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남아시아에서의 미⋅중 경쟁: 메콩 지역을 중심으로

        문기홍 부경대학교 글로벌지역학연구소 2022 Journal of Global and Area Studies(JGA) Vol.6 No.2

        동남아시아 지역은 강대국과 중견국이 주도하는 소다자주의 논의에서 가장 역동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지역일 것이다. 여기에는 G2로 대표되는 미국과 중국이 경제, 무역, 안보 문제에 관여하고 있고, 한국, 일본, 호주, 인도 등의 국가는 다양한 형태로 소규모 다자 협력의틀에 포함되어 있다. 역내에서 양 국가 간의 경쟁 구도가 심화되면서 동남아시아 국가들 역시 외부적 압력에서 벗어날 수만은 없는 상황이 되었다. 이 논문은 동남아시아, 특히 메콩지역을 중심으로 미⋅중 경쟁과 지역 개발을 둘러싼 역내외 협력과 동학을 살펴보고자 한다. 메콩 지역 개발 논의를 중심으로 미국과 중국은 각기 “메콩 하류 이니셔티브(LMI)”와 “란창메콩 협력체(LMC)”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메콩 지역 국가들은 각자의 이해관계를 바탕으로 협력체를 구성하고 있다. 메콩 지역의 사례로 보았을 때 미⋅중 경쟁의 양상은 뚜렷하며 기존에 존재하던 협력체 및 국가간 동학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평가된다. 하지만, 강대국의 경쟁 속에서 ASEAN(Association of Southeast Asia Nations) 연합체로 대표되는동남아시아 국가들은 대개 중간자적 태도를 보이며 헤징(hedging) 전략을 취한다는 관점이다수라고 볼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각기의 이해관계를 반영한 소다자주의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 KCI등재

        글로벌시대 한국 지역학의 과제

        정해조,현민 부경대학교 글로벌지역학연구소 2022 Journal of Global and Area Studies(JGA) Vol.6 No.2

        이 글은 한국 지역학의 발전유형을 구분하고, 한국 지역학의 현황과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1990년대 한국 지역학의 발전과정과 당시 한국 지역학의 과제에 대해 깊이 있는 통찰을 제시한 두 편의 논문의 성과를 토대로, 한국 지역학의 발전유형을 다른 방식으로 구분하여 보았다. 한국에 지역학이 도입되어 2022년에 이르기까지의 발전유형 혹은 연구 패러다임을 지역학 1.0, 지역학 2.0, 지역학 3.0으로 명명하고, 이들의 특징을 각각 공산권연구, 민족국가 연구, 글로벌차원의 지역학으로 설명하였다. 이에 따라 지역학 2.0은 International and Area Studies로, 지역학 3.0은 Global and Area Studies라는 영어식 표현과도 대비해보았다. 이 두 가지 유형은 지역학의 기본 이론을 공유한다. 그러면서 지역학 2.0은 민족국가 혹은 지구 표면의 어느 지역에 한정된 지역연구라고 한다면, 지역학 3.0은 민족국가의 테두리를 훨씬 벗어난 새로운 지역단위인 메가 지역에 대한 연구를 포함한다. 메가 지역연구에서는 이질적인 문명간의 교류 연구 즉, 다중문명의 교차, 횡단, 연계에 관심의 초점을 둔다. 그리고 지역학 3.0의 다른 이름인 글로벌지역학은 글로벌이슈와 각 지역별 특수성과 연관된 연구를 수행하는데, 이를 현재와 미래 지역학의 새로운 유형 혹은 연구 패러다임으로 자리매김하고자 한다. 이에 대한 연구사례로 지중해학과 환태평양연구를 들어 설명하였다.

      • KCI등재

        세계화와 지역연구: 국가의 재등장과 서구중심주의의 극복

        김진기 부경대학교 글로벌지역학연구소 2022 Journal of Global and Area Studies(JGA) Vol.6 No.2

        이 글은 세계화가 지역연구에서 갖는 의미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현재 한국에서의 지역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모색해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이 글에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질문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첫째, 세계화의 흐름에서 나타났던 시장강화국가약화라는 추세는 국가를 주된 분석대상으로 하는 지역연구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가?, 둘째, 세계화는 기존 분과학문체계의 경계를 허무는 매우 복잡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여기서 지역학은 어떤 역할을 할 것인가? 이들 질문에 대한 이 글에서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화의 흐름에서 나타난 시장강화-국가약화라는 추세는 분명 국가의 쇠퇴를 가져왔다. 그러나 세계화에 대한 대응에서 국가권력은 매우 중요한 행위자이며, 각국의 대응 또한 동등하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국가를 주된 분석대상으로 하는 지역연구 또한 세계화의흐름 속에서도 여전히 중요하다. 둘째, 세계화가 초래한 사회현상의 복잡화, 다양화로 인하여서구적 전통에서 무비판적으로 수용되었던 각 분과학문의 틀로서는 설명하기 어려운 현상들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출발점부터 여러 분과학문의 배경을 가진 연구자들에 의한 협동연구를 수행해 왔던 지역연구는 현재의 분과학문중심 연구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을제시해줄 수 있다. 요컨대 현재의 세계화 현상은 서구의 기준을 따라 진행되고 있지만 그 과정에서 국가의 역할은 여전히 강하게 남아있을 것이다. 연구자가 속한 국가에 따라, 그리고 연구대상이 되는 국가의 전략에 따라 지역연구는 다양한 방법으로 나타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글로벌지수의 구성요인 및 모형 탐색 : 부산의 국제화 측정 및 세계도시와의 비교를 위한 방향 제시

        김건휘,현민 국립부경대학교 글로벌지역학연구소 2024 Journal of Global and Area Studies(JGA) Vol.8 No.1

        세계화의 진전에 따라 도시는 더 이상 어느 국가의 민족적 경계 내의 장소만은 아니다. 이제 도시는 민족적, 지역적, 세계적 차원이 공존하는 장소가 되어가고 있다. 오늘날 전 세계인구의 반 이상이 대도시에 살고 있으며, 이들 도시는 국가를 초월해 세계 경제성장의 원동력이 되어가고 있다. 또한 이들 도시는 단순히 한 국가의 경계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장소를 국제화하고 자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에 있는 다른 도시들과 국제적 경쟁을 한다. 이에 전 세계 도시를 지표화해서 비교하고 도시간의 연결성을 살펴보는 작업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의 국제화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계량 모형 이른바 ‘글로벌지수’를 구축하고자 한다. ‘글로벌지수’ 개발에 있어 본 연구는 우선 도시국제화비교를 위한 국제화 계수를 개발하고 계량모형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국가별-연도별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여 ‘글로벌지수’ 계량모형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검토작업을 통해 표준화된 도시 국제화 비교를 위한 ‘부산글로벌지수’의 필요변수와 구성요인을 정리하였다. 요컨대 본 연구는 도시국제화 비교를 위한 국제화 계수를 개발하고 계량모형을 구축함으로써부산의 국제화 정도를 알기 위한 개략적인 방향을 제시함과 동시에 기타 도시들과 비교할 수있는 표준화된 모형을 시론적으로 제시한 것에 그 목적이 있다. With the advancement of globalization, cities are no longer just places within the ethnic boundaries of a country. Cities are now becoming places where national, regional, and global dimensions coexist. More than half of the world’s population lives in large cities, and these cities are transcending countries. They act as a driving force of global economic growth. Accordingly, the research first presents an econometric model to construct a global index. We conduct a series of empirical modeling to calculate the coefficients necessary for the model and build a global index with relative objectiveness. After building a global index with series of quantitative modelling, we conduct a country- and year-level comparison among countries. Lastly we suggest future plans and necessary variables for creating a global index by city particularly for Busan. We suggest some necessary and significant variables that could be extracted both from the existing database and from series of survey. The main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present a rough direction of constructing Busan global index which is significant for international comparison among cities. The research aims to give fundamental insights to the significance of constructing city-level global index, and furthermore, basic idea of constructing the index using necessary variables. Our research contributes to the past and current literature reltaed to the global index by presenting a robust index from series of empirical modeling and coefficients which could be adopted as a global index to compare global cities.

      • KCI등재

        중견국의 공공외교와 보건개발협력: 한국의 대페루 보건공공외교 사례를 중심으로

        서지현 부경대학교 글로벌지역학연구소 2023 Journal of Global and Area Studies(JGA) Vol.7 No.1

        냉전 시기 국가안보를 최우선 외교 과제로 삼았던 한국은 21세기 들어 국제사회에서 변화하는 국가 위상에 맞는 외교적 역할을 모색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대한민국은 2010년 ‘한국 공공외교 원년’으로 선포하며 공공외교를 정무외교, 경제외교와함께 한국 외교의 3대 축으로 설정했다. 한편, 세계화의 진전과 식량 및 에너지 위기, 인간안보, 기후 위기, 지속가능발전 등과 같은 글로벌 이슈의 등장은 기존의 강대국뿐만 아니라중견국이 활약할 수 있는 공공외교 기회를 확대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한국은 중견국으로서 공공외교를 통한 국제사회에서의 외교적 역할 강화를 시도해오고 있다. 본 연구는 글로벌이슈, 특히 세계보건문제의 대두에 대응하여 한국이 전개해온 보건개발협력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중견국의 공공외교에서 중요한 소프트 파워 자산으로 인식되는 보건개발협력이 중견국의 공공외교에 미치는 정책적 함의를 밝히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의 라틴아메리카 중점 개발 협력 대상국 중 한 국가인 페루의 보건개발협력 사례를 분석한다. 본 연구는 보건개발협력이 중견국의 공공외교 성과를 위한 효과적인 소프트 파워 자산의 역할을하기 위해서는 보건개발협력 과정에서의 ‘양방향 소통’ 개선과 그 ‘질적’ 내용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한국 청년 공공외교의 성과와 한계: 칠레 사례를 중심으로

        박윤주 부경대학교 글로벌지역학연구소 2023 Journal of Global and Area Studies(JGA) Vol.7 No.1

        본 연구는 최근 공공외교의 새로운 주체로 주목받는 청년을 중심으로 한국의 대(對)칠레공공외교 프로그램들을 살펴보고 그 성과와 한계를 분석하였다. 칠레에서 한국 정부는K-Pop 등 한류에 대한 칠레 청년들의 깊은 관심과 애정을 활용한 여러 문화 행사를 개최하였고, 세종학당을 중심으로 청년 세대를 위한 한국어 교육에 노력을 기울였으며, 칠레 청년들에게 한국의 고등교육기관에서 수학할 기회를 제공하는 한국 정부 장학금 제도에 대한 홍보에도 최선을 다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대(對)칠레 청년 공공외교 프로그램들을 살펴보고, 그러한 프로그램들이 칠레 내에서 한국의 이미지 제고 및 양국의 신뢰 강화에 어떠한 영향을끼쳤는지를 칠레 국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칠레에서 실시된 청년 공공외교는 기대했던 바와 달리 칠레 내에서 광범위한 반향을 일으키는 데에는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 그 원인은 청년 공공외교 프로그램들이 정작칠레 청년이 갖는 특수성에 대한 이해에 기반을 두지 않았던 것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K-Pop 등 한류의 소극적 소비자가 아니라 K-Pop을 기득권에 대한 저항의 도구로 소비하는 칠레 청년들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한국에 대한 홍보성 공공외교를 극복하고 칠레 청년들의 행동주의에 부응할 수 있는 규범적 가치 중심의 공공외교 프로그램들을 추진할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2000년대 이후 한국의 동남아시아 연구 동향 분석

        문기홍,현민 부경대학교 글로벌지역학연구소 2023 Journal of Global and Area Studies(JGA) Vol.7 No.1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한국의 동남아시아 연구 동향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2000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의 동남아시아 관련 학술지 7곳에 게재된 총 1,896편의 논문을 수집하여 키워드 분석, 토픽모델링 분석과 같은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해 동향을 분석하였다. 2000년대 총 496편이었으나 2010년대 발간 학술 논문은 1,211건으로 지난 약 20 여년간 동남아시아 관련 논문은 양적⋅질적으로 성장해왔다. 분석 결과 동남아시아 지역연구는 개별 국가 사례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가 가장 빈번하게 연구되는 국가이고 미얀마,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캄보디아, 필리핀 순으로 나타났다. 2010년 이후에는 ASEAN과 관련된 경제, 통합, 공동체 연구가 증가했으며, 미얀마의 정치 상황 변화로 인한 관심도 급증하였다. 2000년대에는 개별 국가에 관한 정치 환경이연구의 주요 주제였다면, 2010년 이후에는 개발, 문화, 교육, 역사와 같은 다양한 주제로 연구되었다. 동남아시아 지역연구는 각 국가별로 특정 학문 영역을 기반해서 연구되어 온 것으로 파악된다. 국가별 특성에 맞추어 전문화된 연구가 진행된 것으로 보이나, 통합적 관점에서의 접근은 다소 부족한 실정이다. 아울러 미⋅중 경쟁이 새로운 세계 질서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이와 관련된 연구 역시 빈도가 적은 수준이다. 이런 관점에서 환태평양이라는 통합적 시각에서의 동남아시아 지역연구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International Migration for Marriage from Vietnam to South Korea: Adaptation Challenges and Responses

        ( Hong-xoan Nguyen ) 부경대학교 글로벌지역학연구소 2017 Journal of Global and Area Studies(JGA) Vol.1 No.1

        This paper focuses on the tendency of marriage migration from Vietnam to Korea as well as their adaptation using secondary data and primary data from 2015-2017 research titled “The social impacts of cross-border marriage migration on Mekong Delta Area” funded by Vietnam National University in Ho Chi Minh City from 2015-2017.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causes of their poor adaptation and the consequences. The findings show that poor adaptation create a great challenge for the brides themselves and for their families left behind.

      • KCI등재

        China’s Humanitarian Aid and Efforts to Engage in International Humanitarian Assistance

        ( Soomin Jeon ),( Chae-deug Yi ) 부경대학교 글로벌지역학연구소 2021 Journal of Global and Area Studies(JGA) Vol.5 No.1

        With the emergence of non-traditional donors in development cooperation, there have been debates on the expected roles of non-traditional donors among the policymakers and scholars in the field of development cooperation. Among them, China has gained attention because of its rising power and influence in global economics and politics. This article aims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humanitarian assistance and to identify the overview of China’s humanitarian assistance in terms of backgrounds, trends, and size. It can be possible to identify the priorities of its humanitarian assistance and to predict the ways for cooperation with international society. Still, criticisms have been raised in China’s humanitarian assistance with Chinese characters, covering the foreign aid policy of China. However, the international society welcomes the efforts of China to engage in the common efforts of humanitarian assistance and expects more coordination and harmonization of humanitarian assistance. By the strong support of the UN and OECD, the harmonized efforts for the collective outcomes and innovative financing for humanitarian assistance have been emphasized. Analyzing the features of China’s humanitarian aid, this article concludes with the suggestions and the recommendations as follows. As a responsible rising power, it is highly expected for the Chinese government to actively engage in international humanitarian assistance in accordance with the agreed guidelines of international society. In line with its own strategic preparedness in the establishment of the Chines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gency (CIDCA) and emphasis on international cooperation, this article suggests more coordinated efforts, especially in the form of trilateral cooperation in the end.

      • KCI등재

        School and Community Partnerships in Emergent Democracies: Narratives and Evidence from the Philippines

        Rohaiba B. Radiamoda,Hsueh-Hua Chuang,Ronald A. Pernia,Magnolia A. Laus 부경대학교 글로벌지역학연구소 2023 Journal of Global and Area Studies(JGA) Vol.7 No.2

        School and community partnerships are considered effective for achieving educational reforms, yet this type of collaborative enterprise continues to suffer from a crisis of relevance and sustainability up to the present. Henc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factors that hinder the actualization of school–community partnerships. Using a case study approach, we conducted key-informant interviews, focus group discussions, and field observations in a public school in Cebu, Philippines. Through a thematic analysis of the data and anchored on Epstein’s Theory of Overlapping Influence (OSI), the study found that school leadership, sense of reciprocity, dynamics of local politics, and parent’s self-efficacy are the key factors that affect the practice of effective school and community partnerships. We also highlight that distinctive school contexts dictate how such partnerships are organized. One interesting finding indicates that the “diffusion of responsibility” may be detrimental. With the implementation of school-based management, the subjective diffusion of responsibility to “many leaders” results to finger-pointing and less proactive behavior. The spirit of school and community partnerships is in proper communication and effective collaboration―a critical dimension of the OSI model; without it, its purest intentions are most likely to fail. In an ironic twist of fate, decentralization of education, which is supposed to decenter the responsibilities of localities and peripheries, may actually hurt (instead of help) substantive educational and public policies in emergent democra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