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질서 위반 법률행위 무효법리의 의의와 부당해고 구제법리

        고호성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서울법학 Vol.28 No.4

        This thesis is a part of the work to dismantle the invalidity theory of legal acts in violation of the compulsory provisions, which is the basis of the invalidity theory of unfair dismissals, and to unify the invalidity theories of legal acts into the invalidity theory of legal acts in violation of the social order, and to constitute a new form of invalidity theory of unfair dismissals. In this thesis, from the viewpoint of the legislative context of Articles 103 and 105 of the Civil Code, it is argued that the invalidity theory of legal acts in violation of the compulsory provisions can not be justified on the Article 105 of the Civil Code. On the basis of the unified invalidity theory of legal acts in violation of social order, the contents of the new form of invalidity theory of unfair dismissals were also presented. First, This thesis argues that the Article 105 of the Civil Code, in its legislative context, is not intended to invalidate legal acts that violate compulsory provisions, but to extend the principle of private self-government in relation to the statutory acts, by establishing the general provision on voluntary provisions. The legislative history and purpose of the Article 91 of the Civil Code of Japan, which is the origin of Article 105 of the Civil Code, was excavated from a thesis by Hoshino-Eiichi as the arguments. Second, since the concept of social order in Article 103 of the Civil Code also takes a position of substantialist thoughts in the legislative context, it is argued that it contradicts the invalidity theory of legal acts in violation of compulsory provisions. The consistent substantialist thoughts of the general provisions of the Civil Code and the Article 20 of the Criminal Code, B. K. Kim’s concept of social ordinary norms and the Confucian thoughts of natural law,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 of social order in Article 103 of the Civil Code and Carl Schmitt's concrete order ideas are presented as arguments. In particular, the institutionalist legal theory of Maurice Oriou, which was the source of concrete order ideas, is reconstructed from the viewpoint of Habermas's theory of communicative acts, and the direction of practical operation of the concept of social order in Article 103 of the Civil Code is also presented. The importance of this perspective on the theory of labor law is also emphasized In conclusion, the contents of the new form of invalidity theory of unfair dismissal based on the invalidity theory of legal acts in violation of social order are also demonstrated. First, it is argued that the invalidity theory of unfair dismissals is comprehensively applied beyond the limits of the dismissal restriction provisions in the labor acts. In particular, the application of the invalidity theory of unfair dismissals is argued even for workers at small workplaces and domestic workers who are outside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Article 23, Paragraph 1 of the Labor Standards Act. Second, the separation of the invalidity theory of unfair dismissals under the Civil Code and the remedy theory of unfair dismissals under the Labor Standard Act is argued. On this basis, the adjustment and integration of the congested unfair dismissal remedies is suggested. Third, it is argued that the criterion for judging the unfairness of the invalidity theory of unfair dismissals is not ‘just cause’ in the Labor Standard Act, but violation of ‘social order’ in the Civil Code. Based on this research, it is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to solve the problems of labor law, such as the theory of limitations on the autonomy of collective agreements and the theory of discretionary statutory provisions in relation to collective agreements. 우리나라 부당해고 무효법리가 기반하고 있는 강행규정 위반 법률행위 무효론을 해체하고, 법률행위 무효법리를 사회질서 위반 법률행위 무효론으로 일원화한 바탕 위에서, 새로운 부당해고 구제법리를 구성하려는 작업의 일환이다. 이 논문에서는 강행규정 위반 법률행위 무효론의 이른바 ‘민법 제105조 근거설’의 부당성을 민법 제103조와 제105조의 입법적 맥락을 고찰하고, 그런 바탕에서 동 조항들의 규범적 의의를 해명하는 방식으로 논증하였다. 사회질서 위반 법률행위 무효론에 기반하는 새로운 부당해고 무효법리의 내용도 제시하였다. 첫째, 민법 제105조(임의규정)는 그 입법적 맥락에서 볼 때, 강행규정 위반 법률행위를 무효로 하려는 것이 아니라, 임의규정에 관한 일반조항을 설정하여 법령과의 관계에서 사적 자치 원칙을 확장하려는 것이었음을 논증하였다. 민법 제105조의 유래인 일본 민법 제91조의 입법적 맥락과 그 취지를 星野英一의 논문에서 발굴하여 근거를 제시하였다. 둘째, 민법 제103조의 ‘사회질서’ 개념은 반개념법학, 반실증주의라는 제정 당시의 법사상적 맥락에 따라 실질설적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강행규정 위반 법률행위 무효론과 모순됨을 논증하였다. 우리 민법상 일반조항들과 형법 제20조의 실질설적 일관성, 가인 김병로의 사회상규 개념과 유교적 자연법 사상, 민법 제103조의 사회질서 개념과 칼 슈미트의 구체적 질서 사상의 연관성을 논거로 제시하였다. 특히 구체적 질서 사상의 원천인 모리스 오류의 제도주의 법이론을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행위이론 관점에서 재구성하여, 민법 제103조의 사회질서 개념의 실무적 운용 방향도 모색하였다. 제도주의 법이론이 지니는 노동법 이론상의 중요성도 강조하였다. 결론으로 사회질서 위반 법률행위 무효론에 근거한 새로운 부당해고 무효법리의 내용을 제시하였다. 첫째, 부당해고 무효법리는 법령상 해고제한 규정의 한계를 벗어나 포괄적으로 적용되는 것임을 논증하였다. 특히 근로기준법 제23조 제1항 적용 범위 밖의 영세사업장 근로자, 가사사용인에게도 부당해고 무효법리의 적용을 인정하였다. 둘째, 민법상의 부당해고 무효법리와 근로기준법 등 법령상 부당해고 구제법리의 분리를 논증하였다. 이 바탕 위에서 혼잡스러운 부당해고 구제법리의 조정, 통합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셋째, 부당해고 무효법리의 부당성 판단 기준은 근기법상 ‘정당한 이유’가 아니라 민법상 ‘선량한 풍속 기타 사회질서 위반성’이 됨을 논증하였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협약자치 한계론과 협약임의규정론이라는 노동단체법적 문제의 해결에 새로운 길이 열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이 문제들을 앞으로의 연구과제로 제시하였다.

      • [논문]다짐풍화토의 평면변형률 및 삼축압축시험의 강도정수에 관한 연구

        고호성,임종철 釜山大學校生産技術硏究所 2004 生産技術硏究所論文集 Vol.63 No.-

        본 연구에서는 다짐풍화토를 이용하여 축대칭 삼축시험과 평면변형률 압축시험을 행하였다. 전단저항각은 평면변형률 시험에서는 41.5°, 삼축압축시험에서는 38 .5°로 평면변형률압축시험의 경우가 삼축압축시험보다 3°정도 크게 나타났다. 동일한 시료를 사용한 불교란시료의 전단저항각은 다짐시료보다 6°정도 크게 나왔다. 응력경로가 일정한 상태로 접근하므로 수정 Cam-Clay 이론의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 KCI등재

        파업과 불법행위책임 - 정당성 면책론에서 불법행위책임 발생 근거론으로 -

        고호성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23 江原法學 Vol.70 No.-

        This thesis is intended to respond to the problems of the development concentrated on the legal theories for the justness immunity and the lack of legal theories for various types of industrial action in Korea. In the areas of strikes (collective refusal to provide labor) and tort liability, which are the core of industrial action legal theories, changes to legal theories for the liability or illegality grounds were sought. First of all, the theories on the grounds for tort liability in foreign countries for the strike were summarized. As a premise, the theory of negation of tort was dealt with, and the theory of affirmation of tort was dealt with by dividing it into three categories: third-party claim infringement theory, strike purpose evaluation theory, and business activities infringement theory. Focusing on the historical point of view, the process of change in legal theories were traced, and their implications on Korean legal theories were paid attention to. By critically reviewing Supreme Court precedents, I have reinterpreted the legal theory situation in Korea. The legal theory for ground of tort liability or illegality and the legal theory for attribution or distribution of tort liability were dealt with separately, and it was argued that the viewpoints on the grounds for liability or grounds for illegality are hidden in the viewpoints on attribution or distribution of liability. In a situation where business activities infringement theory is dominant, it was revealed that a change to third party claim infringement theory is being sought. As a conclusion, I insisted on switching to the third-party claim infringement theory. In the cases of civil law, the trend of third party claim infringement theory was presented, and through this, it was suggested that the basic frame could be change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legal theory of immunity to the point of view of the legal theory for the grounds for liability. Exclusion of the legal theory of immunity of justness and an alternative to the legal theory for grounds for liabilty were presented. I insisted on the need for balanced development of systematic legislation and jurisprudence. 이 논문은 우리나라 쟁의행위 법리가 정당성 면책법리 중심의 전개, 다양한 유형별 법리 전개의 부족이라는 문제점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쟁의행위 법리의 핵심인 파업(집단적 노무제공 거부)과 불법행위책임 영역에서 책임 발생 근거 내지 위법성 근거 법리로의 변경을 모색하였다. 우선 파업에 대한 외국의 불법행위책임 발생 근거론을 정리하였다. 전제로서 불법행위 성립 부정론을 다루었고, 불법행위 성립 긍정론을 제삼자 채권침해론, 파업목적 평가론, 영업권 침해론, 세 가지로 나누어 다루었다. 연혁적 관점에 초점을 맞추어 법리의 변화과정을 추적하였고, 우리나라 법리에 주는 시사점에 주목하였다. 대법원 판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우리나라 법리 상황을 재구성하였다. 불법행위책임의 발생 근거 내지 위법성 근거 법리와 불법행위책임 귀속 내지 분배법리로 나누어 다루었는데, 책임 귀속 내지 분배법리에 책임 발생 근거 내지 위법성 근거에 관한 관점이 숨어 있음을 논증하였다. 영업권 침해론이 지배적인 상황 속에서 제삼자 채권침해론으로의 변화가 모색되고 있음을 밝혔다. 결론으로 제삼자 채권침해론으로의 전환을 주장하였다. 민사법 판례상 제삼자 채권침해론 동향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서 면책법리 관점에서 책임 발생 근거 법리 관점으로 기본 프레임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을 내용적으로 제시하였다. 정당성 면책법리의 배제와 발생 근거 법리 대안을 제시하였다. 체계적 입법과 판례 법리의 균형적 발전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