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헤어미용인의 직업전문성 및 소명의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민화 대전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55

        국문초록 헤어미용인의 직업전문성 및 소명의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민화 대전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지도교수 : 정 광 조 본 논문은 헤어 미용인의 직업전문성 인식도를 파악하고 직업 전문성과 소명의식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헤어 미용인의 직업 전문성 인식 함양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향후 미용 산업 중 헤어 미용 분야의 발전과 경영상 인력관리 측면의 개선점을 제시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에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헤어 미용인의 전문성 중 프로의식 수준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헤어 미용인의 전문성 중 상황 판단력 수준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헤어 미용인의 전문성 중 대처능력 수준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헤어 미용인의 소명의식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의 조사는 대전, 충청 지역 소재 미용실에 근무하는 헤어 미용인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에 의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분석결과 조사대상 헤어 미용인들은 직업전문성 중 프로의식, 상황 판단력, 대처능력 모두 연령대와 직급이 높을수록, 경력이 길수록, 월 소득이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남성에 비해 여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직업전망에 대한 질문에 ‘긍정적이다’라고 대답한 헤어 미용인이, 직업 선택별 동기에 ‘관심이 있어서’라고 대답한 헤어 미용인, 복지제도(4대 보험 가입여부)에 가입한 헤어 미용인의 직업전문성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전문성과 (프로의식, 상황 판단력, 대처능력) 소명의식을 보정하여 분석한 결과 소명의식과 대처능력이 직무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중회귀분석결과 헤어미용인의 소명의식이 직무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명의식이 높아지면 직무만족도의 상승이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헤어미용인의 전문성 대처능력은 직무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문성 중 대처능력이 높아지면 직무만족도의 상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직업전문성을 개인 스스로 인식하는 정도와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이라는 점을 말해준다. 이는 헤어 미용인이라는 직업이 앞으로 단순 기술직에 그칠 것이 아니라 전문성을 더 갖추기 위해 노력해야 함을 의미한다. 또한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을 갖춰 전문직으로서 인정 받는 헤어 미용인의 자질은 고객에게 서비스하여 금전적 보상을 얻는 것뿐만 아니라 보람과 행복을 주는 일이라는 자부심을 가져야 함을 시사한다.

      • 소집단 미술치료가 학령기 자녀를 둔 여성의 자기성장에 미치는 효과

        정연우 대전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55

        소집단 미술치료가 학령기 자녀를 둔 여성의 자기성장에 미치는 효과 정연우 예술치료학과 대전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지도교수 이명선) 본 연구는 소집단 미술치료가 학령기 자녀를 둔 여성의 자기성장에 미치는 효과 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D광역시의 N마을도서관을 이용하는 학령기 자녀를 둔 중년 여성 4명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가 참여자들의 자기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 보기 위해 프로그램 시행 전과 후에 검사를 시행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척도는 로젠버그의 자아존중감 척도와 Shere 등(1982)이 Bandura(1977)의 자기효능감 이론의 개념을 근거로 제작한 자기효능감 척도 (Self-EfficacyScale:SES)를 홍혜영(1995)이 번안한 질문지 척도와 Abidin (1990) 이 제작한 Parenting Stress Index (PSI)를 신숙재(1997)가 번역한 척도인 양육스 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다. 문제해결 방법에 대해 능력치를 측정할 수 있는지 파악 해보는 사과따는 사람(PPAT)그림과 부모와 자신의 관계를 이해함으로써 자신에 대 한 이해 수준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는 동그라미 가족 중심(PSCD)그림을 통해 소집단 미술치료가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 향상 등 자기성장에 영향을 주는 가에 대해 그림 투사검사를 통해 확인하고자 사용하였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령기 자녀를 둔 여성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자기성장 소집단 미술치료가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프로그램 실행 결과 자기 자신의 가치와 능력을 인정하는 등 자신을 탐색하고 현재 놓여진 상황에 대한 수용과 자신이 추구하는 가치가 무엇 인지를 탐색해봄으로써 자기 유능감과 긍정적 자아개념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령기 자녀를 둔 여성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가 긍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자아 효능감에 하위요소인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자 기효능감 등이 향상되면서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통해 낙관성이 함양되었고 내면의 갈등과 스트레스가 해소되어 정서가 안정되고 자신을 통제하는 능력이 향상되었 다. 또한, 참여자들과 협력하는 활동을 통해 사회적 관계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 타났다. 자아존중감과 자아효능감은 학령기 자녀를 둔 여성의 자아성장 향상에 매우 중요 한 주제이나 이를 적용한 미술치료 연구가 많지 않다. 특히, 학령기 자녀를 둔 여성 의 자기성장 소집단 미술치료 연구는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학령기 자 녀를 둔 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 향상에 자기성장 소집단 미술치료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데 의미가 있다. 주요어: 자기성장,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소집단 미술치료

      •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K-HTP 그림검사와의 관계

        김현진 대전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55

        ABSTRACT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Self-identity and K-HTP Drawing Test Kim hyeon­jin Department of Art Therapy Graduate School of Health and Medicine Daejeon University Advisor: Prof. Cho gyu­you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self-identity and K-HTP(Kinetic House-Tree-Person)drawing test to use it as active and practical materials in the art therapy clinical site. The study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difference in self-identity and K-HTP drawing test results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Second, what is a correlation between university students' self-identity and K-HTP drawing test results? Third, what is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self-identity and K-HTP drawing test? The subjects are 246 people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applied among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D University located in Daejeon, E University located in Uiwang, Gyeonggi-do, S University located in Yeosu, Jeollanam-do and a self-identity test was carried out and K-HTP drawing test was sampled from them. By using the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as a data analysis method, first, One-Way ANOVA was conducted in order to identify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self-identity and scores of K-HTP drawing test depending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Scheffe’s post hoc multiple comparison was carried out for the multi-variate analysis showing the difference in result scores to find out the specific difference. Seco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identity scale and sub-areas of K-HTP drawing test. Fin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find out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self-identity and K-HTP drawing 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in self-identity and K-HTP drawing test results depending on university stu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was examined and as a result, self-identity of male students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in the self-identity difference depending on sex and self-identity of male students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only in tree drawings in K-HTP drawing test.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identity according to grades and regions. Second, a correlation between university students' self-identity and K-HTP drawing test results was examined and as a result, bot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areas of the university students' self-identity scale tes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areas of K-HTP drawing test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areas of the self-identity scale test and those of K-HTP drawing test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Third,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self-identity and K-HTP drawing test was examined and as a result, K-HTP drawing test showed scores highly influential on self-identit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also derived. Based on these results, K-HTP drawing test explained about 70% of the variable for self-identity. And self-identity and influence were shown also in each format of K-HTP drawing test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derived. In the case of variables for self-identity by each format of K-HTP drawing test, drawing format explained 56%, house drawing 45%, tree drawing 49% and person drawing 37%. Through the above research findings, it was found that K-HTP drawing test is likely to be used as a tool to find out several factors for university students' self-identity in the clinical site. 국 문 초 록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K-HTP 그림검사와의 관계 제 출 자 : 김 현 진 지도교수 : 조 규 영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K-HTP(Kinetic House-Tree-Person, 동적-집-나무-사람)그림검사와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미술치료 임상현장에서 적극적이고 실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첫째,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정체감 및 K-HTP그림검사 결과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K-HTP그림검사 결과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K-HTP그림검사의 영향력 관계는 어떠한가? 이다.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 소재의 D대학교, 경기도 의왕시 소재의 E대학교, 전라남도 여수시 소재의 S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 여 대학생들 중에서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지원한 246명으로, 이들에게 자아정체감 검사와 K-HTP그림검사를 표집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첫째,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자아정체감 및 K-HTP그림검사의 점수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이 중 결과점수의 차이가 있는 다중변량 분석인 경우에는 구체적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cheffe의 사후분석(post hoc multiple comparison)을 실시하였다. 둘째, 자아정체감 척도와 K-HTP그림검사의 하위영역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K-HTP그림검사의 영향력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정체감 및 K-HTP그림검사 결과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성별에 따른 자아정체감 차이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자아정체감이 높게 나타났고, K-HTP그림검사에서는 나무그림에서만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 학년 및 지역에 따른 자아정체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K-HTP그림검사 결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척도검사의 하위영역들 사이의 상관관계 및 K-HTP 그림검사의 하위영역 간의 상관관계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또한 자아정체감 척도검사의 하위영역과 K-HTP그림검사 하위영역 사이의 상관관계 역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셋째,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K-HTP그림검사의 영향력 관계를 알아본 결과, K-HTP그림검사는 자아정체감에 영향력이 높은 점수가 나왔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이러한 결과는 K-HTP그림검사가 자아정체감에 대한 변량의 70%정도를 설명하였다. 그리고 K-HTP그림검사의 각 양식에서도 자아정체감과 영향력이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K-HTP그림검사의 각 양식별 자아정체감에 대한 변량을 그림양식은 56%, 집그림은 45%, 나무그림 49%, 사람그림은 37%를 설명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K-HTP그림검사가 임상 현장에서 대학생의 자아정체감에 대한 여러 가지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한 도구로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요가 수련이 삶의 만족감과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김지현 대전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life satisfaction, anger expression, and person relationships depending on yoga practice: the researcher collects the information about those who practice yoga according to frequency, period, and program of yoga. The researcher carries out the survey on 249 adults who practiced yoga more than 100 days who were in their 20s or older through the method of self-evaluation. The evaluation of life satisfaction, anger expression, and personal relationships uses the method of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Korean version, STAXI-K, Korean-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naire, and K-ICQ. Using the SPSS WIN 21.0 program, the surveys verify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χ2 (Chi-square), and Multiple Regression. Those who practiced healing yoga three times or more per week less than one year are occupied at the top link. The more people practice yoga, the better they are at developing relationships. Those who practiced yoga longer than three years are good at opening themselves and maintaining personal relationships. People who do power yoga have difficulties expressing complaints and anger while they do not manage confilcts well. The more they do ashtanga yoga, the less they express anger and the more they complain or express displeasure. The more they practice Vinyasa yoga, the less they complain or express displeasure. The longer period of yoga that people do, the more they are satisfied with life and have good personal relationships. In conclusion, yoga practice is very useful for psychological state of female adults. Based on the study, further study is expected regardings benefits of yoga practice. Considering positive effects of yoga people continue to research through further practice of yoga.

      • QFD 기법을 이용한 수제화장비누의 품질개선에 관한 연구

        권희경 대전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39

        ABSTRACT Study on the Improvement of Handmade Soap Using QFD Gwon Hee-Gyung Department of Beauty Medicine Graduate School of Health and Medicine Daejeon University Advisor: Prof. Lim Mi-Hye Along with eco-friendly trends these days, people are showing more and more interest in hand-made cosmetic soap made of natural ingred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the specialized analysis theory of QFD (quality function deployment) intended to develop products reflecting customer-demanded quality to figure out correlation between demanded quality items and quality traits and draw business value by improving the quality of hand-made cosmetic soap. To attain the goal, the researcher designed a questionnaire based on the preliminary survey with 50 sheets and distributed the sheets using Google’s survey program. Total 452 sheets were used for analysis except for either unreliably or duplicatively answered sheets. The analysis method of QFD was employed to see the degree of importance of planning quality and designing quality, and it was applied to make the test soap, and then, physical evaluation was performed on it. For the emotional evaluation, 15 people were asked to use the test soap for 10 days and see the condition of quality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findings, customers’ core demanded quality items include ‘hardness and not going soft easily’, ‘cleansing effect’, ‘expectation for efficacy’, and ‘eco-friendliness’. Also, regarding planning quality, to improve essential items such as ‘hardness and not going soft easily’, ‘cleansing effect’, and ‘moisturizing effect’, the researcher made the test soap reflecting core quality traits like oil composition, NaOH, concept ingredients, or scent series and gained results based on physical measurement and emotional evaluation, which has shown that quality improvement has been realized correspondingly to the customer demand. Therefore, the QFD method can be used to realize hand-made cosmetic soap’s quality improvement and customized product development, and if companies’ aggressive marketing supports this based on quality improvement, they will be able to secure business value for sure.

      • 노래중심의 음악치료가 중증장애인의 자기표현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김미경 대전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는 노래를 중심으로 한 음악치료가 중증지적장애인의 자기표현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은 D시에 위치한 장애인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장애인 중 연령이 20~30대에 해당하는 남 4인 여 2인의 중증장애인 6명을 연구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은 주 1회 40분 1시간으로 2회 쉬는 시간 15분을 포함하여 100분 동안 진행되었으며 7월 13일에 시작하여 2회기 진행 후 코로나 확산으로 인하여 한 달이 약간 넘는 기간 동안 휴지기를 가졌다가 9월 7일에 다시 시작하여 12회기를 진행하였다. 진행한 총 개월 수는 4개월이다. 이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으로 진행되었으며 대상자를 집중적 관찰 및 탐색을 통해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행동관찰을 세분화하여 일차적으로 음악과정 안에서 일어나는 자기표현을 행동관찰로 분석하였으며 음악적 수용과 승인, 리드하기, 자발적 연주활동이 일상생활에서 사회성 향상으로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대상자들은 대부분 지적장애 1급과 중복장애를 가지고 있어 언어적 소통은 거의 없는 상태였으나 음악적 구조안에서 소통은 가능하였다. 특히 자신의 이름을 넣어서 음악연주를 요청할 때 수용이 더 수월하게 나타났으며 악기연주를 즉흥적으로 하는 등으로 자기표현을 하였다. 악기선택 시에 좋고 싫음을 표현하던 음악적 관계 속에서의 행동은 일상생활에서 자신이 먼저 다른 참여자를 배려하거나 함께 춤을 추자고 하는 등의 주도적 행동으로 드러내었다. 초기에 나타났던 부정적 행동도 나타나지 않게 되고 부정적 관계도 긍정적으로 변하였다. 본 연구에서 노래를 중심으로 한 음악치료가 중증지적장애인의 자기표현과 사회성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다이나믹 테이핑 적용에 따른 한 다리 스쿼트와 착지 시 무릎 외반 각도, 근활성비 및 수직 지면 반발력에 미치는 영향

        하태원 대전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39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ynamic tape applied to the patellofemoral joint on the knee valgus angle, muscle activity, and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during a single-leg squat (SLS) and single-leg landing (SLL). Twenty-four subjects (11 male, 13 female), who met the inclusion criteria, were screened by the knee palpation and patella compression tests. First, the knee valgus angle and muscle activity during SLS were measured. Second, the knee valgus angle and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during SLL were measured. For the intervention, a patella joint loop using dynamic tape was used. The knee valgus angle, muscle activities in SLS and SLL after the intervention, and the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were measured in the same way. A paired t-test was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 Wilcoxon signed ranked test was us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muscle activity of the vastus lateralis (VL) / vastus medialis obliques (VMO) between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The knee valgus angl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dynamic taping application in SLS and SLL (p<0.05). The differences in muscle activity of the VL/VMO and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dynamic taping application in SLS and SLL.

      • 운동학습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작업기억, 전환능력, 억제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장녕 대전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에서는 운동학습프로그램이 아동기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5학년, 6학년 총 28명을 운동학습프로그램을 한 집단14명과 운동을 하지 않는 집단 14명으로 나누어 이들의 실행기능의 하위요소 억제능력, 전환능력, 작업기억을 측정하였다. 실행기능 검사는 운동학습프로그램을 시작한 직후 10월과 운동학습프로그램을 12주 마친 12월에 각각 측정하였다. 억제능력은 스트룹검사(Stroop Color and Word Test)로 측정하였고 전환능력은 아동색선로 검사(Children's Color Trails Test)로 측정하였고, 작업기억은 숫자따라하기(DSF), 숫자 거꾸로 말하기(DSB) 과제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행기능의 운동학습프로그램을 적용한 집단이 실행기능에 전반적으로 향상되었다. 이는 운동학습프로그램이 실행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운동학습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아동기 때 실행기능의 향상을 위해 교육현장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out the effect of motor learning program on executive funtion. in total, 28 students in fifth and sixth grade are divided into groups that do not exercise program and group that non exercise who 14 students in fifth grade. we measured inhibition, shifting, working memory of the above students. Immediately after starting the program, the execution function was tested in October and December, respectively. The ability to suppress was measured in stroop color and word test, the ability to switch was measured in children's color trail test and work memory was measured with tasks DSF, DSB. As a result, the group that ran the exercise program had better execution capabilities. This has positive effects on the execution function and suggests that motor learning programs can be utilized at educational sites to improve the childhood execution functionality.

      • 취학 전 유아의 또래관계 증진과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놀이 중심 집단 미술치료 사례 연구

        이한나 대전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39

        취학 전 유아의 또래관계와 사회적 기술에 관한 놀이 중심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본 사례연구는 놀이 중심 집단 미술치료프로그램이 취학 전 유아의 또래관계와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D시에 위치한 C어린이집의 만 5세 학급의 원아로, 평정척도를 실시하여 평균점수가 가장 낮은 4명으로 선별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9년 7월 15일부터 10월 7일까지였으며 놀이 중심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주 1회, 1회에 약 60분 씩 총 12회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 또래관계와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여 점수를 비교하였으며, 유아의 행동변화를 살피기 위하여 진행과정에서의 변화를 회기별로 질적 분석하였다. 사전·사후 비교 결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놀이 중심 집단 미술치료는 평정척도 실시 결과 취학 전 유아의 또래관계 및 사회적 기술 개선에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 둘째, 놀이 중심 집단 미술치료의 과정에서 유아의 또래관계 및 사회적 기술의 행동에 변화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놀이 중심 집단 미술치료는 취학 전 유아의 또래관계와 사회적 기술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