Using SPSS24.0 and AMOS23.0 for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Kmeans cluster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Scheffe post-hoc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study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use Kmeans cluster analysis to obtain three groups of categories, namely aggressive group, prosocial group, and general group. The difference test results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howed that in the two strategies of affect-worsening ESR and receiving affect-worsening IER, the score of the aggressive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prosocial group and the general group. Among the three strategies of affect-improving ESR, receiving affect-improving IER, and Affect-improving IER, the prosocial group scored higher than the general group, the aggressive group scored higher than the general group, and the prosocial group scored higher than the aggressive group. For the affect-worsening IER strategy, the comparison group scored higher than the prosocial group, the aggressive group scored higher than the general group, and the aggressive group scored higher than the prosocial group.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 test of each step of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showed that the hostile attribution, aggressive target selection, aggressive response generation, and positive evaluation of aggressive response in the aggressive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prosocial group and the general group, and the aggressive response in the comparison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Positive ratings of generative and aggressive respons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prosocial group. The difference test results of sport moral disengagement showed that the scores of dehumanization, nonresponsibility, advantageous comparison, attribution of blame, conduct reconstrual, and distorting consequences of the aggressive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prosocial group and the general group. And the distorting consequences score of the gener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prosocial group. Seco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results of each step of sport moral disengagement and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of college athletes show that sport moral disengagement has significant effects on the interpretation of cues (hostile attribution), clarification of goals (aggressive goal selection), and response access or construction ( Aggressive response generation) had a positive (+) effect. The direct impact on response decision (positive evaluation of aggressive response) was insignificant. sport moral disengagement uses the interpretation of cues as an intermediate variable, which has indirect effects on clarification of goals and response access or construction. sport moral disengagement is mediated by the clarification of goals, and the response access or construction has an indirect effect. sport moral disengagement uses the interpretation of cues and clarification of goals as multiple media and has an indirect impact on response access or construction. sport moral disengagement is mediated by response access or construction, which indirectly affects response decision. sport moral disengagement uses the interpretation of cues, clarification of goals, and response access or construction as multiple mediators, which have indirect effects on response decision. Thir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results of college athletes' emotion regulation on each step of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show that affect-improving ESR, receiving affect-improving IER and Affect-improving IER all have negative (-) effects on the clarification of goals. affect-improving ESR has a negative (-) effect on response access or construction. affect-worsening ESR, receiving affect-worsening IER, and affect-worsening IER a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clarification of goals, receiving affect-worsening IER and affect-worsening IER have a positive (+) effect on response access or construction. The interpretation of cues has a positive (+) effect on affect-worsening ESR, receiving affect-worsening IER, and affect-worsening IER. In terms of indirect effects, interpretation of cues is mediated by affect-worsening ESR, receiving affect-worsening IER, and affect-worsening IER, which indirectly affect the clarification of goals. The clarification of goals mediated the six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response access or construction had indirect effects. affect-improving ESR, receiving affect-worsening IER, and affect-worsening IER are mediated by response access or construction, which indirectly affect response decision. The six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use clarification of goals and response access or construction as multiple mediators, which indirectly affect response decisions. Fourth,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of college athletes' self-emotion regulation, sport moral disengagement,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sports prosocial and antisocial behavior show that affect-improving ESR has a negative (-) effect on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a positive (+) effect on prosocial behavior. affect-worsening ESR had a positive (+) effect on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sports antisocial Behavior.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has a negative (-) effect on sports prosocial behavior and a positive (+) effect on sports antisocial behavior. sport moral disengagement had a positive (+) effect on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sports antisocial Behavior. affect-improving ESR and affect-worsening ESR mediate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have indirect effects on sports prosocial behavior. affect-worsening ESR and sport moral disengagement mediated by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have indirect effects on sports antisocial behavior. Fift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results of interpersonal emotion regulation, sport moral disengagement,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sports prosocial and antisocial behavior of college athletes are shown. Model 1, receiving affect-worsening IER, has a positive (+) effect on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sports antisocial Behavior. The effect of receiving affect-worsening IER on sports antisocial behavior is not through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2, receiving affect-improving IER, has a negative (-) effect on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a positive (+) effect on sports prosocial behavior. And receiving affect-improving IER uses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s an intermediary, which indirectly affects sports prosocial behavior. sport moral disengagement uses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s a medium to have indirect effects on sports antisocial Behavior. Model 3, affect-worsening IER, has a positive (+) effect on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sports antisocial behavior and a negative (-) effect on sports prosocial behavior. The effect of affect-worsening IER on sports prosocial and antisocial behavior is not through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The effect of sport moral disengagement on sports antisocial behavior is not through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4, Affect-improving IER, has a negative (-) effect on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a positive (+) effect on sports prosocial behavior. The effect of Affect-improving IER on sports prosocial behavior is not through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ffect-improving IER and sport moral disengagement have indirect effects on sports antisocial behavior by mediating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Based on the above, it can be seen that in the sports environment, college athletes'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will be affected by emotional regulation and sport moral disengagement. When different types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re incorporated into the model, they have different predictive and explanatory effects on the moral behavior of college athletes.

      •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중국 도시 생활가로 보행공간 개선방안 연구 : 허베이성 한단시를 중심으로

        王海燕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47

        Streets usually serve as a carrier of space in people's life and play multiple roles, such as transportation, leisure, shopping, culture spread, etc. An ideal street should be a public space which provides people with the senses of enjoyment, security, and comfort. In this sense, streets should provide spaces and facilities for people of different ages and abilities, so that they can conduct various activities. However,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urbanization and motorization, traffic efficiency has been over-emphasized; thus, urban space has been dominated by cars, ignoring the experience and feelings of pedestrians. Given the fact that different types of streets assume various functions, they are supposed to be equipped with different facilities to meet various needs and present varieties of streetscapes. In this regard, the so-called living streets are those multifunctional ones that closely relate to people's daily life. Therefore, they are indispensible for urban public life. Based on the universal-design approach, this research is concentrated on living streets in Handan City. The main purpose of the current research is to avoid car-oriented phenomena and irrational patterns in the renewal and reconstruction of urban living streets. In this vein, the interests of all pedestrains,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ity, can be balanced, so that a hamonious enviroment is created, which is characterized with security, comfort, inclusiveness, and convenience. The approaches applied in this dissertation consist of literature review, field survey, fuzzy Delphi method, questionnaire survey, factor analysis, variance analysis, and comparative analysis. The mainbody of this dissertation is mainly composed of the following 4 parts. As a first approximation, this dissertation takes the living streets in old downtown areas of Handan city as its research objects. In this sense, on-site investigations have been conducted in 4 typical living streets; the status quo of street space has been assessed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al design. The second part is dedicated to the construction of evaluation indicators, which is mainly based on the universal design and literature review. By using the fuzzy Delphi method, I have solicited experts’ opinions for index screening. In this way, an environmental evaluation system for urban living streets is constructed via universal design. In the third part, I have conducted a survey about the hierarchy of the indicators through questionnairing the ordinary and disabled groups, respectively. I also analyze the surveyy results, covering the perceptive differences among ordinary people of various age, between common people and the disabled, and among the disabled themselves. Besides, with regard to the importance of the indicators, I have maken an analysis of the perception differences among ordinary people, the disabled, and the experts. The last part is dedicated to some improvement strategies and suggestions in terms of the pedestrain space of the living streets in Handan city. This part is mainly based on the status quo in question and perception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namely, ordinary people, the disabled, and the experts. The conclusions of this dissertation can be drawn as the follows. First of all, 26 indicators in 3 categories have been screened out, such as sidewalks, spatial connections, street facilities, etc. Accordingly, the pedestrian space evaluation system of urban living streets is constructed by means of universal design. Secondly, experts' evaluation of the indicators in discussion shows that the weights of the indicators are relatively evenly distributed. Among them, the weight value of 13 indicators is between 0.0400-0.0450, and the weight value of the rest between 0.0300-0.0400. The 5 indicators with the highest weight are ʻcoexistence and safety distinction of pedestrians, bicycles, and vehicle space(0.0440)ʼ, ʻeffective width of sidewalk(0.0434)ʼ, ʻinstallation of rest facilities(0.0431)ʼ, ʻinstallation of environmental sanitation facilities(0.0418)ʼ, and ʻflat connection Between Facilities such as a manhole lid and the ground surface(0.0416)ʼ. The 5 indicators with the lowest weight include ʻlandscape greening facilities(0.0356)ʼ, ʻthe division of facility area and walking area(0.0337)ʼ, ʻinstallation of amenities(0.0331)ʼ, ʻOpenness of street boundary(0.0326)ʼ, and ʻsuitability of sidewalksʼ vertical and horizontal slope(0.0324)ʼ. Thirdly,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4 main factors have been extracted from ordinary people's perception. They are ʻsafetyʼ, ʻcomfortʼ, ʻinclusivenessʼ and ʻconvenienceʼ. The order of importance is ʻsafety (0.311)ʼ > ʻcomfort(0.304)’ > ʻinclusiveness(0.199)’ > ʻconvenience(0.186)ʼ. The 3 main factors extracted from the disabled are ʻsafetyʼ, ʻinclusivenessʼ, and ʻcomfortʼ. They are sequenced as ʻsafety(0.351)ʼ > ʻinclusiveness(0.330)ʼ > ʻcomfort(0.320)ʼ. In this regard, the safety of living streets is the most important for both ordinary people and the disabled. Meanwhile, ordinary people tend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comfortable space of living streets, hoping that living streets can guarantee the convenience of daily life and trip. In contrast, the disabled prefer the inclusiveness of pedestrian space, which can provide them with barrier-free travel in living streets. Fourthly, it is observed that the average score for each indicator exceeds 7 points among ordinary people, and the one exceeds 8 points among the disabled. It follows that the 2 groups in question tend to be consistent with each other in terms of the indicators. Both groups deem that the 26 indicators are equally important regardless of the perceptive difference in terms of individual indicators. It is also seen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s less than 0.05 in terms of 4 indicators, namely, ‘installation of lighting facilities’, ‘installation of environmental sanitation facilities’, ‘concentration of management facilities’, and ‘flat connectivity between manhole covers, other facilities, and the ground’. Note that their difference in regard of ‘concentration of management facilities’ is almost negligible due to the fact that the mean difference is only 0.002. By contrast, the 5 indicators showing the maximal difference between the 2 groups include ‘the distinction between facility area and pedestrian area’, ‘flat connectivity between sidewalk and building front area’, ‘connection between pedestrian space and building entrance’, ‘multi-modal warnings of crossing signal’, and ‘the completeness of the identification of information facilities’. Their mean difference exceeds 0.300, and all the 5 indicators are related to the disabled (with the average above 8 points) whose avarage is higher than that of ordinary people ( with the average varing from 7 to 8 points). Fifthly, the method of variance analysis is applied to the main factors obtained via factor analysis. It follows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disabled in terms of the safety and comfort of living street spaces (the blind, the deaf and mute, and the physically disabled). In contrast, there exist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inclusiveness among the disabled. Comparatively, it is found that ordinary people of different ages demonstrat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safety, comfort, inlusiveness, and convenience of the space in living streets. Sixthly, a comparison has been maken in terms of their perceptive difference of the 26 indicators between ordinary people and the disabled. It follows that different types of disabled people have shown remarkable differences in 6 indicators, such as ʻthe setting of bus stopsʼ, ʻeffective width of sidewalkʼ, ʻfacilities that prevent vehicles and (electric) bicycles from enteringʼ, ʻblind track paving perfectionʼ, ʻcrossing signals with various guiding modesʼ, and ʻperfection and identifiability of information signagesʼ. In contrast, they haven't shown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ther 20 indicators. As for ordinary people of different ages, they had shown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14 indicators, such as ʻthe quality of the sidewalk floor packagingʼ, ʻinstallation of traffic-calming facilitiesʼ, ʻfacilities blocking cars and (electric) bicyclesʼ, ʻeffective width of sidewalkʼ, ʻappropriateness of the slope in the sidewalkʼ, ʻopenness of the interfaces along the streetʼ, ʻinstallation of rest facilitiesʼ, ʻblind track paving perfectionʼ, ʻcrossing signals with various guiding modesʼ, ʻperfection and identifiability of information signagesʼ, ʻconnection between the walking space and the entrance to the buildingsʼ, ʻ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facility areas and pedestrian areasʼ, ʻthe setting of bus stopsʼ, and ʻinstallation of environmental sanitation facilitiesʼ. Contrast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ordinary people, has been shown in terms of the other 12 indicators. Seventhly, a comparison among the ordinary people, the disabled, and the experts has been make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mportance of the indicators. It is found that there are 3 indicators ranking in the top 10 among all 3 groups. They are ‘flat connectivity between manhole covers and the ground surface (B26)’ (ordinary people: 6th, the disabled: 5th, experts: 5th), ‘coexistence and safety division of walking, cycling, and vehicle Space (B8)’ (ordinary people: 5th, the disabled: 1st, experts: 1st), ʻfacilities blocking vehicles and (electric) bicycles from entering (B17)ʼ (ordinary people: 2nd, the disabled: 10th, experts: 10th). It suggests that all 3 groups consider the 3 indicators to be important in the design of pedestrian space in the living streets. The disability group and the expert group give exactly the same ranking of the importance of the three elements. There are, however, some differences between ordinary people and the other two groups, namely, the disabled and the experts. The last but not the least, this disser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general design, puts forward the improvement scheme for the pedestrian space in the living streets of Handan city, which i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tatus quo and the perceptive differences among the 3 groups in question. On the one hand, from the aspect of policy making and management, the local government is supposed to formulate and improv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and establish a public participation mechanism, so that the interests of different groups are guranteed. In this approach, the law basis and the system gurantee can be established, based on which, the different groups of people can share the space of living streets. On the other hand, from the angle of street design, the optimization of the pedestrian space is mo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interests of people in terms of space allocation, site layout, and the configuration of various street facilities. In this regard, main user types should be clarified and their requirements ought to be met. Therefore, this dissertation proposes that safety, inclusiveness, comfort, and convenience should be the focuses in the optimization of pedestrian space. 가로는 사람들의 일상생활의 공간적 수용체로, 교통, 여가, 쇼핑, 문화 등 다양한 기능을 담당한다. 좋은 가로는 사람들에게 평등하고, 즐겁고, 안전하고 쾌적한 공공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가로는 다양한 연령과 능력을 갖춘 사람에게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장소와 시설을 제공하여야 한다. 그러나 도시화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통행 효율을 지나치게 강조한 도시 가로는 보행자의 보행 경험과 감수성을 무시당한 채 차들이 주도하는 도시 공간으로 전락되었다. 유형별 거리는 각기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서로 다른 시설을 갖추어 사용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키고, 서로 다른 가로 풍경의 이미지를 보여주어야 한다. 생활가로는 사람들의 일상생활과 가장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고, 다양한 기능이 융합되어있는 가로의 유형으로서 도시의 공공생활이 발생하는 중요한 장소이다. 본 연구는 유니버설 디자인에 근거하여 문헌 조사법, 현지 조사법, 퍼지 델파이 방법, 설문 조사법, 인자 분석법, 분산 분석법 그리고 비교 연구법을 활용하여 한단시(邯鄲市) 도시 생활가로 보행공간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생활가로를 대상으로 현 단계의 도시 생활형 가로 갱신과 리모델링에 존재하는 사람보다 차량을 더 중시하는 폐해를 줄이고, 휴머니즘 차원에서 모든 이용자의 이익을 균형 있게 하여 안전하고 쾌적하며 포용적인 생활형 거리 보행공간 환경을 조성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진행된 본 연구의 논문의 구성내용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단시 구시가 안의 생활 가로를 대상으로 전형적인 대표성을 지닌 생활 가로 4곳을 선정해 현지조사를 실시하고 유니버설 디자인 차원에서 가로 보행공간 현황을 평가한다. 둘째, 유니버설 디자인 이론에 근거하여 선행연구를 종합하여 생활가로 보행공간 평가 지표를 초보적으로 선정한다. 또한, 퍼지 델파이방법으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지표 선별을 실시하고, 유니버설 디자인 기반의 도시 생활가로 보행공간 평가체계를 구축한다. 셋째, 일반인과 장애인을 대상으로 구축된 평가체계에 있는 지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하고,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인의 연령별 인식 차이, 일반인과 장애인의 인식 차이 및 장애인의 유형별 인식 차이를 비교하고 지표별 중요성에 대해 3개 집단(일반인·장애인·전문가)의 인식 차이를 비교 분석한다. 넷째, 한단시 생활가로 보행공간의 유니버설 디자인 현황과 세 집단(일반인, 장애인, 전문가)의 평가 지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차이를 종합하여 한단시의 생활가로 보행공간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조사와 퍼지 델파이 방법을 통해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보도, 공간연결 관계, 가로시설 등 3개 범주, 26개 지표를 선별하여 유니버설 디자인에 근거한 도시 생활가로 보행공간 평가체계를 구축하였다. 둘째, 평가 시스템에서 도출한 26개 지표의 중요성에 대한 전문가 평가결과를 보면 지표의 가중치가 상대적으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에서 13개 지표의 가중치는 0.0400~0.0450 사이에 분포하고, 나머지 13개 지표의 가중치는 0.0300~0.0400 사이에 분포하였다. 가중치가 가장 높은 5개 지표는 각각 ʻ보행·(전기)자전거·자동차 통행공간 공존 및 안전 구분(0.0440)ʼ, ʻ유효보도폭(0.0434)ʼ, ʻ휴게시설 설치(0.0431)ʼ, ʻ환경위생시설 설치(0.0418)ʼ 그리고 ʻ맨홀뚜껑 등 시설과 바닥 표면의 평탄한 연결성(0.0416)ʼ 이었다. 가중치가 가장 낮은 5개 지표는 각각 ʻ경관 녹화의 설치(0.0356)ʼ, ʻ시설물 구역과 보행 구역의 구분(0.0337)ʼ, ʻ편의시설 설치(0.0331)ʼ, ʻ가로변 경계면 개방도(0.0326)ʼ, ʻ보도의 종횡 기울기의 적절성(0.0324)ʼ이었다. 셋째, 요인분석 결과 유니버설 디자인 기반의 도시 생활가로 보행공간 평가체계에서의 26개 평가 지표 중 지표의 중요성에 대한 일반인의 인지에서 4가지 주요 요인을 추출하여 각각 ʻ안전성ʼ, ʻ쾌적성ʼ, ʻ포용성ʼ, ʻ편의성ʼ 등으로 명명하였으며 중요성 순위는 ʻ안전성(0.311)ʼ > ʻ쾌적성(0.304)ʼ > ʻ포용성(0.199)ʼ > ʻ편의성(0.186)ʼ이었다. 지표의 중요성에 대한 장애인의 인지에서는 3가지 주요 요인을 추출하여 각각 ʻ안전성ʼ, ʻ포용성ʼ, ʻ쾌적성ʼ으로 명명하였으며, 중요성은 ʻ안전성(0.351)ʼ >ʻ포용성(0.330)ʼ > ʻ편의성(0.320)ʼ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인이든 장애인이든 모두 생활가로 보행공간의 안전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일반인은 생활가로 보행공간의 쾌적성을 더욱 중시하고 생활가로가 일상생활과 통행의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기를 희망하고 있지만, 장애인은 생활가로 보행공간의 포용성을 더 중시하고 생활가로가 그들의 무장애 통행을 보장해 주기를 바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양자(兩者)의 인식 차이가 드러났다. 넷째, 생활가로 보행공간의 평가 지표의 중요성에 대해 일반인 집단과 장애인 집단을 조사한 결과, 일반인 집단의 각 항목에 대한 평점 평균값은 모두 7점을 넘었고, 장애인 집단은 지표별로 평가치는 8점 이상을 받았다. 이로부터 알 수 있듯이, 일반인 집단과 장애인 집단의 의견이 대체로 일치하는 양상을 보이며, 26개 평가 지표가 모두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 개별 지표에 대한 중요성 인지 정도는 차이가 있었다. 일반인 집단과 장애인 집단의 지표 중요성 인식 평균값 차이가 0.05보다 적은 지표는 ʻ조명시설 설치ʼ, ʻ환경위생시설 설치ʼ, ʻ관리시설 집중도ʼ, ʻ맨홀뚜껑 등 시설과 바닥 표면의 평탄한 연결성ʼ 등 4개 지표였다. 그 중 ʻ관리시설 집중도ʼ의 인식 차이는 거의 무시할 수 있으며 평균값 차이는 0.002에 불과하다. 가장 차이가 큰 5가지 요소는 각각 ʻ시설물 구역과 보행 구역의 구분ʼ, ʻ보도와 건축물 전면부 영역 평탄 연결ʼ, ʻ보행공간과 건물 입구의 연결 관계ʼ, ʻ다양한 안내방식의 횡단 신호ʼ, ʻ정보시설 유형별 완비 정도와 식별성ʼ이고, 이들의 평균값의 차이는 0.300 이상으로 개인적 편차가 컸으며, 장애인 집단의 인식 평균값(8점 이상)이 일반인 집단의 인식 평균값(7~8점)보다 높아 이 부분은 일단 긍적적으로 평가되었다. 다섯째, 요인분석으로 얻은 주요 인자에 대해 분산 분석을 한 결과, 생활가로 보행공간의 안전성·쾌적성의 중요성에 대해 장애인 유형별 인지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포용성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장애인 유형별인지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인의 연령별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생활가로 보행공간의 안전성·쾌적성·포용성과 편의성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섯째, 분산 분석을 통해 유니버설 디자인에 근거한 도시 생활가로 보행공간 평가체계 중에서 26개 지표의 중요성에 대해 장애인 유형별, 일반인의 연령별 인식 차이를 비교한 결과, ʻ버스정류장 설치ʼ, ʻ유효보도폭ʼ, ʻ차량과 (전기)자전거 진입 금지시설ʼ, ʻ점자블록 포장의 보완도ʼ, ʻ다양한 안내방식의 횡단 신호ʼ, ʻ정보표시 시설의 유형별 완비 정도와 식별성ʼ 등 6개 평가 지표의 중요성에 대해 장애인 유형별 인지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나머지 20개 평가 지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큰 차이가 없었다. ʻ보도 바닥 포장 품질ʼ, ʻ교통정온화(Traffic Calming) 시설 설치ʼ, ʻ차량과 (전기)자전거 진입 금지시설ʼ, ʻ유효보도폭ʼ, ʻ보도의 종횡 기울기의 적절성ʼ, ʻ가로변 경계면 개방도ʼ, ʻ휴게시설 설치ʼ, ʻ점자블록 포장의 보완도ʼ, ʻ다양한 안내방식의 횡단 신호ʼ, ʻ정보표시시설의 유형별 완비 정도와 식별성ʼ, ʻ보행공간과 건물 입구의 연결 관계', ʻ시설물 구역과 보행 구역의 구분ʼ, ʻ버스정류장의 설치ʼ, ʻ환경위생 시설의 설치ʼ 등 14개 평가 지표의 중요성에 대해 일반인은 연령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나머지 12개 평가 지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큰 차이가 없었다. 일곱째, 일반인 집단, 장애인 집단, 전문가 집단의 생활가로 보행공간에 대한 유니버설 디자인 평가 지표의 중요성 인식 정도 비교 결과, 지표별 중요성 순위를 보면 일반인, 장애인, 전문가 집단의 인식에서 동시에 10위 안에 드는 요인이 3개로 나타났다. 각각 ʻ맨홀뚜껑 등 시설과 바닥 표면의 평탄한 연결성ʼ(일반인: 6위, 장애인: 5위, 전문가: 5위), ʻ보행·(전기)자전거·자동차 통행공간 공존과 안전 구분ʼ (일반인: 5위, 장애인: 1위, 전문가: 1위), ʻ차량과 (전기) 자전거의 진입금지시설ʼ(일반인 2위, 장애인 10위, 전문가 10위)이었다. 세 집단(일반인, 장애인, 전문가) 모두 3개 요소가 생활가로 보행공간 디자인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장애인과 전문가는 3개 요소의 중요 정도에 대해 같은 순위를 가지나 일반인 집단과 두 집단(장애인과 전문가) 간에는 인식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한단시 생활가로 보행공간 현황 평가 결과 및 평가 지표의 중요성에 대한 집단별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 한단시 생활가로 보행공간의 최적화 원칙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정책과 관리의 관점에서 정부가 관련 법규와 조례를 제정하고 보완할 필요가 있으며, 대중의 참여 메커니즘을 구축하여, 다양한 집단이 공유할 수 있는 가로공간을 조성하고, 사회적 공평을 촉진하기 위해 법규의 마련과 제도적 보장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디자인 관점에서는 생활가로 보행공간의 최적 공간 분배, 장소 배치, 그리고 각종 가로 시설물 배치에 있어 사람을 더 많이 고려해야 하며, 주요 이용자의 유형을 명확히 하고 가로에서 그들의 활동 욕구를 만족시켜야 한다. 더불어 안전성, 포용성, 쾌적성, 편의성 측면에서 보행공간의 최적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점을 제언(提言)하였다.

      • 알레르기 비염에 대한 소청룡탕의 효과 평가 연구 :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민경진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47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Socheongryong-tang(SCRT) for allergic rhinitis(AR). Method: The study search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RCTs) that used SCRT for AR in 8 databases(PubMed, Cochrane Library, CNKI, CiNii Articles, OASIS, NDSL, KISS, KMbase) from their inception until August 2019. RCTs of SCRT, alone or combined with usual care(conventional medication), compared with usual care, placebo or no treatment were included in this review. The primary outcome was effective rate and scores evaluating the improvement of AR symptoms. The secondary outcome was quality of life scale, adverse events, recurrence rate, and laboratory indicators. Two researchers assessed the risk of bias in the included trials through the Cochrane Risk of Bias tool independently. The study synthesized outcomes using RevMan 5.3. Result: Eighteen RCTs involving 1686 participants were included in this review. The risk of bias was unclear for the majority of the included studies. 12 RCTs compared SCRT with usual care. 5 RCTs compared combination treatment of SCRT and usual care with usual care. One RCT compared SCRT with placebo.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CRT group and usual care group in the effective rate(RR 1.18, 95% CI(0.98, 1.41), p=0.09, I2=46%). The combination treatment group of SCRT and usual car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usual care group in the effective rate(RR 1.24, 95% CI(1.12, 1.38), p<0.0001, I2=0%). The SCRT group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nasal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than the placebo group after four weeks medication according to one RCT. Mild adverse events such as dry mouth were identified in 5 RCTs, but no serious adverse events were reported. Conclusion: This review show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CRT and usual care in terms of the effective rate for AR, and the combination treatment of SCRT and usual care was more effective in treating AR than usual care in terms of the effective rate. There were no serious adverse events. However, it is difficult to make a definite conclusion because of few included studies and heterogeneity between studies, and the quality of included studies was mostly insufficient. Further well-design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re needed. 목적 : 국내·외 연구들을 고찰하여 알레르기 비염에 대한 소청룡탕의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방법 : 국내·외 8개의 데이터베이스(PubMed, Cochrane Library, CNKI, CiNii Articles, OASIS, NDSL, KISS, KMbase)에서 2019년 8월까지 출판된 알레르기 비염에 소청룡탕을 중재로 사용한 무작위배정 비교임상시험연구(RCT)를 검색하였다. 소청룡탕 단독치료 또는 소청룡탕 및 일반 약물 병행치료를 일반 약물 치료, 위약 또는 무처치와 비교한 무작위배정 비교임상시험연구가 포함되었다. 1차 결과변수는 치료 유효율, 증상 개선 정도 평가 지표로 하였고, 2차 결과변수는 삶의 질 지표, 이상반응, 재발률, 병리검사 지표로 하였다. 두 명의 연구자가 Cochrane Risk of Bias 도구를 이용하여 독립적으로 비뚤림 위험을 평가하였다. 자료 합성은 RevMan 5.3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결과 : 총 18편의 무작위배정 비교임상시험연구가 선정되었으며 총 1686명의 환자가 포함되었다. 포함된 연구들의 비뚤림위험이 불확실한 경우가 많았다. 소청룡탕 단독치료군과 일반 약물 단독치료군을 비교한 연구는 12편이었고, 소청룡탕 및 일반 약물 병행 치료군과 일반 약물 단독치료군을 비교한 연구는 5편, 소청룡탕 단독치료군과 위약군을 비교한 연구는 1편이었다. 소청룡탕 단독치료군은 알레르기 비염 치료 유효율에 있어서 일반 약물 단독치료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RR 1.18, 95% CI(0.98, 1.41), p=0.09, I2=46%). 소청룡탕 및 일반 약물 병행 치료군의 치료 유효율은 일반 약물 단독치료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R 1.24, 95% CI(1.12, 1.38), p<0.0001, I2=0%). 소청룡탕 단독치료군과 위약군을 비교한 1편의 연구에서는, 4주간 치료후 소청룡탕이 위약보다 알레르기 비염 증상 개선과 삶의 질 개선에 있어서 유의하게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반응을 보고한 5편의 연구에서 구강건조 등의 경미한 이상반응이 나타났으며 심각한 이상반응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 결과, 소청룡탕의 알레르기 비염 치료 유효율이 일반 약물 치료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소청룡탕과 일반 약물 치료를 병행한 경우는 일반 약물 치료보다 치료 유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청룡탕 복용으로 인한 심각한 이상반응은 발생하지 않았다. 하지만 본 연구에 포함된 논문 수가 적고 연구 간 이질성으로 인해 명확한 결론을 내리기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으며, 포함된 연구의 질이 대부분 낮아서 추후 보다 잘 설계된 무작위배정 비교임상시험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