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6·25 한국전쟁과 한국교회에 대한 소고 : ACTS 신학공관을 중심으로

        신종철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20 ACTS 신학저널 Vol.44 No.-

        The year 2020 is the 70th anniversary of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on June 25th, 1950. About 3,170,000 soldiers (1,270,000 Korean and 1,900,000 United Nations) were engaged at the war and average age of the survivors are now about 88 years old. This means there is not much time to express our gratitude to them for their sacrifice and dedication. The year 2020 is important as it is the last decadal anniversary that they can attend. This article reflects on the Korean war and the Korean church from the viewpoint of the ACTS theological synoptic movement. First, from the viewpoint of the ‘Central Truth of Christianity Movement’ in the ‘ACTS Theological Synoptic Movement,’ it is disappointing that lead-ing ministers of the Korean church did not show central truth of Christian movement during the Korean war, as we can see in Seoul minsters’ resolution of a desperate defense of the capital city. Second, from the viewpoint of ‘Sound Theology Movement,’ in the ‘ACTS Theological Synoptic Movement,’ the Korean war was a factor that Korean church’s theology went astray. Korean church lacked of sound orthodox theology and suffered because of unsound beliefs. Ministers with low quality appeared and consequently there appeared heretical movements including distorted spiritual movements. Third, from the viewpoint of ‘True Believer Nurturing Movement,’ in the ‘ACTS Theological Synoptic Movement,’ Korean war showed how important nurturing true Christians is. The martyrdom of Rev. Son Yangwon is the representative case. Fourth, from the viewpoint of ‘Church Unity Movement,’ in the ‘ACTS Theological Synoptic Movement,’ Korean war was an important opportunity to start chaplain system in the Korean armed forces. Fifth, from the viewpoint of ‘Church Renewal Movement’ in the ‘ACTS Theological Synoptic Movement,’ Korean people rebuilt church buildings, Christian universities and schools that were destroyed during the war and there were revival movements. In conclus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ACTS Theological Synoptic Movement,’ reflecting the Korean war and the Korean Church, we come to acknowledge of the importance of ACTS Theological Synoptic Movement. 올해(2020년)는 6·25 한국전쟁이 일어난 지 70주년이 되는 해이다. 6·25 전쟁에는 대략 총 317만 명(국군 127만 명, 미국 등 유엔군 190만 명)이 참전했는데 참전했던 생존자들의 평균 연령은 현재 88세에 달한다. 이같은 사실은 안타깝게도 참전용사의 희생과 헌신에 감사의 마음을 표현 할 수 있는 시간은 그리 많이 남아 있지 않음을 말해 주고 있다. 그러므로 올해 6·25 한국전쟁 70주년은 국내외 참전용사가 참여할 수 있는 마지막 10년 주기라는 점에서 의미가 더 깊을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런 상황속에서 본고는 ‘ACTS 신학공관(共觀)의 관점’에서 ‘6·25 한국전쟁과 한국교회’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첫째, ‘ACTS 신학공관’의 ‘기독교의 중심 진리 운동’의 관점에서 볼 때 불행하게도 한국전쟁의 와중에서 한국교회의 지도자급의 목회자들은 이 모습을 제대로 보여주지 못했다. 이것은 ‘서울 시내 교역자들의 수도 결의의 모습’에서 찾아 볼 수 있다둘째 ‘ACTS 신학공관’의 ‘바른 신학운동에 비추어 볼 때 한국전쟁은 한국교회에 바른 신학을 제대로 세우지 못하게 하는 요인이었다. 예를 들면 ‘교역자의 질적 하락’과 ‘잘못된 성령운동으로 인한 이단의 출현’이다. 셋째, ‘ACTS 신학공관’의 ‘참 신앙인 양육 운동’ 에 비추어 볼 때 한국전쟁은 참 신앙인 양육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보여 주었다. 손양원 목사의 순교가 대표적이다. 넷째, ‘ACTS 신학공관’의 ‘교회 연합운동’ 에 비추어 볼 때 6·25 한국전쟁기간에 창립된 한국 군종 제도를 들 수 있다. 다섯째, 6·25 한국 전쟁시에 ‘ACTS 신학공관’의 ‘교회 회복 운동’은 파괴된 교회 건물을 다시 세우고 개신교 관련 건물과 개신교 대학, 학교 등의 재건과 당시 일어난 부흥운동에서 찾아볼 수 있다. 결국 6·25 한국전쟁을 통해 ACTS 신학공관에 비추어 볼 때 6·25 한국전쟁과 한국교회의 모습속에서 ‘ACTS 신학공관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깨닫게 한다.

      • KCI등재

        선교적 공동체로서 신학대학교 사회복지사역의 당위성과 역할 : ACTS의 지역사회 섬김을 위한 과제를 중심으로

        손신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19 ACTS 신학저널 Vol.42 No.-

        When confessing that the Messianic community that has already begun but not yet completed is ACTS, the ACTS people, as members of the Messianic community, want to illuminate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community and find alternative ways to contribute to the community and move together. To this end, this paper looks at the results of the corporate operation of the Healthy Family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a representative welfare program that has been conducted in the community for the past eight years. This is based on discussion concerning the identity of ACTS as a missionary church. This paper examines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Yangpyeong-gun where our school is located, It suggests the school should play social service role in the community based on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biblical justifications. The smallest groups ACTS should serve are classified as the elderly, the disabled, and multicultural families (especially migrant women, their children, and multicultural youths). These people are weak and their social status is vulnerable in Korean society. In addition,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program. To prepare for a new era, and to take up the ministry of the church with the coming generations, it is obvious that it will be marked by many challenges, obstacles, and struggles. However, the church of Jesus Christ has a message of hope and life that the world has been waiting for and still waiting for. We should continue to work together for worship, praise, and training. But at any cost, they should be able to devote themselves to the scattering of the church into the world. Only then will the world meet Jesus through us and feel the power of that love. 이미 시작되었지만 아직 완성되지 않은 메시아적 공동체가 ACTS임을 고백할 때 ACTS인들은 메시아적 공동체의 일원으로 지역사회와의 관계를 조명하고, 지역사회에 어떻게 기여하고 함께 나아가야 할 것인가에 대한 대안을 찾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의 주제이다. 이를 위해 선교적 교회로서 ACTS의 정체성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지난 8년 동안 지역사회를 위해 수행했던 대표적인 복지프로그램인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법인운영의 성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본교가 위치한 양평군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본 후, 이러한 지역적 특성과 성서적 당위성에 근거하여, 앞으로 지역사회에 본교가 어떤 역할을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구체적으로 ACTS가 함께 해야 할 양평군의 지극히 작은 자들로 노인계층, 장애인계층, 그리고 다문화가정(특히 이주여성과 그들의 자녀인 다문화청소년들)으로 분류 하고 각각의 대상 집단에 대한 섬김의 성서적 근거와 함께 구체적 프로그램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ACTS가 섬겨야 할 지역사회의 작은 자들인 노인, 장애인, 이주민들은 약자들이며, 특히 한국 사회에서 그 사회적 지위가 취약한 계층이다. 새로운시대를 대비하며, 다가올 세대와 더불어 교회의 사역을 감당한다는 것은 참으로 많은 도전과 장애, 그리고 투쟁으로 점철될 것이 자명하다. 하지만, 예수그리스도의 교회는 세상이 기다려온, 그리고 지금도 기다리고 있는 희망과 생명의 메시지를 갖고 있다. 우리는 예배와 찬양과 훈련을 위해 함께 모이기에 계속 힘써야 할 것이다. 하지만 어떤 희생을 감수해서라도 교회가 세상으로 흩어져 나아가도록 스스로를 헌신할 수 있어야 한다. 오직 그러할 때세상은 우리를 통해 예수님을 만나게 되고, 그 사랑의 힘을 느낄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이만형의 평양대부흥 수정주의 입장에 대한 비판적-종합적 평가 : ACTS 신학공관과 학제 간 연구 관점

        고훈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20 ACTS 신학저널 Vol.44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mmarize Man-Hyung Lee’s revisionist view of the Pyongyang Great Revival (PGR) and critically/synthetically evaluate his view in light of ACTS Theological Synopsis and interdisciplinary studies. I shall follow the next procedures, First, section two introduces Lee’s study briefly in terms of Dae-Yong Ryu’s research, which to him offered an academic motive and deals with Lee’s opinions of the PGR, theological foundation, and invention/interpretive fiction. Second, section three evaluates Lee’s opinions critically in light of ACTS Theological Synopsis and intercultural studies(church history and biblical-systematic theology) and synthesizes his weakness and strengths. The final results from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critical evaluation, Lee tends to overemphasize a universal view on the revival, reason/experience, sanctification, rather than traditional Christian values such as supernatural revelation, justification, and the Bible. Moreover, there are concerns about weakening historical and theological aspects of the PGR in Lee’s research because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PGR and the Enlightenment. Second, for the synthetic evaluation, the ACTS Theological Synopsis focusing Christian Central Truth and interdisciplinary dialogue will help overcome Lee’s weaknesses. In a positive sense, the PGR’s narrativity should be studied further. Finally, the last section summarizes the contents so far and deals with the contributions and limits of this paper. 본 논문의 목적은 이만형의 평양대부흥에 대한 수정주의 입장을 정리하고, ACTS 신학공관과 학제 간 연구 관점으로부터 그의 입장을 비판적-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의 절차를 따르고자 한다. 첫째, 2장에서는 이만형에게 연구 동기를 제공한 류대영의 연구 배경 안에서 그의 연구를 간략하게 소개하고, 기본적으로 부흥에 대한 그의 입장이 무엇인지 그리고 평양대부흥은 ‘발명’ 혹은 ‘해석적 허구’라는 그의 주장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둘째, 3장에서는 ACTS의 신학공관 관점과 그의 주장과 연관이 되는 학제 간 연구 성과(주로 교회사/성경적-신학적 분야)를 통하여 그의 수정주의 입장(부흥에 대한 입장/‘발명’ 혹은 ‘해석적 허구’)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나아가 그의 주장과 기존 입장과의 차이점들을 긍정적으로 종합하고자 한다. 이에 대한 최종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우선, 그의 연구의 한계로는 보편적 관점에서 우선권을 강조, 초자연적계시보다 이성/경험 강조, 지엽적 주제 집중, 칭의보다 성화/성경보다 체험을 강조, 그리고 부흥의 배경에 집중한 나머지 역사적이고 신학적인 부흥의양상을 약화시킬 우려가 있다. 나아가 종합적인 평가로는 ACTS의 신학공관의 기독교 중심진리 우선권과 학문적 대화는 그의 주장에 대한 보완점이 될수 있으며, 그가 강조한 부흥의 이야기성은 앞으로 긍정적인 차원에서 연구가 더 되어져야 한다. 마지막 장에서는 지금까지의 논의를 간단히 정리하고, 본 논문의 실천적 유익 그리고 공헌과 한계를 다루고자 한다.

      • KCI등재

        신학대학생의 사회봉사 및 참여 동기에 관한 연구 : 아세아연합신학대학생을 중심으로

        하태선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20 ACTS 신학저널 Vol.4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volunteer activities strategy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ological college.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Many students were involves at child welfare institutions as volunteer. Most high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volunteer activities was investigated pure participation motivation. Based on these results, I propose a volunteer activities strategy for theological college students. First, Students should take on the mission of evangelism by restoring the purity of the church through volunteer activities. Second, We need to develop volunteer activities related to students' majors. Third, Theological colleges should fulfill their social responsibilities through active volunteer activities. 본 연구는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사회봉사 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봉사 관련 일반적 사항과 사회봉사 참여 동기를 알아봄으로써 신학대학의 특성에 적합한 사회봉사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분석 결과, 조사대상자의 사회봉사 참여기관은 아동복지 기관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사회봉사 참여 동기는 순수참여 동기, 새 경험 습득 동기, 자기 성장과 발전 동기 순으로 조사되었다. 순수참여 동기는 여자가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학년별 참여동기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학과별 순수참여 동기는 선교영어학과보다 선교문화복지학과, 기독교교육상담학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교의 사회봉사 정책 수립을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학대학은 학생들이 사회봉사를 통해 교회의 순수성을 회복하고, 복음전파의 사명을 감당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둘째, 학생들의 전공과 관련된 사회봉사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신학대학은 적극적인 봉사 활동을 통해 대학의 사회적 책임을 완수해야 한다

      • KCI등재

        로잔운동에 나타난 일터신학의 선교학적 함의

        최형근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19 ACTS 신학저널 Vol.42 No.-

        로잔의 일터신학과 사역의 원리들은 로잔운동의 비전과 선교와 목회를 총체적으로 제시한다. 본 논문은 로잔운동의 주요문서들에 나타난 일터신학과 일터사역의 주요 주제들을 다루고 일터신학이 한국교회에 제시하는 함의와 도전으로서 선교적 교회론, 제자도와 만인제사장직, 그리고 신학교육을 통한 한국교회의 선교와 목회의 패러다임 변화를 다룬다. 현재 목회자의 교회 안 사역과 평신도의 교회 밖 사역이라는 이분법적 접근은 만인제사장직에 대한 이해와 실천 부재 그리고 왜곡된 성경해석을 드러내며 이러한 경향은 한국교회 생태계 전반에 걸쳐 심각한 위기로 다가온다. 로잔신학은 본래 성속 이원론을 극복하는 총체적 선교를 지향한다. 로잔의 일터신학이 한국교회에 제시하는 함의는 선교적 교회론에 나타나는 교회의 본질 회복, 만인제사장직과 제자도에 근거한 평신도를 일터사역자로 구비하는 목회 리더십의 재발견, 그리고 일터와 연관된 신학교육으로의 혁신적 전환이다. 오늘날 한국교회가 추구해야 할 교회론은 일상의 삶이 영위되는 일터와지역에 관한 성육신적으로 참여하는 지역교회와 연관성을 갖는다. 지역과일터로 보냄 받은 “선교적 교회”의 존재 방식은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과불가분 연관된다. 교회가 선교적이라는 말은 세상 가운데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고, 성육신적이라는 말은 세상 가운데 살아가는 사람들의 시간과 공간속으로 더욱 깊이 참여하고(deep engagement) 동일시되는(being identified) 것을 의미한다. 로잔신학이 추구하는 선교는 성육신적인 제자 공동체를 통해서 보냄 받은 지역과 일터라는 이웃의 일상 가운데 구현된다. The Lausanne principles of workplace theology and ministry holistically represent the missional vision and the content of the ministry. This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ain themes on workplace theology and ministry that can be seen and emphasized in the three main congress documents, the Lausanne Covenant, the Manila Manifesto and the Cape Town Commitment, Marketplace Ministry (LOP 40), Lausanne Global Analysis (LGA), and the 2019 Global Workplace Forum. This paper suggests the implications and challenges of Lausanne theology to the Korean church related to missional ecclesiology, discipleship and priesthood of all believers, and theological education for Christians in the workplace. These factors would challenge Korean Christians to reexamine their understanding of the church and mission in everyday life and ministry. Currently there is a wide gap between works on Sunday and Monday in the Korean church, Therefore this paper deals with the holistic dimension of Lausanne theology and finds out that the workplace theology of the Lausanne movement suggests missiological implications such as the rediscovering the essence of the church based on the missional ecclesiology, the renewing the pastoral leadership leading the lay people to workplace ministers based on the discipleship and priesthood of all believers, and radical shift of theological education for the workplace. The Lausanne’s missional ecclesiology should be embodied in the workplace and neighbors where every Christian is sent, participated, and identified.

      • KCI등재

        Where Do We Start with the Lukan Studies? : Its Unity, Genre and Purpose in Luke-Acts Revisited

        허주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20 ACTS 신학저널 Vol.45 No.-

        This essay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spel of Luke and the Acts of the Apostles in terms of unity, genre and purpose. I introduce the major scholarly views in detail to be noticed and then briefly present a proposal based on my critical evaluation on each of them. Regarding the unity of the Lukan literature, it is more appropriate to accept the coin term of ‘Luke-Acts’ rather than Luke and/or Acts, while we can employ this concept of understanding in a flexible way according to its interested topics, diverse themes, various theological issues, and so forth. In other words, the Lukan documents can also be respectively examined in so far as considering their intrinsic nature. On the issue of genre of Luke-Acts (or Luke and/or Acts), I draw a careful attention to the Greek word found in Lk. 1:1. In so doing, I highlight the writing form of biblical narrative - which is undeniable yet so much much neglected in genre debates – as literary point of departure. The Lukan preface(1:1-4) must be primarily in mind to propose the broad yet very relevant elements of the purpose of Luke-Acts. Based on this observation, I suggest to grasp that Luke-Acts is trustworthy and reliable, and is also delineated to be evangelistic and apologetic, which is entirely captivated by the will/plan of God through Jesus and his witnesses( church) in this overall narrative.

      • KCI등재

        유성(遊星) 김준곤 목사의 민족복음화운동과 역사·신학적 의미

        박응규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19 ACTS 신학저널 Vol.42 No.-

        The life and ministry of Yu Seoung, Kim Joon Gon has been closely related with the evangelization of Korea movement. This paper will consider how he has been absorbed in this movement and to appraise its historical and theological meaning in the history of Korean Christianity. Kim was born in 1925 in Shinan, Chun-Nam provinc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nd then he escaped to Manchuria, China where he built up his nationalistic spirit based on Christian faith. Right after the liberation in 1945, Kim entered into Chosun Theological Seminary to be a pastor. Due to a liberal tendency of the Seminary, he and his friends transferred to Korea Theological Seminary where Park Hyung Nong was the principal with a strong conservative theological stance. In 1958, he came to the U.S.A. for his further study at Fuller Theological Seminary where he met Bill Bright, the founder of Campus Crusade for Christ (CCC). Sharing with same passion for the evangelization of the youth, Kim agreed to establish CCC in Korea through which his movement for the evangelization of Korea was enhanced. One of major campaign of CCC is “win the campus today, gain the world tomorrow!” To him, the evangelization of Korea was the connecting campus ministry and the evangelization of the world. Due to this great movement, the Korean Churches grew in the 1970s and 1980s and they have been actively involved in the foreign mission movement and in mission to North Korea. In this sense, Kim Goon Gon can be regarded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national pastors promoting the evangelization of the youth, the whole Korean people, and the world. His passion for the evangelization of Korea is one of the best examples in the history of Korean Churches of doing Great Commission of Jesus Christ and Cultural Mandate of God. 유성(遊星) 김준곤 목사의 삶과 사역은 한국 민족복음화운동과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이 논문은 그가 어떻게 민족복음화운동에 매진하게 되었는지를 고찰하고, 그 운동이 한국 기독교회의 역사 속에서 차지하는 역사적이고 신학적인 의미를 규명하고자 한다. 김준곤 목사는 일제강점기인 1925년에 전남 신안군에서 태어났으며, 젊은 시절에 만주로 피신하여 살면서 기독교 신앙에 근거한 민족적인 정신을 강화해 나갔다. 1945년에 일어난 해방 후에 그는 조선신학교에 입학하여 신학을 공부했지만, 그 신학교의 자유주의적인 경향 때문에 그의 신학 동지들과 함께 박형룡 박사가 교장으로 있고 보수적인 신학적 입장이 강한 고려신학교로 전학하였다. 1958년에 그는 미국으로 유학했으며, 풀러신학교에서 대학생선교회(CCC) 설립자인 빌 브라잇을 만나 교제하며 선교와 전도의 열정을 공유하면서 한국에서의 대학생선교운동을 시작하게 되었으며, 이 운동은 자연스럽게 민족복음화운동과 연결되어 전개되었다. 대학생선교회의 주요한 캠페인 중의 하나가 “오늘의 캠퍼스 복음화가 내일의 세계 복음화!”였다. 김준곤에게는 민족복음화운동은 이 두 가지를 연관시키는 운동이었다. 이와 같은 귀한 운동으로 인하여한국교회는 1970년대와 1980년대에 획기적인 교회성장을 구가할 수 있었으며, 북한선교와 더불어 해외선교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시작하여 엄청난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이런 면에서, 김준곤은 대학생들에 대한 복음전도를 통하여 민족복음화를 견인해 간 한(韓)민족의 목회자로 간주될 수 있으며, 세계복음화운동에도 기여하였다. 김준곤의 민족복음화운동은 문화대명령과 전도 및 선교대사명을 모범적으로 수행한 한국교회사에 있어서 가장대표적인 운동 중의 하나라고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초기 비텐베르크 개신교의 인간론과 윤리

        류성민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19 ACTS 신학저널 Vol.42 No.-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ir theories of anthropology and soteriology through the writings of Luther and Melanchthon to learn about the early development of Protestant ethics. Luther grew up in the tradition of scholastic philosophy, but studying the Bible, he found the doctrine of the redemption by grace. As a result, there arose a distinction betwee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conduct and salvation that did not exist in the beginning, and gradually the emphasis on ethical conduct was removed and rather placed on sev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conduct and salvation. The pattern of this development is evident through his commentary of sentences, lectures on Romans, and Assertio. He focused on theological emphasis. However, since this theology was still in its early stages of reformation, the question of what the results of this practice in the Protestant Church are still not in his interest. Melanchthon developed under the influence of Luther in its emphasis on freedom and ethics. He was humanist and became a theological reformer. But instead of just staying at what has been affected, it has systematically organized and developed the theology of reformation Luther’s emphasis on theological aspect is on the emphasis, and Melanchthon tried to add a more general and reasonable explanation, citing the problems of the contemporary theologians on the basis and pointing out the causes of their problems. The process of this development is revealed through his inaugural speech, his theological bachelor’s thesis and Loci Communes. Luther and Melanchthon’s view shows that theology of early reformation focuses on the core doctrine of salvation by grace. It cannot be said that there is intention to deny ethical responsibility or promote unethical life. However, theological emphasis on God’s initiative, and reducing the role of man, wa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개신교 윤리관의 발전의 초기 내용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루터와 멜란히톤의 저작을 통해 그들의 인간론과 구원론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루터는 스콜라 철학의 전통에서 자랐지만, 성경을 연구하면서, 은혜로 말미암은 죄 사함의 교리를 찾게 되었다. 그 결과 초기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윤리적 행위와 구원의 관계성에 대한 구분이 생겨났고, 점차 윤리적 행위에 대한 강조가 사라지고, 오히려 윤리적 행위와 구원의 관계를 끊는데 강조점을 두게 되었다. 이 발전의 양상은 그의 명제집 주석, 로마서 강의, 확증을 통해 명백해졌다. 그는 자신의 신학적 강조점에 초점을 두었다. 다만 이 신학은 아직 종교개혁의 초기였기 때문에, 그 신학 교회에서 실천되어 어떤 결과를 나타내는지에 대한 문제는 아직 그의 관심에 있지 않았다. 멜란히톤은 자유의지와 윤리와 관련된 강조점에서 분명 루터의 영향을 받아 발전하였다. 인문학자에서 종교개혁자가 되었다. 그러나 단지 영향을 받은 것에 머물지 않고, 종교개혁 신학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발전시켰다. 루터가 신학적인 측면에 중점을 둔 설명이 중점이라며, 멜란히톤은 그 바탕에서 당대 신학자들의 문제를 제기하며, 그들의 문제의 원인을 지적하면서, 좀 더 일반적이며 합리적인 설명을 더하려고 시도하였다. 이 발전의 과정은 그의 취임연설과 신학학사 논제와 신학총론을 통해 드러난다. 루터와 멜란히톤의 견해를 통해초기 종교개혁 신학은 은혜로 인한 구원이라는 핵심 교리에 집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상적 삶에서 윤리적 책임을 부정하거나, 비윤리적 삶을 조장하려는 의도가 있다고 볼 수는 없다. 그러나 강조점에 있어 하나님의 주도권을 강조하고, 사람의 역할을 축소하려는 신학적 강조점이 다른 어떤 것보다 중요했다.

      • KCI등재

        조나단 에드워즈 신학의 계몽주의와 과학의 수용성 연구 : 관계적 존재론을 중심으로

        조현진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19 ACTS 신학저널 Vol.42 No.-

        By focusing on Jonathan Edwards’ Relational Ontology, this study examines his acceptance of scientific achievements during the Enlightenment age and it’s influence on his theology. As a pastor and theologian, in Reformed worldview which puts an emphasis on the sovereignty of God, Edwards pondered on how to interpret scientific discover and theories. This lead him to develop Relational Ontology opposing the mechanical worldview and deism in his times. Relational Ontology is a kind of metaphysics of Edwards that divine creations exist harmoniously and orderly in this world. He develops and applies the ontology to his theology including the doctrines of trinity, redemption, and heaven. Edwards opposes a dichotomous view of dividing the material and spiritual world, rather believing that divine providence can be proof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science. Upon misunderstanding of Edwards’ Relational Ontology, there are some scholars who claim his ontology is not consistent with that of Reformed theology. For example, John Cooper argues that Edwards’ Relational Ontology lacks the classical division of creation and creator in theism and views it closer to panentheism. However, the scholars make a mistake to analyze Edwards’ arguments through contemporary theological view. Upon examination, we discover Edwards’ example as a good theologian that sought to understand scientific achievements during the Enlightenment in the sight of Christianity that God is centered. 이 연구는 에드워즈의 관계적 존재론을 통해 그가 18세기 계몽주의운동의 과학적 발견과 그 이론들을 얼마나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이를 자신의 개혁주의 신학에 접목하여 발전시켰는지를 점검하고 있다. 그의 고민은 신학자이자 목회자로서 하나님의 주권을 강조하는 개혁신학적 세계관을 가지고 자연세계에 대한 과학의 자연법칙 발견과 이로 인해 전개된 당시의 여러 이론들을 어떻게 기독교적으로 해석하느냐에 있었다. 에드워즈는 자연과학의 발전으로 인한 기계적 세계관이나 유물론에 반대하면서 기독교적 시각으로 관계적 존재론을 전개하였다. 그는 물질과 영적 세계를 나누는 이원론에 반대하며 오히려 과학의 발전을 통해 자연세계와 연결된 하나님의 섭리를 증명할 수 있다고 믿었다. 관계적 존재론은 하나님의 창조를 통해 이 세상은 체계적이고 긴밀한 관계 속에서 모든 만물이 질서 있게 조화와 균형을 유지하며 하나님을 향해 존재함을 주장한다. 이러한 에드워즈의 관계적 존재론은단지 형이상학으로 머물지 않고 그 자신의 신학 전반에도 영향을 미쳐 모형론과 창조론, 구속론, 종말론을 전개하는데 이론적 기반이 되었다. 그의 관계적 존재론에 대한 오해 가운데 하나님과 자연의 관계에 있어서 에드워즈가 플로티누스(Plotinus)의 유출설과 유사한 입장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하고 동일한 맥락에서 이를 발전시켜 존 쿠퍼(John W. Cooper)는 에드워즈가 고전적 유신론의 창조주 창조물의 확고한 존재론적 구분을 결핍하고 있다고 보면서 범신론에 인접한 만유내재신론(panentheism)으로 보기도한다. 하지만 이는 지나치게 21세기 현대신학의 시각으로 그의 신학을 평가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우리는 이 연구를 통해 계몽주의 영향 가운데 과학과학문의 발전을 기독교적으로 해석하여 복음의 포괄성으로 이해를 시도했던그의 모범을 발견하게 된다.

      • KCI등재

        그리스도의 한 인격에 구현된 신성과 인성의 관계 : 조나단 에드워즈의 기독론을 중심으로

        김성태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20 ACTS 신학저널 Vol.44 No.-

        This study discusses the relation between divinity and humanity embodied in one person of Christ focusing on Jonathan Edwards’s Christology. The incarnation God has become a man is a very special event. It can no longer be fully explained from an ontological point of view. That is the reason why we need to have a relational approach on the incarnation. First, Edwards presents the ontological distinction between divinity and humanity in one person of Christ. Christ’ divinity was not changed and Christ’ humanity was not compromised in the incarnation. It means Christ is both perfect God and perfect man. The ontological distinction guards against Docetism and Adoptionism that exclude the other nature. Second, Edwards presents the relational union between divinity and humanity in one person of Christ. The hypostatic union supports the relational union without fusion and destruction of divinity and humanity. It means Christ is God-man. The relational union guards against Nestorianism that separates humanity from divinity. Third, Edwards presents the asymmetrical dependency between divinity and humanity in one person of Christ. Christ’ divinity has absolute freedom. But Christ’ humanity being impersonal has relative freedom. The asymmetrical dependency guards against Eutychianism that compounds divinity and humanity. 본 연구는 조나단 에드워즈의 기독론을 중심으로 그리스도의 한 인격에 구현된 신성과 인성의 관계를 논증한다. 성육신은 하나님이 사람이 된 사건이며, 존재의 범주에서 충분히 해명할 수 없는 특별한 사건이다. 에드워즈의 기독론은 존재와 관계의 범주를 구별하여, 신성과 인성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제시한다. 첫째, 그리스도의 한 인격에 구현된 신성과 인성의 존재론적 구별이다. 성육신 사건에서 그리스도의 신성은 불변하며, 그리스도의 인성은 온전히 보존된다. 즉, 그리스도는 완전한 하나님이며 동시에 완전한 사람이다. 이것은 신성과 인성의 일치를 주장하면서 한쪽을 배제하는 가현설이나 양자론을 대항한다. 둘째, 그리스도의 한 인격에 구현된 신성과 인성의 관계론적 연합이다. 위격적 연합은 신성과 인성의 존재론적 구별을 훼손하지 않는 방식의 관계론적 연합을 가능하게 한다. 즉, 그리스도는 신인(God-man) 이다. 이것은 신성과 인성을 분리하는 네스토리우스주의를 대항한다. 셋째, 그리스도의 한 인격에 구현된 신성과 인성의 비대칭적 의존성이다. 신성은하나님의 방식으로 절대적 자유를 가지며, 비위격인 인성은 피조물의 방식으로 상대적 자유를 가진다. 이것은 신성과 인성의 존재론적 구별과 관계론적 연합을 흐릿하게 하여 물리적으로 융합시키는 유티케스주의를 대항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