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미만성 및 분절성 호두까기 식도에서 임상양상 및 위식도역류

        김광하 ( Gwang Ha Kim ),이동현 ( Dong Hyun Lee ),정우진 ( Woo Jin Jeong ),박원일 ( Won Il Park ),박진홍 ( Jin Hong Park ),김진선 ( Jin Seon Kim ),허정 ( Jeong Heo ),강대환 ( Dae Hwan Kang ),송근암 ( Geun Am Song ),조몽 ( Mong Ch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4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0 No.1

        목적: 호두까기 식도는 정상연동운동을 보이나 하부식도 수축파의 진폭이 현저히 증가된 경우로, 두 군데 하부 식도에서의 평균 수축파의 진폭에 근거하여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고압의 연동성 수축이 하부 식도의 한 부위에서만 나타날수 있으며, 이러한 분절성 운동이상은 미만성 호두까기 식도로 변화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호두까기 식도를 미만성과 분절성으로 확장하여 정의하고 이 두 군 사이에 임상 양상과 위식도역류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및 방법: 비심인성 흉통, 연하곤란 및 인후 이물감 등을 주소로 2002년 7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본원 소화기 내과를 방문하여 표준 식도내압검사에서 호두까기 식도로 진단된 50명(남자 28명, 여자 22명, 평균 51.4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중 35명에서 보행성 식도산도검사를, 42명에서 상부위장관 내시경검사를 시행하였으며, 호두까기 식도는 식도내압소견에 따라 미만성 및 분절성 두 군으로 구분하였다. 결과: 1)미만성으로 진단된 경우가 24명, 분절성으로 진단된 경우가 26명이었으며, 두 군 간에 고혈압, 허혈성 심질환, 흉통, 연하곤란, 흉부 작열감, 위산의 역류, 인후 이물감, 후두증상, 쉰목소리의 빈도에 있어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전체 검사시간 중 pH 4 미만인 전체, 기립시 및 앙와위시 측정시간 백분율, pH 4 미만의 역류가 일어난 횟수, pH 4 미만의 역류가 5분 이상 일어난 횟수, DeMeester 종합점수 또한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보행성 식도산도검사에서 위식도역류질환으로 진단된 경우는 미만성 호두까기 식도군에서는 28.6%, 분절성 호두까기 식도군에서는 38.1%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상부위장관 내시경검사상 역류성 식도염으로 진단된 경우는 각각 23.8%, 14.3%로,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24시간 보행성 식도산도검사와 상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를 종합하여 분석하였을 때, 위식도역류질환으로 진단된 경우는 각각 33.3%, 38.5%로, 역시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미만성 호두까기 식도군과 분절성 호두까기식도군 사이에 임상 양상 및 위식도역류의 정도에 차이는 없었다. 그러므로 분절성 호두까기 식도의 진단에 대한 관심과 함께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추적 식도내압검사 및 치료반응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Background/Aims: The most common esophageal motility abnormality in patients with noncardiac chest pain is nutcracker esophagus. Most investigators regard nutcracker esophagus as a diffuse process involving the distal esophagus. Others consider it a segmental disturbance affecting any level of the esophagus. This study compar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gastroesophageal reflux between two groups of nutcracker esophagus patients: diffuse and segmental. Methods: From July 2002 to October 2003, 50 patients were diagnosed as nutcracker esophagus and were grouped into diffuse type (24 patients) and segmental type (26 patients). Of them, 35 patients underwent 24-hour ambulatory pH monitoring and 42 underwent gastroscopy. Results: The group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with respect to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such as hypertension, ischemic heart disease, chest pain, dysphagia, heartburn, acid regurgitation, laryngitis, globus or hoarseness. They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gastroesophagea reflux parameters by 24-hour ambulatory pH monitoring and gastroscopic findings.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was diagnosed in 33.3% of diffuse types and in 38.5% of segmental types, whic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 p=0.706). Conclus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linical characteristics or gastroesophageal reflux between the diffuse nutcracker esophagus group and the segmental nutcracker esophagus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