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Improving community participation in rural community development program : Case study of global Saemaul Undong project in Ponjong village, Gunungkidul Regency, Yogyakarta special region, Indonesia

        Pramadha Reazldi Alief 영남대학교 박정희새마을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71

        인도네시아는 많은 정책적 시도를 통하여 지역사회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왔으며, 2014년부터 마을기금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마을발전을 위한 기금을 자조적으로 관리, 활용할 수 있도록 마을자치역량을 개발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의 지역사회개발정책 추진을 위해 새마을운동에서 활용가능한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도네시아 뽄종마을 주민들의 글로벌새마을운동 참여 경험이 인도네시아 정부의 마을기금 프로그램 참여에 어떠한 효과를 나타냈는지, 그리고 글로벌새마을운동 참여의 어떠한 경험이 마을기금프로그램 참여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해 뽄종마을 주민들을 대상으로 표본 추출하여 글로벌새마을운동사업과 마을기금 프로그램에 관한 제반 의견, 새마을사업의 성과, 그리고 마을기금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하고, 분석을 위해 부분최소자승-구조방정식모형(PLS-SEM)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주민참여의 측면에서 글로벌 새마을운동사업이 마을기금 프로그램에 직∙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새마을사업의 직접적인 효과는 두 사업 간의 연계성 측면에서 나타났다. 간접적인 효과는 마을기금 프로그램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 개선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글로벌새마을운동사업이 마을기금프로그램과 비교하여 주민참여 측면에서 성과가 더 높았다는 점에서, 정책입안자들은 지역사회개발 프로그램들의 주민 참여를 높이는 방안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관련한 지식공유 프로그램을 확대 강화함으로써 정책담당자들이 새마을운동의 실천과 관련한 정책역량을 높이고, 글로벌새마을운동사업의 확산과 사업지역 확대 추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주민들의 의식변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우수한 성과를 창출한 마을에게 적절한 유인체계를 제공함으로써 시범마을간의 경쟁시스템을 도입하여 활용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주제어: 인도네시아의 마을기금 프로그램, 글로벌 새마을운동사업, 부분최소자승-구조방정식모형(PLS-SEM), 지역사회개발, 참여 Through establishment of Law number 6/2014 about village, Indonesia is developing new community development approach called Village Fund Program. This program focuses on improving village government authority. Adoption of Saemaul Undong in Indonesia through Global Saemaul Undong Project uses this program as policy entry. This research aims to improve applicability of Saemaul Undong Concept in Indonesia by reviewing and analyzing impact of participation experience in Global Saemaul Undong Project on participation in Village Fund Program. Data sample of 99 Ponjong villagers’ opinion about their participation in Global Saemaul Undong Project and Village Fund Program, result of Global Saemaul Undong Project, and their perception about Village Fund Program was collected using likert scale questionnaire. After that, this research used Partial Least Square-Structural Equation Model (PLS-SEM) to process the data. This research finds that, in term of participation, Global Saemaul Undong Project has direct and indirect positive impact to Village Fund Program. Direct effect occurred through synchronization of Global Saemaul Undong Project and Village Fund Program while indirect effect occurred through mediation effect of two variables which are Global Saemaul Undong Project’s positive result and positive perception about Village Fund Program. The finding implies that Global Saemaul Undong Project supports Village Fund Program to gather more participant. Indonesia policy maker can learn from it to increase participant in community development program. Intensifying knowledge sharing program would facilitate learning process about Saemaul Undong as well as spreading and scaling up implementation of Global Saemaul Undong Project to wider target village. Considering the occurrence of mindset change process, participation rate can be increased by applying competition scheme among pilot villages. Highly performed village will receive additional support in the next period. It will give demonstration effect to other village so they will be willing to conduct better project. Keywords: Indonesia’s Village Fund Program, Global Saemaul Undong Project, Community Development, Participation, Partial Least Square-Structural Equation Model

      • Improvement of Education, Case Study of Intermediate School in Leiway Township in Nay Pyi Taw, Capital of Myanmar : 레이웨이(Leiway)시의 중등 교육 개선에 대한 연구

        예윈아웅 영남대학교 박정희정책새마을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71

        "레이웨이(Leiway)시의 중등 교육 개선에 대한 연구" 예 윈아 웅 영남대학교 박정희정책새마을대학원 새마을학과 새마을운동및실천전공 (or 공공정책리더십학과 공공정책리더십전공) 지도교수 이 유 신 요 약 (Abstract) 키워드: 교육, 미얀마, 개선, 학교, 아세안, 지식, 프로그래머, 활동, 기술, 개발, 시스템. ASEAN 국가 중 하나인 미얀마는 다당제 민주주의 시스템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교육은 새로운 정치체제를 구현하고 경제 구조의 열쇠를 위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따라서 미얀마 정부는 교육 계획을 마련하고 이를 실천하려 하고 있다. 모든 인프라와 교육 방법은 국제 표준으로 현대화되고 있다. 미얀마 교육부는 교육의 주요 공급업체이며 지식 시대의 도전에 직면 할 수 있는 학습 사회를 생성하고 교육시스템을 만들 비전을 가지고 일을 추진하고 있다. 교육 개발 계획의 구현은 고등교육의 질 향상을 추구할 뿐만 아니라 고등교육에 대한 접근성을 증진시킨다. 위의 개념을 연계해, 이 연구는 컴퓨터 기술과 영어 능력에 중요한 기초 과정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중등교육 수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연구는 공식적인 자료와 미얀마의 Nay Pyi Taw의 Leiway 타운에 있는 중등학교의 사례를 조사하고 있다. 간단한 말해, 이 지역에서 추진되는 교육 프로그램은 선진국이 되기 위해 미얀마가 필요로 하는 강력한 고등 교육 시스템의 구축을 강화할 것이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경쟁환경에서 미얀마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양질의 교육과 고도의 기술 및 지식을 제공할 것이다. "레이웨이(Leiway)시의 중등 교육 개선에 대한 연구" 예 윈아 웅 영남대학교 박정희정책새마을대학원 새마을학과 새마을운동및실천전공 (or 공공정책리더십학과 공공정책리더십전공) 지도교수 이 유 신 요 약 (Abstract) Keywords: Education, Myanmar, improvement, schools, ASEAN, knowledge, programmers, activities, skill, development, system. Myanmar, one of the ASEAN countries, is now on the paved way to multiparty democracy system. Education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for implementing the new political system and key to the economic structure. So the Myanmar government laid down the education plan and tried to implement. Both infrastructure and teaching methodology are also modernized as international standard.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the main provider of education in the Union of Myanmar and is functioning with the vision to create an education system that will generate a learning society capable of facing the challenges of the Knowledge Age. The implementation of the education development plan is not only bringing about the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and promoted diversity, but it has also markedly increased accessibility to higher education. Linking to the above concepts, this research approach focuses on the intermediate education level by the way of include the major basic course on computer skill and English language skill. I collect official data and consensus for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as a case study of Intermediate School in Leiway Township in Nay Pyi Taw Capital of Myanmar. In brief, the education promotion programmes being undertaken will enhance the building of a robust higher education system that can further serve Myanmar’s needs as it strives to become a modern and developed nation. Furthermore, it will equip Myanmar citizens with quality education and the advanced skill or knowledge they will need in an increasingly competitive environment and create a firm foundation to pursue lifelong learning while at the same time nurturing the cultural roots and identity of Myanmar.

      • Management structure and developmental strategies for farmer's cooperatives : A case study of Gishwati Beekeeping farmers cooperative

        Mukamurenzi Eugenie 영남대학교 박정희새마을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55

        요약 본 연구는 구쉬와티 지역의 양봉장 협동 조합의 경영 구조와 발전 전략을 분석하고자 한다. 르완다 정부는 농업 활동과 농업 기반의 협동 조합을 포함한 민간 부문 지원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르완다 정부는 농업 부문 및 기타 민간 부문에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르완다의 빈곤 퇴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 정부는 2020년의 비전을 통해 장기적인 빈곤 퇴치 목표를 달성하는데 도움이되는 체제와 관리 메커니즘을 갖추고 있다. 이 연구는 다음 질문에 답할 것이다. - 르완다에서 양봉 협동 조합의 경영 구조와 개발 전략이 어떠한가? 이 연구는 다큐멘터리 기법, 설문 기법 및 인터뷰와 같은 조사 기법뿐만 아니라 양적 및 질적 접근 방식을 사용하는 사례 연구 디자인을 사용하여 69 명의 응답자로부터 데이터를 찾았다. 이 연구는 구쉬와티의 풍경과 관련된 활동이 주로 양봉으로 이루어졌으며 조사자의 50.7 %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이 조사는 "구시와티의 양봉협동 조합"과 관련이 있다. 또한 87 %의 응답자가 양봉 협동 조합 회원이되어서 더 이상 영양 실조를 겪지 않는다고 동의했다. 양봉가 협동 조합에 의해 지역사회 사람들은 모든 문제에 맞서 싸울 수 있다. 97.1 %는 음식, 옷, 비누 등의 필수품을 구입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양봉가가 팔 수있는 제품은 많이 있다. 따라서 비용뿐만 아니라 이익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구쉬와티 산의 양봉가들은 가정용으로 판매하고 어느 정도는 벌꿀을 생산한다. 다른 제품, 즉 꽃가루, 프로 폴리스, 로열 젤리, 벌독, 생 벌 등은 잘 알려지지 않았으므로 이용이 적다. 또한 79.7 %의 응답자가 수요에 비해 생산 공급이 여전히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쉬와티 조경에서의 양봉은 꿀 생산을 위한 자연적인 능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했고, 꿀 부문에서 비교우위를 완전히 누릴 수 없었다. 여전히 재정적인 자원이 부족하고 연구 중 응답자의 59.4 %가 응답했다. 응답자의 88.4 %가 현대의 벌집을 적절히 관리하는 데 공급 관련 장벽이 있다고 응답했다. 현대의 벌집을 관리하는 데 필요한 도구를 쉽게 구할 수는 없다. 예를 들어, 일부 양봉가는 현대의 벌집(상자)을 보유하고 있지만, 벌집 (흡연자, 여왕 제외 자, 꿀 추출기 등)의 적절한 관리에 필요한 도구가 부족하다. 이 연구에서 56.5 %가 훌륭한 관리를 위해 충분한 훈련을받지 못했다고 응답했다. 일반적으로 르완다는 양봉 분야에서 자격을 갖춘 전문가가 없기 때문에 양봉 개발에 대한 또 다른 도전이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양봉장이 기쉬와티 숲에서 0m 지점에 정착 될 것이며, 관련 당국은 전문 양봉가에게 벌꿀 생산 및 기타 벌 제품을위한 공원 내에서 양봉 활동을 실천하기 위한 특별 허가를 발급 할 것을 권고했다. 양봉가는 모범 사례에 대한 교육을 받아야 한다. 따라서 보전과 보존, 그리고 빈곤 감소 프로그램에서 양봉의 위대한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재정, 신축 및 기술 지원이 할당되어야 한다. 주어진 국가 환경에서 모든 협동 조합을 대표하고 협력적인 지역 개발 경험을 지역 및 국가로 변화시킬 수있는 일관된 대표 제도 (하위 국가 및 국가, 부문 별 및 부문 간)를 창설하거나 강화하는 것은 기본이다. 공공 정책 및 법률, 협동 조합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존재하고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통제 할 수있는 생산, 유통의 국가적, 지역적 그리고 전 세계적 연쇄의 창설과 강화를 지원한다. ABSTRACT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anagement structure and developmental strategies of beekeepers cooperatives in Gishwati landscape. The Government of Rwanda has put effort in supporting private sector including agricultural activities and agro based cooperatives. The government of Rwanda aims at eradicating poverty in Rwanda through empowering agriculture sector and other private sectors. Through its vision of 2020 the Government has setup structures and management mechanism that helps in the long term goal of poverty eradication. The study proposed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 How is the management structure and development strategies of beekeeping cooperatives in Rwanda? The study involved a case study with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as well as the techniques of investigation, like the documentary technique, the technique of questionnaire, and the interview and sought data from 69 respondents. The study found out that the activities associated to Gishwati landscape are mainly beekeeping as, 50,7% of respondents confirmed it. This survey involved “Union of Beekeeping Cooperatives of Gishwati”. In addition, 87% of respondents agree that no longer malnutrition in their families after being the members of beekeeping cooperatives. By beekeeping cooperative the community, people are able to fight against all those problems. 97.1% confirmed that they can afford to the necessities such as food, clothes, soap etc. There are many products a beekeeper can sell. It is therefore important to consider costs as well as benefits. Beekeepers around Gishwati forest produce honey and beewax for sell and in some extent for home use purposes. Other products i.e. pollen, propolis, royal jelly, bee venom and live bees are not well known and therefore less exploited. Furthermore, 79.7% of respondents confirmed that the supply of production is still low comparing to the demand. Beekeeping in the Gishwati landscape has not fully succeeded inexploiting its natural capacity for honey production, nor has it been able to fully benefit from its comparative advantage in the honey sector. There is still the lack of financial resources as 59.4% of respondents confirmed that during our research. As 88.4% of respondents said, there is supply-related barriers to properly managing modern beehives. The supply of tools necessary to manage modern beehives is not readily available. For instance, some beekeepers possess modern beehives (just boxes), but they lack the tools required for the proper management of these beehives (such as a smoker, queen excluder, or honey extractor). There is a big number who don’t have enough training for a good management as 56.5% said it in our research. Generally Rwanda lacks qualified professionals in the apiculture sector and this is a challenge to beekeeping development. Finally, Beekeeping activities are conducted outside the forest limits in the rose which is not enough convenient. It is better to locate the apiaries near the forest at 0 m from the Gishwati Forest and, to a certain extent, the competent leaders can help in the limitation and this will increase the production. The training of beekeepers in best practices is necessary. It is essential: To develop or strengthen a reasonable representation at various state levels. This representation will help in transforming the cooperative development experience into national policies. Furthermore, it will help in formation of legislation guidelines.

      • (The) effectiveness of youth livelihood programme on reducing youth unemployment in Uganda : A case study of Buhweju district

        Bashongoka Nicholas 영남대학교 박정희새마을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55

        청년실업은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모두의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개인과 사회적 차원에서 전세계적으로 가장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국제노동기구 보고서(2017)에 따르면, 전세계 실업률은 2017년에 5.8%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는 2017년 전세계 실업자수가 2016년보다 3백4십만명이 늘어 난 2억1백십만명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간다 청년실업률은 65% 이상이 되고 있다(UNFPA, 2014). 그래서 우간다는 청년생계프로그램을 도입하였다. 이는 청년들로 하여금 사회 경제적인 잠재력을 동원하여 스스로의 취업기회와 소득수준을 향상시키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우간다의 높은 청년실업률에 대처하기 위해 도입된 청년생계프로그램에 대한 청년의 참여를 결정하는 요소를 조사하고, 일자리 창출과 기술 개발을 위한 당초 가이드라인과 목적, 설계에 비추어 이 프로그램의 운영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버웨주 지구를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청년생계프로그 램의 혜택을 받은 75명의 집단 구성원이 포함된 버웨주 지구 내 근교도시 및 농촌지역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정성적 및 정량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자료는 관찰, 설문, 인터뷰를 통해 수집하였다. 인터뷰는 60%의 남성과 40%의 여성으로 구성된 표본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그리고 자료 분석은 기술적 통계와 추론적 통계를 함께 이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혜택을 받는 집단의 선정은 프로그램 가이드라인에 따라 이루어졌다. 그러나 예산 감축과 자금 지불의 지연이 집단의 목표성취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었다. 예산부족에 더하여 감시제도가 취약하였으며, 집단에 대한 훈련도 매우 부족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프로그램이 일자리 제공을 통해 청년의 지위를 높였다고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이상의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청년생계프로그램의 성공을 위하여 다음 사항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강력하고 효과적인 감시기구를 제도화한다. 둘째 모든 집단의 구성원에게 적절한 훈련을 제공한다. 셋째 진입기준을 수정한다. 넷째 정보소통 통로를 강화한다. 마지막으로 운영자금을 늘리고 적기에 자금이 지급되도록 한다. Despite the numerous efforts put forward by both developing and advanced economies, youth unemployment still stands out as one of the most global challenges both at the individual and societal levels.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ILO] report (2017), the global unemployment rate is expected to rise modestly to 5.8 % in 2017 thus representing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unemployed globally of 3.4 million compared with 2016 (bringing total unemployment to 201.1 million in 2017). In Uganda, youth unemployment stands at more than 65% (UNFPA, 2014). Youth livelihood programme was therefore established in Uganda with the main development objective of empowering the youth to harness their socio-economic potential and increase self-employment opportunities and income levels. This study therefore investigated the determinants of youth participation in the Youth Livelihood Programme (YLP) and evaluated its operation against initial guidelines, objectives and design for job creation and skills development in response to high youth unemployment in Uganda with a case study of Buhweju district. Specifically the study was conducted in peri-urban and rural areas of Buhweju district covering 75 group members who had benefited from YLP.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were used in the study while data was collected using observations, questionnaires, and interview guides from a sample of 60.0% males and 40.0% females. Both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were used to analyze data. The guidelines were adhered to in the selecting the groups to benefit from the programme though budget cuts and delay in disbursement of the funds to some extent affected the performance of the groups. Coupled with budget inadequacy, there was weak monitoring system and very limited training for the groups. Despite the challenges, the study established that programme had uplifted the youth status through provision of employment. The study therefore recommends that strong and effective monitoring mechanism be instituted, giving adequate training to all the group members, revise entry criteria, strengthen information communication channels, the operational funds be increased and timely released for the success of the YLP.

      • Challenges of women in rural development of Afghanistan

        Khuda Bakhsh Sultani 영남대학교 박정희새마을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아프가니스탄의 농촌개발에 있어서 여성의 문제를 탐구한다. 여성은 1996년 탈레반 집권 전까지 그리고 탈레반 집권기간 내내 암울한 시대를 보냈다. 탈레반이 제거된 이후 미국, 연합군, 나토, 유엔기구, 월드뱅크와 원조국가 등은 아프가니스탄의 재건을 위해 수십억 달러를 원조해왔다. 이런 대규모 원조에서 여성의 권한부여는 핵심이슈 중의 하나이다. 국내 및 국제 기구들이 아프가니스탄에서 여성의 권한부여를 위한 프로젝트들을 수행한다. 그것들은 대부분 도시지역에서 시행되고 농촌지역에서는 별로 시행되지 않는다. 그러나 불안정한 사회여건, 부정부패, 프로젝트담당자의 능력부족, 전통의 문제, 여성들의 높은 문맹률과 더불어 문화와 환경에 맞도록 적절히 고안되지 않은 프로젝트들로 인하여 그것들이 여성의 삶의 조건을 별로 개선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아프가니스탄 농촌지역의 여성들은 여전히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더구나 이런 분야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으며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는 한계가 있고, 여성문제에 대한 조사와 연구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농촌지역의 여성들은 전통적으로 그들의 도전과제와 문제점들을 말할 준비가 되어있지 않다. 연구를 위해 현장에 방문할 필요가 있지만, 아프가니스탄에는 안전한 지역이 많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안전한 지역에서 수집한 자료만을 활용한다. 본 연구를 완료하는 데에, 1차 자료와 2차 자료가 함께 사용된다. 농촌 여성, 주부, 여학생, 교사, 공무원과 여성권한부여 프로젝트에 종사하는 사람들로부터1차 자료를 수집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카불과 바만의 두 지역에서 자료를 수집한다. 현장 자료에 의하면, 대부분의 응답자는 여성권한부여 프로젝트예산이 그것이 정말로 필요한 농촌지역이 아닌 도시지역에서 증가되어 왔으며, 그와 동시에 여성에 대한 교육은 비현실인데, 이것이 여성문제의 핵심이라고 지적되고 있다. 조사자료에 의하면, 단지 여성에 대한 인식확대, 훈련, 교육만으로는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없고, 여성의 권리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도록 이러한 활동에 남성들도 포함시켜야 하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농촌지역에서 법적 장치의 부족으로 처벌을 면제하는 분위기가 팽배해지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수집자료에는, 여성 피고용인의 숫자는 남성보다 적거나 여성권한부여 프로젝트들에서 여성 피고용인이 없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아프가니스탄과 같은 전통적인 사회에서는 여자가 근무하지 않는 프로젝트에 여성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이 되어 있지 않다. 조사자료와 결과를 토대로 나는 아프가니스탄의 관련부처, 지역주민, 시민사회, 여성단체, 국내 및 국제기구에게 건의와 제안을 한다. 나의 건설적인 제안이 아프가니스탄 농촌의 여성 권한부여 프로젝트 속에 내재해 있는 부정적인 사항을 제거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This study explores challenges of women in the rural development of Afghanistan. Women have passed a dark period of history before Taliban regime (1996) and during Taliban regime. After Taliban removed USA, Coalition Forces, NATO, UN agencies, World Bank and donor countries donated Milliards of US dollars for rehabilitation of Afghanistan. Women empowerment was one of the main focus issues in these huge donations. National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mplemented women empowerment projects in Afghanistan. They mostly covered urban area and less rural areas. However these projects are less improved the living condition of women, but due to insecurity, corruption, low capacity of projects staff, tradition, huge illiterate of women, not the proper design of project based on culture and environment, still, women face too many challenges in rural Afghanistan. as there is not many studies done in this field and it needs to study more. This study had some limitation, research and study on women challenges need more time. Meanwhile, traditionally women in the rural area are not ready to tell their challenges and problems to researchers. Research needs to visit the field, but there are few secure places in some parts of Afghanistan, in this survey, I have collected data only where was secure. For completing this study I have used both primary data and secondary data. Primary data from rural women, housewife, girl students, teachers, office workers and people who are worked in women empowerment projects. Two provinces (Kabul, Bamyan) were targeted in this survey. Based on the collected data from the field most of the participants pointed out most of the women empowerment budget have been expended in urban than rural where sharply needed, at the same time education for women is not concentrate well, which is the main problem of women. Finding shows that awareness raising, training, and education for only women cannot solve the problem but, men should be included in these activities as well in order to aware about women right and based on women right men should respect the women. This study shows that the culture of exemption from punishment is increasing due to lack of role of law in rural areas. Based on findings female employees were less than men or there was no female employee in women empowerment projects. In a traditional society like Afghanistan, women are not ready to participate the projects where there is no any female. Based on finding and result I have given recommendation and suggestion to related Afghanistan ministries, local people, civil society, women, national &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 hope the constructive recommendation will remove the negative effect of women empowerment projects in rural Afghanistan

      • New Rural Development Movement of Vietnam Period 2010-2020 Compared With Saemaul Undong of Korea in 1970s

        판원응옥테이 영남대학교 박정희정책새마을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55

        Saemaul Undong is a Korean community development movement. It initiated in early 1970s. It was achieved the success in a short time in raising incomes and improving living standards in rural areas, so narrowing the gap between urban and rural in Korea. Nowadays New Rural Development Movement is implementing in Vietnam. The purpose of this movement also raises income and living standard of rural peopl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ame and different of the key elements of the two models - New Rural Development Movement of Vietnam period 2010-2020 and Saemaul Undong of Korea in 1970s - through comparing the economic and social background, the strategies, means and other key elements of the two models. Based on these findings, Vietnam can adopt the Saemaul Undong model carefully base on own enabling environment. Besides some recommendations for the New Rural Development Movement of Vietnam also will be suggested at the end of this study. 새마을운동은 대한민국 지역사회 개발운동이다. 1970년대 초에 시작된 새마을운동은 개인수입 및 생활수준을 높히고, 도시 및 농촌간의 격차를 줄였으며 짧은 기간에 큰 성과를 얻었다. 현재 베트남에서 새농촌운동이 시행되고 있으며, 이 운동은 새마을운동과 마찬가지로 농촌의 수입 및 생활수준을 높이고자 하는 운동이다. 본 연구는 1970년대 대한민국의 새마을운동과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이어질 베트남 새농촌운동의 경제, 사회적인 배경, 전략, 도구와 그외 핵심 요소들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연구한다. 본 연구결과는 베트남이 조심스러운 환경조성을 통해 새마을운동을 적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새농촌운동에 대한 제언을 끝으로 마친다.

      • 농촌 주민역량강화를 위한 새마을교육 적용사례 연구 : 에티오피아 오로미아주를 중심으로

        지선영 영남대학교 박정희새마을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55

        Saemaul Undong has been focused as a successful example of the asset based community development for capacity building. Many developing countries have asked Korea to share its experience to eradicate poverty. This research aims to suggest a case study for strengthening capacity of rural residents to develop villages by themselves continuously by implementing a Saemaul Training program. First of all, through the document research, four training frameworks has been deducted from successful factors of Saemaul Undong in 1970’s. They are mindset change, leadership of Saemaul leaders, bottom-up village development, and learning by doing. Based on four frameworks, three steps of Saemaul training program has been set up. The first is Saemaul lectures including classroom lecture, field study, workshop and discussion. The second is action plan design, and the third is action plan implementation. This Saemaul training program has been applied at three villages in Oromia, Ethiopia and 12 selected Saemaul leaders from three villages have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To collect data, the researcher became a participant observer to witness the entire process during the 4 months of training. Also, after the training, 12 Saemaul leaders were interviewed. The participants mentioned the purpose of Saemaul training is to change mindset, strengthen capacity for village development, increase women participation. Also, they told that Saemaul training is different from other training because it has long-term goals, causes a change from themselves, and provides practical experiences. Saemaul leaders selected a field study as the most useful program. The second and third were designing the action plan, and implementing the action plan. Those are programs requiring active participation of Saemaul leaders. Based on the research, it is suggested that Saemaul training program for capacity building should be preceded before the completion of rural development project in developing countries. Also, when Saemaul training program is implemented, it needs to be adapted to the country’s situation based on key success points of Saemaul Undong in Korea.

      • Impact assessment of involuntary relocation to the informal settler families affected by the flood risk management project in Imus river : Imus retarding basin

        Michiko Marie B. Quiachon 영남대학교 박정희새마을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55

        이 연구는 Imus River Retarding Basin 건설로 인해 재이주하는 비공식적인 이주민 가정의 경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가족들은 said 프로젝트로 인한 재정착의 준비과정에서 확인되었다. 지역 사회 개발 및 새마을 운동에 관한 기본 틀이 영향을 받는 가족의 재활 과정에 적용된다. 프로젝트에 영향을 받은 비공식적인 이주민 가족은 Toval, Cavite의 Barangay Pinagkaisa에 보상이 주어진다. 다양한 문제가 재배치 프로그램 중에 발생한다. 일부 가족은 자녀의 교육 및 피해를 입은 나무에 대한 보상문제 등으로 즉시 재배치 장소로 이전하기를 거부한다. 재배치 장소로 이주한 가족들이 직면하는 문제는 전력 및 수도와 같은 기초 서비스의 부족이다. 주정부는 카비테 (Cavite)는 생계 계획과 프로그램을 개발했으나, 그 계획과 프로그램은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시설이 부적절하기 때문에 시행되지 않는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실시가 오프사이트에서 일어날 경우 일정의 충돌과 어린이 복지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공동체와 정부 간의 강력한 조정의 중요성이 눈에 보이는 고충 처리위원회가 재배치 계획 및 미래 정부 프로젝트를 원활하고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데 필수적이며 필요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새마을운동의 "할 수 있다. 정신은 재배치 과정에서뿐만 아니라 재활 활동 도중에도 유익하다.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experiences of the informal settler families who were being relocated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Imus River Retarding Basin. These families were being identified during the preparation of the resettlement action for the said project. The Theoretical Framework on Community-Based Development and Saemaul Undong were the concept applied in the process of the rehabilitation of the affected families. The affected informal settler families affected by the project were awarded with lots in Barangay Pinagkaisa in Toclong, Cavite. Various issues arise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relocation program. Some families refused to transfer immediately to the relocation site because of their children’s education and unclaimed compensation for the affected trees. Lack of basic services like electricity and water due to right-of-way problems were also faced by the families who transferred in the relocation site. Although the Provincial Government of Cavite developed livelihood plans and programs, those plans and programs cannot be implemented because of inadequate facilities available on site. Conflict on the schedule and concerns of the welfare of the children also arises if the conduct of this programs will be conducted offsite. The importance of strong coordination between the community and the government and a visible grievance committee proves to be essential and necessary for a smooth and successful relocation plan and program that can be applied to future government project. Applying “can-do” spirit of Saemaul Undong would be beneficial not only during the relocation process but also during post-rehabilitation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