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G. Puccini Opera ‘Tosca’ 중 Tenor Aria의 피아노 반주에 대한 연구

        이한나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19세기 이탈리아의 대표 작곡가인 G. Puccini의 3대 오페라 중 하나인 <Tosca>는 1800년 6월 17일부터 다음날 새벽 사이에 일어난 사건을 다룬 내용으로 1900년 로마에서 초연되었으며, Leitmotiv를 사용함으로 극과 음악의 일체화를 불러일으키고 Grand Guignol기법의 사용으로 강렬한 연극적인 요소들을 작품에서 만나 볼 수 있다. G. Puccini의 오페라 <Tosca>의 남자 주인공인 Cavaradossi의 3개의 아리아에서 나타나는 내용과 일치하는 선율, 또렷하면서 불안한 화성사용, 폭넓은 dynamic의 음악적인 표현과 반주부에서의 역할이 가사내용과 음악적 표현을 현실적인 오페라로 탄생시켰음을 볼 수 있다. Tosca, one of the three major operas of G. Puccini, the leading Italian composer of the nineteenth century, was premiered in Rome in 1900. This opera covered the events that took place from June 17, 1800 to the next day, using Leitmotiv to unite theater and music, and introducing intense theatrical elements using the technique of the Grand Guignol. The three arias of Cavaradossi, the protagonist of the Tosca use the dark melody, clear and unstable harmony, musical expression of the broad dynamic, and accompaniment. Trough of these things, Tosca was created as a realistic opera in the part of lyrics and musical expressions.

      • 중성자 에너지에 따른 폴리에틸렌 및 붕소를 혼입한 폴리에틸렌의 차폐효과 비교

        이한나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중성자 에너지에 따른 폴리에틸렌 및 붕소를 혼입한폴리에틸렌의 차폐효과 비교 이한나 지도교수: 여화연 방사선학과 남부대학교 중성자와 물질과의 상호작용은 크게 비탄성산란, 탄성산란으로 구분할 수 있다. 물질 내에 입사된 중성자는 탄성산란이나 비탄성산란에 의해 점차 에너지를 잃게 되는 과정을 통해 감속된다. 이러한 과정을 중성자의 감속이라 하고, 이를 위해 사 용하는 물질을 감속재라 한다. 0.1 MeV 이상의 에너지를 보유한 고속중성자가 중 성자와 질량이 거의 같은 수소(hydrogen) 원자와 충돌할 경우 에너지 손실이 최대 가 되기 때문에 중성자선의 차폐에 수소(H)를 많이 활용한다. 그리고 수소를 함유 한 차폐재의 종류는 다양하겠지만, 상용화되어 있어 구매가 쉽고 내구성이 있는 폴리에틸렌을 선택하였다. 또한 붕소(Boron) 성분에 주안점을 두어 해당 원소를 폴리에틸렌에 혼합시킬 경우 어떤 유의미한 차폐효과가 있는지 등 붕소를 함유하여 제작된 폴리에틸렌 차 폐체 ‘Borated Polyethylene’ 의 효과는 어느 정도인지를 알고 싶었다. 구체적으로 Borated Polyethylene 차폐체의 경우 0.1 - 1 MeV 중성자 에너지 범위에도 폴리 에틸렌 차폐체보다 효과가 있어 차폐 두께를 줄일 수 있을지의 여부를 알고자 하 였다. 특히, 수소(H)가 함유된 폴리에틸렌 차폐체와의 비교에서 중성자의 에너지 범위 에 따라 어떤 차폐효과의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본문에 두 차 폐체를 이용한 차폐재의 두께별, 중성자의 에너지준위별 차폐효과를 비교하여 나 타내었다. 여기에서 확인은 각 차폐체의 주요 성분 수소(H), 붕소(B)에 대한 중성 자의 에너지 범위에 따른 핵반응의 관계에 의해 차폐에 어떤 영향이 나타나는지를 의미한다. 즉, 성분의 핵반응과 차폐효과 간의 상관관계를 일부 파악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 Comparison of the Shielding Effectiveness of Polyethylene and Polyethylene Containing Boron in Accordance with the Neutron Energy Lee, han na Advisor : Yeo, hwa yeon Department of Radiology Graduate School of Nambu University The interaction between neutrons and material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inelastic scattering and elastic scattering. Neutrons incident on a material are slowed down through elastic or inelastic scattering. This process is called neutron deceleration, and the material used for this is called a moderator. When a fast neutron with an energy of 0.1 MeV or more collides with a hydrogen (H) atom of approximately the same mass as the neutron, energy loss is maximum, so hydrogen is often used to shield neutron beams. Although there are various types of hydrogen-containing shielding materials, polyethylene was chosen because it is readily available commercially, easy to purchase, and durable. In addition, our focus was on the boron component and we aimed to determine the significant shielding effect it would have when mixed with boron. Specifically, in the case of borated polyethylene shielding, we aimed to determine if the thickness of the shielding could be reduced, particularly in the 0.1 - 1 MeV neutron energy range. In particular, we sought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ny difference in shielding effect depending on the energy range of neutrons in comparison with a polyethylene shield containing hydrogen(H). The main text compares and - 51 - demonstrates the shielding effectiveness of two shielding materials based on the thickness of the shielding material and the energy level of neutrons. Here, confirmation refers to the impact on shielding resulting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nuclear reactions, which depend on the energy range of neutrons, for the primary components of each shielding material: hydrogen (H) and boron (B). In other words, we aimed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uclear reaction of the ingredients and the shielding effect.

      • (A) study on regional cooperation in the management of the Rhine River : a property rights approach

        이한나 부산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제 강은 두 개 이상의 국가가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그 권리를 정확하게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 한 국가의 주권이 물이나 공기 같은 유동자원의 권리를 규정할 수 있는지는 여전히 이론의 여지가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많은 국제 강들이 비효율적으로 관리 되고 있고 Hardin이 설명한 공유의 비극에 이르기도 한다. 유럽을 가로지르는 라인 강 역시 국제 강의 하나로서 공유의 문제를 경험해 왔다. 1900년 대 이전에는 주로 자원 분배의 문제가 주를 이루었고 그 이후에는 극심한 수질 오염으로 공유의 비극의 전형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라인강의 수변 국들은 이러한 공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양한 협정과 기관을 만들었고 주요 4개국(스위스, 독일, 프랑스, 네덜란드)를 포함한 라인 수변 국들의 협력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시스템 형성에 노력을 기울였다. 현재에는 오염으로 사라진 연어가 다시 돌아오는 등 수질이 충분히 향상되었다. 라인 강의 기적이라고도 불리는 수질의 변화는 국제 강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는 모델이 되고 있다. 이 논문은 라인 강의 성공적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국제 강이 처한 공유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 할 수 있는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Program annotation : J. Pachelbel Chaconne in d minor; J. S. Bach Concerto in d minor, BWV 596; F. Mendelssohn Sonata No. 2 in c minor, Op.65; L. Vierne Symphony Op.20, No.2; Ⅱ.Choral, Ⅲ. Scherzo,Ⅴ.Final; J. Jongen Toccata, Op.104

        이한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thesis aims to understand the pieces Hannah Lee performed at the graduation recital in Kim Young Ui Hall, Ewha Womans University, on the 11th of June 2015. The recital program arranged five pieces in the order of time period, starting from the Baroque period and extending to the Renaissance period and the modern period: Chaconne d minor by Johann Pachelbel, Concerto in d minor, BWV 596 by Johann Sebastian Bach, Sonata No. 2 in c minor, Op. 65 by Felix Mendelssohn-Bartholdy, the second movement Choral, third movement Scherzo, fifth movement Final from Symphony Op. 20, No. 2 by Louis Vierne and Toccata Op.104 by Joseph Jongen. Johann Pachelbel is a composer from the Baroque period and he was active with his career in the southern and central regions of Germany. His Chaconne d minor repeats its theme melody, composed of eight measures, in the pedal while playing sixteen free variations in the hand keyboard. This piece is played at non-legato, starting with a soft flute tone and increasing in volume with the addition of mutation tone, high pitch tone and reed tone one after another. Johann Sebastian Bach arranged Concerto Grosso in d minor, Op.3, No.11 by Antonio Vivaldi(1678-1741) into an organ piece. Concerto in d minor, BWV 596, arranged by Bach, has four movements and a fast-slow-fast structure. Throughout the first movement of this piece, an immitation figure recurs in the hand keyboard and the long tone repeats in the pedal keyboard. The second movement has a fugue structure. The third movement uses a siciliano structure with a solo melody and accompaniment. Furthermore, the fourth movement demonstrates a ritornello structure by using the keyboards in different manners in Rückpositiv and Oberwerk. Overall, this piece follows the non-legato playing technique of the Baroque period. In the first movement, its tone combination adheres to the composer‘s directions on the scores and the second movement combines its tones on the basis of the plenum sound. The third movement presents its solo melody with sesquialtera tone and tremulant. In the last movement, on the basis of the plenum sound, the two keyboards have a different volume, and this helps demonstrate a ritornello structure. Sonata No. 2 in c minor is written by a leading composer of the German romantic organ music Felix Mendelssohn and it has four movements. Each movement was composed in a different time period. For that reason, each of them has its own distinct atmosphere and leaves a unique musical impression. This piece has three distinct characteristics. First, this piece combines contrapuntal factors with romantic elements of its melody and accopaniment. Second, this piece shows Mendelssohn’s own unique music notation, which uses four staffs in the pedal. Third, he left records of the metronome number in every movement to help keep the correct tempo. This piece exemplifies tone shift on the basis of a legato playing style from the age of Romanticism. In every movement of this piece, its tone combination adheres to the dynamics specified by the composer. The well-known composer of the French symphony Louis Vierne wrote Symphony Op. 20, No.2 in the first period of his life. This piece makes use of a circulatory structure, in which two themes from the first movement recur in the other movements. This piece has five movements, three of which were played in this graduating recital. The second movement is characterized by the contrast between a slow and soft part and the passionate Agitato. Three main melodies flow throughout the third movement and they develop in a light and fast manner. The fifth movement has a sonata-allegro structure and each part has a different tempo specified by the composer. The tone combination of each movement follows the directions given by the composer. The final movement follows a terrace dynamic structure from the age of Romanticism and its tone combination has four development stages. The Belgian contemporary composer Joseph Jongen‘s Toccata Op.104 has both a modern harmony and an interesting rhythm. Technically fast alternations of the straight harmony in the hand keyboard and its Arpeggio motif flowing in the work together make the pedal theme even more distinguished. For the melody in the pedal, Posaune 16', and Trompete 8' from the reed series are added or deleted according to the directions on the scores, and it makes the theme melody heard well. This thesis has explored each piece in depth, looking at the life of the composer, its musical characteristics, its playing styles and finally its tone combinations. This helps appreciate the develpment stages of organ music over the time periods. 본 논문은 2015년 6월 11일 김영의홀에서 열린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오르간 전공 이한나의 석사과정 졸업연주회에서 발표되었던 작품들에 관한 연구이다. 연주회 프로그램은 바로크, 낭만, 현대 시대의 작품들을 시대적인 흐름에 따라 요한 파헬벨(Johann Pachelbel, 1653-1706)의 『샤콘느 라단조(Chaconne d minor)』, 요한 세바스찬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의 『협주곡 라단조 BWV 596 (Concerto in d minor, BWV 596)』, 펠릭스 멘델스존 바르톨디(Felix Mendelssohn-Bartholdy, 1809-1847)의 『소나타 2번 다단조 Op. 65 (Sonata No. 2 in c minor, Op. 65)』, 루이 비에른(Louis Vierne, 1870-1937)의 『심포니 2번 Op. 20 (Symphony Op. 20, No. 2)』중에서 2악장 Choral, 3악장 Scherzo, 5악장 Final, 요제프 용엔(Joseph Jongen, 1873-1953)의 『토카타 Op. 104 (Toccata Op. 104)』이상의 5곡으로 구성하였다. 독일의 남부와 중부지방을 배경으로 활동한 바로크 시대 작곡가 파헬벨의 『샤콘느』는 손건반에서 16개의 자유로운 변주가 나타나는 동안 페달에서는 8마디로 구성된 주제선율을 반복한다. 이 곡은 논 레가토(Non-legato) 주법으로 연주하며 부드러운 플룻(Flute) 계열의 음색으로 시작하여 뮤테이션(Mutation) 음색과 높은 음역의 음색, 리드(Reed)음색을 차례로 추가하여 음량이 점점 커지도록 하였다. 바흐는 안토니오 비발디(Antonio Vivaldi, 1678-1741)의 작품 『2대의 바이올린과 첼로, 현악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Op. 3 No. 11』을 오르간 곡으로 편곡하였다. 바흐가 편곡한 『협주곡 라단조 BWV 596』은 4악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빠름-느림-빠름의 구조를 갖고 있다. 이 곡의 제1악장은 손건반에서 모방선율과 페달건반에서 지속음의 반복이 악장전체에서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제2악장은 푸가형식이며 제3악장은 솔로 선율과 반주의 시칠리아노 양식의 악장이다. 또한 제4악장은 뤽포지티브(Rückpositiv)와 오버베르크(Oberwerk)에서 건반을 다르게 사용함으로써 리토르넬로 형식을 잘 보여주었다. 이 곡은 전체적으로 바로크 시대의 논 레가토 주법으로 연주하였다. 제1악장의 음색은 작곡가가 악보에 지시한대로 조합하였고 제2악장은 플레눔(Plenum) 소리를 바탕으로 조합하였다. 제3악장은 세스퀴알테라(Sesquialtera) 음색과 트레뮬란트(Tremulant)를 사용하여 솔로선율을 표현했고 마지막 악장은 플레눔 소리를 바탕으로 하여 두 개의 손건반에 음량의 차이를 두어 리토르넬로 형식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독일 낭만 오르간 음악의 대표 작곡가 멘델스존의 작품 『소나타 2번 다단조 Op.65』은 4악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악장이 다른 시기에 작곡되어 음악적으로 이질적인 느낌을 갖는다. 이 작품은 3가지 특징이 있는데 첫째, 바로크의 대위법적인 요소와 선율과 반주의 낭만적인 요소가 결합하였다. 둘째, 4개의 보표를 사용한 멘델스존만의 새로운 기보법이 나타난다. 셋째, 멘델스존이 악장마다 메트로놈 숫자를 직접 기입하여 정확한 템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곡은 낭만시대의 연주법인 레가토의 주법을 바탕으로 선율의 움직임을 잘 표현하도록 하였다. 또한 이 곡은 각 악장마다 멘델스존이 지시한 다이나믹에 따라 음색을 다르게 조합하였다. 프랑스 심포닉 악파의 대표적 작곡가 비에른의 『심포니 2번 Op.20』은 제1악장의 2개의 주제가 다른 악장에서 나타나는 순환형식이다. 이 곡의 전체적인 구성은 5악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연주자가 연주한 2,3,5악장 중 제2악장은 느리고 부드러운 부분과 격정적인 아지타토의 대조적인 분위기가 특징적이고 제3악장은 3개의 주요선율이 곡 전체를 흐르며 가볍고 빠르게 진행되는 특징이 있다. 제5악장은 소나타-알레그로 형식이며 각 부분은 작곡가가 악보에 지시한 대로 각기 다른 템포로 연주하였다. 각 악장의 음색은 작곡가가 악보에 지시한대로 조합하였고, 파이널 악장은 낭만시대의 테라스식 다이나믹 구성으로 4단계로 발전하는 음색 조합을 만들었다. 벨기에의 현대 작곡가 용엔의 작품『토카타 Op.104』는 현대적인 화성과 흥미로운 리듬형을 갖고 있다. 손건반에서 기술적으로 이루어지는 수직 화성들의 빠른 교대와 흐르는듯한 아르페지오 음형들은 페달의 주제를 더욱 빛나게 한다. 이 곡의 페달에서의 멜로디를 위해 리드계열의 포자우네(Posaune) 16′와 트럼펫(Trompete) 8′의 음색을 악보의 지시에 따라 추가하거나 빼서 주제 선율이 잘 들리도록 연주하였다. 이와 같이 본문에서는 각 작품들에 해당하는 작곡가의 생애와 그 음악적 특징, 연주법과 음색조합의 예를 살펴봄으로 시대의 흐름에 따른 오르간 작품의 발전과정을 알 수 있다.

      • 이전가격과세제도에 있어서의 입증책임 : 법인세법상 부당행위계산부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한나 서울시립대학교 세무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1980년대 중반 이후 한국 기업의 국외 진출이 본격화되고, 외국기업의 국내 투자도 크게 증가함에 따라 국가 차원 및 기업 차원에서의 국제조세 정책의 중요성이 날로 더해가고 있다. 특히, 다국적 기업들은 기업 전체의 세부담 최소화를 위해 국제 거래의 이전가격을 조작하고자 하는 반면, 과세당국은 과세권의 분할을 초래하는 이전가격의 조작을 규제하려고 하기 때문에, 과세당국과 기업 간에 분쟁이 발생한다. 우리나라는 1995년 말 「국제조세 조정에 관한 법률」(“국조법”)을 제정함으로써 이전가격에 대한 과세를 법으로 규정하였으며, 현재는 국조법 및 조세조약, OECD 이전가격지침에 따라 과세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이전가격 분야의 특성상 정상가격은 회사의 기능 또는 위험 등 여러 요소들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하고, 정상가격 결정 과정은 정밀한 과학이 아니기 때문에 항상 단 하나의 정확한 정상가격이 결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과세당국과 납세자 사이에 분쟁이 생길 여지가 많다. 이와 같이 납세자가 수립한 이전가격 정책에 대해 과세당국이 이의를 제기하여 과세하는 경우, 과세의 타당성에 대한 입증책임이 누구에게 귀속되는지에 관한 연구의 필요가 있다. 입증책임이라 함은 소송의 최종단계에서 소송상 사실의 존재 및 부존재가 확정되지 않았을 때, 당해 사실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취급되어 법적 판단을 받게 되는 당사자 일방의 위험 또는 불이익을 의미한다. 즉, 입증이 되지 않았을 때 소송 당사자가 부담하는 패소위험을 의미한다. 부당행위계산부인 규정의 적용에 있어 과세관청은 ”내국법인의 행위 또는 소득금액의 계산이 특수 관계에 있는 자와의 거래로 인하여 그 법인의 소득에 대한 조세의 부담을 부당하게 감소시킨 것“을 입증하여야 한다. 그리고 그에 반하여 거래가 경제적 합리성을 갖는다는 사실은 납세자가 입증하여야 한다. 이전가격과세에 있어서, 과세관청은 과세를 위해 산정한 가격이 정상가격임을 입증하여야 하고, 그 정상가격이 납세자가 제출한 자료에 입각하여 합리적으로 계산한 것임을 입증하기만 하면 된다. 반면 정상가격과 거래가격과의 차이가 발생한다는 과세관청의 주장에 대하여 거래가격이 정상가격에 해당하여 그 둘 사이에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은 납세자가 입증하여야 한다. 실제 과세관청의 입증의 정도는 높지 않으며 일정한 수준의 입증을 한 경우에는 입증책임이 납세자에게 전환되는 것이다(대법원 2001.10.23 선고, 99두3423 판결). 법인세법상 부당행위계산부인제도와 이전가격과세제도는 모두 납세자의 조세회피 의도와 관계없이 적용된다. 그리고 법인세법상 부당행위계산부인제도는 법인소득에 대한 조세의 부담이 부당하게 감소하는 것을 적용의 요건으로 하고 있으나, 이전가격과세제도에서는 이러한 부당성을 적용 요건으로 하지 않는다. 또한, 이전가격과세제도에서는 부당행위계산부인제도와는 달리 국가 간 이중과세 문제를 조율하기 위해 대응조정을 허용하고 있다. 한편, 2008년 말 국조법의 개정으로 “과소신고가산세 면제 조항” (국조법 제13조 제2항)이 도입되었다. 동 규정은 세무조사 등에 의해 이전가격과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과세가 있더라도 사전에 이전가격보고서를 구비한 경우에는 과소 신고한 금액에 대한 가산세를 면제한다는 조항이다. 그런데 납세자가 과소신고 가산세를 면제 받기 위해서 사전에 구비하고 있어야 하는 이전가격보고서에 어느 정도까지의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다. 우리나라의 국조법에서는 이전가격보고서의 작성 지침을 자세히 규정하고 있지는 않고 이전가격 보고서에 포함되어야 할 항목을 열거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이전가격 보고서의 작성에 대하여는 OECD 이전가격지침을 따르고 있다. OECD 이전가격지침에 따르면, 분석 대상 국외특수관계기업의 정보(사업 개요, 조직 구조, 지분 관계 등), 분석 대상 기업 및 국외특수관계기업의 수행기능 및 위험, 산업 분석, 재무분석 등의 정보가 이전가격보고서에 포함되어야 한다.

      • 有対他動詞文に対応する 自動詞文と受動文の使い分けについて : The study of the distinction of the intransitive expression and the passive expression which correspond to the transitive expression : 이한나

        이한나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re are object-focused intransitive verb sentence and passive sentence which correspond to agentive-transitive verb sentence in the Japanese language. In Japanese which more frequently uses self-agentive verbs than other languages do, it can be the issue to distinguish between intransitive verbs and passive expressions that similarly function each other. However, researches about this distinction have only covered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a subject in a sentence so far, depending on the theoretical explanation but not on the actual examples. This paper, therefore, specifically examines contexts using intransitive verbs and using passive expressions through actual examples of intransitive verbs and passive expressions from newspapers and novels.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 First, an intransitive verb and a passive expression are more likely to be discriminated not by the existence of a subject in the sentence but depending on how much the subject would be affected by the verb. Thus, even if the sentence has its subject, when it is written objectively focused on the event and without considering the role of the subject, intransitive verbs are more frequently used. Meanwhile, passive expressions are more in use when the sentence subjectively writes a certain role of its subject in the nominative noun phase's context. We can find that in this case, the passive expression is related in meaning to the expressions like causative passives, possessive passives, indirect passives, etc. which basically have the meaning of "damage." Also, though there seems to be no difference of the subjectivity between an intransitive verb and a passive expression, it is possible to discriminate them by seeing whether the nominative noun phrase can do the action in the sentence, that is, whether it can make some change in the sentence by itself. That is to say, if the nominative noun phrase is capable of making this change in its sentence, an intransitive verb, which is close to the spontaneous voice base form, is more frequently used. On the other hand, if the nominative noun phrase is not able to make any change in the sentence, a passive expression, which implicates the subject, is in common use. However, in a number of examples, intransitive verbs are seen even in the sentence whose nominative noun phrase has no ability to make any change in it. Namely, though the change is made by other elements outside the sentence, if it is viewed as a reasonable result, you can use an intransitive verb, and which is more frequent in examples. The use of a passive expression strongly gives a feeling of other factors' intervention, and so the passive expression can be seen only in the sentence where the subject is written with the case-particles like「niニ」and 「niyotteニヨッテ」or in the adverbial phrase implicating the subject, and which suggests that a passive expression is used just in the context with the subject's strong involvement. Other languages generally use dual-use verbs or passive form of transitive verbs because in these languages self-agentive verbs are not in use as much as in the Japanese language. If a self-agentive verb is ever used in a sentence of these languages, it is not as frequent. Thus, in other languages, it is not acceptable in a lot of cases to use an intransitive verb to say an action or an event by the influence of other factors, which is unlike in Japanese. As seen above, we can see the importance of intransitive verb use in Japanese, and also, when it comes to Japanese Education, it may be significant for Japanese learners to have this importance in mind. 일본어에는 동작주 중심의 타동사문에 대응하는 대상 중심의 자동 사문과 수동문이 존재한다. 다른 언어에 비해서 有對自動詞의 비율이 높은 일본어의 경우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자동사와 수동표현의 구별이 문제가 된다. 하지만 지금까지 자동사와 수동표현의 구별에 관한 연구에서는 동작주 존재의 여부라는 극히 일반적인 설명을 하 고 있을 뿐이며, 실제 용례를 바탕으로 한 연구가 아닌 이론적인 설 명에 입각한 연구를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신문과 小說 속에 쓰인 자동사와 수동표현의 실제 용례를 바탕으로 하여 자동사 가 쓰이는 상황과 수동표현이 쓰이는 상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고 찰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자동사와 수동표현은 동작주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보다는 「受 影性」의 여부로 구별되는 경향이 보인다. 즉, 동작주가 존재하더라 도 동작주의 작용을 배제하고 사건 자체에 초점을 맞추어 객관적으 로 서술할 경우에는 자동사가 많이 쓰이는 경향이 있다. 반면 동작주 의 작용에 의한 어떠한 영향을 주격명사구의 입장에서 주관적으로 서술할 경우에는 수동표현이 많이 쓰이는 경향이 보인다. 그리고 이 경우의 수동표현은 使役受動, 所有受動, 間接受動 등과 같이 기본적 으로「피해」의 의미를 갖는 표현들과 의미적으로 관련이 있다는 사 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자동사와 수동표현 사이에 위와 같은 주관성의 차이가 보이지 않을 경우에는, 주격명사구가 그 동작, 즉 변화를 스스로 일으킬 수 있는가 없는가에 따라 자동사와 수동표현을 구별할 수 있었다. 즉, 주격명사구에 그 변화가 일어날 수 있는 성질이 내재되어 있을 경우 에는 자발원형에 가까운 자동사가 많이 쓰이게 된다. 반면에, 주격명 사구에 그 변화가 일어날 수 있는 성질이 내재되어 있지 않을 경우 에는 동작주의 함의가 느껴지는 수동표현이 많이 쓰이게 된다. 하지 만 실제 용례 가운데에는, 주격명사구에 변화가 일어날 수 있는 성질 이 내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자동사로 서술되는 예가 많이 보인 다. 즉, 외부 작용에 의해 나타난 변화라고 하더라도 그 변화를 자연 스러운 결과로서 받아들일 경우에는 자동사로도 서술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자동사로 서술되는 예가 더 많이 보인다. 수동표현을 쓰 게 되면 외부의 작용이 미친다는 뉘앙스가 강하게 느껴지기 때문에, 동작주가 「ニ」나「ニヨッテ」와 같은 격조사로 표시되거나, 동작주 를 암시하는 부사구 등이 쓰이는 등, 동작주의 의식이 강하게 느껴지 는 문맥에 한해서 수동표현이 쓰이는 경향이 보인다. 다른 언어의 경우에는 일본어만큼 有對自動詞의 비율이 높지 않기 때문에, 自他兩用動詞나 타동사의 수동형을 사용하여 서술하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有對自動詞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일본어의 자동사만 큼 사용 범위가 넓지는 않다. 즉, 외부 작용에 의한 동작이나 사건을 서술할 경우에 일본어처럼 자동사로도 서술할 수 있는 허용도가 낮 다. 이를 통해서 자동사가 일본어 표현에서 얼마나 중요한 위치를 차 지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일본어 교육에 있어서도 학습자 들이 이 점을 주지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 성인 블로거들의 자전적 글쓰기를 통한 성찰경험 현상학적 탐구

        이한나 아주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성인학습 관점에서 성찰경험을 규명하려는 연구적 관심과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셜미디어 중의 하나인 블로그를 활용해 일상을 기반으로 한 자전적 글쓰기 활동을 하는 성인 블로거의 성찰경험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경험 세계의 근저에 있는 본질을 밝히는 현상학적 접근 방법과 연구자로서 내⋅외부자적 관점에서의 현상의 명확한 이해를 시도하기 위한 노력으로 자기 연구(self-study)의 하나인 자문화 기술 방법을 혼용하였다. 현상을 잘 드러낼 수 있는 풍부한 정보 제공이 가능한 참여자를 선정하고자 목적 표집과 눈덩이 표집을 통해 본 연구자를 포함한 4명의 참여자를 선정하였다. 현상학적 연구로 연구자가 가져야 할 ‘현상학적 환원의 태도’를 견지하며, 연구자 감식과 삼각구도법의 활용 및 참여자 확인, 참여자 동의 확보 등 질적 연구의 진실성과 타당성, 그리고 객관성 확보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블로거 활동을 처음 시작하게 된 연구자 및 참여자들의 공통적인 활동 맥락에는 현재의 삶과는 다른 더 나은 삶을 살아가고자 하는 갈망이 있었다. ‘더 나은’ 삶의 개념은 자신의 삶에 대한 자아실현의 욕구와 사회적 존재로서 어떤 집단에 소속하고 싶은 사회적 욕구로 나타났다. 블로그를 운영하며 동기가 바뀔 수도 있듯이 참여자들 또한 블로그를 처음 시작한 동기와는 다르게 블로그에 글을 쓰며 자신의 경험을 블로그에 공유함으로써 누군가에게 힘이 되고 도움이 되어 선한 영향력을 주기를 기대하는 이타적 동기가 나타났다. 이와 동시에 자신의 성장을 위한 자아실현의 욕구로 블로그 글쓰기가 지속되었다. 둘째, 참여자들은 글의 소재를 찾기 위해 자신이 겪는 일에서 무엇을 배울 수 있는지, 이 상황이 주는 의미가 무엇인지 찾고자 ‘잠시 멈춤’의 시간을 통한 일상에서의 성찰을 경험한다. 이를 통해 얻은 깨달음을 토대로 블로그에 글을 써내려가고 상황을 객관적으로 재해석하며 반성의 시간을 갖는다. 그리고 낯선 자신을 만나며 거부하고 싶은 자신의 모습을 받아들이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내면을 구성해 간다. 이는 실존적 주체로서 자신의 과거를 성찰하여 스스로를 점검하는 시간이며 결과적으로 진정한 자기를 획득하는 경험에 이른다. 결국, 모든 것이 자신의 선택에 달려있고, 노력을 통해 변화시킬 수 있는 힘 또한 자신에게 있음을 알게 된다. 따라서 자신이 처한 상황을 초월하여 그것을 딛고 일어서서 어떠한 삶과 어떠한 시간을 보낼 것인지 결정하는, 실존적 존재로서의 성찰 과정을 경험한다. 이처럼 참여자들은 블로그 글의 소재를 찾기 위한 일상에서의 성찰경험을 토대로 블로그에 글을 쓰며, 주관적 자아에서 객관적 자아로, 객관적 자아에서 실존적 자아로 나아가는 전환적 성찰과 실존적 성찰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블로그에서 타인에게 글을 통해 선한 영향력을 주고자 하는 참여자들은 단순히 자신의 신념과 느낌에 따라 판단하는 것이 아닌, 자신의 글을 볼 상대방과의 관계적 맥락에서 자신의 모습을 검토한다. 이러한 모습은 참여자들로 하여금 글로 표현되는 자신의 모습이 타자로부터 어떻게 보일 것인지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하며, 자신을 드러내는 데 있어 사회적 적절성 여부에 맞추어 스스로 자신을 관찰하고 평가하며 통제하는 ‘자기 감시’적 성찰을 이끌어낸다. 이것은 블로그에서뿐만 아니라 현실세계에서도 참여자들로 하여금 자신이 만들어 낸 규율을 지켜야 한다는 의식 속에서 스스로를 지속적으로 관찰하며 인식하도록 만든다. 더불어 블로그 이웃이라는 존재와 그들의 댓글은 감시자의 역할이자 응원이 되어 일회성 실천이 아닌 지속적인 실천을 만들어 낸다. 이 외에도 참여자들은 자신이 쓴 글을 토대로 블로그 이웃 또는 방문자들과 소통함으로써 생각지도 못했던 다양한 견해의 댓글을 만나고, 자신이 하나의 관점에 취해 편협하게 보고 있음을 깨닫게 된다. 참여자들은 서로의 경험을 나누고 그 경험의 의미를 재구성함으로써 자신의 삶에 실질적인 도움을 받는 것뿐만 아니라 사고의 깊이와 폭이 확장하는 성찰경험을 하게 된다.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후속연구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의 적극적인 성찰을 이끌어내는 데 있어서 자신의 학습과정이 타인에게 영향을 미치고 자신을 외부로 표현하며 경험과 의견을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둘째, 능동적인 실천을 일으키는 데 관계를 통한 소통은 자신이 실천하고자 하는 바를 이어갈 수 있게 만들 뿐만 아니라 실천에 대한 책임감을 갖게 만든다. 이에 성인학습에서 성찰에 따른 삶의 변화를 추구하는 데 필요한 행동 변화를 위해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타인과 소통하는 환경 및 매개체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는 다양한 소셜미디어 중에서 블로그에만 한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으므로 향후 다른 소셜미디어를 폭넓게 활용하여 어떠한 성인학습이 이루어지는지를 살펴보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는 성인 블로거들의 자전적 글쓰기 경험을 통한 삶에서의 성찰경험을 살펴보고자 참여자들의 면담 진술에 주로 집중하여 연구하였으나, 향후 블로그에 드러난 글에 집중하여 성찰과정을 밝히는 연구가 이어질 필요가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더욱 균형을 갖춘 연구가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 상담사의 권리와 의무 확립을 위한 탐색적 연구

        이한나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사 권리와 의무의 인식과 실태를 밝히고 이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여 권리와 의무 확립을 위한 발전적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고찰을 통해 우리나라 상담사의 역할과 전문성에 대해 고찰하고, 그들의 권리와 의무의 실태를 밝힌다. 또한, 국내 타 전문직과 해외 상담사의 권리와 의무와 관련된 규정을 소개한다. 둘째, FGI를 통해 상담사의 전문성을 확인하고, 우리나라 상담사의 권리와 의무에 관한 인식과 실태, 이에 대한 요구를 파악한다. 셋째, 설문 조사를 통해 우리나라 상담사의 권리와 의무의 인식, 이해, 확립의 저해요인, 실태 및 요구 정도를 탐색한다. 넷째,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자료의 수집과 분석을 통해 상담사의 권리와 의무 확립을 위한 발전적 방안을 제언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문헌고찰을 통해 상담사의 전문성과 우리나라 상담사의 권리와 의무를 살펴보았다. 상담사는 충분히 전문직으로서의 요건을 갖추고 있었으나 우리나라는 상담사 상위법과 주무부처의 부재로 상담사 권리와 의무에 관해 법적으로 명시되어있는 부분들이 미비하였고, 이로 인해 상담사의 권리와 의무가 제대로 확립되지 않는 실정이었다. 이에 우리나라의 타전문직과 해외 상담사의 권리와 의무를 살펴봄으로써, 그들의 권리와 의무를 비교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상담사의 권리와 의무의 인식과 실태,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상담사 12명을 3그룹으로 나누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Elo와 Kyngäs의 내용분석의 귀납적 접근의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도입질문과 전환질문을 통해 상담사의 인식을 살펴보았고, 주요 질문을 통해 실태와 요구에 대한 범주와 하위범주를 도출하였다. 먼저 연구참여자들은 상담사가 전문직이라고 생각하였고, 상담사의 권리와 의무에 대해 생각해본 적이 있다고 하였다. 또한, 모든 연구참여자가 상담사의 권리와 의무 확립을 위한 상담사법 제정에 찬성하였다. 다음으로 상담사의 권리와 의무 실태, 요구를 살펴보기 위해 개방코딩과정을 거쳐 범주화하였고, 이에 따른 결과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문헌고찰과 포커스 그룹 인터뷰의 결과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상담사의 권리와 의무의 인식, 이해, 확립의 저해요인, 실태 및 요구 정도를 알아보았다. 연구참여자들은 상담사는 전문직이라고 생각하였고 의무에 최선을 다하고 있었으나 그에 따른 권리는 상대적으로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연구참여자들은 상담사의 권리, 권리와 의무와 관련된 법과 제도, 권리 침해 시 대처방법, 의무 불이행시 처벌 및 문제와 관련된 이해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의무와 윤리강령에 대한 개념 및 내용은 상대적으로 이해도가 높았다. 권리와 의무 확립의 저해요인에는 검증되지 않은 상담 민간자격증의 남발이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상담현장을 고려하지 않는 상담정책 및 제도, 상담사 협회와 같은 단합된 중앙조직의 부재, 상담사의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 상담에 대한 낮은 사회적 인식, 상담사의 자신의 권리와 의무에 대한 관심과 개선노력 부족, 상담사의 전문성 함양 부족의 순으로 나타났다. 상담사 전문성의 권리와 의무와 관련하여 모든 하위영역에서 실태와 요구에 차이가 있었다. 다음으로 상담사 공공성의 권리와 의무와 관련하여 ‘직무와 관련하여 관련 기관이나 내담자 등으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선물, 증여, 향응을 수수하지 않는다’, ‘상담사는 공공의 이익과 권리를 위해 성실히 임한다’, ‘상담 및 관련 업무상 알게 된 비밀을 엄수한다’, ‘상담 및 관련 업무 내외를 불문하고 상담사의 품위가 손상되는 행위를 하지 않는다’ 외의 하위영역에서 실태와 요구의 차이가 있었다. 상담사 근로성의 권리와 의무에 관련하여 '상담사는 도덕적 의무를 지킨다'의 외의 하위영역에서 실태와 요구의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상담사의 권리와 의무 확립을 위한 발전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상담사의 권리와 의무를 앞으로 어떻게 확립해 나갈 수 있을지에 대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주제어: 상담사의 권리, 상담사의 의무, 상담사법, 포커스 그룹 인터뷰, 실증조사

      • 스마트폰을 통한 창의적 유아율동 어플리케이션 매체 개발 : 아이폰을 중심으로

        이한나 덕성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아는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가 성인보다 훨씬 더 필요하다. 그 중에 대표적인 방법이 음악적 표현방법인데 음악과 신체표현을 결합하면 학습하고자하는 개념을 이해하는 데 더 효과적이다. 그러나 음악에 맞추어 신체를 움직이는 방법을 자연히 알게 되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에 교수자는 신체를 어떻게 사용하는 가를 배우는 경험을 유아가 갖도록 도와주어야한다. 유아는 타인의 움직임을 모방하면서 창의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창의적 움직임이 바탕이 되는 율동은 어떠한 매체로 전달하는 것이 효과적일까? 동영상은 다른 매체에 비해 동작이나 움직임을 사실적으로 나타내주며 내용을 반복적으로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신체표현의 바탕을 만들어 줄 수 있는 율동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고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으로 매체를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출시한 율동관련 제품의 구성요소를 분석하고, 주제와 주제에 연관성을 고려한 동요를 선정 후 동영상을 제작하였으며, 아이폰의 특성을 반영하여 유아 율동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율동 어플리케이션의 주제는 ‘동물’로 선택하였으며, 6곡의 인기 동요를 선정하여 율동을 제작하였고, 어플리케이션의 상품명은 주제<작은 동물원>으로 결정하였다. <작은 동물원>은 율동보기, 부르기(노래방), 내 노래 듣기로 구성하였으며, 디자인과 화면 인터페이스는 유아가 단독적으로 사용할 수 할 수 있도록 색상과 크기를 고려하여 반영하였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환경이 이루어지고 있는 이 때, 잠재력이 높은 시기의 유아교육 역시 다양한 매체를 통해 유아의 능력을 개발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스마트폰의 교육적 활용의 잠재력은 매우 크게 평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내용적인 측면과 함께 기능적인 특징을 최적으로 활용하여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논의가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 아이폰을 중심으로 콘텐츠를 개발하였으나, 다양한 플랫폼과 타블렛 PC의 어플리케이션 개발로 확대, 연구되길 기대한다. Young children are more in need of desire to expression thoughts and emotions than adults. One of the typical methods is to use music, for it to be effective to understand concepts required for education with a combination of music and physical movement. However, since a method of physical movement with music is not something naturally learned, instructor should support young children to experience on how to exploit physical movements. Young children have a tendency to imitate of movements from others, laying a ground for a creative movement. Then, what is an effective media for conveying creative movement? Videos have an advantage of repeating what is needed to watch, showing a vivid movement more than other medias. In this study, application from the smart phones, an issue in nowadays, which enables to produce movement video contents, is intended to be exploited. In order for this, elements of products related to movements newly released were analyzed, producing videos after selecting children songs relating to appropriate topics, and develop application for movements for children reflecting on unique characteristics of iPhone. The topic of application of movement is "animal", selecting six of the famous children songs, and the name of application product is <Small zoo>. <Small zoo> consists of "watching movement", "sing (karaoke)," and "listening to my own singing," and design and screen interface reflect on color and size so that children can use them on their own. In an era with environment of digital multi-media, child education in the period of high potential has to be supported to develop skills and capability via various media. Exploitation of smart phone as an education can be highly evaluated in terms of potential. Therefore, it is urgently required to steadily proceed a research and study for application, maximizing educational effects with semantic aspects as well as function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is intended to mainly develop contents based on iPhone among many of smart phones, expecting to expand a range of research for application of tablet PC and various platfor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