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원봉사활동이 중년기 여성의 우울정도와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조예경 동덕여자대학교 여성개발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들어 인간의 수명이 길어지고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중년기 이후의 삶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그리고 현대의 중년여성들은 바쁘게 돌아가는 사회속에서 동떨어져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럼으로 인해 현대 중년기 여성들은 우울증과 자아정채감의 상실로 많은 어려웅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중의 하나가 자원봉사활동인데, 본 연구에서는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중년기 여성과 참여하지 않는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과연 자원봉사활동이 그들의 우울정도와 자아정체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하여 연구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의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우울정도와- 자아정체감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둘째 연구대상자를의 특성에 따라 우울정도와 자아정체감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자원봉사활동 유무와 우울정도, 자아정체감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마지막으로 연구대상자들의 특성과 자원봉사활동 유무에 따라 우울정도와 자아정체감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이다. 선행연구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울정도와 자아정체감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들을 사용해 자원봉사활동 참여자와 비 참여자를 대상으로 우울정도와 자아정체감을 측정하여 분석하여 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시에 거주하고 있는 205명의 중년기 여성으로, 2002년 3월 25일부터 4월 14일에 걸쳐 조사가 실시되었고, 여기서 얻어진 자료를 통해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t검정, 분산분석을 활용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상자들의 우울정도와 자아정체감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우울정도가 심할수록 자아정체감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자별 특성에 따른 관계를 살펴보니, 건강상태와의 관계만 의의가 있었다. 즉, 건강하지 않은 경우가 우울정도는 심하고 자아정체감은 낮은 결과를 보였다. 셋째, 자원봉사활동과 우울정도, 자아정체감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자원봉사활동 참여자보다 비 참여자의 우울정도가 높게 나타났고, 자아정체감도 낮았고, 우울의 원인에도 차이가 있었다. 넷째, 연구대상자들의 특성과 자원봉사활동 유무에 따른 우울정도, 자아정체감간의 관계를 살펴보니, 자원봉사활동 참여자의 경우에는 연령, 교육 수준, 소득수준에 따른 차이를 보였으나, 자원봉사활동 비 참여자의 경우에는 건강상태에 따른 차이만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년기 여성의 자원봉사활동 활성화를 위한 몇 가지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중년기 여성들의 자원봉사활동 참여를 독려할 수 있는 홍보매체의 개발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러므로 사회복지사들의 홍보에 대한 이해와 인식의 변화, 그리고 교육을 통한 홍보매체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전업주부인 중년여성의 참여뿐 아니라, 직업여성의 여가활용의 한 방편으로 자원봉사활동을 활용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자원봉사활동 분야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중년기 여성이 가족들로부터 소외감을 느끼지 않고 일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가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Nowadays as the human beings enjoy a longer life and their living standard is improved, the life beyond the middle-age period occupies a large part. The modern middle-aged women are often isolated from the society which busily turns day by day. Therefore, the modern middle-aged women suffer many difficulties owing to depression and loss of self-identity. One of the methods which may be helpful to this problem is the voluntary service activity, so this thesis focuses on the effect of the voluntary service activity on the degree of depression and self-identity of the middle-aged women by dividing them into those who participate in the activity and those do not. Thus, the issues of this study were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what relationship is there between the degree of depression and self-identify? Second, what difference id there between the degree of depression and self-identif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of study? Third. What relationship is there between voluntary service activity on the degree of depression and self-identity? Finally, what difference is there between the degree of depression and self-identit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of study and the existence of voluntary service activity? Some instruments which could measure the degree of depression and self-identity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previous researches were used to analyze the degree of depression and self-identity on the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in the voluntary service activity.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25 through April 14, 2002, 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205 middle-aged women who resided in Seoul, and the results could be summarized by utilizing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dispersion analysis of the data obtain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looking in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depression and self-identity of the subjects, it appeared that the deeper the degree of depression, the lower the level of self-identity. Second,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just the relation with physical condition was significant. That is, if the subjects were unhealthy, the degree of depression was deeper and the self-identity was lower. Third, the difference between the voluntary service activity, degree of depression, and self-identity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the degree of depression of the participants in the voluntary service activity appeared higher than the non-participants, showing low self -identity and different causes of depression. Fourth, looking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depression and self-identity according to the subjects' characteristics and existence of voluntary service activity, the participants in the voluntary service activity showed difference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level, and income level, but the non-participants showed difference just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Here, a number of methods to vitalize the voluntary service activity of middle-aged women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presented. First, it is important to develop an information media which may encourage the middle-aged women to take part in the voluntary service activity more than anything el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ocial worker's information and change of recognition and to develop the information media through education. Second, it is required to research and develop several fields of voluntary service activity in order to utilize the service activity as a way to utilize spare time of career woman as well as a middle-aged woman, full-time housekeeper's participation. Third, a program of voluntary service activity in which the family members can take part together is urgently required so that the middle-aged woman might feel a sense of unity without feeling alienation from the family.

      • 수해 피해 유형에 따른 취약요인 선정 및 지역 유형화

        조예경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의 강수 패턴이 강수량은 증가하고 강수일수는 감소하는 패턴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앞으로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 때문에 앞으로 수해 발생 위험성 또한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즉, 현시점에서 수해 관리 대책에 대한 점검과 새로운 방향 제시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수해는 단순히 재해에 노출로 인하여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인구, 지형, 시설 등 각 지역의 여러 특징에 따라서 다른 양상으로 발생한다. 그래서 효과적인 수해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특징과 그로 인한 수해 취약 성을 반영한 대책을 세울 필요가 있다. 하지만 동시에 재해정보의 공유, 예방 및 대응 지침 제시 등을 위하여 국가 중심의 통합적인 재해 관리 체계가 필요하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 229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수해 유형에 따른 취약요인을 반영한 지역 유형화를 통하여, 지역의 특징을 반영한 통합적인 관리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취약성 개념은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같은 분야 내에서도 정의및 분석 방법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여, 수해 취약성을 연구지역이 호우에 얼마나 노출되어 있는지를 의미하는 노출 요인과 민감도 및 적응을 포함한 수해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구분 하여 보았다. 이때, 각 요인에 대한 대리변수는 수해 취약요인에 관한 선행 연구들 바탕으로 선정하였다. 수해 취약요인을 선정하기 전에 본 연구에서는 수해 피해 유형을 세분화 하기 위하여, 현재 수해 데이터 관리 체계 및 실태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피해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해 피해 유형을 1) 침수· 산사태 피해지와 2) 재산·인명피해 발생지로 구분하여 2020년의 수해 피해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침수 및 산사태 데이터의 문제로 재산 및 인명피해 데이터만을 활용하여 피해 유형을 5가지로 세분류하였다. 그 다음으로, 선정한 수해 노출 및 영향요인과 피해 데이터 간의 상관분 석을 통하여 유형별 취약요인을 선정하고, 각 요인별 군집분석 결과를 바탕 으로 피해 유형별 발생지를 유형화하였다. 유형화 결과, 시군구별 피해액, 1 인당 피해액, 총인구 대비 인명피해 발생 비율, 복합피해 취약요인에 따른 군집들 중 증가요인이 높게 나타나고, 감소요인이 낮게 나타나는 군집에 속한 지역들은 수해 피해 우려 지역으로 선정하여, 우려 지역에 대한 요인별 특성을 반영한 수해 방재대책 마련과 사전관리 필요성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 미발생지에 대하여 군집분석을 진행하 여, 노출 요인이 높게 나타난 지역을 수해 우수방재 지역으로 선정하고,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해 우수방재지역은 재난 관련 정보 접근성이 높은 공통점이 있어, 수해 방재를 위한 정보 접근성 증대의 필요성을 제안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의 피해유형 및 특성을 반영한 재해 대응 정책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재난 정보 접근성 증가의 필요성과 이를 위하여 수해 데이터 관리를 보다 체계화 및 세분화하는 방향으로 개선해야 할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를 통하여 향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수해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 및 복구방안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는 바이다.

      • 뇌졸중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4기 및 5기(2007-2011) 자료를 대상으로

        조예경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factors impacting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by analyz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 and stroke related characteristic in order to provide fundamental data which can improve HRQoL of stroke patients. Methods: The 3rd and 4th volume of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11, a national wide health survey in Korea, was used. Of the 42,347 individual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strok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t the age of 40 or older were 622. Of these, 608 participa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of EQ-5D, EQ-VAS; they were included in this study. EQ-5D index and EQ-VAS which are measurement of HRQoL in questionnaire were used as dependent variable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troke related characteristics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used to show distributions and characteristics of stroke patients. To compare average of EQ-5D index and EQ-VAS and verify significant variables, t-test and ANOVA were used. To find out the factors impacting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ests were performed using valid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complex samples which were adapted weight. Result: Result for the factors impacting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is as follows; the level of education, amount of income, existence of job, diagnosed age, whether having sequela, limitation of mobility after stroke and duration of stroke. Having higher educational level, an occupation, getting diagnosed at younger age, no sequela, no limitation of mobility or shorter period of strok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gets better. Conclusion: In this study, we can found the factors impacting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To improve stroke patient's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early diagnosis of stroke, vocational training development, offering medical service for recovering sequela and reducing duration of disease should be considered. Key words: Strok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EQ-5D, EQ-VAS, Stroke related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