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처리하기 어려운 담낭관에 대한 변형술기의 임상적 적용

        전형진 순천향대학교 의학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31

        배경 및 목적 복강경 담낭절제시에 담도관 손상은 여전히 심각한 문제이다. 이러한 손상은 기술적 실수나 담도관의 정확한 확인이 안돼 어 발생한다. 본 논문은 처리하기 어려운 담도관에서 변형된 술기의 임상적 결과를 조사하여 그 효용성과 안전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두 가지 변형된 술기를 이용하여 복강경 담낭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변형된 술기에 따라 담낭관의 복강내 수기 결찰을 이용한 복강경 담낭 절제술 군과 기저부 우선처리 복강경 담낭절제술 군으로 분류하였다. 2001년 2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부천병원 외과학 교실에서 동일한 집도의에 의해 복강경 담낭절제술을 시행 받은 총 450명의 환자 중 처리하기 어려운 담낭관으로 정의 내려진 77명의 환자(17.1%)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처리하기 어려운 담낭관으로 정의 내려진 77명의 환자 중 62명의 환자에서 복강내 수기 결찰을 이용한 복강경 담낭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Endo-ligation 군) 15명의 환자에서 기저부 우선처리 복강경 담낭절제술을 시행하였다 두 군 모두에서 총수 담관의 손상은 없었다. 기저부 우선처리 복강경 담낭절제술에서 1례에서 개복술로 전환하였고 수술후 1례에서 담즙유출 소견이 보였다. 복강내 수기 결찰을 이용한 복강경 담낭절제술는 수술후 2례에서 담즙유출 소견을 보였다. 모든 합병증은 대증적치료로 완치 되었다. 결론 복강경수술시 심한 염증이나 유착을 가진 담낭이나 담낭관에서 복강내 수기 결찰 술식 및 기저부 우선 처리 술식은 개복술의 전환이나 담도계 손상 등의 합병증을 줄일 수 있는 안전하고 유용한 술식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 간외담관암 환자의 금속배액관 선택에 있어서 관강내 세경초음파검사의 역할에 대한 연구

        윤형근 순천향대학교 의학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15

        수술이 불가능한 간외담관암 환자의 내시경적 배액술을 위한 막부착형 금속배액관은 종양의 내증식(ingrowth)은 방지할 수 있으나 과증식(overgrowth)은 문제로 남아 있다. 과증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담관암의 종축으로의 침범 부위를 정확하게 결정하여야 하나 담도조영술은 정확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연자 등은 관강내 세경초음파검사(intraductal US, IDUS)를 시행하여 내시경적 역행성 담도조영술(ERC)과 비교하여 배액술을 위한 금속배액관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조직 생검 또는 세포진 검사로 확진된 수술이 불가능한 간외담관암 환자 17명(평균 연령: 67.4세, 남자: 1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간문부를 침범한 경우는 제외하였다. ERC를 시행하여 담관암의 침범 부위를 간측과 십이지장 측으로 나누어서 결정하였으며 동시에 IDUS를 시행하여 ERC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금속배액관은 일차적으로 막부착형 금속배액관을 고려하였으나 ERC 또는 IDUS상 담관암의 침범 부위가 간문부에서 2cm 이내인 경우에는 막미부착형 금속배액관을 시술하였다. 배액관의 길이는 담도협착 부위보다 1cm 긴 것을 선택하였다. 담관암의 간 쪽으로의 침범 부위 결정에 있어 17명 중 7명(41.2%)에서 ERC가 IDUS에 비해 저평가하였고 저평가된 길이는 평균 10.6 mm이었으며 1명에서는 ERC가 과평가하였다. 담관암의 십이지장 쪽으로의 침범 부위 결정에 있어 평가가 가능하였던 16명 중 7명(43.8%)에서 ERC가 IDUS에 비해 저평가하였고 길이는 평균 9.0 mm이었다. 막부착형 금속배액관을 선택하였던 환자 중 3명은 IDUS 시행 후 막미부착형 금속배액관으로 시술하였다. IDUS 시행으로 17명중 5명(29.4%)에서 IDUS 시행 후 종류 및 길이가 다른 금속배액관을 삽입하였다. 이상의 결론으로 IDUS는 간외담관암의 침범길이를 결정하는 데 유용하며 금속배액관의 선택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당뇨병 환자에서 Rocuronium이 심박수변이도에 미치는 영향

        서상원 순천향대학교 의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15

        국 문 요 약 건강한 사람에서 임상 용량의 rocuronium은 자율신경계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러나 무스카린 수용체 차단 작용이 있다는 것을 감안하면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부교감신경계 억제 작용이 있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특히 당뇨병과 같이 이미 자율신경계가 억제되어 있는 환자에게 rocuronium이 투여 된다면 억제 효과가 강화되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심혈관계에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본 연구는 rocuronium이 당뇨병에 의한 부교감신경계 억제 작용을 강화한다는 가정 아래 비침습적으로 심혈관 자율신경계 기능을 감시할 수 있는 심박수변이도를 분석하였다. 임상 용량의 rocuronium을 정맥주사하고 부교감신경 활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고주파수 대역(HF) 파워와 SD1, 교감-부교감 신경계의 균형을 나타내는 지표인 저주파수 파워/고주파수 파워(LF/HF) 비가 투여 전에 비해 어떻게 달라지는지 관찰하였다. 초자체절제술을 받는 21명의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마취 전, 근이완제 투여 직전 그리고 근이완제 투여 3분 후에 각각 3분간의 심전도를 이용하여 심박수변이도를 분석 비교하였고 분석 소프트웨어로는 Advanced Heart Rate Variability Analysis 10.0(aHRV analysis, Nevrokard, Slovenia)을 이용하였다. 주파수 분석에서 Fast Fourier Transformation을 통해 저주파수 대역(LF)과 고주파수 대역의 파워를 구하였고, LF/HF 비를 계산하였다. Poincare plot 분석을 통해, 동시적인 RR 간격 변이도의 표준편차(SD1)와 연속적인 장시간 RR 간격 변이도의 표준편차(SD2)를 측정하였다. 주파수분석에서 LF power는 마취유도 후 감소하였지만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HF power는 마취유도 후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 Rocuronium 투여 후 LF power는 감소하였지만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HF power는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 LF/HF 비는 마취유도 후 의미 있게 감소하였으며 rocuronium 투여 후 증가하였으나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oincare plot에서 SD1은 마취유도 후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가 rocuronium 투여 후 의미 있게 감소하였으며, SD2는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당뇨병 환자에서 ED95의 2배 용량의 rocuronium을 투여했을 때 심혈관 자율신경계를 억제하였으며 부교감신경계 억제가 더 컸다. 따라서 잠재적으로 혈압과 심박수를 증가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마취에 임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당뇨 흰쥐에서 보툴리눔 독소를 이용한 화학적 피판 지연처치 시 복직근 피판의 생존률에 관한 연구

        김국현 순천향대학교 의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15

        Backgroud : In diabetic patients the risk of flap failure is comparatively high becuase vascularity of tissue is diminished. To overcome this difficulty and promote survival rate of flap, flap delay procedure should be deliberated. The delay phenomenon has long been recognized to improve the viability of tissues. Currently, delay procedures remain a reliable method of maximizing flap survival. Although delay procedure provides successful results, the necessity of an additional surgical procedure is a persistent disadvantage from both clinical and economic perspectives. Recently, Botulinum toxin A has been used effectively in nonsurgical treatment of facial wrinkles. Botulinum toxins act at the neuromuscular junction, the motor nerve terminal which lies in close apposition with the adjacent muscle fiber, and inhibit the release of acetylcholine. Especially the botulinum toxin A is considered to exert the most powerful neuromuscular blockade and its effect for the longest duration of time. The author's purpose is to demonstrate the usefulness of Botulinum toxin A as a simple chemical delay procedure in diabetic patients. Method : In this study, Botulinum toxin A is used to demonstrate the usefulness of a chemical delay technique that obviates the need for a surgical delay procedure in diabetic rats. Thirty diabetic rats were subdivided into three groups of 10. In the group 1(control), no procedure was performed before the transverse rectus abdominis musculocutaneous(TRAM) flap elevation. In the group 2(surgical delay), TRAM flaps were delayed surgically one week before formal elevation. And, in the group 3(botulinum toxin delay), 0.4U botulinum toxin A was injected into the under surface of TRAM flaps to initiate a chemical delay two weeks before surgical elevation. The TRAM flaps were designed in rectangular shape, sized 3x5 to 4x6 cm on the rat abdomen 1cm below xiphoid. On the seventh day after operation, the results were evaluated and compared in terms of flap survival area, vessel counts by Hematoxyline-Eosin stain.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the mean percentages of the flap survival area in group 2(70.76%±3.76%) and group 3(68.92±1.07%)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group 1(31.60±5.14%)(P<0.05). Second, the vessel counts of group 2(11.90±0.81) and group 3(10.40±2.92%)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group 1(4.10±1.22)(P<0.05). Conclusion : In conclusion, Botulinum toxin A manifest chemical delay phenomenon and could promote flap survival area in diabetic rat TRAM flap model, as likely as surgical delay. These results are thought to be made due to the effect of chemical denervation and secondary inflammation.

      • 한국인에서 조현병과 Cannabinoid receptor 1(CNR1) 유전자의 삼핵산 반복서열의 연합에 대한 연구

        김지원 순천향대학교 의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15

        연구 목적 : 조현병의 발병에는 유전적, 생화학적, 신경 병리학적 요소 등이 연관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 중 유전적 요소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 조현병의 발병 기전에 관여할 가능성이 높은 기능적 후보 유전자를 대상으로 질환과 관련된 다형성을 찾는 연합 연구(association study)가 시행되고 있다. 특히 조현병의 카나비노이드 가설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인 CNR1(cannabinoid receptor 1)은 이미 밝혀진 조현병의 9가지 연관 부위(linkage site) 중 5 유전자좌(locus)에 위치하고 있어 의미가 있다. CNR1의 다형성과 조현병의 연관 관계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CNR1의 (AAT)n 반복 다형성과 조현병 사이에 관련이 있다는 결과들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CNR1의 (AAT)n 삼핵산 반복 수(trinucleotide repeats)와 조현병과의 연관 관계를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방법 :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IV(DSM-IV) 진단기준에 따라 조현병으로 진단된 337명의 조현병 환자들과 394명의 정상인 대조군을 대상으로 혈액을 채취하여 DNA를 추출한 후 PCR 증폭을 시행하였다. 조현병 환자군과 대조군에 대하여 유전자형(genotype)과 일배체형(haplotype)의 빈도에 대한 판별력과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나이와 성별을 공변수로 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두 군 사이의 (AAT)n 반복 다형성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 전체 연구 대상들에서 나타난 총 (AAT)n 삼핵산 반복수는 7번, 8번, 10~15번으로 총 8가지였다. 조현병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가장 빈도가 높은 (AAT)n 삼핵산 반복수는 (AAT)13 이었으며 조현병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각각 33.6%와 31.6%의 빈도를 차지하였다. 조현병 환자군에서 가장 빈도가 많은 대립형질은 (AAT)13 (33.6%), (AAT)14 (21.6%), (AAT)12 (18.5%), (AAT)7 (11.1%)의 순이었으며 대조군에서 가장 빈도가 많은 대립형질은 (AAT)13 (31.6%)이고, (AAT)14 (24.5%), (AAT)12 (17.2%), (AAT)7 (11.6%)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 론 : 조현병 환자군과 대조군을 비교하였을 때 CNR1의 (AAT)n 반복 다형성에서 의미 있는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Objectives: Previous studies suggest the cannabinoid receptor 1 (CNR1) gene can be a important schizophrenia candidate gene. It is located in the 6q14-q15 which is known to be schizophrenia susceptibility locus(locus 5, SCZ5, OMIM 803175) by linkgage studies and the pharmacological effects of delta-9-tetrahydrocannabinol(Δ-9-THC) resemble schizophremia symptoms. The association between CNR1 polymorphisms and schizophrenia is actively being investigated, and some findings have indicated an association between AAT-trinucleotide repeats in CNR1 and schizophrenia. In this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AAT-trinucleotide repeats in CNR1 and schizophrenia from Korea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normal controls. Methods: DNA was extracted from blood samples collected from 337 patients diagnosed as schizophrenia by the DSM-IV criteria and 394 control subjects, and PCR amplification was perform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age and gender as the covariate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differences of AAT-repeat polymorphisms between the two groups, in order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the normal controls. Results: A total of 8 types of trinucleotide repeats were identified, containing 7, 8, 10, 11, 12, 13, 14 and 15 repeats. (AAT)13 allele was most frequently observed with 33.6% and 31.6% shown in the patient with schizophrenia and normal controls, respectively. The repeat alleles in the schizophrenic patient group were frequent, in decreasing order - (AAT)13 (33.6%), (AAT)14 (21.6%), (AAT)12 (18.5%), and (AAT)7 (11.1%). The repeat alleles in the the control group were frequent, in decreasing order - (AAT)13 (31.6%), (AAT)14 (24.5%), (AAT)12 (17.2%), and (AAT)7 (11.6%).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AT-repeat polymorphisms of the CNR1 gene between the schizophrenia pati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Though our data revealed no significant association of the AAT-repeat polymorphism of the CNR1 gene with schizophrenia, it will be a useful basic data for future study aiming to prove cannabinoid hypothesis of schizophrenia.

      • 압박 궤양의 치료에서 단독 음압치료와 염기성 섬유아세포성장인자 스프레이와 음압치료 병행치료의 임상적 효능 : Comparison of clinical effects between NPWT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only and combined therapy with NPWT & bFGF (basic fibroblast growth

        김정기 순천향대학교 의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15

        음압 치료는 최근 압박궤양에 효과가 있다고 연구되고 있다. 염기성 섬유아세포성장인자는 건강한 육아조직과 새로운 혈관을 만들고 재상피화를 촉진시킨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압치료 단독과 음압치료와 염기성 섬유아세포성장인자 병합 치료의 임상적 결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2년 12월부터 2014년 1월까지 15명의 환자에서 20개의 압박궤양을 대상으로 하였다. 압박궤양은 3기, 4기에 해당하는 궤양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단독 음압치료 군을 대조군으로 정하였고, 음압치료와 염기성 섬유아세포성장인자를 병합치료 군을 실험군으로 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은 4주에 걸쳐서 진행하였으며 면적과 부피의 변화량과 변화율 그리고 부피/면적의 변화량을 측정하였다. 또, 각 기간에 걸쳐 초기값과의 변화량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50%이상 부피 감소 있는 환자수가 각 군에서 차이가 있는지 연구하였고, 마지막으로 각 군에서 50% 감소될 때까지의 기간의 차이가 있는지 연구하였다. 각 군에서 면적의 변화량은 실험군은 -7.23 ± 13.88, 대조군은 -4.28 ± 8.83 cm2 이며 부피의 변화량은 실험군은 -8.16 ± 12.09 대조군은 -4.09 ± 7.66 cm3이다. 면적 변화율은 실험군은 -17.10 ± 27.16 대조군은 -18.08 ± 31.32 % 이며 부피 변화율은 실험군은 -32.84 ± 37.06 대조군은 -37.81 ± 21.64 % 이다. 부피/면적 변화량은 실험군은 1.10 ± 0.78, 대조군은 0.41 ± 0.30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p = 0.012) 각 기간에 따른 부피 변화량은 1주, 2주, 3주, 4주차에 실험군은 0.18 ± 1.29, -4.85 ± 7.42, -5.53 ± 8.51 그리고 -6.30 ± 10.81 cm3이며 대조군은 -0.36 ± 0.94, 2.34 ± 5.36, -4.05 ± 7.66 그리고 -4.22 ± 7.59 cm3이다. 실험군은 2주차부터, 대조군은 3주차 때부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부피/면적 변화량의 유의한 차이의 결과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면적 대비 부피의 변화를 더 많이 가져왔다고 볼 수 있다. 각 기간에 면적의 변화량은 차이가 없었으나 부피의 변화량은 실험군에서는 2주차 때부터, 대조군에서는 3주차 때부터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음압치료는 압박궤양의 면적 변화보다 부피 변화에 더 탁월하며 음압치료와 염기성 섬유아세포성장인자를 같이 병합 치료하면 치료기간을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Several recent studies have focused specifically on NPWT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and its effect on pressure ulcers. bFGF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promotes the formation of benign granulation tissue rich in new blood vessels, epithelialization by accelerating the formation of keratinocytes in the remodeling st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and compare the clinical effect of combination therapy of NPWT and bFGF with that of NPWT alone. This research targeted 20 cases of pressure sores, targeting 15 patients in total from December 2012 to January 2014. The age of the patients was over 15 years old, and they had three- to four-stage pressure ulcers having neither necrosis nor inflammatory tissue. Only NPWT (Curavac®) was used on the control group (CG), while both NPWT and bFGF (Fiblast spray®) were used on the experimental group (EG).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hre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Comparisons in each group involved the amount and rate of change of the surface area and volume of pressure sores before treatment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amount of change of the volume value compared with the surface area (Volume/Surface), and the amount of change of the surface area and volume during the treatment period (i.e., at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weeks).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atients whose pressure sore volume decreased by more than 50% after treatment compared with before treatment and the time taken to reduce the volume by 50% were also compared in each group. For the amount of change of surface area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in each group, EG = -7.23 ± 13.88 and CG = -4.28 ± 8.83 cm2, and for change in volume, EG = -8.16 ± 12.09 and CG = -4.09 ± 7.66 cm3. For the rate of change of surface area, EG = -17.10 ± 27.16 and CG = -18.08 ± 31.32 %, and for that of volume, EG = -32.84 ± 37.06 and CG = -37.81 ± 21.64 %. For the amount of change of volume value compared with the surface area (Volume/Surface), EG = 1.10 ± 0.78 and CG = 0.41 ± 0.30. Thi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EG (p = 0.012). For the amount of change of volume by period, EG was 0.18 ± 1.29, -4.85 ± 7.42, -5.53 ± 8.51, and -6.30 ± 10.81 cm3, and CG was -0.36 ± 0.94, 2.34 ± 5.36, -4.05 ± 7.66 and, -4.22 ± 7.59 cm3 at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week, respectively. For the amount of change of volume compared with the surface area (Volume/Surface), EG was 1.10 ± 0.78 and CG was 0.41 ± 0.30; therefore, EG showed more change in the amount of volume compared with the surface area, and it showed a significant statistical result (p = 0.012). There was no difference in surface area in each period, but for volume, CG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third and fourth weeks, and EG at the second, third, and fourth weeks. CG started to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third week, while EG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second week. This indicates that the parallel use of bFGF (Fiblast spray®) and NPWT (Curavac®) can reduce the volume of pressure sores more quickly than the use solely of NPWT (Curavac®).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the post-reflux swallow-induced peristaltic wave index and esophageal baseline impedance with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symptoms : 역류 후 삼킴유발 연동파 지수, 식도 기저 임피던스와 위식도역류질환 증상들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조영규 순천향대학교 의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15

        Background/aims: The post-reflux swallow-induced peristaltic wave (PSPW) index and esophageal baseline impedance (BI) are novel impedance parameters used to evaluate esophageal chemical clearance and mucosal integrity. However, their relationship with reflux symptoms is not known. We aimed to evaluate the correlations of the PSPW index and esophageal BI with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symptoms.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review of multichannel intraluminal impedance and pH (MII-pH) tracings in patients with suspected GERD. Reflux symptoms were also analyzed from checklists using ordinal scales (0 - 4) which were measured by severity and frequency. Each symptom was assessed before MII-pH monitoring. The PSPW index was defined as the number of swallow-induced peristaltic waves observed within 30 seconds after refluxes, divided by the number of total reflux events. Esophageal BIs were measured in six spots from the proximal esophagus (z1) to the distal esophagus (z6). Bivariate (Pearson) correlation was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SPW index or esophageal BI and the degree of GERD symptoms measured. Results: The MII-pH records of 143 patients were analyzed. The PSPW index was significantly lower in patients who had heartburn an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degree of heartburn (r = -0.186, p < 0.05). On the contrary, the PSPW index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degree of dysphagia (r = -0.091, p = 0.168). Distal esophageal BI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heartburn, bu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degree of dysphagia (z3: r = -0.328, z4: r = -0.361, z5: r = -0.316, z6: r = -0.273, p < 0.05). Other symptoms such as acid regurgitation, chest pain, hoarseness, and cough were not correlated with the PSPW index or distal esophageal BI. Conclusion: The PSPW index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heartburn but was not correlated with dysphagia. However, distal esophageal BI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dysphagia but was not correlated with heartbur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elayed chemical clearance of the esophagus may induce heartburn, but that it is not related to dysphagia. However, a lack of esophageal mucosal integrity may be related to dysphagia.

      • 음경해면체신경 손상 흰쥐에서 나노섬유 물질의 표면에 배양한 인간 중간엽 줄기세포 이식을 통한 발기부전 회복 : Recovery of erectile dysfunction using transplantation of human mesenchymal stem cells cultivated on the surface of nanofibrous meshes in rats wit

        윤종현 순천향대학교 의학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9615

        Introduction: Electrospun nanofibrous meshes show morphologies resembling those of natural extracellular matrices such as collagen fibers. Nanofibrous meshes showed the up-regulation of myelination markers and the axonal outgrowth of peripheral neurons. Transplantation of mesenchymal stem cells can be used for the regeneration of the damaged cells of corpora cavernosa in the cavernous nerve injured rat model.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differentiation of human mesenchymal stem cells cultivated on the surface of nanofibrous meshes (nano-hMSCs) into neuron-like cells and repair of ED using their transplantation around the injured CN of rats. Materials and Methods: The synthesized polymer was electrospun in a rotating drum to prepare nanofibrous meshes. hMSCs were prepared and confirmed. Eight week old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5 groups of 10 each, including group 1=sham operation, group 2=CN injury, group 3=nanofibrous meshes treatment after CN injury, group 4=hMSCs treatment after CN injury and group 5=nano-hMSCs treatment after CN injury. Immediately after the CN injury in group5, nano-hMSCs covered the injured CN. Erectile response was assessed by CN stimulation at 2, 4 weeks. Thereafter, penile tissue samples were harvested and examined using morphological analysis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 against nerves (nestin, tubulin βIII and map2), endothelium (CD31,vWF) and smooth muscle (smooth muscle actin). Results: At 2, 4 weeks, transplantation of nano-hMSCs increased the expression levels of cavernous neuronal, endothelial and smooth muscle makers more than hMSCs alone. Nano-hMSCs increased the neuronal differentiation of mesenchymal stem cells more than hMSCs alone. At 2, 4 weeks, the mean percent collagen area of caversnosum increased following CN injury and recovered after transplantation of nano-hMSCs more than hMSCs alone. At 2, 4 weeks, the group with CN injury had significantly lower erectile function than the group without CN injury (p<0.05). The group transplanted with hMSCs showed higher erectile function than the sham operation group (p<0.05). The group transplanted with nano-hMSCs showed higher erectile function than the group with hMSCs alone (p<0.05). Conclusions: Nano-hMSCs differentiated into neuron-like cells and their transplantation repair erectile dysfunction in the rats with CN injury.

      • 경도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서 주관적 우울감에 따른 인지기능의 변화

        황희성 순천향대학교 의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15

        Objective: To find whether high subjective depression, measured by Beck Depression Inventory, can predict declinement of cognitive function in mild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Methods: 36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with no structural abnormality in brain studies were subgrouped into two groups devided by T-scores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with a cutoff score of 70. Cognitive functions measured by neuropsychological tests we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Results: Patients with Beck Depression Inventory score higher than 70 show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in most of the neuropsychological tests. Conclusion: High subjective depression may be associated with impaired cognitive function in mild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 한국 소아 아토피피부염의 치료에 Lactobacillus casei 경구 투여의 효과에 대한 연구

        공도연 순천향대학교 의학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15

        목적 : 최근 아토피피부염을 비롯한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에 probiotics의 이용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Probiotics 중 하나인 Lactobacillus casei (L. casei)의 경구투여가 한국 소아 아토피피부염 임상 증상과 면역학적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4년 12월부터 2005년 4월까지 순천향대학교병원 소아과 알레르기 클리닉을 방문한 급・만성 아토피피부염 환자 44명을 무작위로 두 군으로 나누어 한 군에는 하루 1.0×1010 정도의 L. casei집락이 포함된 요구르트(대개 1~10mL/일)를 14~16주간 투여하였으며, 다른 한 군은 요구르트를 비롯한 발효식품의 섭취를 최대한 금지하였다. 모든 대상 환자들에게 설문지를 통해 알레르기 질환의 가족력과 유산균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시험기간 전·후에 SCORAD 점수를 이용하여 중증도를 평가하였으며, L. casei 대변 배양 검사와 말초혈액 호산구수, ECP 치, 총 IgE 치와 집먼지진드기, 계란난백, 우유, 개털, 대두에 대한 항원 특이 IgE 등의 혈액검사를 실시하여 두 군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 총 40명이 관찰되었으며 섭취군의 평균 연령은 1.74±2.1세, 비섭취군은 2.83±2.43세였다. SCORAD 점수는 두 군에서 모두 의미있게 감소되었으나,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추적 혈액 검사가 가능했던 환자는 22명으로, 총 IgE치는 섭취군(11명)에서 초기 255.55±522.04 IU/L에서96.93±100.68 IU/L로 감소하였고, 비섭취군(11명)은 419.61±1290.66 IU/L에서 520.75±1216.79 IU/L로 증가한 양상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IFN-γ는 오히려 두 군 모두에서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며, 항원 특이 IgE의 분포나 호산구수, ECP는 두 군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 casei의 집락수는 섭취군에서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p=0.04). 결론 : 소아 아토피피부염 환자에게 L. casei의 경구 투여는 장관 내 L. casei의 집락수를 증가시켰다. 그러나 증상의 개선도, 총 IgE치와 IFN-γ 등의 면역학적 지표 등의 변화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앞으로 대상 환자 수의 증가, 급·만성의 병기 및 중증도의 구분 등을 고려한 더욱 자세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