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3차 의료기관의 소화기 전문의에게 의뢰된 기능서 위장질환의 양상

        함기백,김종수,이광재,김진홍,조성원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4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0 No.2

        목적: 위장관 증상으로 3차 의료기관에 의뢰된 환자에서 위장관 증상의 빈도, 로마기준 II에 의해 진단된 기능성 위장질환의 종류 및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동년 3월까지 아주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에 위장관 증상을 주소로 내원한 초진 환자 47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간담췌질환이 원인인 경우는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고, 로마기준 II에 따른 기능성 위장질환의 분류가 가능하도록 고안된 설문지를 통하여 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대상환자 중 기질적 질환이 90명(19%), 기능성 위장질환으로 진단된 경우가 332명(70%) 이었으며, 54명(11%)의 환자에서는 기질적 원인을 찾을 수 없었으나 로마기준 II를 만족시키지 못 하는 환자였다. 기능성 위장질환은 기질적인 질환에 비해 여자에서 더 흔하게 나타났다.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으로 상부 위장관에서는 소화불량(33%)이, 하부 위장관에서는 복통/복부 불쾌감(27%)이 가장 많았다. 기능성 위장질환 중에는 기능성 소화불량증(37%)과 과민성 장 증후군(18%)이 가장 많았으나 그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기능성 위장질환이 관찰되었다. 기능성 위장질환으로 진단된 환자들 중 20%에서 2가지 종류 이상의 기능성 위장질환을 갖고 있었으며, 기능성 소화불량증과 과민성 장 증후군이 중복된 경우가 가장 많았다. 결론: 기능성 위장질환은 3차 의료기관의 소화기 전문의에게 의뢰되는 가장 흔한 질환이며, 특히 기능성 소화불량증과 과민성 장 증후군이 가장 많은 군을 차지한다. 여러 부위의 다양한 기능성 위장질환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보다 효과적인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신뢰성 있는 분류가 필요하다.

      • SCIESCOPUSKCI등재

        식도운동질환과 위식도역류의 연관성

        김지향 ( Ji Hyang Kim ),이풍렬 ( Poong Lyul Rhee ),홍성노 ( Sung Noh Hong ),이준행 ( Joon Haeng Lee ),김영호 ( Young Ho Kim ),손희정 ( Hee Jung Son ),김재준 ( Jae Jun Kim ),백승운 ( Seung Woon Paik ),이종철 ( Jong Chul Rhee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5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1 No.1

        목적: 식도운동질환과 위식도역류질환과의 연관성을 시사하는 여러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이 중 새로이 분류된 비효과적 식도운동은 위식도역류질환의 주요 식도내압검사 소견으로 일부 연구에서는 위식도역류질환의 표지라고 주장되기도 하지만 논란이 되고 있으며, 이를 제외한 다른 식도운동질환에서 위식도역류질환의 빈도와 연관성을 살펴본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저자 등은 새로운 진단 기준을 적용하여 식도운동질환과 위식도역류질환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Background/Aims: There have been controversies on whether IEM is the marker for pathologic acid exposur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ther motility disorders and pathologic acid exposure has been studied only rarely.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 SCIESCOPUS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일차성 식도운동장애에서 신경성 산화질소-합성효소 유전자 다형성에 대한 연구

        이태희 ( Tae Hee Lee ),이준성 ( Joon Seong Lee ),김연수 ( Yun Soo Kim ),이종은 ( Jong Eun Lee ),조은영 ( Eun Young Cho ),정인섭 ( In Seop Jung ),고봉민 ( Bong Min Ko ),홍수진 ( Su Jin Hong ),유창범 ( Chang Beom You ),김진오 ( Jin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8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4 No.2

        목적: 일차성 식도운동장애는 내인성 억제신경의 기능의 문제와 연관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억제신경에 가장 중요한 신경전달물질은 산화질소(Nitric oxide, NO)로 NO 합성효소(NO synthase)에 의해 합성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nNOS 유전자 다형성과 일차성 식도운동장애의 연관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체 168명(남자 76명, 여자 92명; 중앙 연령 49세) 중 36명의 위식도역류질환 환자를 포함한 일차성 식도운동장애 환자군 129명(식도이완불능증 25명, 미만성식도경련 6명, 호두까기 식도 37명, 비특이적 식도운동장애 17명, 고압성하부식도조임근 3명, 저압성하부식도조임근 5명)과 건강한 39명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유전자 다형성을 보였던 세 nNOS 유전자 SNP (rs374147, rs2682826, rs3782218)를 이용하여 위식도역류질환을 포함한 일차성 식도운동장애군과 대조군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결과: nNOS의 유전자 다형성(rs374147, rs2682826, rs3782218)은 위식도역류질환을 포함한 일차성 식도운동장애군과 대조군 간에 유전자형, 대립유전자 빈도 분포 및 일배체형 분석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nNOS 유전자 다형성은 일차성 식도운동장애의 병태생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Aims: Primary esophageal motility disorders (PEMDs) are caused by different degrees of inhibitory dysfunction. Nitric oxide (NO) is a major inhibitory neurotransmitter. Some studies have shown that NO production is regulated by NO synthase (NOS) polymorphism.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whether neuronal NOS (nNOS) gene polymorphism is associated with a susceptibility of primary esophageal motility disorders. Methods: Total 168 persons (76 men and 92 women; median age 49 years) were enrolled in the stud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PEMD group and control group. PEMD group was composed of 25 achalasia, 6 diffuse esophageal spasm, 37 nutcracker esophagus, 3 hypertonic lower esophageal sphincter (LES), 5 hypotonic LES, 17 nonspecific esophageal motility disorder and 36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The comparisons of genotype and allele frequencies of NOS gen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rs374147, rs2682826, and rs3782218) were made between PEMD and control group.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llele frequencies and genotype among the groups. Haplotypic analysi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functional polymorphisms of neuronal NOS (nNOS) gene are not involved in the pathophysiology of primary esophageal motility disorders.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8;14:108-114)

      • SCIESCOPUSKCI등재

        미만성 및 분절성 호두까기 식도에서 임상양상 및 위식도역류

        김광하 ( Gwang Ha Kim ),이동현 ( Dong Hyun Lee ),정우진 ( Woo Jin Jeong ),박원일 ( Won Il Park ),박진홍 ( Jin Hong Park ),김진선 ( Jin Seon Kim ),허정 ( Jeong Heo ),강대환 ( Dae Hwan Kang ),송근암 ( Geun Am Song ),조몽 ( Mong Ch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4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0 No.1

        목적: 호두까기 식도는 정상연동운동을 보이나 하부식도 수축파의 진폭이 현저히 증가된 경우로, 두 군데 하부 식도에서의 평균 수축파의 진폭에 근거하여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고압의 연동성 수축이 하부 식도의 한 부위에서만 나타날수 있으며, 이러한 분절성 운동이상은 미만성 호두까기 식도로 변화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호두까기 식도를 미만성과 분절성으로 확장하여 정의하고 이 두 군 사이에 임상 양상과 위식도역류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및 방법: 비심인성 흉통, 연하곤란 및 인후 이물감 등을 주소로 2002년 7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본원 소화기 내과를 방문하여 표준 식도내압검사에서 호두까기 식도로 진단된 50명(남자 28명, 여자 22명, 평균 51.4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중 35명에서 보행성 식도산도검사를, 42명에서 상부위장관 내시경검사를 시행하였으며, 호두까기 식도는 식도내압소견에 따라 미만성 및 분절성 두 군으로 구분하였다. 결과: 1)미만성으로 진단된 경우가 24명, 분절성으로 진단된 경우가 26명이었으며, 두 군 간에 고혈압, 허혈성 심질환, 흉통, 연하곤란, 흉부 작열감, 위산의 역류, 인후 이물감, 후두증상, 쉰목소리의 빈도에 있어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전체 검사시간 중 pH 4 미만인 전체, 기립시 및 앙와위시 측정시간 백분율, pH 4 미만의 역류가 일어난 횟수, pH 4 미만의 역류가 5분 이상 일어난 횟수, DeMeester 종합점수 또한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보행성 식도산도검사에서 위식도역류질환으로 진단된 경우는 미만성 호두까기 식도군에서는 28.6%, 분절성 호두까기 식도군에서는 38.1%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상부위장관 내시경검사상 역류성 식도염으로 진단된 경우는 각각 23.8%, 14.3%로,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24시간 보행성 식도산도검사와 상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를 종합하여 분석하였을 때, 위식도역류질환으로 진단된 경우는 각각 33.3%, 38.5%로, 역시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미만성 호두까기 식도군과 분절성 호두까기식도군 사이에 임상 양상 및 위식도역류의 정도에 차이는 없었다. 그러므로 분절성 호두까기 식도의 진단에 대한 관심과 함께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추적 식도내압검사 및 치료반응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Background/Aims: The most common esophageal motility abnormality in patients with noncardiac chest pain is nutcracker esophagus. Most investigators regard nutcracker esophagus as a diffuse process involving the distal esophagus. Others consider it a segmental disturbance affecting any level of the esophagus. This study compar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gastroesophageal reflux between two groups of nutcracker esophagus patients: diffuse and segmental. Methods: From July 2002 to October 2003, 50 patients were diagnosed as nutcracker esophagus and were grouped into diffuse type (24 patients) and segmental type (26 patients). Of them, 35 patients underwent 24-hour ambulatory pH monitoring and 42 underwent gastroscopy. Results: The group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with respect to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such as hypertension, ischemic heart disease, chest pain, dysphagia, heartburn, acid regurgitation, laryngitis, globus or hoarseness. They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gastroesophagea reflux parameters by 24-hour ambulatory pH monitoring and gastroscopic findings.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was diagnosed in 33.3% of diffuse types and in 38.5% of segmental types, whic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 p=0.706). Conclus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linical characteristics or gastroesophageal reflux between the diffuse nutcracker esophagus group and the segmental nutcracker esophagus group.

      • SCIESCOPUSKCI등재

        십이지장 제 2부에서 점막 백색 변조의 의의 -위 기능면에서-

        양태영 ( Tae Yeong Yang ),윤홍선 ( Hong Sun Yoon ),김민수 ( Min Su Kim ),황성준 ( Seoung Joon Hwang ),박효진 ( Hyo Jin Park ),박찬일 ( Chan Il Park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6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2 No.2

        배경: 상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시 십이지장 제 2부에서 흔히 보이는 분홍색의 점막 색조와는 달리 점막의 백색 변조를 가끔 볼 수 있다. 이에 관한 문헌은 거의 없고 지방을 함유한 대식세포의 침착에 비롯된다는 주장이 있을 뿐이다. 저자들은 백색 변조를 위 기능면에서의 의미와 조직학적인 이상 유무에 대해서 알아 보았다. 대상 및 방법: 십이지장 제 2부에 백색 변조가 있는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I군) 14명, 백색 변조가 없는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 (II군) 11명, 그리고 상부 위장관 증세가 없으며 백색 변조가 없는 정상 대조군 10명을 대상으로 상부 위장관 증상, 위 배출 시간 및 조직학적 검사 소견을 비교하였다. 결과: I, II군에서 동반 질환, 증상 지수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위 배출 시간 [TI/2 (min)]은 I군 147.4분, II군 99.6분, 정상 대조군은 75.8분으로, I군은 각각 II군, 정상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한 위 배출 시간의 지연이 있었으며(p<0.05), II군과 정상 대조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세 군간의 유의한 조직학적 차이점은 없었으며 백색 변조된 점막에서 지방을 함유하는 특이적인 소견은 없었다. 결론: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서 상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를 실시할 때 드물게 볼 수 있는 십이지장 제 2부 점막의 백색 변조는 위 기능적인 측면에서 위 배출 시간 지연과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Aims: A mucosal `whitish discoloration` of the duodenal second portion may be discorvered during esophagogastroduodenoscopy (EG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astric functional implication and histological abnormalities of mucosal `whitish discoloration`. Methods: The upper gastrointestinal symptoms, gastric emptying time and histology findings were compared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FD) showing mucosal `whitish discoloration` of the duodenal second portion (group I), FD patients without `whitish discoloration` (group II), and normal controls who have neither symptoms nor `whitish discoloration` (normal controls).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I (147.6 min) and group II (99.6 min) or normal controls (75.8 min).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roup II and normal controls. There was no histological difference in the three groups. In particular, there was no mucosal infiltration of macrophage in second portion of duodenum. Conclusions: Mucosal `whitish discoloration` of the duodenal second portion, uncommon occurrence in EGD, can be correlated with a delayed gastric emptying time.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6;12:122-126)

      • SCIESCOPUSKCI등재

        혈중 렢틴치와 운동이상형 기능성 소화불량증과의 관계

        한종대 ( Jong Dae Hahn ),이광재 ( Kwang Jae Lee ),김진홍 ( Jin Hong Kim ),조성원 ( Sung Won Cho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6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2 No.2

        목적: 렢틴은 식욕과 위의 운동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기능성 소화불량증에서 렢틴의 임상적 의의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 이에 저자 등은 혈중 렢틴치와 운동이상형 기능성 소화불량증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42명의 운동이상형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와 14명의 건강 대조군을 대상으로 방사선 동위원소를 이용한 위배출시간 검사를 시행하였고 동시에 시험식 섭취 전과 30분 후에 각각 채혈을 시행하여 혈중 렢틴치를 측정하였다. 결과: 식전 및 식후의 평균 혈중 렢틴치는 환자군과 건강 대조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환자군에서 식전 및 식후의 각각의 렢틴치는 위배출시간과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 위배출이 지연된 군과 정상인 군간에 식전 및 식후의 혈중 렢틴치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운동이상형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서 혈중 렢틴치는 정상 대조군과 차이가 없고, 위배출시간과 유의한 관련이 없어서 운동이상형 소화불량증을 유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Aims: Leptin is known to be related to both appetite and gastric motility.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clinical implication of leptin in functional dyspepsia (F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the plasma leptin levels with dysmotility-like FD. Methods: 42 patients with dysmotility-like FD and 14 healthy controls were enrolled. The gastric emptying time (GET) was measured using a radiolabeled solid meal, and plasma leptin levels were determined before and 30 min after the test meal with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radioimmunoassay kit. Results: The mean preprandial and postprandial leptin levels of the patient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 leptin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GET of the patient group. Those levels did not differ between the delayed gastric emptying and normal emptying subgroups. Conclusions: The plasma leptin levels are not altered in dysmotility-like FD patients and they are poorly correlated with the gastric emptying time, suggesting that leptin does not seem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pathogenesis of dysmotility-like FD.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6;12:157-160)

      • SCIESCOPUSKCI등재

        위식도 역류성 질환의 증상 소실 및 미란성 식도염 치유에 대한 에스오메프라졸 (esomeprazole) 20㎎ 및 40㎎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공개, 다기관 공동 연구

        김재준 ( Kim Jae Jun ),이선영 ( Lee Seon Yeong ),이풍렬 ( Lee Pung Lyeol ),명승재 ( Myeong Seung Jae ),김진호 ( Kim Jin Ho ),최명규 ( Choe Myeong Gyu ),김상우 ( Kim Sang U ),이오영 ( Lee O Yeong ),유종선 ( Yu Jong Seon ),주영은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3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9 No.2

        목적: PPI는 위식도 역류성 질환 환자의 식도 점막 손상에 대한 치유 및 증상 개선에 우수한 효과가 있어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omeprazole보다 산억제 효과가 더 우수하다고 알려진 omeprazole의 S-isomer인 esomeprazole이 개발되어 처방되고 있으나, 아직 한국인에서는 그 효과에 대한 보고가 없다. 이에 연구자들은 한국인 위식도 역류성 질환 환자들에게 esomeprazole을 투여한 후, 식도염 치유율 및 증상 개 Background/Aims: Esomeprazole, an S-isomer of omeprazole, has a potent acid-suppressive effect. It has been prescribed for years, but no reported data had been available with respect to Korean patients. We evaluated the rate of symptom relief, healing rat

      • SCIESCOPUSKCI등재

        Isosorbide dinitrate가 식도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채널강내 임피던스를 이용한 연구

        백승훈 ( Seung Hoon Baek ),이준성 ( Joon Seong Lee ),한대희 ( Dae Hee Han ),임희혁 ( Hee Hyuk Im ),정인섭 ( In Seop Jung ),고봉민 ( Bong Min Ko ),홍수진 ( Soo Jin Hong ),유창범 ( Chang Beom Ryu ),김진오 ( Jin Oh Kim ),조주영 ( Joo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5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1 No.2

        목적: 산화질소(nitric oxide)는 하부식도괄약근에 기시하고 있는 비아드레날린성, 비콜린성 신경섬유에서 분비되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로 하부식도괄약근 압을 감소시키고, 식도체부의 수축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식괴의 이동에 대한 효과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식괴 이동을 포함한 식도 기능에 대한 산화질소 공여자인 isosorbide dinitrate (ISD)의 효과를 건강자원자에서 전향적으로 다채널강내 임피던스 검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8명의 건강자원자에서 다채널강내 임피던스 내압검사를 이용하여 공복시 앉은 자세에서 5 ㎖의 물과 점액성 물질 사용하여 각 10회의 액성연하와 점성연하를 시행하였다. 이후 ISD를 구강내 3회(3.75 mg) 분무후 5분후에 다시 동일 검사를 반복 시행하였다. 결과: 건강자원자의 하부식도괄약근압은 23.8±15.1 mmHg (평균±표준편차)에서 ISD 분무후 13.0±6.5 mmHg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하부식도괄약근의 이완 지속시간도 평균 8.4초에서 9.4초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05) 액성 완전식괴이동은 분무전 평균 79.0±22.5%에서 분무후 62.5±33.6%로 낮게 측정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점성 완전식괴이동는 분무전 55.8±29.5%에서 분무후 35.4±23.5%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식도 체부의 연동파 수축압과 전파속도는 분무후 낮게 측정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상부식도괄약근 기저압이나 수축파 연동운동에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ISD 구강내 분무는 액성연하시 식괴이동에는 영향을 주지 못했으나 점성연하시 식괴이동을 방해하였다. Background/Aims: Nitric oxide (NO) is an inhibitory neurotransmitter that`s released by the non-adrenergic and non-cholinergic neurons that innervate the smooth muscle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However, there was little published data for the effect of isosorbide dinitrate (ISD), a NO donor, on the bolus transit of the esophagu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n oral spray of ISD on the esophageal function including bolus transit, in healthy volunteers with using combined multichannel intraluminal impedance and esophageal manometry (MII-EM). Methods: We prospectively performed MII-EM in 8 healthy volunteers. The subjects were given 10 swallows of 5 ㎖ liquid and then 5 ㎖ of viscous material each at 20~30 seconds apart with the subjects in the standing position. These swallows were repeated 5 minutes after an oral spray (3.75 mg) of ISD. Results: The resting pressure of the LE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an oral spray of ISD (mean±SD, 23.8±15.1 mmHg vs. 13.0±6.5 mmHg, respectively, p<0.05). The duration of the LES relaxation was significantly prolonged (p<0.05). The Viscous-Compete Bolus Transit (CB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ut not the liquid-CBT (p<0.01). There were no changes in the degree of peristalsis, the conduction velocity and in the UES pressure and contraction. Conclusions: The oral spray of ISD significantly decreased viscous bolus transit, but not the liquid bolus transit in the esophagus.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5;11:110-11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