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라성게, Heliocidaris crassispina 로부터 항균성 물질의 정제 및 특성

        박수현 부경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63

        보라성게, Heliocidaris crassispina에서 항균성 물질의 정제 및 특성분석 박수현 부경대학교 대학원 해양수산생명과학부 생물공학전공 해양생물은 서식환경의 특성상 높은 밀도의 미생물에 항상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그들은 항균활성을 가진 생리활성물질을 생성함으로써 스스로를 보호한다. 성게에서 분리된 항균 물질로는 Echinochrome A (Ech A)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라성게의 체강액 열수추출물의 항균활성을 측정하고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두 물질(A and B)을 정제하여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성게 체강액 추출물은 다양한 균주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냈으며, 이러한 결과는 성게 체강액 추출물은 새로운 항균요법으로의 가능성을 나타낸다고 여겨진다. 이번연구에서 정제된A 물질의 분자량은 266.0428로 나타났다. 이는 Ech A의 분자량과 매우 유사하며 Histochrome 과의 retention time 비교에서 하나의 peak로 나타났음으로 Ech A라 여겨진다. B 물질은 [M-H]-에서 237.0395, 263.0188, 265.0346, 281.0293 및 299.0396 Da를 가지는 혼합물로 나타났다. Ech A는 강한 항산화성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산화과정에서 여러 산화 생성물이 생성된다. 혼합물인 B 물질은 Ech A와 그 산화 생성물과 분자량이 거의 동일하기에 B 물질은 Ech A의 산화 생성물이라 여겨진다. 이번 연구에서의 두 물질은 모두 Ech A라 여겨지지만 초기 정제에서 두 물질로 분리되었다. 이는 Ech A의 isomer라 여겨진다. 이전의 연구에서는 주로 이번 연구의 가시와 껍질로부터 강산용액과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Ech A를 얻었다. 하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이러한 강한 독성 물질을 사용하지 않았음으로 실험자의 위험도를 낮추고 친환경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여겨진다. 보라성게, Heliocidaris crassispina의 내장조직에서 새롭게 정제된 항균성 펩타이드의 특징 및 특성분석 박수현 부경대학교 대학원 해양수산생명과학부 생물공학전공 인류는 항생제 개발을 통해 다양한 병원체를 통제하고자 했다. 하지만 항생제 내성균의 출현은 새로운 위기로 다가왔다. 이에 따라, 내성을 거의 유발하지 않는 항균성 펩타이드 (AMPs)가 주목받고 있다. 특히 보라성게와 같은 무척추동물은 적응 면역이 부족하기 때문에, 선천성면역에 매우 의존적이며 AMPs는 선천성 면역의 중요한 요소라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이전에 사용되지 않은 보라성게의 내장 추출물에서 새로운 AMP (HcAMP)를 정제하였다. HcAMP 분자량은 2,132.43 Da이며 17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이루어져 있다. HcAMP의 서열은 DKGRESKTKQFRIGYRY이며 C-말단의 amide형태로 나타났다. HcAMP 서열의 상동성 검사에서 높은 상동성을 가지는 AMP가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새로운 유형의 AMP라 여겨진다. HcAMP의 염기서열을 확인하기 위해 cDNA를 clonnig수행하였다. 그 결과, 전체 838 bp의 염기 서열을 확인하였다. RT-qPCR을 이용한 조직별 발현 분석은 성게의 면역에 관련된 coleomocyte에서 가장 높은 발현량을 나타냈다. 또한 HcAMP의 항균활성을 강화하기위해 HcAMP의 Gly잔기를 Ala로 치환한 3종의 유도체인 HcAMP[A3], HcAMP[A14] 및 HcAMP[A3,14]를 합성하였다. 그 결과 HcAMP[A14] > HcAMP[A3,14] > HcAMP > HcAMP[A3]의 순서로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이번 연구에서 사용한 4종의 peptide는 세균 외막과의 상호작용을 나타냈으나, 내막과의 상호작용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HcAMP의 N-말단은 항균 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C-말단의 Gly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이 적기 때문에 이를 치환하여 helix구조를 취하는 것이 항균활성에 더 유리할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앞으로 항균제로의 개발을 위해 용혈활성과 같은 부작용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 흡연 청소년의 담뱃갑 경고메시지 위협인식, 심리적 저항이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 :

        박수현 인제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흡연 청소년의 담뱃갑 경고메시지 위협인식, 심리적 저항이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수현 (간호학과 전공) (지도교수: 박지영)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흡연 청소년을 대상으로 담뱃갑 경고메시지 목격 후 그에 따른 위협인식, 심리적 저항이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흡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공익광고 메시지 개발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B시, G시에 소재한 2개의 특성화 고등학교에서 현재 흡연을 지속하고 있고, 최근 30일 동안 담뱃갑 경고메시지를 목격한 경험이 있는 고등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2019년 8월 19일부터 11월 18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고, 무응답 및 불성실한 설문을 제외한 185명을 최종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window 25.0 program을 활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여학생이 51.4%(95명)를 차지하였고, 1학년이 38.9%(72명)로 가장 많았으며, 성적 수준은 중위권이 51.4%(95명)로 가장 많았다. 부모의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이하인 경우가 57.8%(107명)로 가장 많았으며, 주관적 가정의 경제적 수준은 중위층이 46.5%(86명)를 차지하였다. 2. 대상자의 흡연 특성 중 53.5%(99명)의 대상자가 중학교 때 처음 흡연을 시작하였고, 45.5%(84명)의 대상자가 4년 이상 흡연을 지속하고 있었으며, 하루 평균 6-10개피를 흡연하고 있는 대상자가 37.8%(70명)로 가장 많았다. 흡연을 습관적으로 지속하고 있는 대상자가 45.9%(85명)로 가장 많았고, 흡연을 하고 있는 친구는 9명 이상이 47.6%(88명)로 가장 많았으며, 대상자의 75.1%(139명)에서 흡연하는 가족이 있었다. 흡연의 위험성은 높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85.4%(158명)로 가장 많았고, 71.9%(133명)의 대상자는 흡연과 관련된 질병을 목격한 적이 없었다. 3. 담뱃갑 경고메시지를 목격한 후 그에 따른 대상자의 금연의도 정도는 7점 만점에 평균 4.70±1.74점으로 나타났고, 위협인식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62±0.69점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저항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2.91±1.09점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흡연 특성에 따른 금연의도는 성별(t=-3.27, p=.001), 학년(F=4.03, p=.019), 성적 수준(F=14.84, p<.001), 부모의 학력(t=-2.63, p=.009), 주관적 가정의 경제적 수준(F=7.00, p=.001), 흡연 시작 시기(F=43.51, p<.001), 흡연 기간(F=21.12, p<.001), 하루 흡연량(F=20.24, p<.001), 흡연 지속 이유(F=9.04, p<.001), 흡연 친구(F=15.53, p<.001), 흡연 가족(t=-4.25, p<.001), 흡연에 대한 위험 인지(F=8.06, p<.001)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금연의도는 위협인식(r=-.34,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심리적 저항(r=-.45, p<.001)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위협인식과 심리적 저항(r=-.25, p=.001)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6. Model 1에서 종속변수인 금연의도에 대하여 일반적 특성을 투입하였을 때, 24.4%의 설명력을 보였고(F=7.31, p<.001), 성별 중 여자(β=.21, p=.003), 성적 수준 중 중위권(β=.28, p<001), 주관적 가정의 경제적 수준 중 상위층(β=.22, p=.015)이 금연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Model 2에서 흡연 특성을 투입하였을 때, 설명력은 23.9% 증가한 48.3%이었으며(F=8.12, p<.001), 흡연 시작 시기 중 중학교(β=.26, p=.006)와 고등학교(β=.41, p<.001), 하루 흡연량 중 1-5개피(β=.25, p=.041)가 금연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Model 3에서 위협인식이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Model 2에 위협인식을 추가 투입하였을 때, 설명력은 2.0% 증가한 50.3%로(F=8.31, p<.001), 위협인식(β=.18, p=.010)이 금연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Model 4에서 심리적 저항이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심리적 저항을 추가 투입하였을 때의 설명력은 53.8%로, Model 2에 비하여 3.5% 증가하였으며(F=9.03, p=<.001), 심리적 저항(β=-.23, p=.001)이 금연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담뱃갑 경고메시지 목격 후 대상자의 위협인식이 높을수록 금연의도가 높았고, 심리적 저항이 높을수록 금연의도가 낮았다. 이를 토대로 흡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공익광고 메시지 개발 시 공포감과 혐오감을 주는 메시지 개발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청소년이 메시지를 수용하는 과정에 집중하여 적응적인 반응으로 메시지를 수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모색해야 한다. 주제어: 흡연 청소년, 담뱃갑 경고메시지, 금연의도, 위협인식, 심리적 저항 Abstract Influence of Threat Perception and Psychological Reactance of Cigarette Warning Message on Intention to Quit Smoking of Smoking Adolescents by Su Hyun Park (Advisor: Prof. Ji Young Park, Ph.D., RN.)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undamental research data to help reducing to explore the influence of threat perception and psychological reactance of cigarette warning message by smoking adolescents on intention to quit smoking. Methods: From August 19 to November 18, 2019, attended vocational high schools from 2 located in B and G cities, and collected data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for 200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seen cigarette warning messages over the past 30 days, while 185 students, excluding non-responsive and insincere survey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nd the collected data wa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dow 25.0 software program, and the actual numbers and percentag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linear regression were analyz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51.4% of the participants was females, and 38.9% was in the 1st grade and 51.4% in the middle class on the academic performance. parental education level was the highest with 57.8% of high school graduates, the perceived economic status of middle layer with 46.5%. 2. 53.5% of the participants was first smoking age in middle school. 45.5% of the participants was smoking period than 4 years, and 37.8% said they smoking amount per day 6-10 piece. 45.9% of the participants was answered they habitually reasons for smoking. and 47.6% said they number of smoking friends more than 9 person, 75.1% of the victims were smoking of family. also, while 85.4% of the respondents said they have never seen anyone suffering from the disease due to smoking 71.9% said smoking is highly likely to cause the disease. 3. The level of threat perception was 3.62±0.69 out of 5 points. psychological reactance was 2.91±1.09 out of 5 points. and intention to quit smoking was 4.70±1.74 out of 7 points. 4. The gender(t=-3.27, p=.001), grade(F=4.03, p=.019), academic performance(F=14.84, p=<.001), parental education level(t=-2.63, p=.009), perceived economic status(F=7.00, p=.001), first smoking age(F=43.51, p=<.001), smoking period(F=21.12, p=<.001), smoking amount per day(F=20.24, p=<.001), reasons for smoking(F=9.04, p=<.001), number of smoking friend(F=15.53, p=<.001), smokers among family members(t=-4.25, p=<.001), risk perception on smoking(F=8.06, p=<.001)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moking-related characteristics showed differences on intention to quit smoking. 5.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r=-.34, p=<.001) between threat perception and intention to quit smoking an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r=-.45, p<.001) between psychological reactance and intention to quit smoking, also between threat perception and psychological reactance was a negative correlation(r=-.25, p=.001). 6. When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controlled and analyzed in order to check the effect of purely independent variable, on gender, academic performance, perceived economic statu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intention to quit smoking(F=7.31, p=<.001). In Model 2, smoking-related characteristics were introduc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explanatory power increased by 23.9% to 48.3%(F=8.12, p=<.001), first smoking age, smoking period, Smoking amount per da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intention to quit smoking. In Model 3, threat perception was introduc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explanatory power increased by 2.0% to 50.3%(F=8.31, p=<.001), threat perception have significant effects on intention to quit smoking. In Model 4, psychological reactance was introduc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explanatory power increased by 3.5% to 53.8%(F=9.03, p=<.001), psychological reactance have significant effects on intention to quit smoking. Conclussion: In this study, the higher the victim's awareness of threat perception after witnessing of cigarette warning message, the higher the intention to quit smoking rate. and the higher the psychological reactance, the lower the intention to quit smoking rate. therefore when developing public service advertising messages for smoking adolscents, should focus on the process of accepting messages and explore ways to accommodate messages in an adaptive response. Key words: Smoking Adolescents, Cigarette Warning Message, Intention to Quit Smoking, Threat Perception, Psychological Reactance

      • Effect of dietary fatty acids and natural waxes on adipogenesis of 3T3-L1 cells : 지방산과 왁스의 처리가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및 지방축적에 미치는 영향연구

        박수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비만으로 인해 발생하는 대사 장애에 대한 연구는 최근 수 년 동안 끊임없이 연구되고 있는 주제로, 불균형 한 음식 섭취와 유전적 이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대사 장애의 위험 요소가 증가된다고 여러 연구를 통해 보여지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여러 종류의 지방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올레산, 리놀레산(오메가-6) 및 알파 리놀렌산(오메가-3) 뿐만 아니라, 천연왁스인 비즈 왁스와 카나우바 왁스가 3T3-L1 세포에서의 지방 생성과 지방구 축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세포 독성평가는 MTT 분석으로 측정 하였고, 중성지방의 축적능은 Oil Red O 염색법으로 측정 하였다. 지방구의 크기 및 면적 분포도 또한 ICY프로그램을 통해 염색사진을 가지고 측정하였다. 50 μM의 스테아린산을 처리한 지방 세포에서의 지방구의 축적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 <0.05), 알파 리놀렌산을 처리 한 군에서 50 μM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p <0.05). 비즈 왁스와 카나우바 왁스를 6 가지 농도 (0.5, 1, 1.5, 2, 2.5 및 3ppm)로 처리하였을 때, 대조군과 비교하여 세포독성에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p< 0.05). 유전자 발현량 비교는 qPCR에 의해 수행되었다. 스테아린산은 대조군에 비교하였을 때, 지방산 산화와 관련된 CPT1 유전자에서는 발현이 감소함을 보였고, 지방을 생성하는 유전자 (SREBF1, PPARγ 및 C / EBPα) 및 지방산 합성 효소 유전자 (FASN)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p< 0.05). 반면, 알파 리놀렌산의 처리는 스테아린산과 유전자 발현 경향에서 반대 패턴을 보였고, 카나우바 왁스와 비즈왁스는 FASN, PPARγ 및 C / EBPα 발현에 대해 확연히 대조군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p<0.05). 따라서, 알파 리놀렌산, 비즈왁스, 카나우바왁스는 3T3-L1세포의 지방 생성 활성을 감소시키거나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지방을 저감화 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 그린스포츠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프로야구 구단의 이미지, 평판 및 소비자 행동의사에 미치는 영향

        박수현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프로스포츠 구단 중 지속적인 그린스포츠를 실시하고 있는 SK와이번스를 중심으로 그린스포츠 소비자의 인식에 따른 구단의 이미지, 평판 및 행동의사 간의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여, 현 그린스포츠 상황을 파악하고 효율적인 그린스포츠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1년 프로야구 시즌 중 SK와이번스 문학구장을 찾은 관람객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method)을 이용하여 총 500명을 표집 하였다. 설문조사 후 무기입 자료 및 불성실한 응답 자료를 제외하고 총 479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PASW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신뢰도분석, 확인적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그린스포츠에 대한 고인식집단과 저인식집단의 구단이미지, 평판 및 소비자 행동의사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구조모형은 적합하였다. 둘째, 그린스포츠에 대한 고인식집단과 저인식집단의 연구의 구조모형은 서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린스포츠에 대한 고인식집단과 저인식집단 모두 구단이미지가 평판 및 소비자행동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그린스포츠에 대한 고인식집단과 저인식집단 모두 구단평판이 행동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그린스포츠 경험 소비자들은 구단 이미지가 평판과 소비자 행동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구단의 평판은 소비자 행동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린스포츠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수준은 구단의 이미지, 평판 및 행동의사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실행되고 있는 그린스포츠가 소비자에게 일시적인 경험으로 인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따라서 국내 프로구단들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그린스포츠 활동으로 구단의 평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며, 나아가 프로스포츠의 발전과 자연의 보존이 공생 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연구하고 실천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mainly about SK wyverns which keeps using green-sport among pro-sport club in domestic,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cause and effect between club’s image, reputa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of green-sport’s consumers as well as providing fundamental data to grasp current situation of green-sport and to collect effective green-sport strategy. To achieve its goal, this study targeted on spectators who visited SK wyverns Mun-Hak stadium during pro baseball season in 2011, and collected total 500 by using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fter the surveying, 479 questionaries out of 500 were used except for those without answers or with insincerity answers. For data analysis was made by PASW 18.0 and AMOS 18.0, performing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ng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structure model of the study, which was set to explain high-recognition consumer group and low-recognition consumer group’s club image, reputation and consumer’s behavioral intention relationship about green-sport, was suitable. Second, structure models of the study of both high-recognition consumer group and low-recognition consumer group about green-sport show few difference in each one. Third, both high-recognition consumer group and low-recognition consumer group about green-sport show club‘s image has actual effects on consumer’s behavioral intention. Forth, both high-recognition consumer group and low-recognition consumer group about green-sport show club’s reputation has no actual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In conclusion, club’s image has effects on its reputation and consumer’s behavioral intention among green-sport experienced consumer, but its reputation has no effects on consumer’s behavioral intention. Also, consumer’s recognition has no effects on club’s image, reputa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urrent green-sport is reconised as temporary experience by consumers. Therefore, domestic pro baseball team should try to bring positive effects onto its reputation by having continuous and systematic green-sport campaign. Moreover, they should search for durable improvements and implement it for the future of pro-sport and for the preservation of nature.

      • 움직임의 영성적 특성

        박수현 대구가톨릭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modern concepts of spirituality is 'holistic'. It gathers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aspects of the one and makes the life valuable. Even if spirituality originally started from religion, it is no more restricted in religious settings. Spirituality exists in every person not only those who are religious. It is related to one's experience and existence, hence can be raised after birth. The fundamental concept of spirituality is feeling the sensation of sacred being in oneself. The sacred being can be God, the law of nature, universe and so on. Spirituality makes us understand and feel connectivity, holiness, wholeness of ourselves. Our body and movement is the medium to experience spirituality. The spirituality can be sensed by one's presence. The transpersonal psychology, psychosynthesis, integrative medicine utilize movements to relieve psychological and physical stress and pain. In the process of movement, the one can pursue 'spiritual self'. Furthermore, somatics, movement healing programs, dance, yoga, martial arts, sports are the movement that give the essence experience of knowing transcendent self. The movement in daily life can be spiritual, too. What is the relationship of body/movement and spirituality? What are the characteristic of the movement that connects us to experience spirituality? In the research, I drew the conclusion by studying the relationship of body and spirituality in eastern and western. In western, soma was the holistic concept of mind-body-spirit. Many philosophers, psychologists, and scientists know that the concept of spirituality can not be exist without our experience. Body and movement is the creative action of the human as we are the ones who are created by God. The movement has healing power for people who are lost and confused in their life. In eastern, the concept that body('mom' in Korean) is united with the soul has been dominant thought. Body(mom) is microcosmos that is holistic. Body has material('Jung'), energy('Ki'), and spirit('Shin'). Body and its movement affected to one's sacred mind. Hence, the discipline of the body was the discipline of the spiri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spirituality and the relationship of body and spirituality, the characteristics of spiritual movement are 1.Integrity without boundary 2. Eternal nowness 3. Embodied consciousness 4. Practicing self-realization. Practicing self-realization means Awakening, Self examination and awareness, Self creation and autopoiesis.

      • 무라카미 하루키(村上春樹)의 『세계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에 나타난 ‘기억’ 고찰

        박수현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村上春樹の『世界の終りとハードボイルド・ワンダーランド』における「記憶」考察 朴修賢 村上春樹の『世界と終りとハードボイルド・ワンダーランド』(1985)は、新潮社の「純文学書き下ろし」に収録するための小説を頼まれた彼が『文學界』に発表した ― 自称「志のある失敗作」― 短編「街と、その不確かな壁」(1980)を長編に書き直した作品である。以前とは違って、二つの異なる物語が相互交錯しながら進行されるその構造のため、本作品は村上文学の中で最もユニークな小説として分類されたり、一種の転換点としてみなされている。 村上春樹は『風の歌を聴け』(1979)でデビューして以来、記憶と回想をストーリ展開上主な手法として使い、過去というものは現在の自分に影響を及ぼしていること、また、過去なしでは現在も存在しないということを繰り返して語ってきた。『世界の終りとハードボイルド・ワンダーランド』は「記憶」と「回想」にアイデンティティーという問題を加えた小説である。 春樹文学が人間の記憶、そして無意識と深く関わっていることは今までの先行研究からも取り上げられてきた。無意識が造った世界に生きている記憶を失った主人公が世界とどうのように関わっていくのかを描いた本作品のなかに出てくる「アイデンティティーは人間の過去の体験の記憶の集積によってもたされる」という記述に着目した本研究の目的は、「記憶」が春樹文学にもたらした変化とその意義を究明することであった。 本稿は先行研究を踏まえて『世界の終りとハードボイルド・ワンダーランド』における「記憶」に主眼を置きながら、アイデンティティーと結びつく記憶のもたらす機能とその役割について考察しようとした。また、村上文学が「僕は誰なのか」というアイデンティティー(存在認識)にまつわるテーマを描いている点に着目し、アイデンティティーの混乱とその回復に記憶がどのように機能しているかに注意しながら記憶とアイデンティティーとの関係についても考察してみた。 これらの問題を考えるにあたって、「記憶とは何か」という問いを出発点にした。そのため、まず記憶の対立項として忘却を設定し、「記憶するという行為」は小説の構造上どのような役割を果たしているのか、その役割と意味とを比較した。「記憶しようとする欲求」が主人公、つまり「僕」の認識にどのような変化をもたらし、それが「僕」の選択にどんな影響を与えたのかを究明しようとした。 本稿の第一章では作品のなかに現れた記憶の様子を内在的記憶と外在的記憶というかたちで二つに分けてみた。内在的記憶は並行する世界である裏面世界「世界の終り」を形成する。言い換えれば、「ハードボイルド・ワンダーランド」の主人公である「私」の記憶は「世界の終り」という裏面世界を成立させる。そして現実世界の残存記憶はこの裏面世界の現実として現れる。 また、外在的記憶は視覚的記憶と聴覚的記憶に分類することができたが、視覚的記憶のなかで最も頻繁に用いられたのは既視感(デジャ・ヴュ)であった。作品全般に支配的イメージとして現れた既視感を通した記憶の再生はいつか、どこか違う場所で違う人生というものが存在したかもしれないという「僕」の仮定を引き出せる手段として使われたり、並行する二つの世界「世界の終り」と「ハードボイルド・ワンダーランド」との接点として現れたりした。こちらの世界の現実で起きたできことがあちらの世界の主人公の「記憶」として表現されたのは、これらの二つの世界がお互いに関連されているということを見せるためであった。聴覚的記憶は音楽と音などの形で現れたのだが、本作品では春樹文学の特徴でもある「音楽」を媒体として行われた記憶の回復が記憶の消去によって生じたアイデンティティーの混乱を取り直す役割を果たしていた。 第二章では、記憶とアイデンティティーの関係について考察してみたが、そのため、まず記憶の対立項として「忘却」を設定した。記憶の消去とアイデンティティーの混乱は密接に連関されていたが、アイデンティティーの混乱により起きた方向性の喪失は、主人公「僕」が今自分のいる場所である「世界の終り」の本質について疑問を抱えられるようにさせた。だんだん記憶を失っていく主人公がもとどおりの自分とはいったい誰なのかという問題、つまり自分のアイデンティティーについて考えるようになったのは「他人の物語に自我を渡すな」という春樹の一貫したテーマにつながる。回想を通じた過去の復元は主人公の存在確認を可能にさせたのと同時にこれからの選択という問題にもその影響を及ぼすことがわかった。 第三章では記憶が主人公の自己認識に齎した変化の様子とその意義について考察してみた。過去からの断絶、あるいは過去にこだわるのではなく、「記憶」することによって過去を克服する一連の仮定からわかったように、記憶を通してこそ人間のアイデンティティーの確認とその肯定はやがて可能になれる。村上春樹自身が全共闘世代であるにもかかわらず、彼の作品は時代性、問題意識に欠けているとよく言われる。まったく偶然に起きたかのような過去、あるいは自分の意志とは無関係にまったく必然的に起きたかのような過去を、自分が選択した過去として肯定するとき、人間は自由になれる。物語を作り上げるとき、彼が「記憶」を重要な手法としてよく使っているのは、全共闘の記憶から自分を肯定し、自由になるためではないかとも言えよう。 以前まで春樹は断絶された他者との関係のなかでどのようにコミュニケートするかという問題を追及してきた。他者とコミュニケートするためには自分は誰であり、今自分はどこにいるのかという問題、すなわち自分の現在を明確にすることが先行しなければならない。過去の否定や過去からの逃れではなく、「記憶すること」や「肯定すること」を通じた存在確認は現在を生きている「僕」の「居場所捜し」であり、結局時代的状況の中からの自分を見つけようとする欲求でもある。『羊をめぐる冒険』が全共闘の失敗から始まった幻滅と自己否定の叙事だとすると、『世界の終りとハードボイルド・ワンダーランド』は自己肯定を通じた世界との関わりを示す。デタッチメント(関わりのなさ)の姿勢を維持してきた春樹が『世界の終り…』を通して見せたこのような変化は、過去の記憶は未来の希望になってほしいという希望的メッセージを伝えてくれると思う。また、このような変化は全共闘の記憶という作家自身の過去の克服を見せてくれるのと同時に春樹文学の変化を予告する転換でもあると言えよう。

      • 고려시대 청자 합 연구

        박수현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합(盒)은 여러 가지 유형적(有形的) 성격을 지닌 내부물품을 외부로부터 보호 및 보관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대적 양상에 따라 다양한 종류와 형태로 제작되었다. 실용적인 생활용기에서부터 종교(宗敎) · 제례(祭禮) 의식에 따른 특수용기까지 내용물의 성격에 따라 그 크기나 외형을 달리하지만, 뚜껑과 몸체가 일체를 이루는 구조적 관계는 일괄적으로 일치한다. 고려시대 합의 양식과 조형은 동시기 금속(金屬) · 도자(陶瓷) · 목칠(木漆) 등으로 대표되는 공예품들과 밀접한 상호관계를 맺으며 발달해왔다. 일반적으로 합의 태생적 특성과 관계 깊은 외부요소들은, 원형구조의 안정된 비례감, 상하(上下) 구성에 의한 결합적 관계, 독립된 개체에 따른 요철(凹凸)의 존재 등 통일된 양상을 보이지만, 각각의 재질이 지닌 속성과 특성에 따른 고유요소들은 저마다 그 성격을 달리한다. 도자합의 경우, 흙이 지닌 본연의 성질에 따라 성형(成形) · 조정(調整) · 시문(施文) 그리고 번조(燔造)와 같은 공정이 이루어짐으로, 타 공예품과 차별화된 조형미를 지닌다. 특히 청자(靑瓷) 합은 종전의 형(形)과 색(色), 그리고 단일한 수준의 문양기법에서 벗어나 보다 기술적으로 정교해진 복합적 시문을 통해 완벽한 미감을 형성한다. 무엇보다 이러한 과정에서 반영된 사회 · 문화적 의식, 그리고 그 속에 깃든 동양적 정취와 미감은 기물의 연대적인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긴요한 학술적 가치를 지닌다. 하지만 현재 청자 합에 관한 학술적 데이터나 학계의 연구 성과는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일부 미술 · 교육대학원의 시작품(試作品) 제작을 위한 논문, 또는 도록과 같은 간행물을 통해 기물(器物)의 존재가 파악되지만, 대부분 단편적인 자료에 불과하며 전자의 경우 선행연구의 답습적 반복으로 다각적인 접근과 검토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청자 합이 지닌 본연의 특성과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기초적인 혹은 단계적인 접근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바, 본 연구는 이러한 실정에 착안하여 고려시대 청자 합의 실체를 구명(究明)하고 그 기반을 구축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특유의 기능성과 실용성으로 인류생활 속 깊이 애용된 합은, 오랜 기간 세간의 인식과 그 성격에 따라 시기별로 일정한 명칭의 변화가 감지된다. 일반적으로 신라시대 - 合, 고려시대 - 合子, 조선시대에는 盒을 중심으로 한 盒兒 · 盒子의 혼용사실이 파악되는데, 이를 근거로 해당명명의 어원과 그 변천추이(合 → 合子 → 盒 → 盒兒 → 盒子)를 추정할 수 있다. 합의 주된 용례는 신라시대의 경우 금화(金花)와 같은 귀중한 금은보화(金銀寶貨)를, 고려시대에는 왕이나 황제의 하사품인 정향(丁香) · 약(藥) · 차(茶)와 같은 물품을 담은 것으로 확인되는데, 조선시대의 경우 물품의 성격 및 크기에 관계없이 일상의 모든 물품들이 보관되어 합에 관한 폭넓은 시각을 요구했다. 전반적으로 합이 존재해 온 연혁과 자취가 깊었던 만큼, 명칭과 용례에 있어서도 다양한 종류가 파악되었다. 현존 문헌을 통해 살펴본 고려시대 합의 용례 중 향과 차는, 불교적 이념아래 다양한 의식에서 필수품으로 등장했고, 두 물품의 복합적 속성인 약과 함께 화장(火葬 · 化粧) 문화 등의 확산은 합의 유행과정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주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을 바탕으로 고려시대 전성을 누린 합은, 당대 공예품의 정수로 대표되는 청자를 중심으로 실용적인 측면은 물론 기술적 · 예술적으로도 뛰어난 미감을 지닌 생활도구이자 예술품으로 활발히 제작 및 소비되었다. 청자 합 가운데 고려인의 미감이 가장 다채롭게 투영된 소합(小盒)을 그 대상으로, 12세기 전·중반부터 14세기까지 각각의 생산요장과 소비지 유적의 현황을 통해 기물의 성격과 특징을 분석해본 결과, 청자 합의 전반적인 흐름은 3기로 도출되었다. 제 1기는 한반도에 요업(窯業)이 개시되던 10세기 후반부터 12세기 전·중반까지로, 직경 20cm · 높이 15cm를 넘는 초기 청자 합(大盒)의 양식이 형성된 시기였다. 편평한 상면에 반원형의 1단계 곡선 · 2단계 사선 유형의 합개(盒蓋)와 동체가 넓은 발(鉢)형 합신(盒身)이 주된 양상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층위의 수직 및 수평관계가 뚜렷한 용인 서리 가마터 중 Ⅲ층과 강진 삼흥리 D지구에서는 대합에서 소합으로 이행되는 과도기적 양상, 즉 지름 15cm(蓋) · 9cm(身)대의 중·소형으로 제작된 청자 합이 등장해 본 논문의 논리전개에 중요한 시각을 제공해주었다. 이를 근거로 해당시기 선해무리굽완이 제작되던 10세기 후반에는 주로 초기양상인 대합이 중심을 이루고, 해무리굽완이 소멸해가는 12세기 전·중반에는 중·소합이 새롭게 등장해 기물의 크기에 따른 분화현상이 발생된 사실이 밝혀졌다. 제 2기는 12세기 전·중반 처음으로 등장한 소합이 2∼3분기 가량 정형(定型)을 위한 구조적 형성기를 지나 본격적인 발달을 시작한 시기로, 일련의 조형적인 틀과 함께 몇몇의 파생 유형들이 등장했다. 가장 기본적인 a유형을 시작으로 b(縱形) · c(菊花形) · d(圓筒形) · e(盞形) · f(箱子形) · g(母子形)까지 총 7가지의 유형이 새롭게 제작되어 기물의 구성을 다채롭게 확장시켰다. a유형의 경우, 청자 소합의 형성기부터 쇠퇴기인 14세기까지 가장 오랜 기간 존속해온 대표양상으로, 시기적인 흐름과 무관하게 또는 당대의 유행에 동조되지 않고 전 시기동안 가장 일반적인 조형으로 채택되어 제작되었다. 반면 b∼g유형은 저마다 독자적인 미감을 형성하며 청자 합의 다채로운 양상을 구축했는데, 모두 고려도자의 생산과 발달에 중추적인 역할을 했던 강진과 부안, 그 중에서도 상품의 고급청자를 제작했던 사당리와 유천리 일대에서만 확인되어 기물의 성격과 가치를 밝힐 수 있었다. 상기 유형들은 해당 가마터들의 중심 요업 시기와 맞물려 12세기 후반부터 13세기에 집중적으로 발전했는데, 제 2기의 이와 같은 정황은 당시 청자 합의 전성기로 설정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주었다. 한편 청자 합의 7가지 유형에 대한 문양양식은, 제작유형이나 시문기법과 무관하게 모두 1〜3단의 공간적인 분할 및 확장에 따라 변화 · 발달된 양상을 보여 주목되었다. 전반적으로 12세기 후반 무렵부터 13세기 전반에는 초기와 중기의 1차(내원+외원) · 2차(내원+외원·측사면+측면)적 양식이 공존한 모습이고, 이후에는 구조적으로 다원화(多圓化)가 진행된 3차적 양식(내원+중원+외원·측사면+측면)이 중점적으로 등장해 고려 중기의 가장 보편화된 시문방식으로 제작되었다. 제 3기인 14세기의 청자 합은 이전 시기의 다채로운 유형들이 등장하지 않거나 정체 및 쇠퇴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기본형인 a를 중심으로 d∼g유형이 일부 존속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전반적으로 기형적인 측면에서는 큰 변화가 발견되지 않지만, 문양의 양식 및 표현방식에서 제 2기에 마련된 3차적 양식이 과도한 장식과 밀도 높은 문양을 구현해낸 모습이 확인되었다. 이는 기존의 중심-보조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고 상면의 중원과 외원의 영역이 중심문으로 확대 및 고착되는 복합적 양태를 만들어냈다. 한편 g유형의 경우, 청자 합의 소멸시기를 추론함에 있어 중요한 단서로 제시되었는데, 고려시대 상감청자에서 조선시대 분청자로 이행된 유물의 등장은 청자 합이 15세기 중반 무렵부터 점차 쇠퇴해갔음을 증명해주었다. 이렇듯 제 1기에서부터 제 3기까지 청자 합의 전반적인 양상은 고려자기의 변천과정과 동일한 흐름으로 이해될 수 있었다. 이번 논문은 종전의 청자 합에 관한 미시적 혹은 단편적인 접근방식에서 벗어나 거시적인 측면에서 기물을 조망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아울러 청자 합에 대한 인식의 폭을 확장시켰음은 물론, 나아가 고려청자 전면의 다각적인 양상과 영향관계를 추론할 수 있는 기반을 확립하는데 도자사적 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idded bowls (盒) are designed to protect and store internal items with various tangible (有形的) personalities from the outside. They were also made in various types and forms according to the aspect of the times. From the practical everyday container to the special containers according to religion (宗敎) and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祭禮), the size and appearance vary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content, but the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the lid and the body are in line with one another. Forms and formations of the lidded bowl in the Goryeo dynasty have developed in close correlation with the artifacts represented by metal, ceramics, wood lacquer, etc. of the same period. In general, external factors related to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the lidded bowl show a uniform pattern such as a stable proportion sense of the circular structure, a cohesive relationship of top and bottom configuration, and the presence of irregularities(凹凸) depending on the individual objects. However,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material depend on its features and natures. In the case of lidded bowl in ceramics, processes such as molding (成形), refining (調整), carving patterns (施文), and burning vessels (燔造) a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soil. The lidded bowl of ceramics has a different formative beauty than other crafts. In particular, the celadon ware lidded bowl has escaped from the previous forms (形), colors (色), and single level of pattern technique. It forms a perfect aesthetic through a more technically sophisticated compound carving pattern (施文). Above all, the socio-cultural consciousness reflected in this process and the Oriental feelings and aesthetics inherent in it are able to grasp the chronological flow of the objects. In this respect, these feelings and aesthetics have a critical academic value. However, current academic data or scholarship research results about the celadon lidded bowl are very minimal. The presence of objects (器物) can be identified through publications such as thesis and workbooks for the production of atrialproduct(試作品) of some arts and education graduate schools. However, most of them are fragmentary materials. In the case of the former, there is a limit to the multifaceted approach and review by the subsequent repetition of the previous research. Therefore, the need for a basic or step-by-step approach is needed to understand the nature and meaning of the celadon lidded bow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foundations after clarifying the nature of celadon lidded bowl in the Goryeo dynasty by paying attention to these actual states. The lidded bowl, significantly used in human life due to its unique functionality and practicality, has been recognized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a certain name change per time period has been detected according to its nature. Generally, it is understood that the mixture usage facts of 盒兒 & 盒子 centered on 合 - Silla Dynasty, 合子 - Goryeo Dynasty, 盒 - Joseon Dynasty is seized. On the basis of this, we can estimate the etymology of the nomenclature and its transition (合 → 合子 → 盒 → 盒兒 → 盒子). The main use of the lidded bowl was to hold precious treasures such as golden flower in the Silla Dynasty and imperial gifts such as clove(丁香), medicine(藥), and tea(茶) in the Goryeo dynasty. In the Joseon Dynasty, as all items of everyday life were kept regardless of the nature and size of the goods, a broad perspective on the lidded bowl was required. As the overall history of the lidded bowl has been deep and traceable, various kinds of names and examples have been identified. Under the Buddhist ideology, incense and tea were some of the examples examined through the existing literature, and appeared as necessities in various rituals. The spread of the cremation and makeup (火葬 · 化粧) cultures along with the drug (藥), which is a complex property of the two goods, provided important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the trending process of the lidded bowl. Based on this historical background, the lidded bowls, which enjoyed the honor of the Goryeo Dynasty, were actively produced and consumed as lifestyle tools and artworks, not only practical but also technical and artistic. Among the celadon lidded bowls, a small lidded bowl with the most colorful aesthetic of the Goryeo people was targeted. The characteristics and traits of the objects were analyzed through the present state of the area of ​​production and consumer spots from the early 12th century to 14th century. As a result, the overall flow of the celadon lidded bowl was derived in three phases. The first period is from the late 10th century to the early 12th century when the ceramic industry was started on the Korean Peninsula. At this time, a period of an early celadon lidded bowl with a diameter of 20 cm and a height of over 15 cm was formed. On the flat top, a semicircular one-step curved line, a two-step oblique line type's lidded bowl cover, and a wide bowl type of lidded bowl body were identified as main aspects. Particularly, in the Yongin kiln site, where the vertical and horizontal relation of the stratum is clear, the Ⅲ floor and the District D in Gangjin Samcheung-ri showed the transitional phase. In other words, celadon lidded bowls made of medium and small diameters of 15cm (lid) and 9cm (body) appeared and gave an important view to the logical development of this paper. Based on this, in the late 10th century when early Tea Bowls with Haemuri-Gup were being produced, the big lidded bowl was the main aspect. In the mid-twelfth century when Tea Bowls with Haemuri-Gup became extinct, a middle-sized lidded bowl emerged, resulting in the differentiation of objects according to their size. The second period is the period when the small lidded bowl that had appeared at the beginning and middle of the 12th century passed through the structural formative period for the constant form in the 2nd and 3rd quarters and started its full development. Several types of derivations came along with a series of formal frameworks. Starting from the most basic type A, there are seven new types, from B(縱形) · C(菊花形) · D(圓筒形) · E(盞形) · F(箱子形) · G(母子形). These were newly produced, and the object was variously expanded. In the case of type A, it is the representative aspect that has survived the longest period from the formation of the celadon lidded bowl to the decaying 14th century. Regardless of the seasonal trends, or not being synchronized with the fashion of the time, it was adopted as the most common molding during the whole period. On the other hand, each of the types from B to G formed a unique aesthetic and constructed various aspects of the celadon lidded bowl. This was confirmed only in Gangjin and Buan which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production and development of Goryeo Ceramics, and in Sadang-ri and Yucheon-ri, which produced high quality celadon products. These types developed intensively from the late 12th century to the 13th century in conjunction with the central ceramics period of the kiln. This context, much like this second period, provided the basis for setting the period for the celadon lidded bowl at that time. On the contrary, the patterns of the seven types of celadon lidded bowls were observed as showing the developed aspects and changes according to the spatial division and expansion of the “first to third periods” regardless of the production type or carving patterns techniques. Overall, from the late 12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13th century, the first (inner area + external area), the second (inner area + external area·inclined plane + side area) form of the early and middle term coexisted. Since then, there has been an emphasis on the structural tertiary form (inner + middle + external areas · inclined plane + side area) which has emerged in priority. At this time, it was produced in the middle of the Goryeo dynasty as the most common method of carving patterns. The third period, that of the celadon lidded bowl of the 14th century, showed that the colorful types of the previous period did not appear or had stagnated and declined. Types D to G were found to have some of the basic type A that survived. Overall, no major changes were found in terms of malformation. However, in the style and expression of the pattern, the second period of the tertiary style embodies excessive decoration and dense patterns. These created a complex pattern in which the edges of the existing sub-boundaries were obscured, and the regions of the middle and external areas of the upper face were expanded and fixed to the center area. However, in case of Type G, it is suggested that it is an important clue in deducing the timing of the celadon lidded bowl. The appearance of artifacts transferred from the inlaid celadon to the Buncheong Ware during the Goryeo dynasty proved that the celadon lidded bowl gradually declined from the middle of the 15th century. From the first period to the third period, the overall aspect of celadon lidded bowl could be understood as the same flow as Goryeo ceramic's transition process. This paper is significant in that it looks beyond the microscopic or fragmentary approach of the previous celadon lidded bowl to the macroscopic view.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not only the celadon lidded bowl's awareness will be expanded, but also the historical value for establishing a basis for deducing the multifaceted aspects and the influence relation of the entire celadon ceramics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