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영성이란 무엇인가?-성령론적 영성신학 서설-

        전성용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4 神學과 宣敎 Vol.44 No.-

        Nowadays, the Korean Church is confronted with the end of growth. Church growth is on stagnation in Korea.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Catholic Church is rapidly growing. We must understand the problems of the Korean Church and devise a new way to overcome the situation of the Church. Otherwise, unfortunately, the Korean Church will follow the decline of the western church. I think the Korean Church must accept “spirituality” and emphasize it as a necessary agenda for the future. We must restore the spirituality of our ancestors. Then our church will stand on the stable rock and could become the model church of the world again. In this essay, I have dealt with the definition of spirituality, satan, angel, prayer, and curriculum of education of spirituality. In the future, Bible study, hymn, and lectio divina should be investigated. 오늘날 한국교회의 양적 성장이 한계에 부닥쳤다. 그동안 급성장하던 한국교회는 지금 정체상태 내지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다. 그에 반해 가톨릭교회는 급성장을 이룩하고 있다. 우리는 한국교회의 현실을 직시하고 현실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을 찾아내지 못하면, 불행하게도 서구 교회를 따라가게 될 것이다. 필자는 한국교회가 “영성”을 미래를 위한 필수적인 과제로 받아들이고 강조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우리 선배들의 영성을 회복해야 한다. 그리하면, 한국교회가 견고한 반석 위에 서고 다시금 세계의 모범교회가 될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영성의 정의, 마귀, 천사, 기도론, 영성교육 커리큘럼 등 영성신학의 기초적인 부분에 대해서 다루었다. 앞으로 성경공부,찬양, 영적 독서 등 실천적인 분야에 대해서 더욱 더 연구해야 할 것이다. 2012년 제106년차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총회에서 신학교육정책위원회는 서울신학대학교 신학교육의 새로운 방향정립을 위한 보고서를 제출하였으며 필자는 이 보고서 가운데서 “영성과 덕성”분야를 집필하였다. 그동안 전반적인 신학교육이 지나치게 지성교육에 치우친 감이 있으며 이것은 전체 커리큘럼의 학점 수에 의해서 증명된다. 신학교육정책위원회에서 그동안 말로만 그쳤던 영성교육과 덕성교육의 새로운 방안을 모색한 것은 성결교회의 2세기를 위해서 필요한 작업이라고 생각한다. 필자는 서울신학대학교가 영성과 지성과 덕성을 겸비한 교회지도자를 양성하는 신학교육기관으로 거듭나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 일에 참여하였다. 이 논문은 위의 보고서에 제출한 필자의 글을 확장한 것이다. 그리고 이 주제는 앞으로 영성신학으로 발전해 가야 하는 과제이기도 하다. 이 논문에서는 영성교육의 기초로서 영성신학의 나아갈 방향에 대해서 모색해 보고자 한다. 필자는 영성신학을 성령론적 영성신학으로 그 특징을 규정하고 영성신학의 정립을 위한 기초적 작업을 이 연구에서 수행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서 웨슬리안 복음주의 위에 서 있는 성결교회가 지향해야 할 영성신학의 올바른 방향을 모색해 보려고 한다. 다만 논문의 제약 때문에 개괄적이고 기초적인 연구가 될 수밖에 없음을 인정하며 앞으로 더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하여 성령론적 영성신학이 정립되어 가기를 바란다.

      • KCI등재후보

        특집 : 영성신학의 새로운 지평; 영성이란 무엇인가? -성령론적 영성신학 서설-

        전선용 ( Sung Yong Jun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4 神學과 宣敎 Vol.44 No.-

        오늘날 한국교회의 양적 성장이 한계에 부닥쳤다. 그동안 급성장하던 한국교회는 지금 정체상태 내지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다. 그에 반해 가톨릭교회는 급성장을 이룩하고 있다. 우리는 한국교회의 현실을 직시하고 현실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을 찾아내지 못하면, 불행하게도 서구 교회를 따라가게 될 것이다. 필자는 한국교회가 "영성"을 미래를 위한 필수적인 과제로 받아들이고 강조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우리 선배들의 영성을 회복해야 한다. 그리하면, 한국교회가 견고한 반석 위에 서고 다시금 세계의 모범교회가 될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영성의 정의, 마귀, 천사, 기도론, 영성교육 커리큘럼 등 영성신학의 기초적인 부분에 대해서 다루었다. 앞으로 성경공부,찬양, 영적 독서 등 실천적인 분야에 대해서 더욱 더 연구해야 할 것이다. 2012년 제106년차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총회에서 신학교육정책위원회는 서울신학대학교 신학교육의 새로운 방향정립을 위한 보고서를 제출하였으며 필자는 이 보고서 가운데서 "영성과 덕성"분야를 집필하였다. 성결교회 신학교육의 발전과 성장을 위한 제105년차 총회보고서 『현장중심 성결교회 신학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과제연구』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신학교육정책위원회 편, 2012), 50-59. 그동안 전반적인 신학교육이 지나치게 지성교육에 치우친 감이 있으며 이것은 전체 커리큘럼의 학점 수에 의해서 증명된다. 신학교육정책위원회에서 그동안 말로만 그쳤던 영성교육과 덕성교육의 새로운 방안을 모색한 것은 성결교회의 2세기를 위해서 필요한 작업이라고 생각한다. 필자는 서울신학대학교가 영성과 지성과 덕성을 겸비한 교회지도자를 양성하는 신학교육기관으로 거듭나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 일에 참여하였다. 이 논문은 위의 보고서에 제출한 필자의 글을 확장한 것이다. 그리고 이 주제는 앞으로 영성신학으로 발전해 가야 하는 과제이기도 하다. 이 논문에서는 영성교육의 기초로서 영성신학의 나아갈 방향에 대해서 모색해 보고자 한다. 필자는 영성신학을 성령론적 영성신학으로 그 특징을 규정하고 영성신학의 정립을 위한 기초적 작업을 이 연구에서 수행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서 웨슬리안 복음주의 위에 서 있는 성결교회가 지향해야 할 영성신학의 올바른 방향을 모색해 보려고 한다. 다만 논문의 제약 때문에 개괄적이고 기초적인 연구가 될 수밖에 없음을 인정하며 앞으로 더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하여 성령론적 영성신학이 정립되어 가기를 바란다. Nowadays, the Korean Church is confronted with the end of growth. Church growth is on stagnation in Korea.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Catholic Church is rapidly growing. We must understand the problems of the Korean Church and devise a new way to overcome the situation of the Church. Otherwise, unfortunately, the Korean Church will follow the decline of the western church. I think the Korean Church must accept “spirituality” and emphasize it as a necessary agenda for the future. We must restore the spirituality of our ancestors. Then our church will stand on the stable rock and could become the model church of the world again. In this essay, I have dealt with the definition of spirituality, satan, angel, prayer, and curriculum of education of spirituality. In the future, Bible study, hymn, and lectio divina should be investigated.

      • KCI등재후보

        조기연의 생애와 신학사상

        오주영 ( Oh¸ Ju-young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23 神學과 宣敎 Vol.65 No.-

        조기연은 아버지 조남홍 장로와 어머니 이정희 권사 사이에서 육남매의 다섯째로 1958년 3월 15일(음력) 부여에서 태어났다. 조기연은 성결교회가 뿌리 깊은 부여에서 나서 자라며 부모의 신앙유산을 이어받아 성결교인이 되었다. 구원의 확신을 계기로 서울신학대학교 신학과에 입학면서 신학의 길로 들어섰고, 미국 드루대학교에서 그의 두 스승 이정용의 예배의 문화화 사상과 제임스 화이트의 예전갱신운동 사상을 전수받았고, 이것은 조기연의 예배신학의 두 축이 되었다. 그는 기본적으로 한국인으로서 한국의 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와 사랑을 가지고 예배를 생각했고, 이를 토대로 말씀과 성례전이 균형있게 조화된 예전갱신을 위해 노력했다. 그에게 있어서 예배의 개혁은 성서와 초대교회의 원형으로부터 출발한다. 조기연은 학자로서 서울신학대학교 교수로 봉직했으며, 한국예배학회 회장, 한국실천신학회 회장과 이사장을 역임했고, 한국그리스도교 신앙과직제협의회 전문위원으로 활동했다. 또한 2004년과 2016년 두 번에 걸쳐서 기성 교단의 『예배와 예식서』의 집필을 주도했다. 공직에서도 사역을 했는데, 그는 국가지속발전위원회 위원으로 6년간 활동했다. 그는 한국 교회가 지속 발전하기 위한 한국교회의 예배갱신을 숙고하고 헌신했다. 예배신학자 조기연의 삶의 이야기에서 떠오르는 상징적 언어들은 가난, 노동, 청소, 성실, 질병, 학문, 목회 등이다. 그의 예배신학은 이러한 그의 삶의 자락 속에서 피어난 신학사상이다. Ki Yeon Cho was born on March 15, 1958 (based on the lunar calendar) in the city of Buyeo as the fifth of six children to elder Nam-Hong Cho and senior deaconess Jeong-Hee Lee. Cho grew up in the city of Buyeo, where the Korean Evangelical Holiness Church (KEHC) was deeply rooted, inherited his parents’ religious heritage, and was baptized as a member of the Korean Evangelical Holiness Church. With the assurance of the salvation and vision of an evangelist, he entered the department of theology at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After graduation, Cho had an opportunity to do a further study of liturgy and worship at Drew University (U.S.A.). At Drew University, Cho focused on the theory of liturgical inculturation taught by Professor Jung Yong Lee and the liturgical movement led by Professor James F. White. These two professors and their teachings became two pillars of Cho’s reconstruction of Korean worship and liturgy. As a Korean liturgical theologian, Cho contemplated over worship with a deep understanding and love for Korean culture. Based on this, he has attempted to rebuild the Korean church worship as presented the balance between the Word of God and the Sacrament within worship service and paid attention to the task of indigenization in worship and liturgy. For Cho, the reform of worship starts from the harmonious perspective of the World of God and the liturgical tradition of the Early Church. As a liturgical theologian, Cho has served as a professor at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president of the Korean Society for Worship, president of the Korean Society for Practical Theology, and an expert member of the Korean Christian Council for Faith and Order. In addition, he led the writing of Worship and Ritual of the Korean Evangelical Holiness Church twice in 2004 and 2016. Cho also served as a member of the National Sustainable Development Committee for six years. Specifically, he considered and devoted himself to the renewal of the worship service of the Korean Church, for its gradual and sustainable growth. The story and process of Cho’s life as a liturgy and worship theologian symbolically reminds us of the hard struggle for existence, such as poverty, labor, cleaning work, sincerity, disease, education, and ministry in poverty. Cho’s theology of worship and liturgy is deeply rooted in Sitz im Leben and succeeded in producing a specific theory and practice of the worship and liturgy that consists of his perspective of worship of the Early Church, theology of the Fourfold Gospel, Christian life with sympathy for the poor, the outcast, and the oppressed.

      • KCI등재후보

        유르겐 몰트만의 영그리스도론의 신학적 함의 -성령론적 그리스도론의 신학적 가능성

        한상민 ( Sang Min Han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2 神學과 宣敎 Vol.41 No.-

        이 논문은 유르겐 몰트만의 영기독론의 신학적 함의와 성령론적 입장에서 기독론을 신학적으로 (재)고찰(re/claiming)하여 새로운 신학적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하는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 우리가 기독론을 성령론적 입장에서 말하고 생각하면 기존의 기독론과 무엇이 다르며 어떠한 장점이 있는가라는 의문점으로부터 시작하여 기독론에 있어서 성령의 위치를 성부성자(a FatherSon) 의 기독론적 구조에 약한(weak) 혹은 손아랫 동료(junior partner)이거나 또한 구속과 창조에 있어서 그리스도의 사역보다 덜 중요하다고 사고하거나 하위의 관계로 취급되는 성령의 위치에 대한 신학적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 논문을 통해서 제기하고자 하는 신학적 중심 논제는 영기독론과 로고스 기독론 (Logos Christology)의 상호관계의 가능성과 기독론에 있어서 성령의 위치와 역할에 대한 신학적 재정립의 필요성과 아울러 성령론의 렌즈를 통해 기독론을 재조명하는 신학적인 패러다임이 현대적 현상들에 보다 적절한 신학적 대안들을 제시할 수 있는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을지에 대한 가능성을 살피는 데 있다. 이런 맥락에서 유르겐 몰트만의 영기독론의 중요한 신학적인 내용들을 살펴봄으로써 현대적인 상황들(문화의 다양성, 사회적 연대와 참여, 타종교와의 대화 등)에 요구되는 신학적 방향성과 필요를 읽을 수 있는 신학적 시야와 신학적 대응을 확보하고자 한다. 논문의 진행방향은 우선 영기독론의 신학적 구조와 기초, 그리고 ``아래로부터``의 신학이라는 영기독론의 의미를 살펴보고, 다음으로 몰트만의 성령론적 접근을 통한 그의 삼위일체적 신학적 틀에 입각한 기독론의 해석에 초점을 맞춰 설명하고자 했다. 그리고 로고스 기독론과 영기독론의 비교분석을 통해 둘의 상호의존적 관계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마지막 부분에서는 몰트만의 영기독론을 통해 드러난 문제점들을 건설적인 비판과 좀더 보완적이고 현대적인 상황에 적합한 신학적 패러다임을 통해 개선해보고자 시도하였다. 이 논문을 통해 필자는 로고스 기독론과 영기독론은 서로 경쟁혹은 대립의 구조가 아닌 상호보완적 관계로 발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몰트만의 입장을 지지하며, 궁극적으로는 전인적인 기독론으로 변혁되기 위해서는 두 기독론의 관계적 연합 (relational unity)을 위한 신학적인 노력이 필요하고, 이런 노력을 통해 광범위한 현대적 삶의 다양한 정황에 대처할 수 있는 신학적 제안을 할 수 있다고 믿는다. 아울러 영기독론의 등장을 통해 기존의 불균형적이고 종속적인 관계속에서 이해되었던 성령의 위치와 사역의 내용을 비판하고 매우 심층적이고 세밀한 신학적 재정립을 통해 성부와 성자와 더불어 동등한 신적 (divine) 역할 자로서의 성령의 의미와 그 중요성을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a Christology based on the framework of pneumatology in order to provide an appropriate theological balance and paradigm for more adequate and suitable Christology for contemporary context. Thus, this study seeks to explore Moltmann`s Spirit?Christology as a theological model for constructing a balanced Christology for today`s world. In doing so, it deals with some distinct theological features of the Spirit in the presence and work of Jesus Christ that are critically engaged in Moltmann`s Christology within his trinitariancentric framework. It also articul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Logos and Spirit Christologies regarding their theological reflection on the nature and function of the presence and work of Jesus Christ. Moreover, it shares some distinctive theological findings of Moltmann`s Spirit-Christology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nd revitalizing the Spirit in Christology. In order to provide a constructive theological framework for contemporary Christology, this study points out some theological limitations of traditional Christology on the basis of the relevance and the need of pnematological dimensions of Christology for the contemporary context. The study then explores the feasibility of Moltmann`s Christology as a model of providing some theological insights regarding some theological issues that contemporary Christology need to reexamine. Finally, the study gives some conclusive thoughts, and it also addresses future theological tasks with some theological flaws in Moltmann`s Christology. Hence, it construes the directions and trajectory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contemporary Spirit- Christology which demands constructive theological engagement with a broader theological community.

      • KCI등재후보

        하워드 스나이더의 선교적 교회론에 관한 연구

        양형철 ( Yang Hyungcheol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22 神學과 宣敎 Vol.62 No.-

        이 논문은 교회갱신학자 하워드 스나이더의 저서에 풍부하게 담고 있는 선교적 교회론에 대한 연구이다. 스나이더의 신학사상속에 담겨진 교회갱신에 대한 통찰은 최근 선교적 교회론에서 말하고 있는 여러 신학적 개념들과 교차하고 있다. 예를 들면 선교적 교회론의 주요 신학 개념들인 하나님 나라, 하나님의 선교 그리고 총제적 구원 등이다. 그럼에도 위 둘 사이의 차이를 언급한다면 아래와 같다. 스나이더는 교회가 하나님의 나라를 위한 대행자임을 인정하지만, 결코 교회의 자리를 소홀히 하지 않는다. 또한 스나이더는 피조물의 구원까지 아우르는 총체적 구원을 주장하지만, 그 구원의 시작은 개인의 구원임을 분명히 말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스나이더는 웨슬리의 전통에 따라 성경과 자연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하지만 결코 성경의 권위를 최상의 자리에서 후퇴시키지 않는다. 그는 한국교회의 위기를 네 가지 신학적 진단 결과로 기술한다. 구원의 사유화, 신앙의 내세화, 신앙의 환원주의, 신앙의 세속화다. 다음으로는, 스나이더의 신학에 나타난 세 가지 갱신의 원리인 공동체성, 성령의 운동성, 창조의 연결성을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한국교회 갱신과 선교적 재활성화를 위해 선교적 예전, 선교적 제자도. 선교적 공동체를 제언한다. This thesis is a study of the missionary ecclesiology, which is abundantly contained in the books of Howard Snyder, a church renewal scholar. The insight on church renewal contained in Snyder’s theological thought intersects with several theological concepts that are being talked about in the recent missionary ecclesiology. For example, the main theological concepts of missional ecclesiology are the kingdom of God, God’s mission, and total salvation. Nevertheles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bove two a re mentioned below. Snider acknowledges that the church is an agent for the kingdom of God, but never neglects the church’s place. Also, Snyder insists on total salvation that encompasses the salvation of Pizomol, but clearly states that the beginning of that salvation is individual salvation. Finally, while Snyder, in Wesleyan tradition,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Bible and nature, he never retreats from its supreme authority. The results of four theological diagnosis of the crisis of the Korean church are described. These are the privatization of salvation, the afterlife of faith, the reductionism of faith, and the secularization of faith. Next, we introduce the three principles of renewal that appeared in Snider’s theology: communality, movement of the Holy Spirit, and connectivity of creation. Lastly, missionary liturgy and missionary discipleship for renewal and missionary revitalization of the Korean church. Suggest a missionary community.

      • KCI등재후보

        역사신학 : 레오나르도 보프를 통해서 본 해방신학 성령론

        남병두 ( Byung Doo Nam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5 神學과 宣敎 Vol.46 No.-

        이 소논문은 해방신학에 있어서 성령론의 중요성을 레오나르도보프의 신학을 통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해방신학자들이 성령론을 체계신학적으로 다루는 경우가 별로 없지만 교회, 사회, 역사, 그리고 하나님나라에 대한 그들의 이해에 있어서 성령론은 중요하다. 그들 가운데보프는 체계적 방식으로 그의 성령론을 설명하고 있으며, 이것은 해방신학의 성령론을 이해하는 데에 있어서 하나의 유용한 길잡이가 된다. 제1장은 가톨릭교회에 의해 침묵의 견책을 받은 보프의 이야기를소개한다. 제2장은 보프가 그의 성령론을 삼위일체적, 기독론적 문맥에서어떻게 이해하는지 설명한다. 그는 삼위일체 하나님을 삼위일체적 공동체 개념으로 이해한다. 이 삼위의 교제의 관계에서 성령은 삼위를 연합하는 위격으로서 중요성을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삼위일체 공동체는모든 인간 공동체들의 모델이 되고, 모든 사람들 간의, 그리고 인간과하나님 간의, 연합, 교제, 화해를 가능하게 한다. 하나님의 창조세계와모든 인간은 바로 이 삼위일체적 공동체의 삶에 함께 참여하도록 초청받았다. 보프는 또한 기독론적 문맥에서 성령을 부활의 그리스도로 이해한다. 성령은 부활한 그리스도의 새로운 실체로서 공간과 시간을 초월한다. 이는 보프의 성령론과 기독론 사이에 기본적인 통일성이 있음을 보여준230 신학과 선교 제46집다. 예수 그리스도는 성령이 궁극적으로 구체화된 실체였고, 이제 성령은역사 가운데 계속 현존하는 부활의 그리스도라는 것이다. 제3장은 성령이 활동하는 현장에 관하여 논하면서, 성령은 교회의외형적 형태 혹은 제도교회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설명한다. 그리스도의 영은 인간의 체제로서 지상에 있는 제도교회의 범주에서 자유로우며, 교회의 능력은 그것의 제도적 체계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부활의그리스도인 성령으로부터 온다. 이러한 의미에서 교회는 성령의 성사(聖 事), 표시, 도구이다. 제도교회에 갇혀있지 않은 성령은 세상과 역사 가운데, 구체적인삶의 상황에 있는 모든 각 사람들과 함께, 그리고 특별히 우선적으로가난하고 억눌린 자들과 함께, 자유롭게 활동한다. 여기서 보프는 특별히라틴아메리카의 ‘기독교 바닥공동체’ 가운데 함께 하는 성령을 논하면서그것을 가톨릭 제도교회에 대한 하나의 반응(reaction)으로 이해한다. 보프는 그의 성령론을 통하여 그의 해방신학에 있어서 성령의중요성을 부각시킨다. 이를 통하여 그는 전통적인 가톨릭신학에 충실하면서도 가톨릭교회의 제도적 측면을 성공적으로 극복한다. 그의 성령에대한 이해는 그의 교회론이 가톨릭교회의 교회론보다는 자유교회(Free Church)의 교회론과 더 잘 맞고 성립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의 성령론은 가톨릭교회의 교회론을 혁명적으로 뒤엎을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있다.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significance of the Holy Spirit in liberation theology, especially according to Leonardo Boff. Liberation theologians usually do not attempt to delineate a doctrine of the Holy Spirit in a systematic manner, although the doctrine is extremely important to them for an understanding of the church, society, history, and the reign of God. Among liberation theologians, Boff delineates his view on the Holy Spirit in a systematic fashion in his explication of the Trinity. Chapter I introduces the story of Boff silenced by the Catholic Church. Chapter II explains Boff`s understanding of the Holy Sprit in the trinitarian and christological context. He understands the Triune God as communion in the trinitarian community, and the Holy Spirit as the unifying Person of the trinitarian community. This trinitarian community becomes the model of all human communities, which enables the union, communion, and reconciliation of all persons with others and with God. It is the principle of God`s creation and all humans are called together as a community to participate in the life of the Trinitarian community. Boff also understand the Spirit as the Risen Christ in the christological context. He understand the Holy Spirit as the new reality of the risen Christ, liberated from space and time. By this he shows the basic unity between the Christology and Pneumatology of Boff. Jesus Christ was the ultimate concretization of the Spirit in history, and the Spirit is the risen Christ who continue to be present in history. Chapter III discusses about the locus of the Holy Spirit, who is not confined to the outward form of the church or the institutional church. The Spirit of Christ is free from the limitations of earthly existence of the institutional church as a human structure. The power of the church does not come from its institutional structures but from the Holy Spirit, the risen Christ, who freely and vitally is involved in history. The church is the sacrament, sign, and instrument of the Holy Spirit. Not confined within the institutional church, the Holy Spirit works freely the world and in history and be with each and every person who lives in a particular situation, preferentially with the poor and the oppressed in the world. Here Boff focuses particularly on the Christian base communities as the locus of the Holy Spirit in Latin America, and as a reaction to the institutional church. By his Pneumatology Boff shows that the Holy Spirit is essentially significant in his theology of liberation. He stands firm with traditional Nam, byung Doo, A Pneumatology of Liberation Theology 197 Catholic theology in Trinity and the Holy Spirit but still be able to overcome the institutional aspect of the Catholic Church. Boff`s understanding of the Holy Spirit leads his ecclesiology to be more compatible and works better with that of the Free Church than of Catholic Church. His Pneumatology has a potential to subvert revolutionally the Catholic ecclesiology.

      • KCI등재후보

        조직신학 : 종교개혁신학의 창조적 종합으로서의 웨슬리 신학

        김영택 ( Young Taek Kim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5 神學과 宣敎 Vol.47 No.-

        2017년이면 종교개혁 500주년이 된다. 500주년 기념사업과 행사들이 유럽과 북미를 중심으로 준비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에서도 종교개혁 500주년을 기념하려는 움직임들이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시기에 종교개혁신학을 다시 한 번 상고해 보는 것은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웨슬리에 의해 해석되고 평가되었으며 종합된 종교개혁의 신학을 구원론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칼빈과 루터를 통해 웨슬리에게 흘러들어간 종교개혁신학을 살펴본다는 것은,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다양한 신학적 전통들에 노출되는 것을 말한다. 학자들에 따라서 웨슬리를 프로테스탄트, 경건주의자, 가톨릭, 고교회주의자, 저교회의 복음전 도자 등으로 다양하게 해석한다. 그리나 웨슬리의 신학적 그림은 칼빈, 루터, 그리고 다른 종교개혁자들이나, 로마 가톨릭, 혹은 동방정교회의 특정 전통 속에서만 이해될 수 없다. 왜냐하면 웨슬리는 이러한 전통들을 자기 안에 흡수하여 창조적으로 결합시키며 종합하였기 때문이다. 특별히 본 논문은 구원론을 중심으로 한 종교개혁의 신학이 웨슬리 안에서 어떻게 창조적으로 종합되었는가를 살펴본다. 웨슬리의 구원론은 어떤 신학적 전통의 맥락 안에서만 해석될 수 없다. 왜냐하면 웨슬리 이전의 신학은 웨슬리 안에서 창의적으로 평가되고 종합되었기 때문이다. 종교개혁신학에 대한 웨슬리의 창조적 종합은 은총과 율법, 믿음과 행함, 칭의와 성화, 호의로서의 은총과 능력으로서의 은총, 은총의 순간적 측면과 점진적 측면, 은총의 보편성과 구원의 은총의 제한적 실현, 하나님의 주도권과 인간의 반응 등을 모순됨 없이 견지하고 있다. 또한 좀 더 거시적인 차원에서는 신학과 목회, 신학과 복음전도, 신학과 윤리, 도그마와 프락시스, 바른 교리와 바른 실천을 통합하며 종합한 것이다. 웨슬리의 신학은 실제로 종합적인, 혹은 통합적인 신학인 것이다. 이러한 견지에서 웨슬리의 올바른 이해를 위해서는 한 쪽의 극단을 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양편을 아우르며 제 3의 길을 제안하는 웨슬리의 신학의 지평을 마음껏 누리는 것이 최선일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가 이전에 상상했던 웨슬리보다 더욱 큰 웨슬리를 발견할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신학적 전통의 다양성 안에서 더욱 풍성한 대화를 위한 자료들을 웨슬리 안에서 넉넉히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웨슬리 안에서 창조적으로 종합된 구원의 길을 통하여 기독교적 구원의 희망과 약속에 대한 적실성을 가지고 그리스도의 증인들이 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year of 2017 we will be celebrating the 500th anniversary of the Reformation. As we celebrate the anniversary, it would be meaningful that if we investigate the theology of the reformers such as Calvin, Luther and Wesley. In this thesis, the writer examines the theology of the Reformers focused on their soteriological understanding which is interpreted, evaluated and synthesized by John Wesley. That one explores the theology of the reformers which flows into John Wesley means he or she cannot help but exposing to the various theological traditions surrounding John Wesley. Different scholars show different interpretations on John Wesley. In other words, John Wesley has been understood in light of Protestant, pietist, Catholic, High church man, or low church evangelist by Wesley scholars. However, John Wesley``s theological portrait can not be understood by a certain theological tradition because Wesley absorbs these theological traditions into his theological understanding and critically evaluates them, and even further creatively synthesizes them. Wesley’s creative synthesis embraces the soteriological themes of the Reformation theology without any contradiction: that is, grace and law, faith and works,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grace as favor and grace as power, instantaneous aspect of grace and gradual aspect of grace, universality of grace and its limited actualization, God``s initiative and human response; in the broader context, theology and ministry, theology and evangelism, theology and ethics, dogma and praxis or right doctrine and right practice. In terms of this paradigm, it is not right to take one side of Wesley``s theology to understand Wesley properly. It is best to enjoy Wesley``s theological horizon which leads to the third theological alternative. In doing so, we find out some plentiful materials for the rich dialogues in the diversity of theological tradition. Above all, through the way of salvation(via salutis) which is creatively synthesized by John Wesley one might become a witness of Christ with the hope and promise of salvation.

      • KCI등재후보

        존 웨슬리의 인간학 : 하나님의 형상과 도덕법―하나님의 형상과 도덕법―

        김영택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1 神學과 宣敎 Vol.38 No.-

        John Wesley’s concept of the imago Dei is crucial for his theology and ethics. After writing a sermon on the doctrine of the imago Dei at the age of 27, Wesley retained the doctrine as the central theme of his theology. Many of Wesley's sermons deal with the doctrine of the imago Dei as a central theme. His understanding of humanity as the imago Dei, lost and restored, affords us an excellent framework for the investigation of his theological anthropology within a soteriological context. Wesley's important theological themes such as original sin, prevenient grace,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have the imago Dei as their axial theme. For Wesley, salvation is defined as the restoration of the image of God. With the concept of the imago Dei, Wesley expounds his typical order of salvation - creation, the Fall, and restoration. Wesley explored his concept of the imago Dei from three aspects, namely, the natural, political, and moral image of God. The natural image of God has been endued with understanding and liberty. Wesley's concept of the political image of God shows that God governs his creation through human beings who become the channels of communication between God and his creation. For Wesley, the moral image is the principle image of God. It reflects the very righteousness and holiness of God. Wesley's concept of the imago Dei shows the meaning and consequence of the Fall and illustrates the comprehensive process and meaning of salvation. John Wesley's concept of the imago Dei does not remain only in the area of speculative theology. His concept of the imago Dei is clearly shown in the area of practical divinity such as the means of grace and children's education, Among the several notions of the imago Dei, for Wesley, love is the most essential character of the imago Dei. The concept is also shown in his understanding of the moral law,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e ceremonial law. The concept is broadly applied to his theology of social ethics. Wesley understood women, slaves, and the poor as beings created in the image of God. In short, for Wesley, the restoration of the imago Dei is the axial theme of Wesley's theology and ethics. 존 웨슬리의 하나님의 형상의 개념은 그의 신학과 윤리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존 웨슬리는 27세에 하나님의 형상에 관한 설교를 작성한 이후로 그의 생애 전반에 걸쳐 하나님 형상 교리는 그의 신학에 있어서 중심적 주제로 자리를 잡았다. 웨슬리가 작성한 다수의 설교는 하나님의 형상 교리를 중심주제로 하고 있다. 웨슬리는 인간을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지음 받은 존재로서 이해하면서, 그 형상은 잃어버렸지만 다시 회복할 수 있는 것으로 바라본다. 이러한 하나님의 형상의 잃어버림과 회복의 주제는 구원론적 컨텍스트 안에서 신학적 인간학을 연구하는데 탁월한 해석학적 틀을 제공한다. 웨슬리의 중요한 신학적 주제들, 예를 들어 원죄, 선행적 은총, 칭의, 성화의 교리들은 하나님 형상 교리를 그 중심축으로 하여 설명되어진다. 웨슬리에게 있어서, 구원은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웨슬리는 하나님의 형상 개념을 통하여, 그의 전형적인 기독교 세계관인 창조, 타락, 구속을 탐구한다. 웨슬리는 하나님의 형상의 개념을 세 가지 측면으로 탐구한다. 첫째는 자연적 형상이며, 둘째는 정치적 형상, 그리고 마지막이며 가장 중요한 도덕적 형상이 있다. 웨슬리는 하나님의 자연적 형상이 인간의 이성과 의지와 자유에 각인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정치적 형상은 하나님이 인간을 통하여 그의 창조물들을 다스리시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은 하나님과 창조물 사이의 소통의 채널 역할을 하는 것이다. 웨슬리에게 있어서, 하나님의 도덕적 형상이 가장 주요한 하나님의 형상이다. 도덕적 형상은 하나님의 의로우심과 거룩하심을 반영하기 때문이다. 웨슬리의 하나님의 형상 개념은 타락의 의미와 결과를 보여주며 구원의 포괄적 과정과 의미들을 설명한다. 웨슬리의 하나님의 형상의 개념은 사변적 신학의 영역에만 머무르지 않는다. 그의 하나님의 형상의 개념은 은총의 수단과 기독교교육과 같은 실천신학 영역에서도 분명히 나타난다. 하나님의 형상의 많은 의미들 중에서, 웨슬리는 사랑이 하나님의 형성의 가장 본질적 성격이라고 규정한다. 그리고 하나님 형상의 개념은 웨슬리의 도덕법에 관한 이해도 보여준다. 웨슬리에게 있어서 도덕법은 의식법과 구별되는 것이었다. 하나님의 형상 개념은 웨슬리의 사회윤리에도 폭넓게 적용되었다. 웨슬리는 여성과 노예, 그리고 가난한 자들을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은 존재로서 이해했다. 그러므로 웨슬리에게 있어서 하나님의 형상의 교리는 웨슬리의 신학과 윤리에 있어서 중심적 축이 되는 주제라는 것을 부인할 수 없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