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원봉사활동이 중년기 여성의 우울정도와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조예경 동덕여자대학교 여성개발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50671

        최근 들어 인간의 수명이 길어지고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중년기 이후의 삶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그리고 현대의 중년여성들은 바쁘게 돌아가는 사회속에서 동떨어져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럼으로 인해 현대 중년기 여성들은 우울증과 자아정채감의 상실로 많은 어려웅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중의 하나가 자원봉사활동인데, 본 연구에서는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중년기 여성과 참여하지 않는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과연 자원봉사활동이 그들의 우울정도와 자아정체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하여 연구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의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우울정도와- 자아정체감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둘째 연구대상자를의 특성에 따라 우울정도와 자아정체감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자원봉사활동 유무와 우울정도, 자아정체감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마지막으로 연구대상자들의 특성과 자원봉사활동 유무에 따라 우울정도와 자아정체감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이다. 선행연구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울정도와 자아정체감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들을 사용해 자원봉사활동 참여자와 비 참여자를 대상으로 우울정도와 자아정체감을 측정하여 분석하여 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시에 거주하고 있는 205명의 중년기 여성으로, 2002년 3월 25일부터 4월 14일에 걸쳐 조사가 실시되었고, 여기서 얻어진 자료를 통해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t검정, 분산분석을 활용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상자들의 우울정도와 자아정체감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우울정도가 심할수록 자아정체감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자별 특성에 따른 관계를 살펴보니, 건강상태와의 관계만 의의가 있었다. 즉, 건강하지 않은 경우가 우울정도는 심하고 자아정체감은 낮은 결과를 보였다. 셋째, 자원봉사활동과 우울정도, 자아정체감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자원봉사활동 참여자보다 비 참여자의 우울정도가 높게 나타났고, 자아정체감도 낮았고, 우울의 원인에도 차이가 있었다. 넷째, 연구대상자들의 특성과 자원봉사활동 유무에 따른 우울정도, 자아정체감간의 관계를 살펴보니, 자원봉사활동 참여자의 경우에는 연령, 교육 수준, 소득수준에 따른 차이를 보였으나, 자원봉사활동 비 참여자의 경우에는 건강상태에 따른 차이만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년기 여성의 자원봉사활동 활성화를 위한 몇 가지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중년기 여성들의 자원봉사활동 참여를 독려할 수 있는 홍보매체의 개발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러므로 사회복지사들의 홍보에 대한 이해와 인식의 변화, 그리고 교육을 통한 홍보매체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전업주부인 중년여성의 참여뿐 아니라, 직업여성의 여가활용의 한 방편으로 자원봉사활동을 활용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자원봉사활동 분야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중년기 여성이 가족들로부터 소외감을 느끼지 않고 일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가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Nowadays as the human beings enjoy a longer life and their living standard is improved, the life beyond the middle-age period occupies a large part. The modern middle-aged women are often isolated from the society which busily turns day by day. Therefore, the modern middle-aged women suffer many difficulties owing to depression and loss of self-identity. One of the methods which may be helpful to this problem is the voluntary service activity, so this thesis focuses on the effect of the voluntary service activity on the degree of depression and self-identity of the middle-aged women by dividing them into those who participate in the activity and those do not. Thus, the issues of this study were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what relationship is there between the degree of depression and self-identify? Second, what difference id there between the degree of depression and self-identif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of study? Third. What relationship is there between voluntary service activity on the degree of depression and self-identity? Finally, what difference is there between the degree of depression and self-identit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of study and the existence of voluntary service activity? Some instruments which could measure the degree of depression and self-identity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previous researches were used to analyze the degree of depression and self-identity on the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in the voluntary service activity.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25 through April 14, 2002, 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205 middle-aged women who resided in Seoul, and the results could be summarized by utilizing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dispersion analysis of the data obtain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looking in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depression and self-identity of the subjects, it appeared that the deeper the degree of depression, the lower the level of self-identity. Second,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just the relation with physical condition was significant. That is, if the subjects were unhealthy, the degree of depression was deeper and the self-identity was lower. Third, the difference between the voluntary service activity, degree of depression, and self-identity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the degree of depression of the participants in the voluntary service activity appeared higher than the non-participants, showing low self -identity and different causes of depression. Fourth, looking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depression and self-identity according to the subjects' characteristics and existence of voluntary service activity, the participants in the voluntary service activity showed difference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level, and income level, but the non-participants showed difference just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Here, a number of methods to vitalize the voluntary service activity of middle-aged women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presented. First, it is important to develop an information media which may encourage the middle-aged women to take part in the voluntary service activity more than anything el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ocial worker's information and change of recognition and to develop the information media through education. Second, it is required to research and develop several fields of voluntary service activity in order to utilize the service activity as a way to utilize spare time of career woman as well as a middle-aged woman, full-time housekeeper's participation. Third, a program of voluntary service activity in which the family members can take part together is urgently required so that the middle-aged woman might feel a sense of unity without feeling alienation from the family.

      • 패션모델의 몸 규제 경험과 타율적 실천

        정은아 동덕여자대학교 여성개발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현대사회에서 ‘몸’은 자아를 나타낼 수 있는 기호이자 개인의 정체성으로 읽혀지고 있으며 자원과 자본으로 전환가능한 도구로 인식되기도 한다. 여성의 ‘몸’은 가부장제 문화가 기대하는 ‘미의 기준’에 도달하도록 끊임없이 사회화 및 강요당하고 있으며 ‘미의 기준’에 도달한 여성에게 주어지는 사회적 인정과 보상은 여성들을 몸매 가꾸기의 치열한 경쟁 속으로 밀어 넣고 있다. 이러한 경쟁은 대중매체와 미용소비광고에서 홍수처럼 쏟아지는 ‘날씬한 몸’의 이미지들로 인해 더욱 활성화되고 있으며 특히 패션모델과 같이 직접적으로 자원 및 자본화 되는 ‘몸’을 가진 여성들에게 더욱 가시화되고 있다. 이는 패션모델들이 다른 여성들에게 ‘이상적인 몸’의 모범을 보여주면서 타인의 몸을 규율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몸을 활용해서 수입을 창출하고 높은 평가를 받아야하는 직업적 특성으로 인해 자발적으로 몸을 재구성하는 노력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패션모델의 몸만들기 노력과 특성이 이미 구조화 되어있으며 그 내부에 여성들의 ‘몸’을 통제하는 강요된 체계가 존재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그 지점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모델에 입문하는 대부분의 여성들은 어릴 때부터 주변의 지속적인 권유를 받아 10대 중후반의 청소녀 시기에 모델에 입문하는 반면 남성들은 본인의 주체적인 의지로 20대 초반의 성인기에 입문하고 있어 모델 입문시기와 계기에 있어서 성별에 따라 뚜렷한 젠더차이가 나타나고 있었다. 둘째, 이렇게 모델에 입문한 여성들은 이상적인 미의 기준에 가까운 여성들만 모인 공간에서 지속적인 자기검열과 비교를 통해 다이어트, 성형 등과 같은 ‘몸’ 관리방식을 실천하고 있었다. 특히 이러한 ‘몸’ 관리방식들은 영리를 추구하기 위한 에이전시 혹은 패션디자이너(고용주)의 ‘권유’에 의해 강압적으로 재구성된다. 여성모델들은 이들의 ‘권유’를 수용할수록 ‘몸’에 대한 평가와 자본획득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것을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스스로 ‘몸’을 재구성할 수밖에 없다. 이렇게 타율적으로 ‘몸’을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육체적 고통과 정신적 스트레스는 여성모델들을 우울감과 자존감 상실에서 벗어날 수 없게 한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는 은폐되어 마치 패션모델들이 자발적으로 그리고 능동적으로 본인의 성공과 가치를 위해 ‘몸’을 재구성하는 것처럼 보인다. 더 나아가 이렇게 강압적으로 재구성된 ‘몸’은 매체를 접하는 여성들에게 화려하게 포장되어 규율되는 ‘몸’으로써 영향력을 미치고 있으며 끊임없이 ‘미의 기준’을 재생산하는 핵심적인 역할로써 작용한다. 한편 남성모델들의 경우 여성모델들처럼 다른 모델과의 비교나 스스로를 검열하기보다 자신의 ‘몸’이 기준이 되어야 한다는 자신감이나 만족감이 높게 나타나고 있어 자존감이 떨어져있는 여성모델들과 다른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셋째, 또한 모델들은 에이전시 혹은 패션디자이너(고용주)와의 관계에 있어서 임금과 성희롱, 프로정신과 같은 부당한 대우에 저항할 수 없는 착취적인 구조에 놓여있었다. 이러한 구조는 모델들의 수적인 증가로 인한 권리기반 약화와 대체가능하다는 직업적 특성 때문에 더욱 심각하게 나타난다. 특히 여성모델들의 경우 어린나이에 모델을 시작하고 경쟁이 치열해 이와 같은 부당한 대우에도 남성모델들과는 달리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사실을 토대로 패션모델들은 은폐된 구조적 압력으로부터 강요된 몸 재구성 노력에서 벗어나 스스로가 몸의 주체성을 회복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위해 패션모델들의 BMI지수를 통해 정상체중에 미달되지 않도록 에이전시와 패션디자이너(고용주)를 규제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들이 패션모델들에게 성형과 다이어트를 권유하는 것에 있어서 강력한 규제방안이 마련되는 동시에 이를 꾸준히 감시할 수 있도록 패션모델들의 권리기반 향상과 인식개선을 통해 목소리를 드러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몸’의 다양성을 인정하기 위해 ‘미의 기준’을 획일화하지 않고 다양화할 수 있는 문화적인 행사나 광고들이 많이 확산되어 여성들이 ‘몸’에 대한 통제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조치들이 취해질 때 여성들은 ‘몸’을 재구성해야하는 의무에서 벗어나 주체성을 갖고 자신의 ‘몸’을 있는 그대로 사랑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이다. This thesis aims to reveal the social structure which controls and forces women to have idealized body by studying fashion models who are under certain pressure to keep their bodies desirable. Because women's bodies are easily objectified and evaluated by gender biases in this patriarchal culture, more women than men are affected by other people who constantly encourage them to be fashion models. Especially the encouragement to commercialize and capitalize female bodies gets stronger as the women are younger. These women who became fashion models experience certain pressure to reach the ideal type of appearance by their modeling agencies and fashion designers as well as other female models who idealize physically perfect image. Fashion models’ desire to be 'beautiful' makes them to go though physical treatments such as diets, cosmetic treatments and surgeries, massages and workout programs. It seems like female models choose to enhance their beauty voluntarily However, the real answer can be found from the relationships between models and their employers. Because models have much less power than their agencies and designers, the latters’ suggestions become more of orders as a form of structural pressure. This structural pressure is stronger than it appears since agencies and designers have absolute power over models and make the actual profit. It also forces female models to adopt the standards that agencies and designers have. Female models are required to embrace the values and rules and reconstruct their concept of beauty. They are not able to fight against the structural needs. Even though the structural needs are putting pressure on female models, people assume that they strive to have perfect figures voluntarily in order to gain social success and achieve their ideal status. The concept of ‘ideal body' that is forcefully constructed appears in the media as well. The media can be the most critical way to influence the public by forcing other women to adopt this concept and even reproduce it. On the other hand, male models seem to be more attractive when they look healthy. That is the reason why male models take exercise more seriously than diet and experience less physical pain compared to female models. It shows that each gender's body has different expectation based on patriarchal culture of the society. Women can finally be considered beautiful enough when they sacrifice their health. Male models understand the effort to keep their bodies attractive as a part of their work, although female models do as a part of their lives. Having better appearances is not only their work, but also the only way they can survive in the patriarchal society. In addition, more male models are in subjective positions compared to female models in many important aspects such as payment, professionalism, and relationships with designers. New era where each woman can love herself as she is will begin when female fashion models fight the extorted standards of 'physical perfection' which are constructed by the structural pressure and gain their control over their own bodies.

      • 육아휴직제도의 실태와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유은혜 同德女子大學校 女性開發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50655

        육아휴직제도는 근로자가 일정 기간동안 자녀의 양육을 위하여 계속 피고용자의 신분을 유지하면서 직무에 종사하지 않는 제도이다. 이는 근로자의 직장생활과 자녀 양육 기타 가정 생활을 조화롭게 양립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서 근로권과 생존권을 보장하는 근로자 복지제도이다. 특히 여성이 자녀양육으로 일시적으로 직장을 떠나도 직장을 그만두는 일이 없이 취업을 계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여성 취업 지원제도이다(새정치국민회, 1996). 우리나라의 육아휴직제도는 1987년 12월 남녀고용 평등법이 개정되면서 처음으로 법적으로 보장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육아휴직제도는 도입되기 전 충분한 연구나 논의없이 법제화된 것이다. 그 이후 개정과정을 거치면서 우리나라 육아휴직제도의 많은 개선이 이루어졌지만 아직까지도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고, 전통적 성별분업의식의 해소와 육아에 대한 사회적 책임 의식으로의 전환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육아휴직제도의 현실적 실효성을 거둘 수 있는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우리나라 육아휴직제도의 내용과 현황을 검토하여 현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선진외국의 육아휴직제도의 내용을 비교분석하여 우리나라 육아휴직제도의 합리적인 개선방향을 제시해보았다. 그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득보장의 문제에 대한 개선방향으로 육아휴직은 근로자의 부모로서 양육권과 관련된 사항으로서 고용보험에서 소득보전을 할 수 있도록 하되 자녀출산을 국민재생산의 개념으로 인정하여 정부의 예산지원이 전제가 되어야 한다. 둘째, 우리나라의 현행 육아휴직제도는 휴직기간 중 직무에 전혀 종사하지 않는 전일 휴직 형태만 인정하기 때문에 근로자에게는 업무의 전문성 획득이라는 면에서 기업에게는 인력의 활용이라는 면에서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런 문제를 대처하기 위해, 육아휴직의 형태를 다양화 시킨다면 전일 휴직제의 문제를 보완할 수 있고, 무엇보다 남성근로자의 육아에의 참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고용보장에 관한 개선방향인데, 법적으로 근속기간의 보장이나 불리한 처우의 금지 등의 조항이 명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는 잘 지켜지지 않아, 분쟁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대해 보다 적극적이고 강화된 세부적인 조항에 관한 규제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육아휴직 제도에 있어서 가장 근본적인 과제는 남녀 고용평등을 달성하기 위한 가정생활지원체제의 기능을 하도록 하는 것이며, 육아의 역할과 책임은 여성이 부담한다는 전통적 성역할 분업의식을 유지시켜서 여성에 대한 고용기피의 원인을 제공하는 역기능을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 개선방향으로 제시했던 방법들이 현재 우리나라의 재정이나, 기타 여건상 빠른 시일 내에 시행될 수 없는 부분들이 있겠지만, 법적인 실효성이 확보되어 앞으로 우리나라의 육아휴직제도가 모성보호의 차원이 아니라 남녀모두 평등한 근로권을 확립하고 가정생활과 직장생활을 조화롭게 양립시킬 수 있는 근로자복지제도로서 또한 아동의 복지를 도모할 수 있는 제도로서, 그리고 기업과 국가의 인적 자원을 확보하는 제도로서 현실적인 실효성을 거둬야 할 것이다. The Childcare Leave System refers to a system by which a worker, while maintaining an employee's status, is not engaged in a job in order to raise his/her child for a certain time. It is an employee welfare system to secure the rights of both work and existence by supporting the harmonious compatability of the worker's work life, child care, and other home life. In particular, it is a woman's employment supply system to help a woman keep her position after temporarily quitting her job because of child care. The Korean Childcare Leave System was first guaranteed by law since the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Law was enforced in November, 1987. It was legislated, however, without any sufficient research or discussion before the Labor. Union introduced the Childcare Leave System. Later, though the system was much improved through the process of revision, it still has various problems: settlement of the traditional sense of specialization per gender and conversion into social sense of responsibility for childcare have not been realized yet. In such circumstances, this thesis intended to grope for an improvement to produce material results of Korean Childcare Leave System. Above all, a rational improvement was presented by examining the content and the present state of the Korean Childcare System in order to identify the current problems, and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content of the system in some advanced countries. The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Childcare Leave as a reform to guarantee income, related with the a worker parent's right of bringing up child, sets the budget aid of the government forth as a premise by admitting childbirth as a concept of national reproduction, only allowing to preserve the income from the employment insurance. Second, because the current Childcare Leave System admits a full-time leave style, that is, the worker does not attend to the job at all during the period of leave, it may incur loss to the worker from the aspect of acquiring specialty of business and to the firm from the aspect of utilizing manpower. These problems, of full-time Leave System will be supplemented by diversifying the type of childcare leave, for example, it need to facilitate the male worker's participation into childcare. Third, though some stipulations about legal guarantee of service or prohibition of disadvantageous treatment are specified, it is not kept well in reality, which frequently leads to a cause of strife. So a legal control on more positive and reinforced stipulations should be provided. Finally, it is thought necessary that the function of home life supply system to achieve the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should be settled, while dysfunction to provide a cause of female employment evasion should be excluded by maintaining .the traditional sense of specialization of sex role: the role and responsibility of childcare belongs to woman. The methods which were presented as an improvement in this thesis could not be enforced, in part, in the immediate future, considering the financial affairs of Korea and other circumstances, but it should obtain a legal validity in reality so that the Korean Childcare Leave System might establish both female and male worker's equal right of work, not as a mere tool to protect maternity, but as a worker's welfare system to compatibly keep a harmonious life at home and work, as a system to realize a child's welfare, and as a system to obtain the human resources for the industry and country.

      • 민간과 국·공립 보육시설 운영실태 비교

        정외숙 동덕여자대학교 여성개발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보육시설의 양적인 구축은 어느 정도 달성되었으나, 보육시설의 질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오고 있는 바, 보육시설의 전반적인 질적 수준을 알아보고, 동시에 보육시설의 설립 유형 중 민간 보육시설과 국·공립 보육서설의 질적 수준에서 차이가 있는가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거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보육시설의 전체적인 질적 수준은 어떠한가? 2. 보육시설의 평가요인별 질적 수준은 어떠한가? 3. 보육시설의 절적 수준은 설립유형 중 민간 보육시설과 국·공립 보육시설과의 차이는 있는가?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시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및 시설장을 대상으로 93개의 시설을 조사하였다. 이중, 국·공립보육시설 종사자가 53명, 민간 보육시설 종사자가 40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 도입방안 연구>라는 정부보고서에 수록된 "보육 시설평가척도"로써 2000년 9월 서문희, 이상헌, 임유경이 개발한 평가도구 이다. 이 평가 도구는 2000년에 개발된 척도이고, 특히 2003년 보육시설에도 평가인증제도를 도입하자는 견해가 있어 이에 합당한 도구이고, 또한 서울시, 부산직할시에서는 현재 우수 보육시설의 포상시, 이 질문지를 사용하고 있고 전 영역을 골고루 포함하여 보육시설의 전반적인 부문을 빠짐없이 포함시켰기 때문이다. 질문지 수집은 2002년 3월 1일부터 31일까지 한달 동안 각 보육시설을 방문하여 질문지를 배포하고 설명한 후 다음날 회수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방법으로는 보육시설의 전반적인 질적 수준과 하위영역별 9개 항목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민간 보육시설과 국·공립 보육시설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각 영역별로 T-test를 사용하였으며, 시설유형별 필수충족항목의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보육시설의 질적 수준의 분석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 자기평가로 실시되었던 본 연구 결과에 하면, 현행 보육 시설 전반적인 질적 수준은 평가인증제도가 도입되었다고 가정할 때 인증을 받을 수 있는 보육시설의 수가 극히 적다. 따라서 모든 보육시설은 인증 제도를 대비한 필요한 요건들을 숙지하고 차차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국·공립 보육시설의 질적 수준은 모든 영역에서 민간 보육시설을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영역에서 국·공립 보육시설이 민간보육시설보다 우수한 것이 입증되었다. 하지만 운영관리영역과 보육과정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에서의 필수문항 충족율은 그다지 높지 않다. 지속적으로 미충족 부문의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민간 보육시설의 질적 수준은 교육과정항목의 필수 충족율이 70.0%인 것을 제외하면 대부분 미충족으로 나타나 평가인증제도 도입시 상당한 기간을 두고 문제점을 개선하고, 보완 및 수정을 하여 질적 수준을 높이는데 주력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자는 본 논문의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기존의 보육시설들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1. 본 논문의 연구결과에 의할 때 우리나라 보육시설의 운영은 평가인증제도 도입 시, 인증 받을 수 있는 보육시설이 미미하므로 각 시설장들에게 정기적이고 지속적으로 교육 및 홍보활동을 하여야 한다. 2 또한 행정의 유관기관은 보육시설이 인증을 받았을 때와 받지 않았을 때의 보육시설에 대한 차별화를 시도하여 전반적인 시설의 질적 수준을 각 시설장 스스로 높이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예를 들면, 인증을 받지 않은 시설에 대한 지원을 중단한다). 3. 행정당국은 보육시설을 평가하는 기본척도를 개발하는데 주력하고 이를 활용한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를 실시하여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부모들에게 안심하고 보육시설을 이용하게 하여야 한다. 보육시설의 척도에 의한 평가가 전반적으로 낮은 질적 수준을 보이는데, 보육서비스를 받고 싶은 부모가 많지 않은 것은 당연하다. 4. 보육교사의 처우를 개선하여 보육프로그램 개발 및 교재교구개발에 필요한 시간적, 재정적 뒷받침을 해 주어야 한다. 보육은 복지사업이므로 개인의 일로 맡겨두지 말고 복지사업에 대한 정부의 더욱 많은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보육교사, 보육과정, 건강, 위생, 영양, 안전등 거의 모든 영역에는 재정과 연관이 있는 부문이 많기 때문이다. 5. 본 연구는 보육시설 중 정부의 인가에 의해 운영되고 있는 보육시설을 대상으로 하여 운영의 질적 수준을 분석하고 민간과 국·공립간의 질적 수준을 분석해 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그러나 보육시설 중 설립신고만으로도 운영이 가능한 가정보육시설(놀이방)의 운영은 보육시설들에 비하여 보다 더 열악한 수준에서 운영될 것이라고 예측되므로 동 도구를 활용하여 보육시설과 놀이방에 대한 질적 수준의 비교연구가 후속 연구로써 이루어지면 좋겠다. 또한 지역간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의 비교분석도 가능하고 다양한 평가척도를 활용한 같은 보육시설에 대한 연구로 평가척도에 대한 신뢰도를 연구하는 방안도 제안해 본다. The study on the qualitative aspect of the daycare facilities have been carried out after their spreading, to a certain degree, in terms of quantity.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overall level of the nurseries and, simultaneously, to know if there are qualitative differences between the private daycare facilities and the public or national ones-these two types could be divided according to their leading founder-by comparing them. The subjects of study presented in this research are these: 1. How's the overall qualitative level of the daycare facilities? 2. How's the qualitative level of the daycare facilities from the aspect of evaluative factor? 3. Are there any qualitative differences between the private daycare facilities and the public or national ones among the types of founding the daycare facilities?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the 93 nursing teachers working at the day care facilities in Seoul. There are 53 teachers working at the public or national daycare facilities, while 40 teachers working at the private ones among these. The instrument used in this research is "An evaluative standard of the nurseries", which is developed by Seo Moon-hee, Lee Shang-hun, and Im You-kyeong in September, 2000. This instrument is cited at a government report, <The study on the way of introducing the certificate system for evaluating the nurseries>. It is appropriate to use this instrument in that there are opinions that this certificate system should be used for evaluating the nurseries in 2003. And this Questionnaire is now used by the city of Seoul and Busan to award a prize to an excellent nurseries on the ground that it covers the whole field of the nurseries. Visits to the nurseries were needed for collecting the Questionnaires, which is conducted for a month from March 3, 2002 through March 31, 2002.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nursing teachers after accounting for this research to them, and then these were got back the next day. As an analyzing method, T-test to every field is used to confirm the overall qualitative level of the nurseries and correlations among the 9 items in every sub-field,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ivate nurseries and the public or national ones. Technical statistics is also used to analyze the types of the daycare facilities and to examine the required items of the nurserie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brought forward from the analysis of the nurseries' quality level in this research. Firstly, supposing 'the certificate system for evaluating the nurseries' is introduced, there are only a very small number of the nurseries which can be certificated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performed through self-evaluation by the daycare teachers. This is, at the moment, the overall qualitative level of the nurseries. So, to be ready for the introduction of the certificate system, it is desirable for all the daycare facilities to know exactly, and to improve gradually their requirements. Secondly, the qualitative level of the public or national nurseries exceeds that of the private ones in every aspect. It has proved that the public or national nurseries are superior to the private ones in all aspects. But the rate of meeting the requirements is not so high except for the field of managing and that of nursing process. It is necessary to improve continuously the fields that fall short of the requirements. Thirdly, regarding the qualitative level of the private nurseries, it is needed to prepare it for a considerable time for the introduction of the certificate system. That's because most of the requirements are short of their proper level except satisfying 70.0% of the teaching process field. On the basis of the study results I, the researcher, will suggest the things below to raise the qualitative level of the present nurseries. 1.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of this thesis, only a small number of the Korean daycare facilities can be certificated when the certificate system is introduced. Thus, educating the manager of the daycare facilities and making public, continually and at regular intervals, about the necessity to enhance their qualitative level is to be made. 2. And also, authorities concerned should make the manager of each daycare facility himself or herself raise its overall qualitative level by differentiating its treatment in accordance with whether it is certificated or not.(e.g. Stopping financial support to the daycare facility not certificated.) 3.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concerned should try to develop a basic standard for evaluating the nurseries, implementing 'the certificate system for evaluating the nurseries' by applying it, and thus making the parents use the facility without anxiety. It is no wonder that there are not many parents who want to receive daycare service, which, is generally at the lower state in evaluation-using standard for evaluating-to the daycare facilities. 4. Treatment to the nursing teachers should be improved, giving them necessary support, in time and money, to develop nursing programs,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tools. Nursing is a kind of welfare project, so it is necessary to support and pay more attention to it as a national welfare project, not leaving it to the individual's matter. That's because many parts of the nursing, including nursing teachers, nursing process, health, hygiene, safety, etc. are related to finance. 5.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qualitative level of the day care facilities which is certificated and managed by the government, then to evaluate the qualitative level of private and public or national facilities. But the management of the household daycare facilities (or play rooms), which can be run without any other restrictions except reporting its opening to the office concerned, is estimated to be much inferior to daycare facilities. The following study, therefore, is desired to compare qualitatively the daycare facilities and the play rooms utilizing the same instrument in this thesis. And there might be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provinces, so the comparative study could be possible. Studying the evaluative standards' reliability, by applying various evaluative standards to the same daycare facilities, is also needed.

      • 고령자 창업 욕구에 관한 연구

        박은주 동덕여자대학교 여성개발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의 목적은 생산적 복지를 위한 고령인구의 인력 재창출을 위한 한 방안으로 고령자의 창업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할 욕구가 있는 고령자가 창업시에 고려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둘째, 고령자의 창업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경제적 특성은 무엇인가? 연구방법은 서울시 B노인종합복지관에서 실시한 [고령자 창업설명회]에서 참석한 50-80대 노인 중 설문에 응답한 노인 1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SPSS 프로그램으로 통계 처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자의 80%가 창업을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고령자들이 경제 활동에 참여하고 싶어하는 열망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고령자들이 원하는 창업분야는 보건복지부에서 개발한 80여종에 속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대부분의 고령자들은 아직 욕구는 있지만 자신이 무엇을 하여야 할지를 모르고 있었으며 원하는 분야의 직종이 분명한 노인의 경우에는 이전의 직업과는 상관이 없는 새로운 분야의 직종을 원하는 경우가 많이 나타났다. 창업자금은 3천만원이하를 예상하고 있는 노인이 많았으므로 고령자들을 위한 직종개발에 있어서 적은 자본으로 창업할 수 있는 업종에 대한 개발과 아울러 여성 고령자들을 위한 직종개발이 있어야 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고령자들이 가장 도움 받고 싶어하는 분야는 경제적 원조와 판매에 필요한 기술이나 서비스 등의 정보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나 고령자 창업올 지원하는 체계적인 기관의 설립과 고령 자의 창업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고령자의 창업에 반대하는 가족으로는 자녀의 반대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창업의 실패에 따른 부양의 부담 등이 작용하였으리라고 본다. 그러므로 이러한 실패를 예비하여 가족창업, 동업형태의 창업 모형을 많이 개발하고 성공사례에 대한 전수교육도 아울러 필요하리라고 생각된다. 둘째, 고령자의 창업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한 인구사회학적, 경제적 특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창업이 가지는 장점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연령이나 학력에 제한이 없는 창업이 고령자에게는 취업보다도 도전해 볼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린 곳으로 인식될 수 있으며, 경제적인 여유가 있어야 창업이 가능하다고 생각되지만 고령자들의 경제적인 열악함이 창업욕구로 더 연결되어지는 결과로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고령자들의 창업욕구는 적절한 지원과 정책이 뒷받침되어야만 현실적으로 더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epare a basic data to help for the aged to implement start business as a method to recreate the aged population for a productive welfare. The problems of study established -to achieve this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onsiderations of the aged who desire for start business? Second, what are an population sociological and economical factors which take effect on the aged who desire for start business? As for the method of study,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ut toward 105 aged persons who responded to the questions among 50-80 year old persons who attended the [Expository Meeting for the Aged's start business] implemented at P welfare center for the aged in Seoul. The statistical treatment was conducted by the SPSS program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80 percent of the aged hoped start business to show the aged's desire to engage in the economical activities. The sector that the aged hoped start business occasionally belonged to the 80 or more jobs develop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but most of the aged didn't know what job they could do, though having a little desire. The aged who firmly convinced what kind of job they could do hoped to engage in a new field where he never did before. In case of the funds for start business, many aged persons estimated below 30 million Won, so it is required to develop the jobs into which can enter with small fund and also to develop the jobs for the aged women. Besides, the field where the aged hoped to receive a helping hand was economical assistance, necessary technique for sales, and information about services, so a necessity to establish the systematic organization who assists for the aged to initiate and to educate the aged for start business was arisen. The family members who opposed to the aged's start business appeared to be son or daughter owing to the burden ,`.o support according to their failure in start business. Therefore, the start business model such as family enterprise or partnership is required to be developed in order the failure in advance and education for start business and inheritance about success case is required, too. Second, it appeared that the population sociological and economical factors considered to influence on the aged's start business did no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This result is thought to be caused by the advantages of start business. start business unlimited by age or academic career can be recognized as a possible place for the aged to challenge, and though the economical allowance is taken as a source for start business, on the contrary, the aged's economical inferiority leads to a desire for start business than before. This desire of the aged for start business would be more really expanded when they are backed up by a proper assistance and policy.

      • 오규원의 '날이미지'시의 이론과 실제

        임지은 동덕여자대학교 여성개발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39

        이 논문은 오규원의 ‘날이미지’시의 개념과 ‘날이미지’시가 형성되기까지 진행되어 온 오규원의 시 세계를 분석하고 ‘날이미지’ 시론이 실제 창작의 과정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 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날이미지’ 시론이 어떤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오규원의 시 작품과는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 시사(詩史)적으로 어떤 위치에 도달해 있는지를 밝혀 본다. 또한 현대 시인들의 작품에 ‘날이미지’ 시론을 적용, 분석해 봄으로써 ‘날이미지’ 시론이 가진 보편적 적용 가능성을 탐구해 본다. 오규원은 등단 초기부터 언어의 본질에 대해 집요한 관심을 보인다. 그는 ‘일상 언어’에 대한 부정과 회의를 바탕으로 관념을 해체하고, 의미에 물들지 않은 ‘순수 언어’를 지향한다. ‘순수 언어’는 언어를 구상화하고 의물화하는 방식으로 구현되는데, 이는 세계의 추상성에서 벗어나 의미를 구체화하는 작업이다. 오규원은 고착화된 언어를 인식의 틀에서 벗어나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은유를 통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시한다. 70년대 중반 이후, 오규원은 자본주의와 산업화로 억압된 사회에 대응하려 한다. 그는 ‘순수 언어’를 향한 믿음에 회의를 품고, 세계와 언어 간의 불화를 드러내기 시작한다. 언어가 타락한 현실에서는 더 이상 기존의 시적 규범을 통해 세계를 제대로 파악할 수 없다는 사실을 직시한 그는, 당대 현실과 시적 주체가 서로 충돌하면서 전개되는 아이러니의 시쓰기를 시도한다. 이 아이러니는 알레고리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현실을 응시하는 시적 주체의 반성적 의식과도 연결된다. 하지만 현대 사회의 모습을 기교적인 언어로만 풀어냈다는 또 다른 한계에 부닥친 오규원은 ‘정황’에 대한 의미 부여에 집중하기 시작하며, 시에 대한 본격적인 물음을 제기한다. 그는 시적 사유의 주축인 은유적 사고에 대한 회의와 반성을 통해 환유적 언술 체계로 돌아서게 된다. 그의 이러한 노력은 관념어를 배제하고 언어가 존재 현상 그 자체가 되도록 하는 ‘날이미지’시라는 개념을 만들어낸다. 본고는 ‘날이미지’시가 오규원의 후기시의 한 경향이 아닌 독창적인 사유임에 주목하려 한다. 죽음 직전까지도 놓지 않았던 그의 시적 탐구의 결과물인 ‘날이미지’ 시론을 단독 주제로 짚어봄으로서, ‘날이미지’ 시론의 성과와 과제를 좀 더 투명하게 파헤쳐 보고자 한다. 본고는 오규원의 ‘날이미지’ 시론의 개념과 특징, 보편적 적용 가능성을 밝히고 성과를 고찰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지만, 보다 근본적으로는 그 안에 숨어 있는 오규원의 끝없는 시에 대한 열정을 주목한다는 데서 의의를 찾을 것이다.

      • 부모의 학대 유형과 불안, 공격성 및 학교 적응의 관계

        박덕숙 동덕여자대학교 여성개발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는 부모에 의한 학대유형에 의한 발생빈도 및 학대자의 학대 정도를 조사 분석하여 심리적 불안 및 공격성향과 학교적응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아동의 심리적 성격형성과 학교 생활에서의 사회성 발달에 있어 부모의 훈육적 중요성을 조명해 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에 의한 부당한 양육 방법을 신체적 학대·정서적 학대·방임의 세 가지 형태로 나누었으며 신체적 학대는 가벼운 구타·상해 위험의 구타·감정적 구타로 세분화하였다. 정서적 학대는 차별·편애 및 언어적 학대·모욕적 거부적 행동으로 나누었으며 방임은 보다 구체적으로 안전관리소홀·건강관리 비행방조·애정소홀로 나누어 학대 받은 아동의 심리적·인성특성과 학교 적응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중 하류계층의 책정을 두기 위해 서울 외곽 지역 중심으로 10개교 초등학교 5·6학년 재학중인 남·여학생 403명이었으며 사용된 조사 도구는 설문지로 구성되었다. 주요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에 의한 신체적 학대를 경험한 아동이 32%였으며 정서적 학대는 22%였다. 그리고 방임의 경우는 대부분의 문항에서 10% 이상의 비율의 아동이 부모로부터 학대의 경험이 있었고 신체적 학대가 정서적, 방임보다 더 자주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학대에 대한 학대자의 빈도 분포는 아버지보다 어머니에 의해 더 빈번히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 환경적 특성에서의 성별에 의한 학대 경험이 신체적, 정서적, 방임 학대 경험에 공통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남아의 경우가 여아보다 신체적 학대 및 방임, 교우관계 그리고 불안 및 공격성향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유형별 학대에 의해 아동의 학교 적응과 정서학대, 그리고 방임, 불안, 공격성과의 관계는 부모에 의한 신체적, 정서적, 방임학대를 경험한 아동의 경우, 학교적응 및 불안, 공격성과의 부적관계의 차이를 보였으며 아동의 불안 및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임 또한 아동의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역시 불안 및 공격성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보면, 가정에서 부모에 의해 발생하는 유형별 학대는 부모의 부정적인 양육행동과 태만으로 인해 비롯되어진다고 보고 학대경험의 아동에게 불안, 공격성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부모에 의해 신체적·정서적 학대를 경험한 아동은 부모의 폭력적 행동과 언어적 학대 행위를 학습을 통해 모방 기회를 가질 것이며 심리적으로 불안과 공격적 성향이 나타날 것으로 보여진다. 방임의 경우는 어머니에 대한 신뢰감 형성에 부정적 영향을 받으므로 불안정한 애착이 형성되어 불안과 공격성에 마찬가지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되어진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학대받은 아동들의 특성은 사회적·정서적으로 미성숙하고 심리적 불안감과 공격성을 유발시킬 것이며 부정적인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가정에서의 부모의 양육방법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지며 아동에 대한 인권 보호 적인 측면에서 부모의 올바른 인식을 갖게 하여 학대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사회적 노력이 촉진되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occurrence frequency and the extent of abuser's abuse by obser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anxiety, offensive disposition, and school adjustment, through which the educative importance of parents in forming children's mental character and in developing children' s sociality during school life will be illuminated. Ths thesis divided the unjust upbringing method by parents into physical abuse, emotional abuse, and neglect, among which the physical abuse was subdivided into minor beating, beating which may cause injury, and emotional beating. The emotional abuse was divided into differentiation, partiality, oral abuse, and insulting and rejecting behavior, and neglect was divided into negligence of safety supervision and health care, abetment of delinquency, and inattentive affection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used child's mental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chool adjustment. The subjects of study, 403 5th and 6th male and female graders of 10 elementary schools centering around the suburbs of Seoul were chosen in order to limit the range to the middle and lower classes and the research instrument used was a questionnaire. The major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 who experienced physical abuse by parents were 32%, and those who experienced emotional abuse were 22%. And most items showed that more than 10% of children experienced neglect, so it appeared that the physical abuse occurred more frequently than emotional abuse or neglect. Considering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abusers, child abuse was more frequently done by mother than by father. Second, the abuse experience according to sex in the family environmental showed a common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hysical, emotional, and negligent abuse, and the male child was found to be more influential to physical abuse, relationship with classmates, anxiety, and offensive disposition than female child. Third, i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s school adjustment, emotional abuse, neglect, anxiety, and offensiveness according to the abuse type by parents, the children who experienced physical, emotional, and neglect abuse by parents showed a negative difference in school adjustment, anxiety, and offensiveness, which appeared to be influential to the child's anxiety and offensiveness. Influence on neglect an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nxiety and offensiveness. The summary of the above results of study shows that the abuse type caused by parents at home is originated from the parents' negative upbringing behavior and negligence, and a child's experience of abuse is related to anxiety, offensiveness, and school adjustment. In other words, a child who experienced physical or emotional abuse by parents would have an opportunity to model after the parents' violent and oral abuse behaviors through learning and show a mental anxiety and offensive disposition. A neglected child would be negatively influenced in forming the reliance on mother and grow an unstable attachment which, in turn, influences on anxiety and offensiveness as well. As a result of these abuses, the abused children was found to show social and emotional immaturity, mental anxiety, and offensiveness, which might negatively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sociality. Accordingly, the importance of parents' upbringing method at home should be emphasized and a social efforts to prevent abuse in advance by instilling a right understanding to protect the children's human rights into parents should be facilitated.

      • 최인훈의 "광장"에 관한 개작 연구

        최유진 동덕여자대학교 여성개발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50639

        1960년 11월 ‘새벽’지를 통해서 세상에 나온 『광장』은 1996년 11월 문학과지성사판까지 36년 동안 일곱 번의 개작을 거치며 현시대의 광장에 새로운 모습으로 등장했다. 그 동안 『광장』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진 것은 자명한 일이지만 전반적인 개작 양상에 대한 검토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광장』에 관한 전체적인 개작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문학적 가치를 새롭게 조망해 보고자 했다. 초간본과 개작본 사이에 작가 의식이 관여한다는 원칙을 세우고, 그것을 토대로 판본을 비교 분석하여 작가가 지향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각 분석 요소에 따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명준은 철학적 사고를 지닌 소극적인 지식인에서 적극적이고 진보적인 휴머니스트로 탈바꿈한다. 이는 작가 의식이 주인공에 대한 집착과 인간애의 발현에 역점을 둔 까닭이다. 둘째, 이명준의 분신인 윤애와 은혜는 개작 전 이명준과 동등한 사랑의 관계를 형성하다가 개작이 거듭되면서 은혜를 향한 사랑으로 변화된다. 이러한 변화는 육체와 정신의 합일이 가능한 사랑을 추구하는 작가 의식에 기인한다. 셋째, 정향사판에서 새롭게 등장하는 ‘김’이라는 인물은 이명준과 대립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새로운 사건을 발생시킨다. 두 인물의 갈등 구조는 소설의 흐름에 극적 재미를 더한다. 넷째, 윤애와 은혜를 상징하던 갈매기가 민음사판에 와서는 은혜와 그녀의 딸로 상징의 대상이 바뀐다. 개인적인 사랑에서 가족을 향한 사랑으로 작가의 변화된 의식을 엿볼 수 있다. 다섯째, 윤애와 은혜에 대한 사랑과 이데올로기에 의한 이명준의 죽음이 개작 후 자유를 향한 의식적인 죽음으로 그 의미가 변화된다. 이것은 사후세계에 대한 희망적인 작가 의식의 내포라고 할 수 있다. 여섯째, 사건의 진행에 따른 구성이 현재→과거→과거→현재에서 개작된 문학과지성사 전집판에서는 현재→과거→현재→과거로 바뀐다. 작가는 주인공 의식의 현재화를 실현시키고 과거보다 현재를 강조한다. 일곱째, 초간본에서 사용한 한자, 외래어, 일본식 발음 등을 개작하는 과정에서 고치거나 삭제한다. 토박이말을 구사하고 주어의 생략과 쉼표를 사용하며 계속해서 문체를 다듬는다. 이로써 작가는 작품에 견고한 외곽 틀을 형성하고 독자에게 좀 더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변화시킨다. 결과적으로 일곱 개의 요소들은 초간본을 바탕으로 개작되면서 많은 변화를 보여준다. 그 과정에서 작가는 하나의 문장에서부터 전체적인 양상까지 작품을 한 단계 승화시키고 참된 모습을 갖추기 위해 노력한다. 『광장』은 한 세기를 마무리하면서 기념비적인 이정표로서 작용하며 독자에게는 완성된 작품을 읽는 재미를 부여한다. 『Open Square』 that had come in to the world through the Saebyuk magazine in Nov. 1960 have appeared in Nov. 1996 as a new figure of the present times through the seven revise for 36 years until the Moonhak & Jisungsa edition. The study about 『Open Square』 has been proceeded actively until now, though that is self-evident; it was not general study about the appearance of revised editions. Through the study about the appearance of revised editions, it does intend newly to take a view of the literary value about that.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that author's spirits have involved between the original and revised editions, it is the study what author had intended to pursue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about the revised works. Followings are contents of the studied results in accordance with the points of analysis. The first, Myoung-joon has changed to active and progressive humanist from passive intellect with philosophical reason. This is reason why the author's spirits had placed great emphasis on expression of attachment and humanism for hero. The second, Yun-ae and Un-hye as the other self of Myoung-joon maintained equivalent relation of lover, but it has been changed love for Un-hye through revise. This change is on the basis of the author's spirits that pursue love to be able to add platonic and physical. The third, character 'Kim' who newly appeared in Junghyangsa edition make the confrontational relation with Myoung-joon and bring about new affairs. The trouble structure of two men has added to dramatic interest in flow of the work. The fourth, the sea gull as object of symbolic is exchange from Yun-ae and Un-hye to Un-hye and her daughter in Minumsa edition. We can guess the changed spirits of the author's from personnel love to love for family. The fifth, it has been changed the meaning from the death of Myoung-joon by love for Yun-ae & Un-hye and ideology to conscious death toward freedom after revise. This is regarded as connotation of hopeful the author's spirits after death. The sixth, the constitu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ogress of the affairs changed from the present→the past→the past→the present to the present→the past→the present→the past in revised the Moonhak & Jisungsa complete works edition. The author has set the hero's spirits to the current aspect and has emphasized the present more than the past. The last, Chinese character, a word of foreign origin, Japanese pronunciation etc. was deleted or amended through the progress being revised. He has applied the native tongue, the rest and the omission of the subject, and trimmed the literary style continuously. The author makes the solid exterior frame and reform to access easier by reader. Finally seven main points show a lot of changes through the revise on the basis of original edition. Intention that is pursued by author in the course makes develop one step a work from a sentence to general appearance and it is in endeavor in order to possess truthful figure. Therefore 『Open Square』 acts as memorial milestone and gives the interest of reading the completed work to reader at the end of a century.

      • 장애아 통합보육의 질적 제고를 위한 보조 인력에 대한 통합보육교사와 시설장의 요구도 조사

        서보경 동덕여자대학교 여성개발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39

        장애아 통합보육은 또래 유아와의 조기 통합으로 사회성 발달과 장애아동에 대한 태도와 인식의 변화 등에서 매우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유아기의 통합보육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국가적인 차원에서 장애아 통합보육에 대한 지원과 통합보육교사에 대한 고려는 아직까지도 미흡한 실정이어서 많은 장애영유아들이 보육현장에서 소외되고 있으며, 설사 일반 보육시설에 통합되어 있다 하더라도 담당 교사들이 그 임무 수행에 있어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통합보육시설에서 종사하고 있는 통합보육교사와 시설장을 대상으로 보조 인력에 대한 필요성과 요구도를 진단하고, 이에 기초하여 보조 인력의 지원으로 통합보육교사의 전문성과 통합보육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현재 서울시에 소재하고 장애아통합보육을 실시하는 국,공립어린이집 30곳을 선정하여 시설장과 통합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왔다. 첫째, 장애아 통합보육을 위한 시설의 준비 상태와 프로그램 준비상태는 양호하며, 교사는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나왔다. 둘째,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모두 보육활동 시간에 종종 소외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조 인력과 함께 보육을 경험한 통합보육교사와 시설장은 비교적 적은 편이었으나 보조 인력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보조인력의 필요성을 대부분 느끼고 있었다. 넷째, 보조 인력이 필요한 시간은 일상적인 개인생활 지도에서 가장 많이 필요로 하고 하루 평균 4~5시간 정도 필요하다고 요구하였다. 다섯째, 시설장들은 보조인력 부담금액을 1인당 월 30만 이하의 예산이 있다고 하였으며, 보조 인력의 교육정도는 고졸 이상의 사전교육을 받은 20대 후반부터 30 후반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보조 인력의 지원으로 통합보육교사의 전문성 증진과 장애아 통합보육의 질 향상에 긍정적이면서 커다란 영향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통합보육시설에서 종사하고 있는 통합보육교사와 시설장을 대상으로 보조 인력에 대한 필요성과 요구도를 조사한 결과에 기초하여 통합보육교사의 전문성과 통합보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장애아 통합보육시설에 보조 인력에 대한 지원이 정책적으로 마련되어야 하며, 통합보육교사와 시설장이 원하는 활동과 시간대에 지원해야 할 것이다. 둘째, 장애아 통합보육시설의 요구에 따라 보조 인력을 선정하여 지원해야할 것이다. 셋째, 장애아 통합보육시설의 재정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시설 부담금액을 1인당 월 30만원 이하로 줄여나가야 할 것이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들로 미루어볼 때, 장애아 통합보육 시설에 보조 인력이 정책적으로 마련되고 지원되었을 때, 통합보육교사의 전문성과 보육의 질의 향상을 기대해 볼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The demand for integrated childcare at babyhood is getting higher because the integrated childcare with disabled children can give very positive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sociality, the change of attitude and recognition for the disabled children and etc. due to the early integration with an infant of the age. But a lot of disabled infants are neglected at the childcare spots because the supports for integrated childcare with disabled children and the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hildcare teacher at the governmental level are still insufficient. Even if the supports and considerations are integrated at common childcare facilities, the teachers in charge complain of difficulties to carry out their duties. So, I would like to check the necessity and the demand for support staff against integrated childcare teachers who now engaged in integrated childcare facilities and the facilities and based on this, to find how to improve the expertise of integrated childcare teachers and the quality of integrated childcare with the aid of support staff. So, for this study, I select 30 national & public nurseries practicing integrated childcare for disabled children in Seoul and research on actual conditions against the facilities and the integrated childcare teacher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The first, the preparation of facilities and programs for integrated childcare with disabled children was good but, the teacher was insufficient. The second, it showed that both the disabled children and the common children were often neglected during childcare activities. The third, the integrated childcare teachers and nurseries experienced with support staff were comparatively small. But they were positive for support staff and most of them were feeling the necessity of support staff. The fourth, the teachers answered the support staff is the most required for guidance of common individual life and the required time is about average 4~5 hours per day. The fifth, it showed that nurseries have budget less than monthly 30 thousand won per 1 support staff and they prefer from late twenties to late thirties with prior education and educational attainments equal to and higher than those of high school graduate. The last, they expected that the aids of support staff can greatly and positively affect to the advance of expertise of integrated childcare teachers and the quality improvement of integrated childcare with disabled children. Thu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necessity and the demand of support staff against integrated childcare teachers and nurseries engaged in integrated childcare facilities, I would like to suggest in order to increase the expertise of integrated childcare teachers and the quality of integrated childcare as below : The first, the aids for support staff at the integrated childcare facilities with disabled children should be supplied politically and the support staff should be supported for the activities and the time zone that the teachers and facilities want. The second, the support staff should be selected and supported in accordance with the requests of integrated childcare facilities with disabled children. The third, the cost of integrated childcare facilities for support staff should be decreased less than monthly 30 thousand won per support staff considering their economic conditions. From the results by above researches, I think that expertise of integrated childcare teacher and the quality of childcare can be improved when support staff for the integrated childcare facilities with disabled children should be prepared and supported politically.

      • 중년의 치매에 관한 인식과 태도 : 사오십대를 중심으로

        송영희 동덕여자대학교 여성개발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조사연구는 기질적 정신장애인 치매에 관한 인식수준과 태도를 파악하여 앞으로 노인복지방향에 있어서 치매예방을 위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사·오십대의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치매에 관한 인식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가족관련특성을 독립변수로 치매에 대한 인식 수준의 차이를 알아본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치매에 대한 태도(정서적 태도, 행동적 태도)는 어떠한지 알아본다. 셋째, 치매에 대한 인식과 태도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지 알아본다. 넷째, 치매에 대한 사회복지서비스 요구에 대해 알아본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제주도 제주시와 군 소재지에 거주하고 있는 사·오십대 376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 t-검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매에 대한 인식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인은 가족 중에 치매노인이 없었든 집단이 있었던 집단보다 치매에 대한 인식수준이 더 높았다. 가족 중 치매환자를 수발한 경험이 있는 집단에서는 수발기간이 길어질수록 치매에 대한 인식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5년 이상의 경우에서는 3-5년 미만 사이에서 보다 치매사실에 대해 당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정보 유, 무에서는 치매정보를 알고 있는 집단이 알지 못하는 집단보다 치매에 대한 인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치매에 대한 정서적 태도는 남자가 여자보다 긍정적인 태도가 높았다.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월 평균소득이 높을수록, 생활수준이 중산층인 집단에서, 그리고 전문직, 행정/관리직에 종사하는 사람들보다 농, 어, 축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치매사실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가족 가운데 치매 노인이 있었던 경우와 치매노인을 직접 수발한 경험의 가족일수록 정서적 태도가 높았다. 행동적 태도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으며 이는 정서적 태도에서 여성보다 남성이 치매사실이나 치매노인에 대해 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갖는 것과는 상반되는 결과로 나타났다. 또한 치매정보를 들은 집단이 듣지 못한 집단보다 치매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치매에 대한 사회복지 서비스 욕구에서 치매의 초기치료기관으로는 치매전문병원에 대한 인식,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치매환자의 수발책임성에 국가나 사회단체보다는 치매환자 가족이 책임져야한다고 나타났다. 치매환자를 돌봄에 있어 사회적인 배려는 시설서비스의 욕구가 가장 높았다. 그리고 치매예방과 치료를 위한 사회복지서비스의 욕구가 매우 높았다. 넷째, 인식과 태도와의 관계는 치매 인식수준과 정서적 태도는 약하지만 유의한 관계가 있었고 치매 인식수준과 행동적 태도도 역시 약하지만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치매인식 수준과 행동적 태도와의 관계가 정서적 태도와의 관계보다 다소 강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오십대의 중 장년층의 치매에 관한 인식수준과 태도에 있어서 성별, 학력, 직업, 월평균소득, 생활수준, 치매에 대한 정보 유무, 가족 중 치매 유무, 가족 중 치매 수발 유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므로 중 장년충을 대상으로 하는 치매에 대한 예방과 조기발견, 발병가능성 및 치료를 도울 수 있는 올바른 교육 및 홍보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또한 치매노인을 수발하는 가정을 위해서 시설서비스의 확충과 적극적인 홍보매체가 필요하며 우리 실정에 적합한 보건 의료적 측면, 간호측면, 사회복지 측면의 치매교육 프로그램 개입이 지역사회 차원에서 요구되고 종합적인 치매관리 모델이 정책적 차원에서 국가적 수발체계의 지원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at groping for the approach to heighten the cognitive level about dementia for the middle and elder generations ranging from forties to fifties preferentially formed to prevent it hereafter in the direction of welfare for the aged by identifying cognition and attitude toward dementia and a mental disease by stroma, while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in the cognitive level about dementia by making the population sociological Seoond, the population sociological factor and attitude toward deba (emotional and behavioral attitude) are examined.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gnition and attitude toward dementia is considered. Fourth, a demand for the social welfare service for dementia is examined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376 person in their forties and fifties who resided in Jeju city, Jeju ireland as a location of county, whi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implementing SPSS statistics program which includes frequency, One way ANOVA, correlation, and t-test, which results in as follows: First, as for the factor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gnitive level of dementia, the cognitive level of a group with the aged afflicted with dementia among family members than a group without the aged afflicted with dementia was higher. while in case of a group who experienced caring for the patient afflicted with dementia, the longer the length of caring, the higher the cognitive level of the patient. But the group who cared over five years did not show furstration by knowing the fact attacked by dementia rather than the one who cared below 3-5 years. In case of an presence of dementia, the degree of cognition felt by a group who has the information of dementia was higher than by the one who does not. Second, as for the emotional attitude toward dementia, men showed a more positive attitude than women. The higher the academic career and the higher the average income per month, the higher the cognition was. In case of the middle class enjoining the living standard, those who engaged in agricuture, fishing, dairy industry showed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dementia than those who engaged in professional, administative, and managing jobs. Moreover, a family living with a dotard or experiencing directly caring for a dotard showed a more positive attitude. Women than men showed a more behavioral attitude, which contrasted with the fact that men took a more emotional attitude than women. In addition, the group who got the information about dementia showed a more positive attitude than the one who did not. Third, as for the need to receive the social welfare service for dementia, the professional hospital dealing with dementia as an initial caring center appeared higher in cognition and realiability. A family living with a dotard was regarded to be responsible in caring for the person rather than nation or social organizations. In caring for a dotard, a need for the facility service appeared highest as a social consideration. Also a need for the social welfare service to prevent and cure dementia was highest. Fourth,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on and attitude, the cognitive level of dementia and emotional attitude was weak but significant, 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gnitive level of dementia and behavioral attitude appeared also weak but rather strong. From the above results, the cognitive level and attitude toward dementia of the middle and elder aged ranging from forties to fifti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ex, academic career, job, average income per month, living standard, presence of information about dementia, presence of dementia among family members, and presence of caring for dementia among the family members. Therefore, a program for the proper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is required for the prevention of dementia, early discovery, and potential outbreak of disease and cure targeting the middle and elder generations. Additionally, facility service and mass for active public relations were required to be amplified for the family caring for a dotard, while a program's arbitration to educate dementia from health and medical service's side, from nursing's side, and from social welfare's side was demanded in the level of the local community. Finally, the national system to care for a dotard should be developed to make a comprehensive model in order to manage dementia from the part of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