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社外理事 制度에 관한 硏究

        오정숙 조선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47

        IMF needs of various environments Bussines corporation make adjustments by the development of radical changes In their executive organization or system, by the M&A or Big Deal Recently, IMF circumstances with the result that outside director system introduce in korea It is cause by the need and desire to survive the challenge of the IMF Korea Inside Director consist almost entirely of company executive who serve on the board 1s that he is in an awkward situation relative to the chief executive officer Outside Director are directors who are not employees or officers of the corporation and possess the characteristics of non-management, non- employees, monitoring function, part time, honorific, independent, professional Outside Director generally function provide advice and counsel to boards, serve as a sort of disciplining force, act in certain crisis situation Outside Director's monitoring functions is of the great importance To perform monitoring functions, below three requirement must be guaranteed First, Independence of Outside Director is quaranteed through independence in status and in operation Second, courts must concode that monitoring is the one important function that Outside Director can perform and make the standard of duty of care higher than ever Third, the status as arbitrator is dependent upon a spirit of enterprise man, therefore, Outside Director must stir up his good sense This system must try to build up every conditions, then managerial performance monitoring function of board of directors will be revived Outside Director's monitor of managerial integrity and efficiency, and social responsibility It deserves special emphasis.

      • 慶州 南山 長倉谷 出土 彌勒三尊像 硏究

        오정숙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aitreya Triad from Jangchang Valley(長倉谷) in Mt. Namsan(南山), Gyeongju(慶州) is widely called 'a child Buddha' due to its cute expression and appearance. Since Dr. Hwang Soo-young(黃壽永) defined the Maitreya Triad as a Samhwaryeong(三花嶺) Maitreya Triad built in 644, most scholars have followed his view and accepted it as an established theory. Many of the Buddhist statues(佛像) made during Northern Qi Dynasty(北齊) and Northern Zhou Dynasty(北周) in China have children's images, so some scholars have tried to find sources for the styles of the Maitreya Triad in Northern Qi Dynasty and Northern Zhou Dynasty of China. Considering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ime periods with regard to their creation and expression of double U-shaped shawl(二段天衣), shown in the Attendant Budhisattva(挾侍菩薩像) are elements of the styles prevalent in the Sui Dynasty(隋), some experts have maintained that the Maitreya Triad was influenced by the styles of Sui Dynasty that were inherited from the Northern Qi Dynasty and Northern Zhou Dynasty. As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regarding the Jangchang Valley Triad were about its style, there hasn't been sufficient research on the background of how the Maitreya was created in a child's image, the unique shape of hands of the main Buddhist figure(本尊像) and forms of faith. Accordingly, an attempt was made in this paper to execute a comprehensive study that included analyzing documentary records and historical documents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than the one usually adopted that tends to focus on the history of styles. In Chapter I, the form and style of the Jangchang Valley Triad were studied and its genealogy was reestablished after considering original sources regarding its style. The existing styles of the Northern Qi Dynasty and Northern Zhou Dynasty had been classified into the same style category and have usually been treated as a comprehensive whole. According to this study, patterns to express Buddhist images with the images of children developed differently in the two dynasties. While the Northern Qi Dynasty had its own style to express Buddhist statues with boyish-looking, the Northern Zhou Dynasty had short stature Buddhist statues. The styles of the Sui Dynasty also were divided into Hebei(河北省 )and Shandong(山東省) styles that inherited those of the Northern Qi Dynasty and the Shaanxi(陝西省) styles that inherited those of the Northern Zhou Dynasty. As a result, the Jangchang Valley Triad was consider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Buddhist images of the Hebei and Shandong during the Sui Dynasty that inherited a tradition of boyish-looking Northern Qi Dynasty images. Based on this, in Chapter II, there was an effort to study terms about children's images through Buddhist scriptures, documentary records and historical materials. It was found that Maitreya was closely connected with a child and there probably was such an ancient common perception about Maitreya. It can be said that the Jangchang Valley figure probably had a child's shape due to the effects of such a perception. It is notable that Buddha's prophesy to become a Buddha, ascension and descension and the contents of the three sermons appearing in Buddhist scriptures, such as ??Zh?ngzh? Z? Zhi J?ng(長者子制經)?? and its variations ??Shi Tongz? J?ng(逝童子經)?? and ??Pusa Shi J?ng(菩薩逝經)??, were almost identical with the Maitreya faith. An Shigao(安世高), the author of ??Zh?ngzh? Z? Zhi J?ng?? the first scripture that was translated into Chinese, was wholly devoted to Hinayana Buddhism(小乘佛敎) and translated a large number of related scriptures. As ??Chang Che tzu chih ching?? has some Mahayanist(大乘佛敎) elements, including ‘Buddha's prophesy to become a Buddha(受記)’ and ‘Maitreya,’ the scripture seems to be an early Mahayanist scripture that an translated in the form of Mahayana sutras. It is highly possible that the contents of this scripture are the original form of Maitreya. The following part is about the right hand, the unusual hand shape(手印), of the main Buddhist figure. The right hand of the main Buddhist figure so far has been explained as `Abhaya-mudra(施無畏印)' (to spread out fingers and hold the hand to the height of the shoulder), but it was found that the figure had a clenched fist and there was a small hole in it. Considering this, the hand probably was holding something in it. As it was highly possible that the hand was holding a flower among icons of Maitreya, an effort was made to thoroughly look into this matter. In China, Maitreya Bodhisattva(彌勒菩薩像) holding budding flowers were created from the era of the Northern Wei Dynasty(北魏) and evidence showing that icons of Maitreya holding flowers were created could be found through ??The Book of Sui(隋書)?? and ??Da Cheng Gu?n Xi?ng Man Na Luo Jing Zh? ? Qu J?ng(大乘觀想曼拏羅淨諸惡趣經)??. According to an analysis of Maitreya Bodhisattva and Maitreya-Buddha statues of the Goryeo Kingdom(高麗), Maitreya Bodhisattva were holding long-stemmed flowers(長枝形) and Maitreya-Buddha statues were holding short-stemmed flowers(短枝形). Even if the main Buddhist figure was Maitreya-Buddha in consideration of its hand shape, it is thought that it was holding long stemmed flowers, indicating that there hadn't been a clear distinction between long stemmed flowers and short-stemmed flowers until when the main Buddhist figure was created. In Chapter III, an effort was made to look for the origin of icons related to the Jangchang Valley Triad. Because a part of ?Saenguisaseokmireuk(生義寺石彌勒)? of ??Sam-guk Yu Sa(三國遺事)?? in which the Buddha appeared in a dream of Monk Saengui(生義), the Jangchang Valley Triad is assumed to be an auspicious statue(瑞像). As a statue of King Ujeon(優塡王像) was created to be an auspicious statue and a statue 경주 남산 장창곡 출토 미륵삼존상(慶州南山長倉谷出土彌勒三尊像)은 귀여운 표정과 앙증맞은 모습 때문에 ‘애기부처’라는 별칭(別稱)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장창곡 삼존상은 1969년 황수영이 ‘644년에 조성된 삼화령(三花嶺) 미륵삼존상’으로 비정한 이후 현재 거의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불상을 어린아이의 모습으로 조성하는 양식적인 특징은 중국의 북제(北齊)와 북주(北周) 불상에서 볼 수 있어 장창곡 삼존상의 양식적 원류로 논의되어 왔으며, 협시보살상에서 보이는 2단천의(二段天衣)의 표현이 수(隋) 불상에서 보이는 것으로 미루어 북제?북주를 계승한 수 양식의 영향 아래에서 조성된 것으로 설명되어 왔다. 이처럼 장창곡 삼존상에 대한 선행연구는 대부분 양식적 연구에 치우친 경향이 있어서 미륵을 어린아이의 모습으로 조성하게 된 배경과 본존상의 독특한 수인, 그리고 신앙형태 등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가지고 기존의 양식사적 연구의 틀에서 벗어나 문헌과 사료 분석의 연구방법을 통한 종합적 고찰을 시도하였다. Ⅰ장에서는 장창곡 삼존상의 형식과 양식을 검토하고 지금까지 논의되었던 양식적 원류를 고찰하여 양식적 계보를 재설정하였다. 기존의 북제?북주 양식을 같은 양식으로 묶어 포괄적으로 다루었던 것에 대해서 북제 양식은 북제식 동안형(北齊式 童顔形)으로, 북주 양식은 북주식 단구형(北周式 短軀形)불상으로 분류하여 동자형(童子形) 불상을 표현하는 방식이 각기 다르게 발전한 것으로 생각하였다. 또 수 양식에 대해서도 북제 양식을 계승한 하북?산동성 (河北·山東省) 지역과 북주 양식이 농후한 섬서성(陝西省) 지역으로 구분하였다. 그 결과, 장창곡 삼존상은 북제식 동안형 계보를 따르는 수대 하북?산동성 불상의 영향 아래에서 조성된 것으로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Ⅱ장에서는 어린아이 모습에 대한 용어를 경전과 문헌사료 등을 통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에 미륵이 ‘동자(童子)’와 깊은 관계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것은 고대에서 미륵에 대해 공통적으로 작용한 인식이 있었던 것이라고 생각되며, 장창곡 삼존상이 동자형으로 조성된 것은 이와 같은 인식의 영향으로 인한 결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경전들을 검토해 본 결과 ??長者子制經??과 그 이역본(異譯本)인 ??逝童子經??, ??菩薩逝經?? 등이 부처로부터의 수기(受記), 상생(上生)과 하생(下生), 삼회설법(三會說法)의 내용으로 미륵신앙과 거의 일치하고 있어서 주목하였다. 가장 먼저 한역(漢譯)된 ??長者子制經??의 역자인 안세고(安世高)는 소승불교(小乘佛敎)에 심취하여 이와 관계된 경전들을 다수 번역하였는데, ??長者子制經??은 ‘수기’, ‘미륵’ 등의 대승적 요소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소승의 입장에서 번역한 초기 대승경전으로 생각되며, 이에 따라 이 경전의 내용이 미륵의 원형이 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본존상의 독특한 수인(手印)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지금까지는 본존상의 오른손을 시무외인(施無畏印)으로 해석하였지만 주먹을 쥐고 있는 손 사이에 작은 구멍이 뚫려 있는 것이 확인되므로 무엇인가를 잡고 있었던 것은 아닐까 생각하였다. 이에 따라 미륵의 도상 중에서 꽃을 쥐고 있는 수인으로서 ‘용화수인(龍華手印)’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중국의 경우, 북위(北魏) 때부터 꽃봉오리를 쥔 미륵보살상이 조성되었으며 ??隋書??와 ??大乘觀想曼拏羅淨諸惡趣經?? 등을 통해 미륵이 꽃을 쥐고 있는 도상으로 조성될 수 있는 근거를 찾을 수 있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고려시대의 미륵보살상과 여래상을 중심으로 분석해 본 결과, 보살상일 경우 장지형(長枝形) 꽃가지를 쥐고 있었고 여래상은 단지형(短枝形) 꽃을 지물로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장창곡 본존상은 손 모양에 따라 여래상임에도 불구하고 장지형 꽃가지를 꽂았던 것으로 판단되는데, 이는 장창곡 삼존상이 조성되는 시기까지 장지형과 단지형의 구분이 불명확하게 표현되고 있었던 것으로 이해할 수 있겠다. Ⅲ장에서는 장창곡 삼존상에 대한 도상의 연원을 찾고자 하였다. ??三國遺事?? ?生義寺石彌勒?조(條)에서 생의의 꿈에 현몽(現夢)하였다는 기록을 통해 장창곡 삼존상을 ‘서상(瑞像)’으로 보고자 하였다. 먼저 중국의 경우 우전왕상(優塡王像)이 서상이면서 의좌상으로 조성되었기 때문에 장창곡 삼존상과 공통되는 요소를 고찰해 보았다. 우전왕상은 중국에 최초로 전래된 서상이며, 의좌상이 채용된 것은 아잔타 제17굴의 《삼도보계강하도(三道?階降下圖)》를 통해 해석할 수 있었다. 그것은 의좌상이 석가모니의 부재(不在)를 대신하는 설법, 즉 법신(法身)을 의미하기 위해 채용된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석가의 계승자인 미륵 역시 삼회설법을 강조하기 위한 도상으로서 자연스럽게 이행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다음으로 ?景德王忠談師表訓大德?조에서 충담사가 매년 차를 달여 공양한 날이 중삼일(重三日)과 중구일(重九日)

      • 역사소설을 활용한 고등학교 중국 근대사 수업 방안 : 소설과 역사의 차이 인식을 중심으로

        오정숙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eaching Chinese Modern History by Means of Applying a Historical Novel in High School - Focused on Difference between Novel and History - Oh, Jeong Suk Department of History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Lee, Myung Hee History reflects entire human life, so the history as a subject should be interesting. However students acknowledge that the subject is not interesting but boring one which should be memorized. To overcome this issue, I tried to suggest a teaching method utilizing a historical novel. However a historical novel is very different from a real history. Those students watching a historical TV drama very often acknowledge the content of it as a historical fact. They have same thought about a historical novel. Based on this issue, this article tried to study a teaching method to develop students’ capability of distinguishing the difference between a history and a historical novel as well as to catch those students’ interest when the history class utilizing a historical novel was conducted. In order to do this, first I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a historical novel. Then I chose Chinese modern history as a period of this study. In previous survey, the students answered the modern Chinese history was the most difficult. Also I chose a novel, "a lover, West Dowager Empress" written by Pearl S. Buck. I analyzed the difference of description on a textbook and an outline book and a novel each. The analysis was conducted in three ways: an author’s subjective evaluation of history and easily understandable history exposed in the novel and history made by an author’s imagination. Furthermore, I planned a study guidance utilizing this difference. After conducted my study in class, I compared the survey result of whether a historical novel could help students understand history better with the result done before an experiment class. The result showed the students answered positively increased 25% after the experiment class. Those students asked the reason could answer more in detail than before the class. They also showed thei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in detail after the class. This study showed the history class utilizing a historical novel led the students’ interest of the history class and led student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history better. Also they developed the capability to acknowledge the difference between history and a historical novel. However, just one time is not enough for the students to figure out general characteristic of a historical novel correctly. Also it is hard to conduct this kind of class often because it requires lots of preparation. Even so, it is very effective method on the period that is important, but students are not interested. It is desirable if this study leads many more analysis of a historical novel and many teachers to utilize the result in history class in order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a historical novel and acknowledge the difference between history and a historical novel.

      • 환경기념일 중심의 환경교육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5학년 실과 교과 중심으로

        오정숙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인성 함양을 위한 환경기념일 중심의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초등학생의 인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봄으로써 환경기념일을 기반으로 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가치를 검증하였다. 2007 개정 실과교육과정의 실과 교과서와 지도서를 분석하여 추출한 환경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토대로 기획, 준비, 개발, 평가의 4단계를 거쳐 환경기념일 중심의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개발된 프로그램을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5학년 2개 반을 대상으로 동질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를 통하여 8주에 걸쳐 재량활동 시간에 총 18차시 수업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들이 학생들의 인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기 위해 인성측정 설문지를 초등학교 5학년 수준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연구의 정량적 분석은 I-STATistic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결과를 분석․처리하였고, 정성적 분석은 연구자의 관찰․기록과 학생들의 포트폴리오 및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기념일 중심의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초등실과 내용을 기반으로 한 통합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둘째, 환경기념일 중심의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인성의 5가지 영역, 즉 성실, 안정성, 인내, 정직, 생명존중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셋째, 개발된 환경기념일 중심의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여 학생들에게 적용한 결과 아동들에게 환경에 대한 이해와 환경 보존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 주었으며 환경교육을 하는 동안 아동들은 글이나 그림, 역할극, 토론, 캠페인 활동을 통하여 바른 인성이 내면화 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초등학생의 인성교육은 도덕이나 예절 활동 뿐 아니라 실과 교과 내용을 중심으로 한 환경교육을 통하여서도 가능하였으며 이러한 환경교육 중심의 인성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아동들의 인성 함양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환경기념일 중심의 환경교육에 관련된 보다 심층적인 연구 및 교수․학습 활동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 충분한 인성교육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개발과 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아동학대

        오정숙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중학교 2, 3학년에 재학중인 남, 여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그들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아동학대는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에 따라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청소년들이 가정과 학교 및 사회생활에 올바르게 적응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아동학대는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으며,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아동학대는 어떠한가? 2) 일반적 특성에 따라 부모양육태도와 아동학대는 어떠한가? 3) 부모양육태도와 아동학대 간에는 어떤 관련이 있는가? 4) 부모양육태도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아동학대는 어떠한지를 순천시에 소재한 중학교 2, 3학년 남, 여학생 293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분석방법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은 전반적으로 부모 모두를 온정적?애정적이라고 지각하고 있었으며, 무시ㆍ무관심, 공격적ㆍ적대적, 거부적 순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청소년의 아동학대는 부모 모두 방임, 정서적 학대, 신체적 학대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방임을 가장 많이 경험하고 있었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모양육태도 중 학년에 따른 양육태도는, 부의 온정적ㆍ애정적 태도는 3학년 자녀보다 2학년 자녀에게 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부모들이 온정적ㆍ애정적 태도는 3학년 자녀보다는 2학년 자녀에게, 무시ㆍ무관심 태도, 거부적 태도는 2학년보다는 3학년 자녀에게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성별에 따른 양육태도에서는 부의 거부적 태도에서는 여학생 자녀보다 남학생 자녀에게서, 모의 온정적ㆍ애정적 태도는 남학생 자녀보다 여학생 자녀에게 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성적에 따른 부모양육태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학년, 성별, 성적 등에 따라 아동학대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부모양육태도와 아동학대 피해정도 간의 관련성을 알아 본 결과, 부의 온정적ㆍ애정적 태도와 부의 정서적 학대, 방임은 의미 있는 부적 상관으로 나타났으며, 모의 온정적ㆍ애정적 태도와 신체적, 정서적 학대도 의미 있는 부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의 공격적ㆍ적대적 태도를 많이 경험하는 학생은 부의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 방임도 경험하게 되는 경향이 높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모의 공격적ㆍ적대적 태도를 많이 경험하는 학생은 모의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를 받을 수 있는 경향이 높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부모의 무관심적, 거부적 태도를 경험하는 학생이 부모의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 방임을 경험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넷째, 부의 공격적?적대적 양육태도는 청소년의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에, 부의 무시?무관심적 태도는 방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의 양육태도가 공격적?적대적일수록 청소년의 신체적 학대가 크고, 무시?무관심적 양육태도일수록 적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의 양육태도가 공격적?적대적일수록 청소년의 정서적 학대에 영향을 미치며, 모의 양육태도가 온정적?애정적일수록 방임은 낮게, 무시?무관심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 중학생의 부와 모애착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학교적응의 관계

        오정숙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학생의 부와 모애착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 부와 모애착과 학교적응의 관계, 그리고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교적응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1. 중학생의 부와 모애착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 가 있는가? 연구문제2. 중학생의 부와 모애착은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가? 연구문제3. 중학생의 부와 모애착은 학교적응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가? 연구문제4. 중학생의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교적응은 유의한 상관 이 있는가? 연구의 대상은 강원도 춘천시에 소재하는 남자중학교 1학년 학생 220명, 여자중학교 1학년 학생 220명, 총 4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되는 자료는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다. 이상을 토대로 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중학생의 부와 모애착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중학생의 부와 모애착은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갖고 있다. 즉 부와 모애착이 높을수록 문제중심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사회적지지추구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많이 사용하는 것이다. 셋째, 부와 모애착과 학교적응은 유의한 정적상관을 갖고 있다. 즉, 부와 모애착이 높을수록 학교적응을 더 잘한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중학생의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학교적응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갖고 있다. 즉,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사용할수록 학교적응을 잘하는 것이다. 이 모든 연구 결과들은 교육의 실제와 관련해서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the relation of the affe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parent(s), and strategics to manage stress, that of the affection and adaptation to school, and that of strategics to mange stress and adaptation to school. The study has posed the following questions in order to achieve this aim.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he affection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to parents and that of male students? Second, What relations are there between the affe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to their parent(s) and their active management of stress? Third, What relations are there between the affe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their parent(s) and their adaptation to school? Fourth, what relations are there between the affe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their active management of stress and their adaptation to school?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440 students in total with 220 male year 1 students and 220 female year 1 student in middle schools located at Chunchun in Kangwon do. collected materials were verified through T-verification and Pearson product-moment coefficient by using SPSS/WIN 12.0 program.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affection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to parents and that of male students. Second, there was meaningful static relation between the affe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patents and active management of stress. That is, the more affection they have, the more frequent use of the problem-oriented stress management method and the social support pursuing stress management was observed. Third, there was a meaningful relation of the affection to parents and adaptation to school. That is, the more affection they have, more easily they adapt to school. Fourth, there was a meaningful relation of the active management of stress and adaptation to school. These outcomes of the research have been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actual educational situation.

      • 세대에 따른 가족관련가치에 대한 비교 연구

        오정숙 인하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examines family values across generations in Korea using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A total of 1,005 participants (285 adolescents, 670 parents) completed an open-ended questionnaire developed by Park and Kim (2005) and 1,574 participants (368 adolescents, 736 parents and 470 elderly) complet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developed by Park and Kim (2007).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important reason of having a child is familial reasons. Both adolescents and parents regard harmony and happiness in the family as the most important value. The next important reason for having a child is psychological satisfaction. At the relational level, the benefits include promoting family bonds. At the societal level, contribution to society is listed. Old age security is listed as economic benefit. Second, both adolescents and parents list most frequently financial difficulties as the negative values of children, followed by personal, familial, relational and societal difficulties. The results indicate that financial burden of raising and educating children as being major difficulties, followed by conflicts in the family and conflicts with children. Third, as for the preference of the sex of their child, majority of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report no gender preference, even if they had only one child. For the second most frequent response, parents show a preference for a son, while adolescents show a preference for a daughter. Fourth, as for ways of supporting parents when they are old, both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list calling the elderly parents every week most frequently. Majority of adolescents and parents reported that they are not likely to live with their elderly parents. As for the adults and the elderly sample, they expected greater support from their s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