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영한,정영기,김광윤 한국공인회계사회 2019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6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 stakeholders in audit work recognize the definition of audit quality, measurement method, and factors that determine audit quality.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of audit quality, how to measure audit quality, and how to control audit quality.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meaning, contents and enhancement methods of audit quality from the viewpoint of auditor who is producer of audit service. This study surveyed auditors, financial information users group (audited company, financial institution, supervisory agency) and scholar group. In addition,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accounting firm representatives or quality control representatives by type of accounting firm. As a result of this study, audit hour calculated by weighted average of career, turnover of CPAs in accounting firm, and continuity of audit team were important indicators of audit quality. In order to improve audit quality, internal quality control and independence policy of accounting firm, compensation system and career management policy in accounting firm are important. There is a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audit quality determinants between large accounting firms and small/medium sized accounting firms. Therefore, the audit quality management method considering such differences is required. Large accounting firms have a higher proportion of accountants with shorter careers and higher turnover than small and medium-sized accounting firms. Since large accounting firms have a small percentage of partners and executive directors with many years of experience, the senior managers' involvement in auditing and the review function of audit document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udit quality.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small and medium-sized accounting firms, the members of the individual audit teams have a high level of audit performance, so it is important to document their audit tasks and to build an archive systematically.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was that it was conducted by the methodology of the survey,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urvey respondents may not represent the opinion of the group as a whole. This study surveyed members of the Korean Accounting Association, Korean Taxation Association, and Korea Certified Public Accountants Association, and tried to investigate as many respondents as possible. In addi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representatives of the accounting firm and the heads of the hearing, efforts were made to overcome these problems. 본 연구의 목적은 감사인, 감사보고서 이용자, 학계 등 이해관계자들이 감사품질에 대한 정의, 측정방법, 감사품질을 결정하는 요인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조사,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감사품질이 무엇인지에 대한 개념정립과 감사품질의 측정방법과 감사품질 결정요인에 대한 관리방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감사인, 재무정보 이용자 집단(일반 피감사회사, 금융기관, 감독기관), 한국회계학회 및 한국세무학회 회원 학자 집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회계법인 유형별로 회계법인 대표 혹은 품질관리 담당조직(심리실) 대표에 대한 심층면담조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 응답자들은 대체적으로 감사가 절대적 확신이 아닌 합리적 확신을 제공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독립성 유지가 감사품질의 핵심적 요소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감사품질의 적정한 측정치에 대해서 경력기간을 가중한 감사시간과 회계법인내의 회계사의 이직률 및 감사팀 구성원 지속성(continuity)을 중요한 감사품질의 지표로 보고 있으며, 감사품질의 영향요소로서 회계법인 차원에서는 회계법인의 내부품질관리의 유효성을, 감사업무 수행팀 차원에서는 담당파트너 및 매니저의 산업에 대한 전문성, 투입인력의 등록회계사로서의 경력기간, 매니저 및 스탭의 업무 부담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실현가능성, 회계정보의 보수성 및 이연법인세자산의 가치관련성
권혁대,김은주 대한회계학회 2010 대한회계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
본 연구는 회계정보의 보수성 정도가 법인세효과의 실현가능성에 따른 이연법인세자산의 가치관련성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보수주의 성향이 낮다는 것은 경영자에게 이익조정의 기회를 제공하고 투자자 및 채권자 보호기능이 감소하는 상황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 시장참여자들이 합리적으로 반응한다면 회계정보의 보수성 정도가 낮을수록 실현가능성에 따른 이연법인세자산의 가치관련성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먼저 실현가능성에 따른 이연법인세자산의 가치관련성을 분석하고, 이어서 회계정보의 보수성 정도에 따른 이연법인세자산의 가치관련성을 분석한 다음, 회계정보의 보수성 정도가 실현가능성에 따른 이연법인세자산의 가치관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실현가능성이 낮을수록, 회계정보의 보수성이 낮을수록 이연법인세자산의 가치관련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현가능성이 낮고 회계정보의 보수성이 낮은 집단에서 이연법인세자산의 가치관련성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실현가능성이 높고 회계정보의 보수성이 높은 집단에서는 이연법인세자산의 가치관련성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특히 실현가능성이 낮고, 회계정보의 보수성이 낮은 집단이 계상한 이연법인세자산을 주식시장 참여자들은 경제적 실질이 있는 자산으로 평가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기서 주식시장 참여자들의 평가는 실현가능성보다는 회계정보의 보수성에 대해 더 민감하게 반응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실현가능성 효과 및 회계정보의 보수성 정도에 따라 이연법인세자산이 차별적 가치관련성을 가질 수 있다는 사실과 함께, 회계정보의 보수성이 사전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조용박,김경호 대한회계학회 2010 대한회계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
본 연구는 한국거래소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지배구조와 이익의 질 및 경영성과와의 관련성을 1단계로 실증하고, 기업지배구조와 관련된 이익의 질 및 경영성과와 기업가치와의 관련성을 2단계로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먼저 1단계에서 기업지배구조관련 변수로서 이사회(사외이사비율, 사외이사 참석비율, 사외이사 내 회계전문가, 연간개최횟수), 감사(내부감사, 외부감사로서 Big4(5)여부), 소유권(기관투자자비율, 외국인투자자비율, 대주주지분율)을 채택하였다. 이익의 질 대용변수로는 Dechow-Dichiev(2002)모형을 사용하였다. Core 외(1999) 모델을 사용한 2단계에서는 기업가치 변수로서 FUTCFO, FUTROA, Tobin's Q를 이용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2004년부터 2008년까지 한국거래소에서 상장되어 있는 기업(금융업 제외, 12월 결산법인)을 대상으로 FnGuide를 이용하여 재무data를 추출하였고,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서 2005년에서 2007년까지의 기업지배구조 변수를 직접 추출하여 연구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첫째, 사외이사의 참석률이 높을수록, 비상임감사보다는 상임감사,감사위원회가 설치될수록, 최대주주의 지분율이 낮을수록, 기관투자자가 많이 투자한 기업일수록 이익의 질이 높았다. 둘째, 사외이사 비율이 낮을수록, 감사위원회가 설치되고, Big4(5)인 경우 ROA가 높았다. 외국인 및 기관투자자들은 ROA가 높은 기업을 선호하였다. 셋째, 기업지배구조에 의한 이익의 질이 높고 경영성과가 좋으면 미래누적영업현금흐름과 미래누적ROA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기업의 가치가 높아진다. 즉, 이와 같은 결과는 좋은 기업지배구조는 이익의 질 및 경영성과에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기업지배구조에 의한 이익의 질 및 경영성과는 기업가치를 높인다고 할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