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4차산업혁명시대 인공지능인간에 대한 개혁신학적 평가

        이정희 백석대학교기독교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55

        국문초록 4차산업혁명시대 인공지능인간에 대한 개혁신학적 평가 A Reform Theological Evalu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 in The 4th Industrial Age 이 정 희 조직신학전공 백석대학교 기독전문대학원 21C를 일컬어 4차산업혁명시대라고 한다. 이 시대의 특징은 빅데이터와 사물 인터넷을 기반으로 자동화 지능화가 고도로 진행되는 시기라 할 수 있다. 특별 히 4차산업시대에 주목할 만한 문제는 과학의 발전으로 등장할 AI(Articifl lntellgence)인공지능 인간 본질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하게 한다. 호모데 우스의 저자 유발 하라리는 그의 저서를 통해 인간이해에 대한 오류를 기술했 다. 본 논문은 유발 하라리가 기술한 인간이해에 대한 분석과 트랜스휴먼주의자 들이 꿈꾸는 인간이해에 대한 문제를 개혁주의 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다 룬다. 인간에게 가장 두려운 것이 있다면 질병과 죽음이다. 그러나 21C에 들어서 면서 인간의 수명이 길어지고 희귀한 질병에서 치유되어 인류에게 전에 없던 유 익을 주는 것은 모두 인간에게 주어진 과학의 특권이다. 그 결과 4차산업혁명시 대의 AI인공지능 인간의 등장을 보게 되었고 현재 약한 지능의 로봇이 곳곳에 서 선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다가올 로봇은 그런 서비스(service) 정도의 로봇 이 아니라 죽음이 없는 인간이 등장한다는 것인데 그것은 인간이 가장 바라는 것일 수도 있다. 이런 인간의 연약한 몸을 이용하여 ‘특이점’을 바라는 현실에서 - iv - 신학적인 인간론의 논의는 매우 중요하다. 이런 인간론을 창세기1:26-27을 통해 볼 때 하나님의 형상이 없는 인간을 인간으로 할 수 없는 신학적인 근거를 통해 인간론의 본질을 살펴보았다.

      • 표현주의 조형원리와 신앙정서의 관계성 연구 :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윤성미 백석대학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논문에서 연구자는 개혁주의 이후 서양미술이 교회에서 세상으로 이동하면서 교회 내에서 자취를 찾아보기 힘들었던 미술이 20세기 초 조루조 루오(Georges Rouault, 1871-1958)나 에밀 놀데 (Emil Nolde, 1867-1956)에 의해 현대 기독교 미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던 표현주의의 조형원리와 신앙 정서의 관계성을 연구해보고자 했다. 가장 먼저는 표현주의의 미술사적 배경이 사회학적 관점으로도 접근 가능할 만큼 세기전환기의 복잡한 시대배경을 포함하고 있기에 Ⅱ장에서 그와 관련된 미술사적 시대배경을 살펴보았다. 세계전쟁과 산업화로 인해 작가 내면의 정신성과 가치관의 표현이 되었던 표현주의의 조형원리는 중세의 기독교 미술과 다르게 작가의 신앙정서를 담을 수 있는 현대 기독교 미술의 가능성을 열어주었다고 보았다. 현대 기독교 미술의 가능성이 될 수 있었던 이유는 기존 미술과 다르게 표현주의의 조형원리가 일관된 형식이 존재하기 보다는 작가 개인의 내면을 함축적으로 ‘표현’하는 것 자체를 예술의 본질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시각예술의 본질을 재현이 아닌 표현으로 인식하는 인식의 틀을 바꾸었던 표현주의의 조형원리는 종교개혁이후 미술사에서 보기 힘들었던 종교적 주제를 다룰 수 있는 여지를 두었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기독교적 주제로 독특한 종교화를 구축했던 에밀 놀데의 작품 분석을 통해서 그의 가능성과 한계점을 살펴보았다. 에밀 놀데의 가능성은 종교적 주제에 강렬한 색 표현을 통해 자신의 정서를 담아 표현했다는 것이고 한계점은 에밀 놀데의 종교화가 여전히 소재주의를 벗어나지 못한 점과 기독교 세계관의 부재로 인한 일관성 없는 신앙정서의 표현으로 보았다. 본인의 작품분석에서는 긍휼이라는 신앙정서를 표현하기 위해 개인적 신앙 정서가 변화되는 과정을 3단계로 나누어서 설명했다. 긍휼이 필요한 존재의 입장에서 그린 그림을 1단계로 정하여 “함께”라는 주제로 공동체 안에서 경험되었던 신앙의 기쁨, 연합, 사랑받음과 같은 분위기를 직접적인 이미지 표현을 통해 나타냈다. 긍휼을 베푸는 위치에서의 그림을 3단계로 두어 “HAPPY BIRTH"의 주제로 기독교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 인간에 대한 본인의 관점을 투영하고자 했다. 본인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신앙의 정서는 형식이나 주제에 메이지 않고 지속적으로 변화되고 움직이는 개인의 신앙 여정과 관련된 것임을 설명하고자 했다.

      • 구약의 발람, 사울, 아브라함-다윗을 중심한 성령님의 ‘중생’ 사역에 관한 연구 :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성령운동’의 관점에서

        한상현 백석대학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50639

        ABSTRACT A Study on the Regeneration Ministry of the Holy Spirit in the Old Testament, focused on the examples of Balaam, Saul, and Abraham-David, with respect to the “Movement of the Holy Spirit” in the Reformed Life Theology Han, Sang Hyun Dept. of Old Testament Graduate School of Christian Studies BaekSeok University Based on “compositional strategy” and insights regarding “Theology of the Holy Spirit in the Old Testamen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at the Old Testament talks about regeneration and whether regeneration can be understood as the “starting point” for the “Movement of the Holy Spirit” in Reformed Life Theology. Intertextuality was chosen as the methodology for this dissertation as a way to suggest that the texts on regeneration in the New Testament are connected with those in the Old Testament. This dissertation determines the definition of regeneration in the New Testament as well as the relevant texts regarding regenerated characters, and applied the results to research on regeneration in the Old Testament. Intertextuality has three subcategories: quotation, allusion (implication), and echo. First, there is continuity between the Old and New Testament Messianic ideas. “Salvation is found in no one else, for there is no other name under heaven given to mankind by which we must be saved” (Acts 4:12). This testimony serves as the basis for asserting in both the Old and New Testament that “without Jesus Christ, there can be no salvation.” (1) “Abraham was rejoiced that he would see my (Jesus Christ) day” (John 8:56; cf. Genesis 22:13, 17; Hebrews 11:19). (2) “David, speaking by the Spirit, calls him Lord” (Matthew 22:43; Ps. 110:1). (3) The declaration of Jesus Christ, “No one can enter the kingdom of God unless they are born of water and the Spirit" (John 3:3, 5) is the allusion to the Old Testament Ezekiel 36:26-37. “I will sprinkle clean water on you, and you will be clean” (Ezekiel 36:26). “I will give you a new heart and put a new spirit in you; I will remove from you your heart of stone and give you a heart of flesh” (Ezekiel 36:26). The circumcision of the heart takes place through water and the Holy Spirit. Water removes a heart of stone and gives a heart of flesh. And touched by the Holy Spirit, we call Christ Lord (Matthew 22:43). Second, the definition of regeneration according to the Reformation is as follows: 1) Regeneration is the work of grace given by God, and God carries out salvation. 2) A new life is produced through God's creative work. 3) After the calling of God, regeneration and conversion occur (Berkhof). Third, the Old Testament has eight expressions that refer to the regeneration. (1) Two of them represent the present aspect of regeneration: ① “Circumcise your hearts” (Deuteronomy 10:16; Jeremiah 4:4). What is characteristic of those receiving the circumcision of the heart is that they fear the Lord and please him. (Deuteronomy 10:12-13). So, even in the Old Testament times, there were those who pleased God by being regenerated (faithful men mentioned in Deuteronomy 10:15; Hebrews 11). Abraham (Gen. 22:11) and David (1 Samuel 13:14; Acts 13:22) are the best known of these persons. ② Regeneration refers to the practice of giving a person an “another heart” (1 Sam 10:9). (2) The following six passages represent the future aspect of regeneration: ① The circumcision of the heart will take place in the future (Deut. 30:6). ② The Sprit of Lord will come upon on you and you will be changed into a different person (1 Sam 10: 9). ③ Through the circumcision of the heart, God will remove a heart of stone and give a heart of flesh (Ezekiel 11:19; 36:26). ④ “I will give them a heart to know me, that I am the Lord” (Jeremiah 24:7). For God so loved the world that he “gave his one and only Son,” that whoever believes in him shall not perish but have eternal life (John 3:16). In the New Testament, Peter confesses, before the crucifixion occurred, “You are the Christ, the son of the living God” (Matthew 16:16). Chronological research shows that like the Old Testaments saints, Peter did not know the Lord's cross and resurrection when he made the statement of confession. Peter could make this confession because “this was not revealed to you by flesh and blood, but by my Father in heaven” (Matthew 16:17b). ⑤ The circumcision of the heart will place the Torah in the heart, placing God’s words in the heart (Jeremiah 31:33; 1 John 2:27). ⑥ “I will give them singleness of heart and action” so that they will always fear the Lord (Jeremiah 32:39). Fourth, as a way to strengthen its basis of argument, this dissertation classifies humans into three types. The New Testament categorizes humans as “soulish man,” “carnal man”, and “Holy Spiritual man” (1 Corinthians 2:14-3:1). ① The “soulish man” (1 Corinthians 2:14, ψυχικός) is Balaam. A heathen false prophet, Balaam experienced three times what God inspired him (Numbers 22:9, 20; 23:4), but he was not regenerated. He made Israel betray God with his words (Numbers 31:16), and was lured by greed (2 Peter 2:15) and committed wrongdoings (2 Peter 2:16; Jude 1:11). He blessed Israel rather than curse her, following the words of God the Creator, “who is to be greatly feared,” (Psalm 89:7), instead of following the covenant Lord Jahweh. ② “The carnal man” (1 Corinthians 3:1, σάρκινος) is King Saul: ⓐ he is called to be anointed by Jahweh (1 Samuel 10:1b); ⓑ he listens to prophecy that “The Spirit of the Lord will come powerfully upon you ... You will be changed into a different person” (1 Sam 10:6a); ⓒ God gave him a different heart (1 Sam 10:9b); ⓓ The Spirit of the Lord “departed from Saul,” and an “evil spirit” from Jahweh “terrified” him (1 Samuel 16:14). The Spirit of the Lord has departed, but the status of Saul as a regenerated man does not change. If the “evil spirit” refers to the “spirit of evil” that implements God's judgment, it is not a spirit that takes away “regeneration.” So when it is interpreted that “the Spirit of God” departs and the “spirit of disaster” or “spirit of judgment” came to Saul, the difficulty is solved. The “carnal” Saul could not hear the Holy Spirit's voice continuously. So David was established as the King of Israel as a fulfillment of Jacob's prophetic blessing for the tribe of Judah (Genesis 49:9-12). ③ The “Holy Spiritual man” (1 Corinthians 2:15, πνευματικός) is Abraham or David. When Abraham heard Jaweh's “sayings” (seven occasions), he was regenerated (Genesis 12:1) and sanctified (Genesis 12:7; 13:14; 15:1,4,7,9,13,18; 17:1,3,9,15; 18:1,13,17,20,26; 22:2,11,16). The reason why Jahweh’s “sayings” to Abraham are important is related to the Tower of Babel mankind built in depravity and pride as described in Genesis 11: 1-9. In the corrupt Babylonian culture and religion, God first chose Abraham to be called. Regeneration is preceded by God's calling. So, God is the subject that called Abraham to be regenerated in the Old Testament. Abraham experiences the rebirth and sanctification of water and the Holy Spirit in his journey of obedience according to the words God says. (A) In Genesis 1: 1, “In the beginning God created the heavens and the earth.” (A’) In the beginning was the Word, which was with God, and the Word was God (John 1:1). The Word became flesh and made his dwelling among us. We have seen his glory, the glory of the one and only Son, who came from the Father, full of grace and truth. (John 1:14). After this, the word of the Lord came to Abraham in a vision: “Do not be afraid, Abram.” (Genesis 15:1a). Like Abraham, the apostle Paul meets the Lord in a vision. One night the Lord spoke to Paul in a vision: “Do not be afraid; keep on speaking, do not be silent” (Acts 18:9). (A) The Word of the Lord was in a vision (Genesis 15:1a). (A’) One night the Lord was in a vision (Acts 18:9a). (B) The Lord spoke to Abraham in a vision (Genesis 15:1b), (B’) The Lord spoke to Paul (Acts 18:9b). (C) “Abram, do not be afraid” (Genesis 15:1c). (C’) “Paul ... do not be afraid” (Acts 18:9c). Jesus who came to Paul in a vision was the one who was seated at the right hand of God after having already ascended into heaven. This is similar to the case of David who, speaking by the Spirit, called Christ, who was at God’s right hand, the Lord (Matthew 22:43; Acts 2:35). David, speaking by the Spirit, said he saw the Lord always before him (Acts 2:25). Just as Jesus was the one who spoke to Paul in a vision, the Word of the Lord came to Abraham in a vision. In the Old Testament, Jesus was with God in “the Word of the Lord” (John 1:1). For the sake of believing Jesus who visited him in a vision as the “Word of the Lord,” Abraham was accounted righteous before God (Genesis 15:6; Romans 4:23-24). In conclusion, the expected contributions of this dissertation are as follows. First, under the supervision of my Doktorvater, Prof. Jin Sup Kim, who gave a clear idea of three types of human beings as shown in 1 Corinthians 2:14,15 and 3:1, those three types are applied to the Old Testament with certainty in terms of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The results showed that Balaam is an unregenerate soulish man, although he delivered the inspired prophecies of God. Saul, who tragically killed himself in the battle against the Philistines, was found to be a carnal man who was regenerated but could not remove his old character traits. Abraham and David proved to be Holy Spiritual human beings guided by the Holy Spirit. This will be a new proposal for the discussion on the regeneration of the Old Testament people. Second, representative persons in the Old Testament, such as Abraham (Genesis 15:1,4,6; 22:13,17; Hebrews 11:19) and David (Psalm 110:1; Acts 2:25,31,34-35), were saved by their faith in Jesus Christ. Other Old Testament saints also gained salvation by believing the redemptive revelations, which began with the Adamic covenant (Genesis 3:15), and later were given to Noah, Abraham, Moses, David, Daniel, Micah, and Malachi. Third, nine Old Testament terms referring to regeneration, such as “circumcision of the heart, a different man, a different mind,” were dealt with in a way that can be accommodated in churches today. Fourth, this dissertation exmined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terms of regeneration that appeared in the Old and New Testament. In addition, the connectivity among the terms related to circumcision of the heart, circumcision of Christ, and terms of baptism were also examined. Fifth, this dissertation clearly identifies the spirit that came to Saul after the departure of the Spirit of Jahweh. There has been a question regarding this spirit: “Is this an evil spirit or a spirit of disaster?” Observing that this spirit is not a spirit that takes away regeneration but a “judgmental spirit of disaster,” this dissertation pointed out that Saul represents an example of human beings that begin by means of the Spirit but finish by means of the flesh (Galatians 3:3). Sixth, in the Old Testament era, the same Holy Spirit carried out regeneration and sanctification work. Filled with the Holy Spirit, David achieved salvation by acknowledging Christ as the Lord. Abraham and David also experienced regeneration through water and the Holy Spirit. The Old Testament, in particular, testifies that the Lord already existed with God in the beginning as the “Word of Jahweh” (John 1:1). The Word of the Lord came to Abraham first, and Abraham was called righteous as he believed Jesus Christ. Seventh, we did research on the differentiated use of the attributes of God and Jahweh. God is the Creator to be feared, but Jahweh is the covenant Lord. When the Lord appeared and said, the work of regeneration occurred. Lastly, this dissertation investigated “regeneration in the Old Testament,” with respect to the “prayer-Holy Spirit Movement” of the Reformed Life Theology, which is not only the last 7th Movement but also the most fundamental element to make possible the previous 1-6 Movements. This laid the foundation for consistently studying the Old Testament with regard to the “prayer-Holy Spirit Movement” for practicing Reformed Life Theology. This researcher now has a sense of solemn mission to engage in continuous researches on the Seven Practical Movements to revitalize Reformed Life Theology in connection with the works of the Holy Spirit in the Old Testament.

      •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외근직 소방공무원의 부부갈등 경험연구

        김영숙 백석대학교기독교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50639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외근직 소방공무원의 부부갈등 경험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현상학적으로 밝혀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 서울과 인천에 거주하고 있는 외근직 소방공무원으로 일정수준 이상의 직무스트레스가 높고 부부갈등을 경험하고 있는 소방공무원 9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참여자들과의 심층면담으로 수집된 자료는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49개의 구성의미, 43개의 주제, 15개의 주제군이 도출되었다. 첫째, ‘외근직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특성은 무엇인가?’라는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외근직 소방공무원은 ‘직장 내 관계 갈등으로 인한 고통’과 ‘경직된 조직체계 내에서의 갈등’을 느끼며 직장생활의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참여자들은 사고수습을 위한 출동으로 인해 ‘생명위협의 초긴장 상황에 의한 트라우마’를 경험하기도 했으며 ‘무리한 업무 활동으로 신체질환에 시달림’을 겪으며 고통스러워하였다. 여기에 더해 ‘생명보호의 사각지대에서 업무의욕을 상실함’을 경험하며 외근직 소방공무원으로서의 소명의식과 일에 대한 자부심보다 괴롭고 참담한 생활에 이직을 고려할 만큼 일에 대한 회의감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참여자들의 경험들은 죽고싶은 심정이 들기도 하였고 고통스러움과 힘겨움으로 점점 예민해지는 감정의 모습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둘째,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외근직 소방공무원의 부부갈등 경험은 무엇인가?’라는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참여자들은 3교대 근무시간의 반복된 삶으로 인해 ‘아내와의 시간공유 곤란으로 낙담함’,‘아내와의 대화단절로 의사소통의 어려움’,‘아내의 애정없는 태도에 위축됨’,‘아내요구와 간섭이 심해 충돌하며 부딪힘’, ‘부부간의 성적친밀감 상실’, ‘상처와 분노가 쌓여 갈등의 골이 깊어짐’을 경험하면서 관계적으로 점점 어려움을 실감하게 되었다. 참여자들은 직장 내에서의 어려움으로 점점 예민해지면서 가장 친밀하게 소통하고 힘을 얻어야 되는 부부관계에서 오히려 갈등이 생기고 함께 해결하고 나아가기보다 교대근무와 비상근무 등으로 떨어져 지내면서 데면데면한 아내를 볼 때면 가족안에서의 외로움과 초라해지는 자신을 볼 때 그동안 참아왔던 불만들이 커지면서 표출하게 되었다. 셋째,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외근직 소방공무원은 부부갈등에 어떻게 대처하는가?’라는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참여자들은 아내와의 갈등사이에서 힘들어하고 있는 자녀와 아내도 힘든 시기를 보냈음을 자각하게 되면서 ‘아내와 자녀에 대한 자책’으로 괴로워하였다. 이는 참여자들로 하여금 ‘부부관계 유지의 필요성을 각성’하게 하며 형식적인 관계일지라도 부부관계를 유지하려고 노력하였다. 참여자들은 현 상태를 유지하면서 ‘부부관계의 회복을 위한 시도’로 아내와 소소한 일상을 나누려고 노력하였다. 또한 자신의 입장만이 아닌 아내의 입장에서 필요한 부분들을 돕기위해 가사일을 도우며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이런 노력들을 통해 ‘개인의 삶의 변화와 성장’을 발견하며 외근직 소방공무원으로서 팀원들의 중요성을 느끼고 그래도 동료와 가족의 지지가 있어 지금까지 견뎌낼 수 있었음을 깨달으며 삶의 의미를 발견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로는 첫째, 외근직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경험을 현상학적인 방법으로 구체적으로 연구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둘째,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소방공무원의 부부갈등 경험을 파악하면서 상담학적 관점으로 최초로 연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셋째, 외근직 소방공무원의 부부갈등에 대한 대처방안과 자원을 밝혀냈다는데 의의가 있다. 주제어: 외근직 소방공무원, 직무스트레스, 부부갈등

      • 공유적 리더십이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남양주시 공무원을 중심으로-

        신석하 백석대학원 기독교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50639

        오늘날 불확실하고 변화가 심한 행정환경에서 지방행정조직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하고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자율적인 행정업무수행의 중요성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자율적인 행정업무수행의 확산과 함께 지방행정조직 내 리더십에 관한 관심도 과거부터 증대되어 있었다. 그러나 행정조직 내 리더십이 팀의 효과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고 있지만 전통적 리더십들이 과연 새로운 자율적 행정업무수행의 환경에 적합한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는 한 개인의 리더십에 초점을 맞춰 개인의 특성 및 역할을 강조해 왔다. 한편, 행정조직원의 행동을 긍정적인 측면에서 바라보고자 하는 긍정심리학의 흐름으로 긍정적 조직행동의 개념들에 관한 관심과 연구가 진행되어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유적 리더십이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이들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이라는 조절변수를 투입하였을 때 나타나는 세부적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변인들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변화하는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실질적 시사점을 제공하며, 지방행정조직에서 활용 가능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는데 기여를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유적 리더십은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긍정심리자본은 공유적 리더십과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가? 로 설정하였다. 설정된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경기도 남양주에 소재한 지방공공조직에 재직 중인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기간은 2021년 3월부터 5월까지 약 2개월간 진행을 하였다. 이를 통해 총 445명으로부터 응답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 중 불성실한 답변 6부의 설문을 제외하고 활용 가능한 439부의 자료를 통해 실증적인 분석을 하였다. 상기 분석에 따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유적 리더십은 조직몰입을 부분적으로 활성화하며, 이를 통해 조직의 성과인 조직구성원의 몰입, 조직시민행동을 부분적으로 향상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직 내 공유적 리더십은 조직유효성에 중요한 투입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조직구성원의 긍정심리에 초점을 두는 긍정심리자본의 강조와 개발이 행정조직차원에서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조직유효성 연구 분야에서 조직몰입과 함께 최근 연구가 활발한 조직시민행동에 대해 다각적 검토를 진행하였다. 이들 변수의 선행변수에 대해 기존에는 검토가 되지 않았던 리더십 영역 변수와 심리적인 변수를 연구모형에 반영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둘째, 공유적 리더십의 조직유효성(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증진 메커니즘을 밝히고 있다. 공유적 리더십의 조직유효성 증진에 대한 구체적 메커니즘으로서 긍정심리자본을 제시하여 향후 공유적 리더십 연구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셋째, 조직시민행동을 높이는 조절 전략을 탐구하고 조직의 변화역량 제고와 향후직무 변화 환경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 이론적 토대를 형성하는데 기여 하였다. 한편,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다음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리더의 역할과 조직의 노력이 모두 요구가 된다. 리더의 경우 조직구성원들의 역량증진과 자율성을 제고 하기 위하여 리더십 측면에서 행동전략이 필요하며, 조직 측면에서는 조직구성원들 간의 사회적 관계를 활성화하고, 조직에 대한 신뢰 형성을 위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변화와 혁신은 전략과 비전도 중요하지만 이를 실행에 옮기는 조직구성원들의 긍정적 마인드와 능동적 참여가 동반되지 않으면 형식적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조직 분위기는 더 해쳐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조직의 환경에서 조직구성원이 능동적으로 변화에 참여하려는 조직시민행동이 절실히 필요함을 강조하면서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실증하였다. 셋째,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변인은 관리와 통제가 어렵지만 동기유발 및 부여를 통해 긍정적 분위기로 변모하는 과정을 고려하여, 보다 균형적이면서 명확한 변인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이 도출되는 과정기제를 공유적 리더십과 긍정심리자본 변인으로 확인을 하였다, 그 결과 긍정심리자본이 공유적리더십과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 관계에서 그 관계성을 더더욱 공고하게 하는 조절기능을 확인하였다는 데에 그 함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지방공공조직들은 조직관리 측면에서 조직구성원들의 공유적 리더십 및 긍정적 심리 태도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인식하고 조직의 차원에서 제도나 규정, 교육,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지원해 주기를 제언해본다.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모든 행정 분야에서 행정(공유적 리더십)의 주체가 예수 그리스도 이름으로 오신 보혜사 성령이 되어야 함을 제언 한다(마16:24; 요14:26; 롬8:9).

      • 피아노조기교육을 위한 피아노교사 역량강화 연구 : 통합예술교육을 중심으로

        강경민 백석대학교 기독교 전문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4255

        This study studied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using integrated art education with the need for a research on strengthening the competency of piano teachers for early piano education. The goal of early piano education is not only performer-centered education but also classical music fan education. The methods and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and various music learning theories were examined,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can be used for early piano education were analyzed. Second, we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hild's development stage and studied the use of techniques suitable for each grade through textbook analysis on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piano guidance plan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stage. Third, based on the evidence on the importance of early piano education, the role of teachers in charge of early piano education and early piano education was explained. Since the role of the teacher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musicality, the strategy of strengthening the competency of piano teachers was studied. Fourth, piano teaching methods and textbooks using integrated art education were analyzed to study the development of piano teaching methods. Fifth,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 contents necessary in the piano education field, a strategy to strengthen piano teacher competency for early piano education was studied piano education was studied. The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the competency of piano teachers for early piano education were presented in five areas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learners, and parents for proper music education in early piano education led to the importance of Rappo formation. Second, we studied the importance of early piano education and the connection with cognitive development theory, and studied the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and strategies for teaching materials by grasping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by age. Third, since experience-oriented activity education methods are important for early piano education,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of integrated art education were studied as a teaching method that can be used for early education. Fourth, for teaching and learning about E-Learning piano education, a teaching method strategy using an app was studied. It was emphasized that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COVID-19 era should focus on changing the environment of piano education while changing many lifestyles. Fifth, regarding the necessity and method of re-education of piano teachers,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focusing on the role of teachers. The competencies that piano teachers should have were classified into roles as psychological counselors, roles as piano players, roles as educational leaders, and managers, and strategies to strengthen their roles were studied to suggest teachers' re-education methods. The strategy of strengthening the competency of piano teachers was studied, and the importance of early education using integrated art education was recognized to piano teachers in the field, and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teachers was emphasized. In addition, it is proposed to educate learners about the essential values of music such as "happiness" and "joy" so that the purpose of piano teachers' music education is not only learning but also a culture of enjoying music. 본 연구는 피아노 조기교육을 위해 피아노 교사의 역량 강화 연구의 필요성을 가지고 통합예술교육을 활용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전략을 연구하였다. 피아노 조기교육의 목표는 연주자중심의 교육만이 아닌 음악애호가 교육에 목적을 둔다. 본 연구의 방법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교육 철학 및 다양한 음악학습이론을 살펴보고 피아노 조기교육에 활용 가능한 교수학습 방법을 분석하였다. 둘째, 아동의 발달단계별 특징을 살펴보고 발달단계에 맞춰 기초부터 고급에 이르는 피아노 지도방안을 초급, 중급, 고급의 테크닉에 관한 교재분석을 통해 각각의 급수에 맞는 테크닉의 활용 방안을 연구하였다. 셋째, 피아노 조기교육의 중요성에 관한 근거자료를 토대로 피아노 조기교육과 피아노 조기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의 역할에 관해 설명하였다. 교사의 역할이 아동의 음악성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기에 피아노 교사의 역량 강화 전략을 연구하였다. 넷째, 통합예술교육을 활용한 피아노 교수법과 교재를 분석하여 피아노 교수법의 발전 방안을 연구하였다. 다섯째, 피아노 교육 현장에서 필요한 부분을 인터뷰 내용 분석을 통해 피아노 조기교육을 위한 피아노 교사 역량 강화 전략을 연구하였다. 피아노 조기교육을 위한 피아노 교사의 역량 강화 전략을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 영역으로 제시하였다. 첫째, 피아노 조기교육의 올바른 음악교육을 위한 교사와 학습자, 학부모의 관계를 라포형성의 중요성으로 나타냈다. 둘째, 피아노 조기교육의 중요성과 인지 발달이론과의 연관성에 관해 연구하고, 아동의 연령별 특징을 잘 파악하여 지도 시 적절한 교수법과 교재 사용법에 관한 전략을 연구하였다. 셋째, 피아노 조기교육을 위해서는 이해력 위주의 수업 방식이 아닌 경험 위주의 활동 교육 방법이 중요하기에 조기교육 시 활용 가능한 교수 방법으로 통합예술교육의 효과적인 교수법 전략을 연구하였다. 넷째, 이러닝(E-Learning) 피아노 교육에 대한 교수학습을 위해 앱을 활용한 교수법 전략을 연구하였다. 4차 산업 혁명 시대와 코로나 시대가 많은 삶의 방식을 바뀌게 하면서 피아노 교육의 환경 변화에 초점을 두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다섯째, 피아노 교사 재교육의 필요성 및 재교육 방법에 관해서는 교사 역할을 중심으로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피아노 교사가 갖춰야 할 역량을 심리상담자로서 역할과 피아노 연주자로의 역할, 교육지도자로서 역할과 경영자로서 역할로 분류하고 그에 따른 역할 수행 방법과 역량을 강화할 전략을 연구하여 교사의 재교육 방법을 제언하였다. 피아노 교사의 역량 강화 전략을 연구하며, 현장의 피아노 교사들에게 통합 예술교육을 활용한 조기교육의 중요성을 인지시키고 교사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피아노 교사의 음악교육 목적이 학습만이 아닌 음악을 즐기는 문화가 형성되도록 ‘행복’과 ‘즐거움’이라는 음악 본질적 가치를 학습자에게 교육하길 제안한다.

      • 개혁교회 내(內)의 성찬교리에 대한 두 계보의 전통 : 성찬이 줄어든 신학적 이유들을 중심으로

        이종인 백석대학교 기독교 전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4255

        초대교회는 성찬이 일상이었다. 또한 종교개혁 시기의 칼빈(J. Calvin)도 매주 성찬을 주장했다. 그런데 왜 우리시대에 성찬의 횟수는 줄어든 것일까? 역사적이고 실천적 이유들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필자는 본 논문에서 성찬이 줄어든 교리적 이유들을 살핌으로서 부지런한 성찬사용의 신학적 토대를 분명히 하고자 하였다. 첫째는 시간의 문제이다. 성찬에서 드러나는 시간성이 과거에만 매여 있느냐 그렇지 않으면 현재와 미래를 포함하느냐에 따라서 성찬의 횟수는 달라질 수 있다. 성찬이 단지 과거의 회상이면 자주 집행될 이유가 없다. 하지만 성찬이 현재의 그리스도의 임하심이고 미래의 약속의 소급이면 달라진다. 둘째는 방편주체의 문제이다. 성찬의 주체가 누구인가에 따라서 성찬의 횟수에 영향을 준다. 성찬을 사용하는 주체가 사람이면 무겁고 힘든 일이 된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주권적으로 사용하시는 은혜의 도구라면 기쁨으로 부지런히 받아야 한다. 셋째는 임재의 문제이다. 성찬에 임재하시는 그리스도가 단지 상징이이냐 그렇지 않으면 실재이냐에 따라서 성찬의 사용의 빈도는 달라진다. 성찬에 그리스도께서 단지 신자의 마음에 임하는 것과 그리스도께서 성령으로 성찬에 실재하시는 것은 많은 차이를 준다. 위의 세 가지 성찬의 신학적 문제에서 쯔빙글리(U. Zwingli)와 칼빈은 이견을 보인다. 서로 다른 두 성찬신학의 전통이 취리히 합의(Zurich Consensus)를 통해서 개혁교회 안에 공존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강세였던 칼빈의 성찬신학이 점점 쇠퇴해가고 쯔빙글리의 견해가 힘을 얻으면서 성찬의 부지런한 집행은 줄어갔다. 종교개혁시기를 지나 17세기부터 나오는 신앙고백서들에서도 이 두 신학적 전통의 영향을 따라 각기 견해를 달리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벨직신앙고백서와 하이델베르크교리문답은 칼빈적 전통을 따르는데 비해서 웨스트민스트신앙고백서는 쯔빙글리의 성찬신학에 더 가깝다. 한국교회는 웨스트민스트 전통을 이어받았는데, 특별히 한국교회에 많은 신학적 영향을 미쳤던 박형용박사는 프린스톤(Princeton)의 영향을 받아서 쯔빙글리의 전통의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영향으로 인해서 한국교회에서는 성찬을 부지런히 행하는 전통을 이어받지 못했다고 말할 수 있다. 부지런한 성찬을 위해서는 칼빈의 성찬신학에 대한 바른 이해가 필요하다. 칼빈의 성찬신학을 바르게 연구하고 적용하게 될 때 한국교회는 부지런한 성찬시행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Lord's Supper was a daily routine in the early churches. J. Calvin also suggested weekly Lord's Supper as well during the religious reformation. Then why did the number of Lord's Supper is reduced in our days? There must be historical and practical reasons for it. Herein I took a closer look into the doctrinal reasons why Lord's Supper was reduced in this thesis and clarified the theological basis for diligent practice of Lord's Supper. The first problem is matter of time. Frequency of Lord's Supper can change depending on whether the time factor appeared in Lord's Supper is relying on the past only or whether it includes present and future as well. If Lord's Supper is only done to retrospect the past, then there is no reason for it to be executed frequently. However, if Lord's Supper indicates Christ's presence now and promise in the future, then it's a different story. Second problem is matter of subject. Frequency of Lord's Supper is significantly influenced depending on the subject of Lord's Supper. If the subject using Lord's Supper is a person, it becomes a heavy and difficult job. However, if it is an instrument of grace used by God sovereignly, we should execute it with joy and diligence. Third problem is the matter of presence. Frequency of Lord's Supper depends on how we think of Christ, whether we consider him as a mere symbol or real presence. There is a huge difference between Christ only present in the hearts of believers and Christ really present in the Holy Spirit of Lord's Supper. U. Zwingli and Calvin hold different views in the three theological issues stated above. Two different traditions of Eucharistic theology became coexisting in the Reformed churches through Zurich Consensus. Although Calvin's Eucharistic theology was strongly accepted in the beginning, but it slowly dwindled away and Zwingli's idea started to replace Calvin's theology. As the result, diligent execution of Lord's Supper was gradually reduced. We are able to find out that Confessions of faith published in the 17th century even after reformation of religion are influenced by these two theological traditions and hold different opinions. While the Belgic confession and the Heidelberg Catechism are obeying Calvin's tradition, the Westminster confession is closer to Zwingli's Eucharistic theology. Although Korean church inherited Westminster tradition, Dr. Park Hyung-Yong who has significantly influenced Korean church in many theological ways was influenced by Princeton, inherited Zwingli's tradition. This is why Korean church couldn't inherit the tradition of diligently executing Lord's Supper. In order to execute Lord's Supper diligently, understanding on Calvin's Eucharistic theology is required. Korean church will be able to execute Lord's Supper frequently only after they study Calvin's Eucharistic theology properly and apply his theology practically.

      • 갈등적 상황에서 담론적 정책분석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 의약분업정책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강태평 백석대학교 기독교 전문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34255

        현재의 정책분석론은 효율적 정책대안의 탐색에는 어느정도 타당성을 인정받고 있으나, 갈등적 상황에서 갈등해결을 통한 바람직한 사회변화와 정의실현을 위한 규범적,가치적 문제를 다루는데에는 다소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정책분석의 도구적 성격과 규범적,의사소통적 성격을 포괄하기 위해서는 사실과 가치간의 관계에 대한 인식론적 문제가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이 논문은 갈등적 상황에서 담론이 실증주의 방법론이 밝혀내지 못하는 갈등의 원인을 발견하고 또 치유할 수 있는 유력한 공간임을 밝힌다. 그 이유는 하버마스와 푸코의 담론이론에 의하면 담론이 상이한 가치를 형성시킴과 동시에 담론의 주체를 변화시키는 힘이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하버마스와 푸코의 담론이론을 가지고 담론적 정책분석의 방법론을 정립하고 그 유용성에 관하여 논증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discourse methodology of policy analysis and discuss its usability based on the discourse theories of Habermas and Foucault. In the process of policymaking, policies eventually express political and social relationships as they are developed by several people with different viewpoints and motivations. Therefore, the process of policy analysis and policymaking is not simply selecting the best policy measures in neutral positions, but involves communication and ethical relativity based on value prospect and situational cognition of issues. Although current methodologies of policy analysis are thought to be valid when searching for effective policy alternatives, they have limited capacities when handling rules and values solve conflicts to achieve desirable social changes and justice. In order to have both the functionality of policy analysis and the communication with society, we must find answer to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 and value. The question would be, "How do we integrate fact and value in methodologies of policy analysis?" Understanding this issue, this study proves that discourse is an effective measure to discover causes of conflict, which positivist methodologies of policy analysis cannot discover, and solve them. According to Habermas and Foucault's discourse theories, discourse forms different values and has the power to change whoever is leading the discourse. Chapter 2 discusses the background of Habermas and Foucault's discourse theories and describ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lict and discourse to assert that discourse can reduce conflicts. Foucault's discourse theory and Habermas' discourse theory are also examined in terms of analysis of power and communication between subjects of conflicts. In this part, this study asserts that Foucault and Habermas' discourse theories can be a useful tool to discover and solve causes of conflicts when they are used to supplement each other. Chapter 3 examines the characters of policy analysis into the character of a tool and the character of communication and proves that the positivist methodology of policy analysis emphasizes the character of tool and is limited when it is required to discover and solve problems concerning rules and values. Then, policy analysis based on post-positivist methodologies is discussed as an alternative to positivist methodologies. The limitation of positivist and post-positivist methodologies would be explaining the necessity of discourse. The last part of Chapter 3 offers a multi-perspective analytical methodology to use discourse in conflicts. This methodology is based on Foucault's discourse regulation strategies, altered unofficial evaluation logic of Taylor, and altered discourse structure of Toulmin. Chapter 4 examines the usability of discoursive policy analysis in regards to the case study of the division of medical and pharmaceutical sectors. In policy analysis, discourse attempts to justify reasoning and stipulates truth and justice for arguments that cause problems even when there is no distortion caused by intervention of powers. Discourse stresses compromise based on common beliefs of community members, enables critical reflection of social conditions, and prevents domination of functionality in policy analysis with effective communication to harmonize science and ethics in a near-ideal way. Therefore, multi-perspective discourse methodology in policymaking can be effective in the following ways: 1) Discoursive policy analysis enables policy analysis that involves the character of functionality and communication and tolerates both factual determination and value determination. 2) Discoursive policy analysis establishes ethics of communication in analysis and improves the quality of policy by uplifting responsiveness and responsibility toward people. 3) Discoursive policy analysis can listen to beneficiaries' values and requirements and expands the possibility and reliability of participatory democracy in the process of policymaking. 4) Practical discourse in discoursive policy analysis contributes for solving crisis of political systems by re-politicalizing the public. Discoursive policy analysis is required in conflict situaions and is useful because it can contribute for solving conflicts by showing the structure of discourse in policyma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