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교육대학원의 교원 양성체제에 대한 교원과 교육대학원생의 인식 -순천대학교를 중심으로

        김대희,이정우,지영래,박은정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2 현장수업연구 Vol.3 No.1

        Due to the recent trend of the decreasing number of students and over-growing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been pushing for a change in the role of the teacher training process. As a resul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s trying to convert it to a system fostering the capabilities of existing teachers rather than training new teachers. In the school context, teachers are required to play a variety of roles, such as cultivating career and digital literacy, because of the demand for convergence curriculum guidance and non-face-to-face classes. The consequence has also resulted from consumer-tailored education, the free grade system,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impact of COVID-19.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Sunchon National University must come up with a drastic development plan by reflecting the results of the previous five-cycle evaluation of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providing educational services that can strengthen educational capabilities of teachers in schools in the Jeollanam-do region. In order to make it concrete, we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five-cycle evaluation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an analysis of the reform plan for the teacher training course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a survey of opinions of the professor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and a survey of opinions of the graduate students of education and teachers in the Jeollanam-do reg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Sunchon National University firstly divided the majors into the teacher education courses for pre-service teacher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in-service teachers based on the cutback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cond, we encouraged all departments to improve the content and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o that teachers and graduate students can develop their teaching skills and abilities in the future. Third, it is necessary to offer integrative majors, which are expected to be in high demand in the future. This will bring about strengthening the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and advanc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ourth, newly-coming graduate students should be welcome through specialized doctoral degree (i.e., Doctor of Education or Ed.D.) program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Sunchon National University. Lastly, it is imperative to develop professional development courses for in-service teachers to acquire first-grade teacher qualification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to cultivate competency of teaching and learning. 최근 학생 수 감소 및 교원의 과다 양성을 개선하기 위해 교육부에서는 교원 양성과정에 대한 역할 변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교육대학원은 신규 교사의 양성보다는 현직 교원의 역량을 함양시키는 체제로 전환시키고자 하고 있다. 학교 현장에서는 수요자 맞춤형 교육의 강화, 자유학년제 도입, 코로나19의 영향 및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 등에 따라 진로소양 함양, 융복합 교과 지도 및 비대면 강좌의 요구 증가 등 교사들에게 다양한 역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은 지난 교원양성기관 5주기 평가 결과의 반영 및 전남지역의 교사들의 현장 지도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서비스의 제공 등을 포함한 보다 과감한 발전방안을 마련해 나가야 한다.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교원양성기관 5주기 평가 결과 분석, 교육부의 교원 양성과정 개편 방안 분석,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전공 교수 의견 조사,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생 및 순천지역 교사들에 대한 의견조사를 거쳤다. 연구 결과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은 첫째, 양성과정 정원 감축에 따라 신입생 지원이 높은 전공과 그렇지 않은 전공을 양성과정과 재교육과정으로 구분하여 운영함으로써 양성과정을 내실화하고, 재교육과정은 융합교육 등을 신설하여 교사들의 관심과 지원을 늘려나가야 한다. 둘째, 교사 및 교육대학원생들이 미래 교육환경의 변화에 맞추어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의 교수 학습 내용 및 방법들을 개선시켜 나가야 한다. 셋째, 교육대학원의 발전 및 (예비)교사들의 융합교육 역량 강화를 위하여 앞으로 교육 현장에서 수요가 많아질 것으로 보이는 융복합 전공의 개설을 다양화해야 한다. 넷째,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에 교육대학원 전문박사(교육학 박사, Ed.D.) 과정을 운영하여 신입생 지원을 확대시켜야 한다. 다섯째, 교육대학원 1급 정교사 자격 취득 연수과정을 교육과정으로 운영하여, 대학원생들의 현장교육 역량을 함양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 STS (과학, 기술 및 사회) 교육에 대하여

        김종웅,조현욱 順天大學校 師範大學 附屬 科學敎育硏究所 1998 科學과 敎育 Vol.6 No.-

        STS education, which started in 1960's and became the worldly science educational stream in 1980's. The STS education began to be reflected in the textbook concretely in the 5th Educational Curriculum of Korea that was reformed and notified in 1992.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discuss the STS educational history, characteristics, and reflection in the educational curriculum of Korea. Specially, this study classified the contents related to STS in the Biology Unit of the 8 kinds of high school authorized Common Science Textbook compiled on the basis of the 6th Educational Curriculum. The research compared how much such contents each textbook contains and which subject area of Piel the contents of STS education in each textbook belong to, and then analyzed which STS subject area is reflected in each biology unit.

      • KCI등재후보

        중학교 ‘기체의 성질’ 단원의 원격 과학 탐구 수업 개발 및 적용

        서영미(Young-mi Seo),윤희숙(Heesook Yoon)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3 현장수업연구 Vol.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학생, 학생-학생 상호작용을 강조하고, 가정에서 실험이 가능한 중학교 과학 교과의 원격 탐구 수업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후 수업에 대한 효과와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체 7차시의 원격 탐구 수업자료를 개발하여, 중학교 1학년 18명을 대상으로 원격 탐구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은 ‘온라인 클래스 화상수업’ 플랫폼을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진행하였으며, 띵커벨 보드, 구글 설문 등의 상호작용 툴을 활용하였다. 원격 탐구 수업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과학과 핵심역량 검사, 과학탐구 능력 검사를 수행하였으며, 원격 탐구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또한 수업에서의 교사-학생 간, 학생-학생 간 언어적 상호작용을 조사하여 유형 및 내용을 분석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원격 탐구 수업의 적용으로 학생들의 과학과 핵심역량, 과학 탐구 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서는 개별 실험 도구의 사용으로 개인이 직접 실험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가장 큰 장점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수업 중 교사-학생, 학생-학생 간 의사소통이 활발하게 진행된 점이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바탕으로 비대면 원격 수업상황에서 효과적인 과학 탐구 수업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remote inquiry-based science instructions of middle school science subjects that emphasize teacher-student, student-student interactions, and can be experimented at home. and then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es and students’ perceptions. To this end, seven remote inquiry-based classes were conducted for 18 first graders of middle school. Classes were conducted in real time using the ‘Online Class Video Class’ platform, and interaction tools such as Tinkerbell Board and Google Survey were used.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remote inquiry classes, science core competency tests, and science process skill tests were conducted, and students’ perceptions of remote inquiry classes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e survey analysis, the application of remote inquiry classes significantly improved students’ science core competencies, and science process skills. The biggest advantage was that individuals could perform all experiments directly through the use of individual experimental ki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tudent and student-student was actively conducted during class, and they thought it was helpful in class. Based on the results, effective inquiry-based classes in non-face-to-face remote class situ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사회교육자의 정체성에 관한 주관적 인식 연구

        김미정,안영식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1 현장수업연구 Vol.2 No.2

        This paper aims to know the identity on subjective perception with social educator in the field of social education.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conducted the focus group interview with three social educators. This study classified six categories on identity of social educator and showed necessary competencies for the professionalism of social educator. The findings from research procedures were described as follows. First, interview participants activated as social educator with experience and internal values. Second, participants recognized as social educator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Third, participants conducted as social leader through continuous learning. Fourth, participants practised service and sharing in their life with social members. Fifth, participants had a pleasure when they found the change of local resident through education. Sixth, participants practiced comprehensive education with the sense of vocation and duty in spite of difficulty. Also, this study suggested necessary competencies for the professionalism of social educator as follows, versatile leadership, insight for education with the problem of local society, empathy ability for communication, program development through cooperative work with specialist in several fields, instructional activity and self perception and reflection.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실천가로 활동하고 있는 사회교육자를 대상으로 주관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정체성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정체성에 대한 면담 질문지를 구성하여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3명의 사회교육자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후 자료를 전사하고 의미를 범주화하여 사회교육자의 정체성을 파악하였고, 6개 범주와 사회교육자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필요역량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6개의 범주는 첫째, 연구대상자는 개인의 경험과 내적 가치를 통해 사회교육자로 입문한다. 둘째, 평생교육 활동 속에서 사회교육자임을 인식한다. 셋째, 사회교육지도자로 성장하고자 끊임없이 배움을 실천한다. 넷째, 사회구성원들의 삶 속에 함께 참여하며 봉사와 나눔을 실천한다. 다섯째, 교육을 통한 사회와 지역주민의 변화를 발견할 때 뿌듯함을 느낀다. 여섯째, 사회교육자들은 어려움 속에서도 소명의식과 사명감으로 전인적 교육을 실천하고 있다. 또한 사회교육자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필요역량으로 다재다능한 리더십, 지역사회 문제를 교육과 연결할 수 있는 통찰력, 의사소통을 위한 공감 능력,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협업을 통한 프로그램의 전문화, 시대에 앞서가는 교수활동, 자기인식과 자기성찰 등이 도출되었다.

      • KCI등재후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탐구실험’ 교과서 탐구활동에 나타난 과학과 교과 역량 분석

        윤지영(Jiyoung Yun),최원호(Wonho Choi)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3 현장수업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탐구실험 교과서의 ‘역사 속의 과학 탐구’ 단원 탐구 활동에 제시된 과학과 교과 역량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탐구 활동에 제시된 과학과 교과 역량은 특정 역량으로 편중되어 있었으며, ‘과학적 문제 해결력’과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은 물리, 화학, 지구과학, 생명과학 영역 모두 거의 제시되지 않거나 전혀 제시되지 않았다. 그리고 교과서의 탐구 활동에 제시된 교과서 저자의 의도나 탐구 활동에 제시된 문장 표현은 학생들이 실제로 경험할 수 있는 교과 역량과 다른 경우가 있었다. 또한 탐구 활동의 주제에 따라 학생들이 경험할 수 있는 교과 역량에 차이가 있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교과서 집필 과정에서 고려할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science subject competencies in inquiry activities of ‘Science Inquiry in History’ unit of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cience subject competencies presented in inquiry activities were biased on specific competencies and ‘Scientific problem solving’ and ‘Scientific participation & life-long learning’ were rarely or never presented in Physics, Chemistry, Earth science, and Life science. In addition, the textbook author’s intention or the sentence expression presented in the inquiry activities of the textbook were different from the subject competencies that students could actually experience. Also, we confirmed the possibility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ubject competency that students can experience according to the subject of the inquiry activity. Through this analysis, we made some suggestions to consider in the textbook writing process.

      • KCI등재후보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과 AI교육에 관한 초등교원 인식 조사

        최을용(Eulyong Choi),서순식(Soonshik Suh)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3 현장수업연구 Vol.4 No.2

        이 연구는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 및 AI교육에 대한 초등교원의 인식을 조사 분석하여 AI교육의 안정적인 정착 방안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 만족도와 AI교육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 수용 정도, 관심도를 조사·분석하였고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 만족도가 AI교육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 수용 정도, 관심도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연구 대상으로 K교육청 소속 초등교사 107명을 표집하였고 연구 도구로는 온라인 설문지를 개발하여 활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AI교육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 AI교육 수용 정도, 관심도 역시 대체로 높은 수준이었다. 셋째,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AI교육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 수용 정도, 관심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AI교육에 대한 인식도 긍정적인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시사점으로는 AI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긍정적인 인식을 높이기 위해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것을 제안하였으며 교사들이 AI교육의 유용성을 인지하고 좀 더 적극적으로 수용하며 관심도를 높일 수 있도록 연수 과정과 수업 자료를 제공하는 것도 제안하였다. 하지만, 이 연구는 K교육청 소속 초등교사만을 대상으로 수행했다는 제한점이 있음을 밝히며, 후속 연구를 위해서는 교사뿐만 아니라 학생, 학부모까지 확대된 인식을 파악하는 것과 AI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실제적인 수용으로 이어지는지 종단적인 연구를 진행하는 것도 필요함을 제언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garding the use of smart devices in classrooms and AI education, in order to identify stable strategie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AI education. The study surveyed and analyzed the satisfaction levels of smart device-based classroom activities, as well as the perceived usefulness, acceptance, and interest in AI education. Additionally,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atisfaction levels with smart device-based classroom activities on the perceived usefulness, acceptance, and interest in AI education. A sample of 107 elementary school teachers affiliated with the K Education Office was selected, and an online survey was developed and utilized as the research too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software.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teachers expressed high satisfaction with smart device-based classroom activities. Secondly, there was generally a high level of perceived usefulness, acceptance, and interest in AI education. Thirdly, it was observed that higher satisfaction with smart device-based classroom activities was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perceived usefulness, acceptance, and interest in AI education. Therefore, it can be inferred that positive perceptions of smart device-based classroom activities are linked to positive perceptions of AI education.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foster positive perceptions of AI education among teachers, efforts should be made to enhance satisfaction levels with smart device-based classroom activities. Furthermore, it is recommended to provide training programs and teaching materials that help teachers recognize the usefulness of AI education and encourage them to actively embrace and increase their interest in it.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is study was limited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affiliated with the K Education Office. Therefore, future research should expand its scope to include not only teachers but also students and parents in order to obtain a broader understanding of their perceptions. Additionally, conducting longitudinal studies to investigate whether positive perceptions of AI education actually translate into practical acceptance is also suggested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후보

        아동과학지도 수업을 통해 나타난 예비 보육교사의 과학에 관한 인식

        추수진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1 현장수업연구 Vol.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ceptions of science that pre-service teachers that were revealed after taking children’s science guidance classes. The study period was from September 30 to November 29, 2019. A total of 58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it was conducted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at analyzed the content of narrative respon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cience was perceived as familiar that can be experienced in everyday life. Familiar images through direct experience were meant to become familiar with science through real experiences. Second, science was perceived as easy and fun. It was noted that the individual’s thoughts changed through the children’s science guidance classes. Third, science was recognized as it could be learned through play with various materials and activities being linked with other play areas as well.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following field-based classes. Preparatory childcare teachers should conduct theoretical lectures and practice in parallel to form positive attitudes toward science education based on what they have learned through the training process. It was also emphasized that it was important for them to have practical experiences of science.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보육교사가 아동과학지도 수업을 들은 후에 나타나는 과학에 관한 인식을 탐구하는데 있다. 연구 기간은 2019년 9월 30일부터 11월 29일까지 진행되었다. 연구참여자는 예비교사 총 58명으로 서술형 응답 내용을 분석한 질적 연구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은 일상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친숙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직접 경험을 통한 친숙한 이미지는 실제 경험을 통해 과학과 친숙해질 수 있다는 느낌을 받은 것을 의미한다. 둘째, 과학은 쉽고 재미있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이것은 아동과학지도 수업을 통해 변화된 개인의 생각을 의미한다. 셋째, 과학은 놀이를 통해 습득 가능한 것, 다양한 재료로 놀이와 활동을 하고, 타 놀이 영역과의 연계가 가능하도록 지도해야 한다는 인식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현장수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예비 보육교사는 양성과정을 통해 학습한 내용으로 과학교육에 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기 위하여 이론 강의와 실습을 병행해야 한다. 또한 과학 체험을 실제적으로 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 KCI등재후보

        과학 성취 우수 집단 예측 변인 분석

        홍지혜(Jeehye Hong),김현정(Hyunjung Kim)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3 현장수업연구 Vol.4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edictors of science high-achievement group among Korean high school students, considering raw data of the students’ responses to PISA 2015. In particular, the factors differentiating the excellent group from the general group were analyzed using a random forest analysis with hybrid sampling and hyper-ensemble approach on the responses of 92 individual questions. The results revealed distinct gender-based patterns. Male students captured higher rankings in factors related to science-related reading at the age of 10 and experimental practices. Conversely, female students displayed a stronger correlation between high achievement and non-cognitive characteristics such as connecting the value of science subjects to their future careers. Despite the gender differences in the magnitude of increase in prediction probabilities and variations, their overall direction remained consistent. Notably,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who were introduced to science-related books around the age of 10 and were presently exposed to scientific literature exhibited a higher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high-achievement group. These findings will aid the development of tailored education support plans for high-achieving students, facilitating the success of these students to foster a scientific potential and brighter future.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과학 성취 우수 집단을 예측하는 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PISA 2015 원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일반 집단과 비교하여 우수 집단의 중요 예측 요인을 도출하였다. 92개의 개별 설문 결과를 예측 요인으로 투입하였으며, 하이브리드 샘플링과 하이퍼 앙상블 방식으로 랜덤포레스트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남학생 우수 집단은 10세 무렵 경험한 과학 관련 글 읽기와 실험 실습 관련 요인의 중요도 순위가 높게 도출되었고, 여학생 우수 집단은 과학 과목의 가치를 자신의 진로와 연계하는 등 비인지적 특성 관련 요인의 중요도 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예측 확률 증가 구간 및 변화량은 남녀집단에서 다르게 나타났으나, 응답에 따른 확률 변화 방향은 일치하였다. 특히, 10세 무렵과 현재의 과학 관련 글 읽기 경험은 남녀학생 모두 과학 성취 우수 집단을 예측하는 중요 요인이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과학 성취 우수 집단의 효과적인 맞춤형 교수 전략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2022 개정 ‘사회문제 탐구’ 교육과정의 개발 과정과 특징

        이정우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3 현장수업연구 Vol.4 No.1

        This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quiry on Social Issues',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issues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nquiry on Social Issues'. The characteristics of 'Inquiry on Social Issues' were examined based on my experiences of participation in curriculum revisi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quiry on Social Issues' was newly established as a elective courses for career education in the field of social studies. It is designed to cultivate the ability to select a problem, identify the cause of the problem, and derive a solutio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nquiry on Social Issues' was also revised in consideration of the direction of revision pursued in the ‘chongron’ while maintaining the purpose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addition, the level of difficulty was lowered by reflecting the review opinions raised during the revision process, and modifications were made to allow a more specific approach to social issues. In other words,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subject goal of 'cultivating learner-initiated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based on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social problems', the number of areas and achievement standards was drastically reduced, and they were ch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transition to a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changes in the type of elective courses. In addition, the contents were more easily modified tha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method of presenting social problems was adjusted, and as an elective courses for convergence, it was guided to approach social issues in an integrated manner.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curriculum revision, the tasks to make 'Inquiry on Social Issues' well used in the classroom was proposed by dividing it into textbook development and class execution.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사회문제 탐구’의 개발 방향과 특징, 2022 개정 교육과정 ‘사회문제 탐구’의 개발 방향과 개발 과정에서의 쟁점, 그리고 2015 개정 교육과정과 비교한 2022 개정 교육과정 ‘사회문제 탐구’의 특징을 교육과정 개정에 참여한 연구자의 경험 및 최종 결과물로서의 교육과정 문서 분석에 근거하여 살펴본 것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사회문제 탐구’는 사회과 일반사회 영역의 진로 선택 과목으로 신설되었으며, 사회문제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학습자가 공동체에서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사회문제를 탐구하고 궁극적으로는 학습자 스스로 사회문제를 선정하여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2022 개정 교육과정 ‘사회문제 탐구’ 역시 이러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취지를 유지하면서 총론에서 추구하는 개정의 방향을 고려하여 개정되었다. 그리고 개정 과정에서 제기된 검토의견을 반영하여 난도는 낮추고, 사회문제에 대해서도 보다 구체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수정이 이루어졌다. 즉, ‘사회문제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 학습자 주도적 사회문제 해결 능력 함양’이라는 기존의 과목 목표를 유지하면서 고교 학점제로의 전환과 선택 과목 유형의 변화를 고려하여 영역과 성취기준의 수를 대폭 축소하였다. 그리고 2015 개정 교육과정보다 그 내용을 쉽게 수정하고 사회문제의 제시 방식을 조정하였으며, 융합 선택 과목으로서 사회문제에 통합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안내하였다. 이러한 교육과정 개정의 취지에 맞게 ‘사회문제 탐구’가 학교 현장에서 잘 활용되도록 하기 위한 과제를 교과서 개발, 수업 실행 차원으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인식에 관한 연구

        문지영,아마르자갈,김학선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0 현장수업연구 Vol.1 No.2

        최근 한국어 교육의 위상이 높아지고 학습자와 교원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한국어교육 관련 웹 콘텐츠를 대상으로 빅데이터의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 한국어 교육과 관련된 주요 현황 및 인식을 탐색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2018년 5월 1일부터 2020년 4월 30일까지 2년간 축적된 네이버, 다음 사이트 등의 블로그와 뉴스, 학술자료 등에서 ‘한국어교육’을 키워드로 포함하고 있는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그런 다음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을 통해 빈도를 계산하여 중요 단어들을 선정, 정제하고 매트릭스 데이터로 만들어 의미연결망 분석에 이용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 교육 관련 단어는 총 37,135개의 단어가 수집되었으며, 그중 상위 빈도 70개의 단어를 추출하였다. ‘한국어교육’ 키워드가 포함된 데이터에는 ‘한국어, 교육, 자격증, 외국인, 모집, 연구, 한국어 교육, 취득, 학생, 강사, 채용’ 등의 단어가 웹 가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하여 ‘다문화, 베트남, 유학생, 해외, 중국, 한국, 문화’ 등 학습자와 관련된 내용 또는 ‘세종학당, 교육부’, ‘다문화, 결혼이민,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같이 정책과 기관에 관련된 내용들도 한국어교육에 대하여 주목할 만한 현황을 반영하고 있었다. 후속 작업으로 UCINET 6을 사용하여 텍스트의 네트워크 중심성과 구조적 등위성(CONCOR: CONvergence of iterated CORrelations) 분석을 진행한 결과 4개의 클러스터가 생성되었다. 각각 ‘자격취득시험, 교원채용정보, 한국어 수업, 정책’으로 명명된 4개의 범주는 웹 콘텐츠에 등장하는 한국어 교육 관련 텍스트의 이용층과 그들의 주된 관심사를 보여줌으로써 후속 연구를 하는데 토대를 제공하였다. Recently, the numbers of learners and teachers have been rapidly increased due to the recent rise in the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dealt with exploring the trends and issue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the web contents related with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target data set included heterogenous contents such as blogs, news, and academic materials that were accumulated between May 1, 2018 and April 30, 2020 in Naver and Daum sites. For the analysis of semantic networks, the important words were selected, refined, and made into matrix data by calculating their frequencies in terms of text mining. As a result, a total of 37,135 word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collected, of which the top 70 words were extracted. Data containing the keyword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wed that words such as ‘Korean language, education, certification, foreigner, recruitment, research, Korean language education, acquisition, student, instructor, recruitment’ were highly visible. And the following words such as ‘multicultural, Vietnamese, international, overseas, Chinese, Korean, cultural’ or ‘multicultural, marriage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were also noted regarding Korean language learners. In seque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COR(CONvergence of generated CORrelations) method using UCINET 6. The newly formed 4 clusters were named as ‘Qualification test, Teacher recruitment information, Korean language class, Policy.’ The four categories showed the diverse user group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related web contents and their main interests. The research results provided the basis for the follow-up research reflecting the diversification of Korean language us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