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언을 근원성부(根源聲符)로 한 형성자 고(考)

        한연석 ( Youn Suk Han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6 漢文古典硏究 Vol.32 No.1

        언(깃발 언)은 갑골문에서 ‘□’으로 썼다. 깃발이 펄럭이고 있는 모습을 그려 本義 ‘깃발’을 나타내었다. ‘언’을 根源聲符로 한 形聲字는 거의 대부분 자형 ‘언’ 대신 □(韓), 翰, 斡, 한, 한, 幹 등처럼 1차 형성자 간의 자형으로 구현되고 있다. 언은 갑골에서 해서까지 ‘□-□-□-□-□- 언’와 같이 演變 되었다. ‘(□)’의 左上 깃봉 ‘□’는 ‘□-□-□-□-□- ’로 演變 되고, 깃대 장식 ‘□’는 상부 필획은 方(언)의 일부인 ‘□’으로, 하부 필획은 언의 오른쪽 필획 ‘人’으로 연변 되었다. 언의 ‘方’으로의 연변은, 의 하부 의 竪劃 ‘□’를 왼쪽으로 彎曲되게 ‘□’으로 쓰고, 의 상부 ‘□’를 ‘□’으로 연변 시켜 ‘□’와 결합하여 ‘力’으로 쓰고, 여기에 깃봉 ‘□’를 結合 書寫한 것이 ‘方’이다. 그리고 ‘□’의 하부 ‘□’를 ‘方’의 오른쪽에 독립 서사한 것이 ‘언’이다. 간은 旦이 義符, 언이 聲符로 ‘빛나다’가 본의이다. 금문에 으로 썼는데, 자형미를 위해 의 성부 (언. 갑골문은 ‘□’)의 중앙 竪劃 ‘□’을 하부로 이동 시켜 ‘□’으로 쓰고, 벌어진 틈에 의부 ‘(旦)’을 書寫한 것이다. 의 간으로의 자형연변은 을 ‘□’과 ‘□’으로 분리 서사한 것이다. 은 현재 ‘□’로 쓴다. 에서 ()의 상부 ‘□’는 ‘□’로, 旦의 하부 ‘一’은 깃대를 나타낸 ‘□’와 결합하여 ‘□’로 서사하고, 日을 독립 서사 한 것이(十 + 日 + 十) 곧 ‘□’이다. 여기에 깃대장식 ‘人(□)’을 오른쪽에 서사한 것이 간이다. □(韓), 翰, 斡, 한, 한 등은 聲符가 간의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韓)은 金文 단계에서는 간으로 쓰다가 소전 단계에서 □(□)으로 분화되어 古隸 단계까지 □(□)의 형태를 유지하였지만 今隸 단계에서 간의 오른쪽 필획을 생략하고 韓(□)으로 썼다. 韓(□)은 간이 성부, 韋가 義符인 형성자인데 자원이 명확치 않다. 『說文』은 본의가 ‘井橋’라고 하였는데, ‘井橋’의 ‘橋’에 대해 ‘두레박,’ ‘두레박을 걸어놓은 가로막대,’ ‘우물에 흙이 무너지지 않도록 댄 나무’ 등 釋讀이 분분하다. 段玉裁는 ‘井橋’는 우물에 둘러쳐진 나무(井□)에 ‘가로로 댄 횡목’을 가리킨다고 하였다. 이 횡목은 양쪽 기둥에 구멍을 뚫고 거기에 끼워서 돌아가게 만든 것이라고 한다. 현재 우물은 도르래를 횡목에 달아놓고 쓰는데(횡목은 고정), 고대에는 따로 도르래를 설치한 것이 아니라 양쪽 기둥 구멍에 끼운 횡목이 돌아가게 하였다. en(언) was written ‘□’ in gabgormun(甲骨文) as it displays feature of flags flapping . From gabgormun(甲骨文) to haeseo(楷書), en(언) have been changed in the order of ‘□-□-□-□-□- 언’. gan(간) which is divided into two parts - 旦(definition) and 언(sound) means ‘shine’. For more beautiful shape of the letters, they moved ‘□’ which is middle of a down a little (□), and wrote ‘(旦)’ that represents ‘definition’ in a blank. That is (간). gan(간) of han(韓. □), han(翰), al(斡), han(한), han(한) represents sound. Of these letters, han(□. 韓) was written as gan(간) at kyummun(金文) stage. Next it was written as han(□ . ) at sojen(小篆) stage, and finally written as han(韓. ) at kyumye(今隸) stage. han(韓. □) which is consist of two parts - wuy(韋. definition) and gan(간. sound) is the chinese meaning-sound connected letters(形聲字) It means ‘bucket,’ ‘a stick that hang a bucket’ and ‘an added tree to prevent a well from collapsing.’

      • KCI등재

        포저(浦渚) 조익(趙翼)의 『대학곤득(大學困得)』 연구 - 「성의장(誠意章)」을 중심으로 -

        조성덕 ( Seong Duk Cho ) 한국한문고전학회(구.성신한문학회) 2007 漢文古典硏究 Vol.15 No.-

        본고는 조선 중기의 학자인 浦渚 趙翼의 『大學困得』의 편찬경위와 체제, 「誠意章」의 해석과 그에 대한 사회적 평가를 살핀 글이다. 포저는 주자 일변도의 경전해석에 이의를 제기하였는데, 이것은 당시 새롭게 일기 시작한 학풍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것이다. 포저 경학 연구는 주로 양명학적 특성을 확인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졌으며, 경학 저술에 대한 연구는 초보적인 단계에 머물고 있다. 포저의 『大學私覽』과 『大學略說』은 程子(明道)의 分章法에 따라 經一章과 經二章으로 나누었으며, 『大學困得』은 章句의 체제를 따랐다. 중점 사항을 28개의 按說로 설명하였는데, 이 중 15개가 「誠意章」에 있으며, ``竊恐``이란 글자로 신중함을 나타내었다. 『大學困得』이 형식상 기존의 저술을 보완하는 정도가 아니라, 자신의 견해를 주체적으로 드러낼 수 있도록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誠意章」에서는 첫째, 誠意工夫의 핵심은 ``毋自欺``로 誠을 보존하는 방법은 오직 ``欺``를 제거하는 것뿐이며, ``自欺``와 ``欺``가 둘이 아니어서 ``自欺``를 금하는 것이 ``欺``를 제거하는 방법이라고 하였다. ``如好好色``과 ``如惡惡臭``에 대해 用力이 아닌 ``毋自欺``의 效驗으로 파악하였다. 또 주자가 ``毋自欺``와 ``二如``의 순서를 바꾸어 해석한 것은 본문의 순서와도 맞지 않으며 傳文의 先後에 따라 해석해야 뜻이 명백해진다고 하였다. 둘째, ``毋自欺``가 ``爲人``이 아니라는 증거를 고금 先賢의 글과 주자의 편지, 그리고 『心經附註』에서 찾아내어 주자가 ``自欺``를 ``爲人``으로 해석한 것은 일시적인 견해임을 밝혔다. 셋째, ``獨``자는 ``獨處``와 ``獨知``의 의미를 내포하기 때문에, ``愼其獨``의 ``獨``을 ``獨知``라고만 볼 수 없다고 하였다. 넷째, ``克己復禮``의 ``己``를 ``意``와, ``復``을 ``誠``과 대비시켜 ``克己``가 자신의 사욕을 이기는 것임을 증명하여, ``毋自欺``에서 속이는 대상이 남이 아닌 자신임을 방증하였다. 포저의 경전 해석은 당시뿐만 아니라 후대까지 많은 논란거리가 되었다. 윤증은 포저의 『困得』을 높이 평가하며 장점과 단점이 병존할 때 장점만을 취하라고 하였으며, 우암은 ``주자야말로 공자 이후 일인자``라는 말은 긍정적으로 평가한 반면 ``아무리 성인이라도 혹시 미처 생각하지 못한 일이 있을 수 있다.``는 것에 대해서는 성토하는 자세를 취하였다. 崔錫鼎은 趙翼의 『大學困得』은 물론 李彦迪의 『改定大學』의 毁板까지 거론하며 『困得』에 대해서는 특히 강한 어조로 비판을 가하였다. 포저는 「大學困得後說」을 지어 주자가 『大學』 해석에 심혈을 기울인 점을 높이 평가하는 한편 자신의 연구도 가치 있는 것임을 밝혔다. 또 진정으로 선현을 존경하는 방법은 先賢의 전철을 밟아 이치를 탐구한 방법을 따르는 것이라고 하였다. 포저의 이와 같은 용기 있는 주장은 우리 經學史를 비롯하여 학문에 몸담고 있는 사람에게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고 하겠다. Po-Jeo(浦渚) Jo-ik(趙翼) is one of the famous Scholars who lived in middle of Chosun Dynasty, He Reinterpreted Congzi(孔子)`s Dae-hak, and wrote named 『Dae-hak-gon-deuk(大學困得)』. This paper is research History and Systems about his book, his opinion about 「誠意 chapter」, and other Scholars`s opinion about his thinking. Po-Jeo raised objections to a most people who lived in Chosun only follow Zhouzi(朱子)`s explication way about Confucian books. this is represent that times start of the academic, which is one-sided. Po-Jeo`s research about Chinese classics of Confucianism, only confirm that the philosophy of Wang Yang-ming`s property, Starter steps staying about research of primarily fact about Chinese classics of Confucianism. Topics discussed in the following summary. He`s 『Dae-hak-sa-ram(大學私覽)』 and 『Dae-hak-yak-sul(大學略說)』 was based on Jeongzi(程子)`s rule of divide section, diveded 經一章 and 經二章, 『Dae-hak-gon-deuk』 is accede to 章句 system. Focus on his opinion used 28 ``按說`` and explained, among that 15 is lies in 「誠意 Chapter」. When he has special opinion, use ``竊恐``, this is present his prudence. 『Dae-hak-gon-deuk』 is only make up for the weak points, but changed present his opinion. One, In 「誠意 chapter」, he said study of 誠意`s point is lies on never self-cheat(``毋自欺``), preserve of 誠`s way is only removal cheat(``欺``), and self-cheat and cheat is not the others, so forbid self-cheat(``自欺``) is the way removal cheat(``欺``). For about ``如好好色`` and ``如惡惡臭``, he scribe no 用力, is effect from never self-cheat(``毋自欺``). He also said Zhouzi is change ``毋自欺`` and ``二如``` order in text and scribe is not fit Main Text. only use 傳文`s order, can obvious original meaning. two, he finded never self-cheat(``毋自欺``) is not ``爲人```s evidenc from ancient and modern sages`s paper and Zhouzi`s mail, and find some fact in 『Sim-gyeong-bu-ju(心經附註)』, said Zhouzi`s explication in this book is only temporary opinion. Three, ``獨``is express ``獨處`` and ``獨知```s meaning, so ``愼其獨```s ``獨`` is can`t only said ``獨知``. four, ``克己復禮```s ``己`` is compare ``意``, ``復`` is compare ``誠``, prove ``克己`` is overcome selfish desire, so in ``毋自欺`` cheat target is not others but self. Po-Jeo`s opinion make a many criticism at that time and after ages. Yun-zeung(尹拯) is about Po-Jeo`s 『gon-deuk(困得)』 set high value, said exist strength and weakness, only take strength. Woo-am(尤庵) also said Zhouzi is the leading expert Schlor after Congzi, but also said Who is most expert in one area, can have not thinkings theory. Choi-seok-jung(崔錫鼎) is severe criticism about Jo-ik`s 『Dae-hak-gon-deuk』 and Lee-eon-jeok(李彦迪)`s 『Gae-geong- dae-hak(改定大學)』, especially 『gon-deuk』. Po-Jeo also wrote 「Dae-hak- gon- deuk-hoo-seol(大學困得後說)」, said Zhouzi is give his whole mind to explication 『Dae-hak』 and he agree set high value Zhouzi`s study, but his research also have a good value. He announced real admire ancient sages`s way is accordance with their achievements, effort to research real principle.

      • KCI등재

        특집기획 : 기획주제 ; 지역학으로서의 한문학의 역할과 방향 모색 : 북한강 유역 신라 군현(郡縣)의 형성과 구조

        박성현 ( Sung Hyun Park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1 漢文古典硏究 Vol.22 No.1

        본 연구는 북한강 유역이 신라 때 어떻게 郡縣으로 편제되어 있었는지 밝히는 동시에, 이 지역 군현의 사례를 통하여 신라 군현제의 형성 과정을 구체적으로 규명해 보고자 한 것이다. 북한강 유역에는 신라 때 州 1(朔州), 郡 7, 縣 11, 총 19개의 군현이 있었는데, 대부분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수역을 중심으로 어느 정도 영역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신라 中古期의 지방 제도는 郡-城·村制로 아직 縣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통일기 郡縣制로의 전환 과정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이 있다. 신라는 진흥왕 12년(551) 고구려를 공격하여 북한강 유역을 포함한 ``10郡``의 땅을 차지하였다. 즉 郡을 설정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또 이 지역 군현 중심지에 남아 있는 신라 城址를 통해서 주요한 지점에 城을 축조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城은 군사적인 필요에 따라서 더 두어질 수 있는 것이었지만, 郡은 일정한 면적과 호구수를 고려하여 설정된 것으로 파악된다. 양자는 다른 기능의 것이었지만 결국 효율성의 차원에서 郡 내의 각 城이 군의 영역을 분할하여 郡(중심 城) 또는 縣으로 전환, 郡縣制가 성립한 것으로 이해하였다. 북한강 유역에는 강을 따라 동서로 발달한 교통로와 유역을 가로지르는 남북 교통로가 있었다. 신라는 王都에서부터 이어지는 남북 교통로를 중심으로 朔州를 설정하였으며, 두 교통로가 교차하는 지점이 州治가 되었다. 城에서 전환된 각 군현은 대부분 이 교통로 상에 위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었다. 한편 州治인 춘천 지역은 수상 교통에서도 중심적인 위치에 있었는데, 적어도 낭천, 양구, 인제, 홍천, 가평 지역의 물자 이동은 북한강의 수운을 활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통일기 군현의 중심지에는 여전히 城이 남아 있었으며 영역 내에는 여러 村이 분포하였다. 城은 그 군현의 중심적인 구조물이었지만 통일기에 그것이 어떤 기능을 하였는지, 즉 치소의 기능을 하였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앞으로 북한강 유역의 신라 성지와 취락 유적이 많이 조사된다면, 군현 중심지의 성과 주변 촌의 관계를 밝힐 수 있는 자료들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structure of Silla`s gun-hyeons (郡縣, local administrative unit) in North Han River valley and to solve the problems about the formation processes of Silla`s gun-hyeon system. There were 1 ju (州), 7 guns (郡), and 11 hyeons (縣) in the valley. The locations of them can be traced and the territories of them can be set by the small valleys of the main stream and branches of North Han River. The local administrative system of mid-old Silla (514-654) was gun and seong (城, fortress) system. There are some disputes on the translation into gun-hyeon system of unified Silla (668-935). Silla took 10 guns in the valley of North Han River and the neighboring area from Koguryo in 551. In the center place of unified Silla`s gun-hyeon, a fortress which was constructed in the mid-old Silla period has been discovered. Gun was territorial but seong was a base point. Seongs in a gun changed into a gun and a few hyeons. Each of them divided the territory of the old gun. There were two main road in the valley. One is from west to east along the river and the other is from south to north across the valleys. Silla made a Sak-ju (朔州) provine along the south-north road because the capital was located in the south east part of the state. Gun-hyeons of Sak-ju were arranged along the two roads and the administrative center of Sak-ju was located in the cross point. The water system of North Han River could be used to transport grain. In the center place of unified Silla`s gun-hyeon, a seong was remained and chons (村, village) were distributed in the territory. The function of the fortress in the unified Silla period is a matter in dispute. It can be clarified if the sites of fortresses and villages are more discovered and excavated.

      • KCI등재
      • KCI등재

        한문교재(漢文敎材)에 반영된 한어문자학(漢語文字學)의 적용현황 고(考) -고등학교 한문교재를 중심으로

        한연석 ( Han Youn Suk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5 漢文古典硏究 Vol.30 No.1

        고등학교 한문교재에는 漢語文字學 관련 진술과 이를 활용한 교수학습법이 다수 보인다. 교재에 반영된 漢語文字學 활용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일한 聲符를 공유한 한자들을 系聯한 교수학습법이다. 예컨대 聲符가 各인 형성자 格, 洛, 絡 등을 한데 모아 敎授·學習하는데, 이는 한자의 形과 音을 학습하기 용이하다. 둘째, 여러 가지 뜻을 소유한 한자들을 系聯한 교수학습법이다. 이는 한문교과서에 흔히 보이는 漢字, 漢字語 교수학습법이다. 예컨대 ‘塞’자의 경우 塞翁之馬(변방 : 새), 要塞(요새 : 새), 拔本塞源(막다 : 색)과 같이 한자의 뜻이 쓰임에 따라 달라짐을 제시한다. 셋째, 한자의 구조를 분석하거나 한자의 部件을 조합하여 교수학습 한다. 예컨대 掌(장)의 구조를 ‘手(뜻) + 尙(음)’으로 분석하여 ‘손바닥’이란 뜻을 학습자가 유추 할 수 있도록 한다. 반대로 部件 양을 제시하고 이를 ‘月, 木, 申, 水’ 등과 조합하여 腸, 楊, 暢, 湯 등의 한자를 학습 한다. 넷째, 부수가 같은 한자를 系聯한 교수학습법이다. 예컨대 부수가 같은 鋼, 鑛, 鎖, 銃 등을 한데 모아 교수학습하는 것이다. 이는 한자의 義와 形을 학습함에 유리하다. 다섯째, 모양이나 뜻이 비슷한 한자를 系聯한 교수학습법이다. 예컨대 모양이 비슷한 ‘險, 檢,’ 뜻이 같은 ‘年, 歲’ 등을 한데 모아 교수학습하는 것으로, 形과 義를 학습하는데 효과적이다. 한어문자학의 진술이 미진한 경우도 있다. 소전은 ‘漢나라 때까지 국가의 표준 書體로 쓰였다.’와 육서를 뭉뚱그려 ‘한자를 만드는 원리’라고 진술한 것은 미진하다. 문장해석에 한자의 뜻 제시가 부적절한 곳도 있다. ‘薄集龍門下數千’의 薄을 ‘모이다.’로 제시 하였는데, 이는 本義 ‘풀 무더기’로부터 引伸된 ‘밀집’이 옳다. ‘我國本聖人之都’의 都를 ‘아름답다.’ 世襲의 ‘襲’을 ‘세습하다’로 제시하였는데 각각 ‘국가’, ‘이어받다’가 옳다. 字源 분석이 부적절한 경우도 있다. 嘗, 島를 회의자로 분석하기도 하고, 多의 夕을 ‘저녁 석’으로, 示는 하늘, 해, 별, 달을 그린 것이며, 路는 각(各) 사람의 발(足)’이라고 하였다. 嘗, 島는 형성, 多의 夕은 月(肉)의 생략, 示는 신주의 모습, 路의 各은 움집으로 들어오고 있는 발을 그려 ‘들어오다.’가 본의이다. ‘각각’과는 상관이 없다. ‘緣木求魚’의 緣을 ‘쫓다.’로 풀이하였는데 ‘오르다’가 적합하다. 緣의 本義 ‘옷의 가장 자리의 장식’으로부터 ‘오르다’라는 뜻이 引伸되었다. ‘獻諸子罕’의 ‘諸’를 ‘之於의 의미’라 했는데, ‘之於’의 축약이다. ‘之於’를 빨리 읽으면 ‘저’가 된다. 이를 ‘諸’로 나타낸 것이다. 朱子는 『詩』, 「召南·行露」 제 2장의 韻字인 ‘角, 屋, 家, 獄, 獄, 足’에서 ‘家’가 압운이 되지 않는다 하여 ‘谷’으로 읽어 和韻 하였다. 이는 한자의 독음 변천을 모르고 자신의 시대의 음으로 선진시대의 음을 재단한 愚를 범한 것이다. 우리도 이런 愚를 범하지 않나 되돌아 볼 일이다. In high school chinese character text book, there are a lot of statements regarding Chinese philology[漢語文字學] and its practical use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elow are the practical use of Chinese philology[漢語文字學] reflected in teaching material. First, it i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is linking[系聯] the chinese characters that share the same phonetic part[聲符]. For instance, one can teach and learn the chinese meaning-sound connected letter lak(格), lak(洛), lak(network : 絡) together as they have each(各 : gak) as their phonetic part[聲符]. This makes it easier to learn chinese character’s shape[形] and sound[音]. Second, it i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is linking[系聯] the chinese characters that have many different meanings. This is common chinese character[漢字], chinese character language[漢字語]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is often seen in chinese character text book. For example, the meaning of ‘stopper[塞 : sek]’ can be changed regarding its usage; old man’s horse[塞翁之馬. frontier : 塞(se)], fortress[要塞. fortress : 塞(se)], cutting off the root[拔本塞源. stop : 塞(sek)]. Third, one can teach and learn by analysing the structure of chinese character or combining its part[部件]. For instance, learner can analogize the meaning of ‘palm’ by analysing the structure of palm[掌 : jang] in to ‘hand[手 : soo. indicating the meaning] + yet[尙 : sang. indicating the sound]’. In other way, one can learn chinese character intestinal[腸 : jang], poplar[楊 : yang], smooth[暢 : chang], soup[湯 : tang] by presenting part[部件] shine[양 : yang] and combining it with ‘moon[月], tree[木], open[申], water[水]’. Fourth, it i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is linking[系聯] the chinese characters that have the same radical. For example, one can teach and learn kang(鋼), kuang(鑛), swue(鎖), chong(銃) together as they have the same radical. This has an advantage in learning chinese character’s meaning[義] and shape[形]. Fifth, it i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is linking[系聯] the chinese characters that have similar shape or meaning. For instance, one can teach and learn ‘ahm[(險), kum(檢)’ together as they have similar shape and ‘year[年 : nyun], year[歲 : se]’ together as they have same meaning. This has an advantage in learning chinese character’s shape[形] and meaning[義]. Presenting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 can be inadequate in translating a sentence. The meaning of 薄(bak) in 薄集(bakjyb) is presented as ‘gather’, however ‘concentrated’ is the precise meaning. 都(do) is presented as ‘beautiful’ in ‘我國本聖人之都(agukbonsengynjido)’, however ‘country’ is the correct meaning. ‘襲(syeb)’ is presented as ‘descend’ in 世襲(sesyeb), however ‘inherit’ is the correct meaning.

      • KCI등재

        단을 근원성부(根源聲符)로 한 형성자 고(考)

        ( Han Youn Suk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4 漢文古典硏究 Vol.29 No.1

        단의 본의는 ‘시초’이다. 갑골문은 ‘□’로 썼다. 식물이 싹이 돋아난 모습을그린 것인데 上部‘□’는 새싹의 줄기[□]와 물[□]을, 下部‘□’는 땅[一]과 뿌리[□]를 그려, ‘시초’란 뜻을 나타내었다. 갑골문에서 해서까지의 字形演變은 ‘□[갑골문] - □[금문] -□[소전] -□[전국문자] -□[古隸] - ⓐ□ ⓑ□ ⓒ□ ⓓ□[今隸] - 단[楷書]’으로, 금문 ‘□’는 갑골문 ‘□’에 그려진 물[□]이 생략되었다. 이는 해서 ‘단’까지 그대로 이어져 왔다. ‘□’는 갑골문에서 줄기를 그린 ‘□’의 하부[□]가 생략되고, ‘□’의 상부[□]만 ‘□’로, 땅과 줄기를 그린 ‘□’는 ‘□’로 演變시킨 것이다. 소전 ‘□’는 금문 ‘□’와 기본적으로 같다. 금문의 하부 ‘□’를 ‘□’로 썼다. 전국문자 ‘□’는 소전 ‘□’를 더욱 간화시켜 하부 ‘□’를 ‘□’로 썼다. 古隸‘□’는 소전 ‘□’와 기본적으로 같다. 상부는 소전 ‘□’를 ‘□’로 뉘여 썼고, 하부 ‘□’는 소전 ‘□’의 ‘□’를 ‘□’로, ‘□’는 ‘□’로 演變되었다. 今隸ⓐ, ⓑ, ⓒ, ⓓ는 古隸‘□’를 계승한 것인데, 상부 ‘□’를, ‘□’는 방향을 바꿔 ‘□’로 세워 썼고, □는 ‘□’로 세워 썼으며 ‘□, □’는 ‘□, □’로 약간 세워썼다. 하부 ‘□’는 땅은 그대로 쓰고[一] 뿌리의 모습을 ‘□, □, □, □’로 平直化시켜 썼다. 단이 段의 構件으로 쓰일 때는 ‘□’으로 변형되었다. ‘□’의 금문에서 해서까지의 자형연변 ‘□[□] -□-□-□,□-□’는 左右結構의 한자에서 정형미를 추구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 이들은 단의 갑골에서 해서까지의, 하부의뿌리를 나타내는 부분을 생략하고, 상부만을 ‘□’로 세워 쓴 것이다. 단을 성부로 한 형성자는 端(단), 段(단), 천, 전, 瑞(서), 췌, 타 등이 있다. 이들 가운데 瑞는 단과 독음차이가 커 성부 認知가 어렵다. 하지만 瑞와 단은 對轉[歌韻과 元韻], 準旁紐[端, 禪紐]의 近音으로, 단이 瑞의 聲符임이 증명된다. 아울러 단과 段을 성부로 한 형성자들의 上古音은, 韻部는 疊韻혹은 對轉이며 聲紐는 雙聲, 準雙聲, 旁紐, 準旁紐, 隣紐의 近音이다. The basic meaning[bonui] of dan(단) is the beginning[sicho]. gabgormun(甲骨文) was written in . It was representing the scene of sprouting of a plant. The upper part represented the stem of a sprout[□] and water[□] and the lower part ‘□’ represented the meaning ‘beginning’ by drawing ground ‘一’ and root ‘□’. The changes of letter shape from gabgormun to haeseo have been ‘□- □- □- □- □- ⓐ□, ⓑ□, ⓒ□, ⓓ□- 단’. Geummun ‘□’omitted water[□] which was drawn in gabgormun. Dan(단) was written as ‘□’ when it was used as gugeon(構件) of dan(段). It was for the beauty of a shape of a character by changing the shape. The shapes of characters from geummun(金文) to haeseo(楷書) in ‘□’ were ‘□(□) -□-□-□, □-□’. Also when it comes to examining that ‘□’ is the changed form of dan ‘단’ in phonology, their sanggoeums are a close sound[近音] of cheopwun(疊韻), bangnyu(旁紐)(dan(端), jeongnyu(定紐)) so it is proved that these two letters are the same letters.

      • KCI등재

        대전본(大全本) 사서장구집주(四書章句集注)의 음주(音注)에 대한 일고찰(一考察) - 『대학장구(大學章句)』와 『중용장구(中庸章句)』를 中心으로 -

        이규필 ( Lee Gyu-pil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7 漢文古典硏究 Vol.34 No.1

        이 연구는 대전본 사서집주의 음주에 대해 고찰하고, 한문전문연수기관 혹은 대학교에서의 사서 강의에 음주의 활용이 필요한지, 또는 그것이 과연 유의미한지를 모색하기 위해 시도된 것이다. 조선시대의 사서 교육은 전적으로 대전본 집주를 통해 이루어졌고, 현재 우리나라의 전문연수기관, 유관 단체, 대학의 한문학 관련 학과에서도 사서의 경우 대체로 주자집주를 교재로 삼고 있기 때문에 대전본 사서집주를 대상으로 하였다. 다만 음주에 대한 정리는 사서집주 전체를 해야 되겠지만, 본 연구가 목표로 하는 주요 논의는 『대학』과 『중용』에 실린 音注만으로도 가능한 바, 논지를 명료화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대학』과 『중용』의 음주에 한정하여 논하였다. 사서집주에 나타나는 음주의 형태는 1 聲調, 2 如字, 3 `A讀B`, 4 `音B`, 5 反切, 6 두 가지 이상 병용된 것, 이렇게 6형태로 나누어볼 수 있다. 이 여섯 유형에 대한 정리와 고찰을 바탕으로 본고는 `新儒學的 經學觀 표명에 관한 문제`, `新儒學의 經文 解釋에 관한 문제` `朱子 章句集注의 깊이 읽기와 새로이 읽기`에 대해 다루었으며, 아울러 `바른 음가 찾기와 언해음 고찰`, `경문의 문학적 장치-음악성의 이해` 등의 지점을 함께 고찰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대전본 사서집주에 음주를 단 목적을 추론하고, 그를 통해 오늘날 四書 강의와 한문교육에서도 음주에 대한 이해와 활용이 유의미하리라는 결론을 추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honetic features (音注) of Daejeonbon(大全本), a variorum edition of the Four Chinese Books(四書音注), via examining how the study of its phonetic characteristics consists of a significant part of comprehension and explication of the Four Chinese Books, particularly for the purpose of teaching the text at Chinese language training institutes or in the college classroom. Learning the Four Chinese Books in the Joseon Dynasty was rendered entirely through the collected annotations of Daejeonbon. And the current education of the Chinese classics is still performed with the particular edition because many of the specialized training institutions and departments of chinese literature and language in the universities of South Korea are still in use of the annotated collections of the Four Chinese Books as the primary text to learn it. Granted that the arrangement for the phonetic study should be done for the entire Four Chinese Books, the main discussion of this article is converged around the Great Learning(大學) and the Doctrine of the Mean (中庸). Hence, this essay is primarily focused on the phonetic subject of the two classic texts in order to clarify my argument. The phonetics features of the edition can be divided into six parts: Tones(聲調), Ruzi(如字), Reading(讀), Sound(音), Fanqie(反·切), and combinations of the two or more. Based on the classification and the explication of those different types, this article deals with `the problems in establishing the Neo-Confucius view of the Chinese classics,` `the problems of Neo-Confucious scholars` interpretation of the classical texts`, and `the close reading and new interpretation of Zhu Xi`s Annotation (章句集注)`. In addition, I examine such phonetic dimensions as `the precise phonetic values and the pronunciation system of the Chinese in Joseon Dynasty`, also investigating the `literary device and musicality of the Chinese classics` together. Throughout the discussion, this study reasons the purpose of attaching the phonetic annotations to the variorum edition of the Four Chinese Books. In so doing, I come to conclude that the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the phonetic features of the Confucius classics comprises a significant part of the research and education of the Four Chinese Books, especially in our time.

      • KCI등재

        한자(漢字)의 언어적 특성에 관한 소고(小考) -교육과정해설서의 ``한자(漢字)영역``을 중심으로-

        정순영 (Soon Young Jung)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2 漢文古典硏究 Vol.24 No.1

        본 논문은 교육과정해설서의 내용을 중심으로 언어학적 관점에서 한자(漢字)(Chinese characters)의 표의문자(表意文字)적 특성에 대한 이해와 성부(聲符)가 같은 형성자(形聲字)와 多音字의 독음유추 방법에 관한 연구다. 먼저 7차 한문과 교육과정해설서와 2007년 개정된 한문과 교육과정해설서, 그리고 2011년 개정된 한문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자(漢字)영역``의 내용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고찰하며, 한자의 언어적 특성을 ``한자는 왜 표의문자라고 하는가``, ``한자의 음을 쉽게 알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라는 발문(發問)을 통해 살펴본다. 아울러 교육과정해설서의 내용서술에 있어서 재고하여야 할 점을 제언한다. 개정교육과정이 ``한문(漢文)``교육중심으로 전환되었다고 해도 ``한자영역``은 한문교과의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학습요소다. 한문을 잘 가르치고 배우려면 한자(漢字)의 언어적 특성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한자의 언어적 특성에 대한 이해는 한자와 관련된 어휘, 문장은 물론 한자문화권과의 소통과 문화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는 첩경이다. 본 논문이 단편적일 수 있지만, ``한자(漢字)``의 표의(表意), 표음적(表音的)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자(漢字)``를 과학적이고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한자인식능력을 높이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아울러 이를 토대로 보다 심도 있는 후속 논문이 나오길 기대한다. This paper is a study of understanding Chinese character`s ideographic characteristics from a linguistic point of view and inferencing methods of reading sounds which has the same sound elements between Phonetic compounding(形聲字) and Many sounds of one character(多音字) concentrated on educational curriculum manual. It examines how the contents of ``Chinese character part`` has been changing, focusing on the 2011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manual and finds linguistic traits of Chinese characters by questioning ``why chinese characters are called Ideograms``, ``How to know Chinese character``s sound easily ``Chinese character part`` is the most basic and significant element of learning despite the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had changed to Chinese-character-centered education. Understanding linguistic traits of Chinese characters has to be preceded in order to teach and learn Chinese sentence well, Therefore this paper willing to offer clues of scientific and reasonable ways to explain ``Chinese characters`` based on understanding of Chinese character`s ideographic and phonographic traits.

      • KCI등재

        조선시대 설악산(雪嶽山) 유산기(遊山記)의 개괄적 검토

        허남욱 ( Nam Wook Heo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5 漢文古典硏究 Vol.30 No.1

        산을 유람하면서 만나는 경치와 자연에서 촉발된 느낌 등을 기록한 글이 遊山記이다. 조선시대에 설악산 유산기가 지어진 시기는 대체로 15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반까지이다. 유산기가 집중적으로 창작된 시기는 17세기 후반부터인데, 이것은 金昌翕이 설악산에 거처를 마련한 것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설악산 유산기에서 김창흡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설악산을 찾은 사람은 주로 봄과 가을을 이용하였다. 겨울 산행은 찾을 수 없고, 여름 산행은 두 편만 보인다. 탐승경로는 크게 김수증 및 김창흡 이전과 이후로 나눌 수 있다. 이전에는 설악산 외곽인 한계령 또는 미시령을 경유하였다. 그런데 김수증과 김창흡 이후엔 현재 설악산 탐방코스와 같은 경로다. 내설악을 경유할 경우 백담사의 전신인 선구사와 심원사에서 짐을 풀었다. 백담사가 창건되기 전에는 백담사 건너편에 있던 민가에서 숙박을 했다. 더 깊숙이 들어가면 영시암과 오세암, 그리고 봉정암에서 반드시 묵어야 했다. 외설악을 방문한 사람들이 즐겨 찾던 곳은 신흥사다. 신흥사에서 울산바위로 가다가 내원암에서 잠을 청하기도 했다. 설악산은 몇 개의 평어로 수렴할 수 있다. 隱으로 설명하고, 聖으로 그리기도 한다. 奇로, 혹은 靈으로 설악산의 특징을 뽑아내기도 한다. 이밖에도 설악산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이 있지만 이 네 가지 특성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는다. The written record of the scenery and impressions of nature as taking a tour of mountains is excursion account, namely Yusangi(遊山記). Excursion accounts of Soraksan(雪嶽山) were written during the late 15th and early 19th centuries. They’d been created intensively since the last half of 17th century. This is intimately associated with setting up Kim Chang-heup(金昌翕)’s own residence in Soraksan. In that sense, it cannot be emphasized enough that how great importance he is on Soraksan Yusangi. People visited Soraksan, mostly, in spring and fall. It can be hard to find any writings of winter’s climbing, and there are only two writings of summer’s. The course of sightseeing excursion can be largely divided into before and after Kim Chang-heup and Kim Soo-jeung: Before, it should make a detour via Hangyeryong and Misiryeong; after, the course is exactly the same as the current touring trails. When one climbs via inner-sorak, unpack in Sungusa, the predecessor of Baekdamsa, and Simwonsa. Prior to the establishment of the Baekdamsa, private houses across the temple were the place to stay. And going further into the mountain should stay at Youngsiam, Oseam and Bongjeongam. The favorite place of outer-sorak visitors is Shinhungsa. On the way Ulsanbawi from Shinhungsa, some of them put up at Naewonam. It’s possible to converge into several critical remarks about Soraksan. It’s described as retirement[隱], sacredness[聖], and also characterized by quaintness[奇] or mysticity[靈]. Maybe there are various other perspective as well. However, it won’t get much beyond the four traits.

      • KCI등재

        논문(論文) : 옥봉(玉峯)의 시세계(詩世界)

        천부성 ( Boo Sung Chun ) 한국한문고전학회(구.성신한문학회) 2010 漢文古典硏究 Vol.21 No.1

        본 논고는 16世紀 韓國 漢詩史上 宋詩風이 주류를 형성하던 詩風이 唐詩風으로의 전환기를 맞이하여 그 중심에 있던 三唐詩人 중 湖南 제일의 시인으로 꼽히며 五言絶句의 風格이 千年 속에 가장 위대하다고 定評이 나 있는 玉峯 白光勳의 詩世界를 다루고자 하였다. 이에 서론에서는 三唐詩人의 정의와 玉峯 白光勳의 詩에 대한 기존 연구자들의 연구방향과 내용을 제시하고 본 논고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는 玉峯의 시세계에서는 作品의 槪觀 및 內容別 作品을 통하여 玉峯의 시세계를 分析하였다. 作品의 內容에서는 객지에서 고향을 그리워하는 것이나, 친구와의 이별을 아쉬워하는 孤獨의 情恨, 그리고 역사적 현장에서 역사적 사실을 연상하면서 느끼는 감회를 읊은 無常의 懷古, 산수를 벗하며 자연에 심취 또는 계절의 정취를 읊은 自然의 景物, 마지막으로 世俗을 떠나 山寺에서 짓거나 여러 승려들과 주고받으며 느낀 것을 표현한 交遊의 脫俗으로 분류하여 作品을 분석해 보았다. 玉峯詩의 特徵에서는 修辭的 측면과 內容的 측면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修辭的 特徵에서는 經史 및 故人古事·名人名句에서 詩意와 詩語를 통하여 표현하는 用事性, 자연의 뛰어난 景物을 통해 얻은 시인의 정감을 눈앞에서 그림을 보고 있는 듯 묘사하는 繪·性, 觀念化한 사물을 詩를 통하여 단순한 자연물이 아닌 자신이 추구하는 이상적 삶을 나타내는 象徵性으로 분류해 고찰하였다. 또한 內容的 特徵에서는 淸新한 內容과 古淡한 內容으로 분류해 고찰하였다. 이상과 같이 玉峯의 詩는 기존의 詩가 까다로운 修辭와 난해한 典故를 사용하며, 文學을 과시 혹은 心性修養의 도구로 생각하던 主理的 성향에서 탈피하여 聲律의 생동감 및 자연스러움이 넘치는 언어로 표현하는 主情的 성향의 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玉峯詩가 관념적이지 않고 개인의 情緖를 솔직하게 표현하며, 生活的 情感을 詩化하여 文學의 獨自性을 확립한 점과, 唐詩의 詩法을 수용하면서도 우리의 풍토에 맞는 개성을 유지하고자 노력하였던 自主性은 특히 玉峯詩를 韓國 漢詩史的 측면에서 조명해 볼 때, 그 位相이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A poetical style in the late Goryeo and the early Joseon was formed the mainstream of the Song dynasty`s poetic style including Su Dongpo. From a year of King Seongjong, especially the Gangseo poetical style dominated momentarily even out of Song dynasty`s poetic style. Tang Poetry, which had been intermittently followed from the early foundation of a country with entering the 16th century, was finally in full blossom with entering the period of Mokneungseongse(穆陵盛世). In the meantime, the poetic style faced a turning point in the age of Korea`s Hansi(Chinese poetry) history. There were three tang-style poets in the center of Learning Dang`s Poem. This study aims to address the poetic world of Okbong Baek Gwang-hun, who published collection of poems for the first time among three tang-style poets, whose number of works are extraordinarily many, too, who is selected as the best poet in Honam, and who is publicly acknowledged to have greatest refinement of Five-word Poems in a thousand years. In the introduction of ChapterⅠ, it examined the existing research achievements, and inquired into research objective and research method. In Okbong`s poetic world of ChapterⅡ, it performed the formal classification and the content-based classification in works first through a general survey of works. It examined by segmenting the contents of works in the world of work into what feels homesick in a strange land, what expressed the yearning heart with having a friend far away, the sorrow of solitude, which feels regrettable for separation from a friend, the reminiscence of uncertainty, which recited sentiments of being felt while associating with historical fact on the historical field, the scenery of the season in nature with the aim of discovering the matter-based ego in the subject amid nature, the uneasiness about life that is felt in government-post life of the chaotic world, and the unworldliness in friendship of being felt while giving and receiving poems with several Buddhist monks. Next, in the characteristics of Okbong`s poetry of ChapterⅢ, it proceeded with approaching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Okbong`s poetry, by exploring the rhetorical characteristics and the content-based characteristics. Okbong accepted Tang Poetic Style, but maintained individuality. He completed individual and intuitive poetry that is excellent in creativity, thereby having obtained a name as a poet of Tang poetical style by changing himself in the middle of poem with leading a peaceful living, and allowed even internal conflict to be sublimed artistically. He can be said to be great in the significance of poetic-literary history in a sense that individualized literature by freely poetizing the specific and individual living emotion and by recovering independent world in poem with escaping from the trend of regarding poem as a means of cultivating culture or nature in life of Sadaebu(scholar-officials of Jos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