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역사학의 새로운 과제와 전자문화지도

        신항수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한국문학연구소 2003 民族文化硏究 Vol.38 No.-

        90년대 이후 역사학을 포함한 인문학 전반의 위기가 공론화되고 있다. 전통적으로 한국사회에서 한국사는 의제설정 기능을 행사해왔다. 이러한 경향은 90년대 이후 신자유주의의 확산에 따라 급속히 쇠퇴하여, 다른 인문학 분야와 마찬가지로 사회적 유용성을 의심받고 있는 형편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역사학에 대한 대중적 관심 및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모순적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한편 IT 산업의 발전에 따라 한국학분야의 정보화도 급속히 진전되고 있다.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는 역사학의 위기상황에 대한 하나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조선시대 지도를 복원하고 전자화하여, 여기에 조선시대 문화의 다양한 현상을 구현한다. 가상공간의 특성상 전자문화지도는 다양한 방향과 내용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료에의 접근성을 제고하고 학제간 연구의 기회를 확대하며 연구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는 한편으로 조선시대의 각종 자료에 대한 대중들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여 역사학에 대한 대중적 수요를 퉁족시키는 일익을 담당할 것이며 이를 통해 다양한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으로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은 인문학에서 정보기술은 하나의 도구일 뿐이지 그 자체가 목적일 수는 없다는 사실이다. 보다 중요한 것은 삶과 사회에 대한 성찰이며 그것이 역사학을 포함한 인문학의 존재 이유일 것이다. Many scholars argue on the crisis of history, like other fields of human arts. Because of neo-liberalism, history lost its social role. agenda making, which historians had played since the begining of modernization. But on the other hand, some TV series and best sellers make history very popular. To overcome such crisis, many scholars and scientists try to adopt I.T. technology in human arts and obtain some meaningful results like CD-ROM of Annals of Chosun Dynasty. The Institute of Korean Culture develops the Electronic Cultural Atlas of Chosun Korea which can open new way of Korean studies. I.K.C. reconstruct. at first, electric maps of Chosun Dynasty(1396-1910). Then I.K.C. members will input many important cultural materials of that era which will be arranged and displayed by technology of electric atlas. By E.C.A.C.K., one will be able to approach and obtain wide materials more easily. Mass of people will approach historical materials by this methode, and it can be a solution of the question to the mothern history-‘history for whom?’. Most of all, historians are asked to consider the life of human being and problems of their society. In spite of its importance, technology is nothing but a tool. The role of historian is beyond the technolog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문화 분류를 위한 <주제·양태 결합 분류체계> 연구

        김문용,이정주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한국문학연구소 2003 民族文化硏究 Vol.38 No.-

        본 논문은 조선시대의 문화 현상을 논리적으로 범주화하고 그 개념적 거리와 계층을 정의함으로써, 원하는 정보에 대해 정확하고 빠른 접근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의 산물이다. 기존의 문화분류체계들은 문화의 주제를 기준으로 분류하는 방식과 문화 요소의 양태를 기준으로 분류하는 방식, 그리고 이 두 방식을 혼용하는 방식의 세 종류로 나누어볼 수 있다. 문화의 주제에 따른 분류는 그동안의 학문적인 관용에 기초하는 바가 많아 연구자들이 쉽고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식이다. 반면 양태 분류는 항목의 논리적인 분할에 근거하고 있다는 점에서, 통시대적, 범세계적 보편성에로의 가능성을 많이 함축하고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연구는 새로운 분류체계를 설계하면서, 이 두 방식의 장점을 모두 수용하였다. 그러면서 종래와 같은 무원칙, 무규칙적인 혼용을 피하기 위하여 주제 영역별 분류와 문화요소의 양태별 분류를 병행하고, 이를 각각 분류체계의 XY축에 매치하였다. 즉 하나의 문화현상을 영역과 양태에 따라 각각 분류하고, 이 두 분류값을 결합하여 최종 분류값으로 정하는 방식의 분류체계인 것이다. 이러한 원칙에 의하여 조선시대의 문화현상을 12개의 양태 항목과 75개의 주제 항목으로 구분하여, 종합 899개의 분류항으로 구성된 분류체계를 설계할 수 있었다. 이 새로운 분류체계는 앞으로 여러 차례의 시험 운용 과정을 거쳐 계속 확대, 보완해 갈 예정이다. This proposal aims at creating of a new classification system, which logically classifics cultural phenomena of Chosun Dynasty and defines the conceptual distances among and the stratum of the phenomena. This new system will help scholars to access to the necessary informations casily and swiftly. There have been existed three styles of classification systems: the stile based on the difference of the cultural subject, the style based on the ontological mode of cultural elements, and the mixture of the two. The first one has strength in convenience. Therefore many scholars, relying on the academic habit, used this system. The second, however, has other strengths. Since it is based on the logical classification among the items, it has potentials to be utilized synchronically and in the end world widely. The new system suggested in this proposal utilized the strengths from both systems explained above. Nevertheless, this system separates the result from the two systems and allocated each of them to the axis X and Y respectively in order to avoid the disorder caused by the lacks of principle and regulation in combining the two systems. As it were, certain cultural phenomena are classified base on their values in their subjects as well as modes, and combined into the final values. In this way the cultural phenomena of Chosun dynasty have been classified into the 12 mode items and 75 subject items, and 899 items are created in this system. This new system will be expanded and amended through the experimental uses.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연구>의 인문학적 의미와 전망

        김흥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한국문학연구소 2003 民族文化硏究 Vol.38 No.-

        우리의 과제는 시간-공간-주제의 다차원 구조를 가지는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Electronic Cultural Atlas)를 개발하고, 이를 응용하여 조선시대 문화에 관한 대규모의 입체적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다.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는 문화 표현의 근본적인 조건을 좌표축으로 하는 입체적 구성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주제 축은 유형별 분류체계 속에서 문화의 내용을, 시간축은 그 문화가 생성, 변이, 소멸되는 역동적인 과정의 전체를, 공간축은 실제적인 존재의 영역들을 표시하여, 이 다면적 연관 속에서 문화 현상을 총제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재구성하려는 것이다. 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조선시대의 전자문화지도뿐만 아니라, 향후에 구축될 인문학 분야 전자 자원의 국제적 소통을 위한 자료 처리의 표준적 방법을 확립할 예정이다. 아울러 우리는 조선시대의 문화를 종합적이고도 연관된 틀로 체계화하려는 대규모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해서 과제 참여자들이 지닌 전문 분야의 지식을 최대한 수합하고, 나아가 전공 영역을 넘어서서 조선시대 문화 전반을 투시할 수 있는 거시적 안목을 확보하고자 한다. 인접 전공과 소동하고 협력하는 과정에서 각자의 전문영역에 거점을 두면서도 거시적인 연관을 동시에 탐사하여 시간·공간·주제를 인식의 기본 틀로 삼는 새로운 방법론의 체계를 개척하고자 한다. 분야별 문화 자료의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이를 응용할 개별 연구의 성과를 집약하여 본 과제는 궁극적으로 조선시대 문화에 대한 인식의 기본구도와 통합적 이해 체계를 공동연구의 성과로서 제시하고자 한다. 이로써 조선시대의 문화 현상이 근거하고 있는 미시적인 지반에서 인접한 事象들과의 거시적 연관이, 시공간의 조건에 따른 동일성과 차이점 또는 지속과 변화라는 역동적인 측면들이 해명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조선 문화 전체의 특징적구조 내지 문화 패러다임을 파악하는 데 기여하게 되기를 기대한다. Our project team’s main task is to develope the electronic cultural atlas of Chosun Korea which is constituted by multi-dimensional structure such as time-space-theme axises, and to apply this atlas to the cubical study of the Chosun Korea’s culture. The Electronic Cultural Atlas of Chosun Korea will be constructed to have cubical structure which is intended to place cultural features in the coordinate axis. Theme axis will treat cultural contents in typological classification system, Time axis will manage total culture process - formation, mutation, extinction, and the space axis will show the territory of actual features subsistence. By knowing cultural phenomena multi-dimensionally, We will reconstruct existing system to understand cultural phenomena totally. Performing this project, we will establish humanistic data processing standard which facilitat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nd construct the electronic cultural atlas of Chosun Korea. To construct large scale database which systemize the culture of Chosun Korea totally and consistently, we collect all the participating researcher’s knowledge. Furthermore, we intend to make each researcher get macroscopic perspective that can overview the whole feature of Chosun Korea’s culture. In doing this interdisciplinary research, our team researchers concentrate on their own major field and explore macroscopic connections, and finally develop new methodological System which adopt time-space-theme axises as a recognizing frame. By Constructing cultural database in each sphere, and integrating applied individual research output, our project team intends to present a basic planning of recognition and a synthesized understanding system as output of our joint research. I believe that our project team will make clear adjacent feature’s macroscopic connection in the microscopic basis which is the base of cultural phenomena in Chosun Korea, and elucidate dynamic features such as ‘identity and difference’ or ‘continuance and change’. Also I wish our project contribute to understanding unique structure or cultural paradigm of total Chosun culture.

      • KCI등재

        미국의 한국학 교육에 대하여

        金仁煥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6 民族文化硏究 Vol.29 No.-

        이 보고서는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의 지원으로 1996년 3월부터 8월까지 스탠포드 대학 비교문학과에 머물면서 샌프란시스코와 베이 에어리어 및 미국 서부의 한국학 교육을 조사한 결과이다. U.C., Berkeley, U.C., L.A, U.S.C. 등의 한국학 교육은 Harvard University, Washington University와 함께 미국 한국학의 중심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동안 한국학 교육에 관한 학술회의가 미국 서부에서 두 차례 개최되었다. 4월 26일과 27일에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가 U.C., Berkeley의 한국학연구소(Center for Korean Sudies)와 공동으로 주최한 회의의 주제는 <재미 한인 청소년의 문화적 정체성>이었고 7월 20일에 SATⅡ 한국어 진흥재단이 주최한 학술회의의 주제는 <해외 한민족과 차세대>이었다.

      • KCI등재

        디지털 정보시대의 문화지도 그리기 : 매체 특성 및 활용 방안과 관련하여 the property of media and the plan of practical use

        이형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한국문학연구소 2003 民族文化硏究 Vol.38 No.-

        이 논문은 전자문화지도(Electronic Cultural Atlas)가 지니는 디지털 텍스트로서의 매체 특성과 인문학 연구에서의 활용방법을 모색해보고자 작성한 것이다. 디지털 미디어인 전자문화지도는 문자 텍스트가 지닐 수 없는 중대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첫째는 인간의 통합적인 지각 조건에 가까운 멀티미디어의 텍스트라는 점이다. 이는 특정한 문화형태의 전자적 재현을 실현시킬 수 있다. 둘째는 하이퍼텍스트로 구현된다는 점이다. 비순차적, 비선형적인 하이퍼텍스트는 독자가 텍스트의 경로를 선택할 수가 있다. 또한 양방향성의 대화적 소통이 가능하기 때문에 여러 사람이 연구에 참여할 수가 있다. 각각의 주제를 지닌 전자지도를 제작하고, 그것을 중첩시켜서 의미를 탐색하는 연구의 목표는 생산적 효과를 가져와야 한다는 점이다. 전자문화지도를 활용한 연구의 결론이 단일한 원리의 추출에 그쳐서는 곤란하다. 전자문화지도는 인문학의 여러 영역들을 가로지르면서 새로운 의미생산을 촉발하는 매체, 또는 도구의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property of media as a digital text and to search the practical use in the humanities by the using of Electronic Cultural Atlas. The Electronic Cultural Atlas, a digital media, has a special property that cannot be shown in an analog text. Firstly, the Electronic Cultural Atlas is a multi-media text that verges on a synthetic perceptional condition of a human being. It can reproduce the special culture electronically. Secondly, the Electronic Cultural Atlas embodies a hypertext. By a non-ordinal and non-lineal hypertext, we can choose a route of search.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in the Electronic Cultural Atlas. Thus many people can take part in the study. The Electronic Cultural Atlas should be a media that promotes a significant study. For this purpose, we have to make the map with various themes. With the Electronic Cultural Atlas, we can expect the multi and interactive research.

      • KCI등재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Dataset 구현 방안

        권순회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한국문학연구소 2003 民族文化硏究 Vol.38 No.-

        본 논문은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Dataset의 Data Scheme 설계 및 구현 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데이터 세트는 다양한 주제와 형태로 구축된 데이터들을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가장 기초적인 틀이라 할 수 있다. DB의 소통성과 재활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표준에 근거한 Data Scheme이 반드시 정의되어야 한다. 또한 설정한 목표에 맞게 정보를 체계적으로 구조화하여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에도 통일된 지침과 설계를 기술한 Data Scheme이 매우 중요하다. II장에서는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DB 구성에 대해 소개하였다.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데이터베이스는 크게 1)GIS DB, 2)주제별 DB, 3)참조 DB로 구성된다. GIS DB는 Base-map과 주제별 DB의 내용을 Base map에 표현한 주제도로 구성된다. III장에서는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Data Scheme을 정의하였다. 주제별 DB의 Data Scheme은 ‘Header(ID, Index), Data, Link, Comment’의 이 4개 영역으로 구성된다. 참조DB에 주제별 DB에서 원전이나 보다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필요가 있을 때 활용할 목적으로 구축되는데, 원전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사운드 인명DB, 지명DB (Gazeteer)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 실제 전자문화지도 구축에 활용할 수 있도록 세밀한 표준적 지침을 제시하였다. IV장에서는 메타데이터(Metadata) 작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혹은 ‘전자 자원을 기술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 요소’로서 자원의 위치 파악과 획득에 필요한 데이터 요소의 집합이다. 정보의 공유체계를 확보하고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메타데이터 작성이 필요하다. 먼저 ECAI(Eletronic Culture Altras Initiative)가 메타데이터의 표준적 방안으로 채택한 Doublin Core에 대해 검토하고, ECAI 메타데이터 표준안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이들만으로는 조선시대 문화적 특성을 포괄할 수 없다고 보고 조선시대 문화의 다양한 주제 영역과 존재 양태를 포괄하면서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한 호환성과 국제적 소통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향에서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메타데이터 표준안을 설계하였다.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메타데이터 표준안은 더블린코어와 ECAI 표준안을 근간으로, ‘조선시대 문화 분류 체계’, 사부분류법(四部分類法)’, ‘조선시대 행정구역의 군현 코드표’ 등을 반영함으로써 조선시대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도록 하였다. In this paper, I proposed plan to materialize the dataset of the Electric Cultural Atlas of Chosun Dynasty. I also presented a design for the data scheme and its materialization plan. The dataset of the Electric Cultural Atlas of Chosun Dynasty would be the most fundamental frame to organically combine and utilize diverse electric data, which are differently arranged by diverse subjects and forms. To circulate and utilize a DB actively, there must be a standard data scheme. A data scheme having unified principle and design is required to meet this need. In chapter II, I introduced the DB’s structure of the Electric Cultural Atlas of Chosun Dynasty. The atlas is composed of three parts of the DB: the GIS DB, the cultural subject parts’ DB and the reference DB. The GIS DB is again composed of two parts: the Base-map and the several maps of subjects which are drawing the contents of the cultural subject parts’ DB on the Base-map. In chapter III, I made a definition for the data scheme of the Electric Cultural Atlas of Chosun Dynasty. The data scheme of cultural subject parts’ DB is composed of four parts: the header including ID and index, data, links, and the comments. This scheme is made for the use of finding more concrete facts or original sources in the reference DB beside the cultural subject parts’ DB, thus it includes the original texts, Image, moving pictures, sounds, and the DB of personal names and the gazetter. I presented detailed standards to utilize the electric culture altras practically. Chapter IV is about making metadata. Metadata means the data about data. It is the data needed for describing electric sources, thus metadata is the collection of data necessary to find the location of the sources. Making metadata is necessary to confirm the information communizing system and to actively utilize the system. In chapter Ⅳ, I examined the Doublin Core which ECAI, the Electronic Culture Altras Initiative, takes as its standard program of metadata, and I investigated the standard devices of metadata of ECAI. As a result, I found ou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hosun Dynasty Culture cannot be comprehensively captured only by the standard devices of metadata of ECAI, thus I designed a new device of metadata of the Electric Cultural Atlas of Chosun Dynasty. This new devise can interact throughout the network effectively and accomplish international interaction. The new devise also can comprehensively capture diverse facts and various subject parts of Chosun Dynasty Culture. The standard devise of metadata of the Electric Cultural Atlas of Chosun Dynasty is based on the Doublin Core and the standard devise of ECAI. On the basis of it. The new devise includes classification system of Chosun Dynasty Culture, four-parts-assorting-methods(四部分類法), and the code list of the administrative regions Chosun Dynasty(조선시대 행정구역 코드표), thus the devise is expected to fit better for the characteristics of Chosun Dynasty Culture.

      • KCI등재후보

        朝鮮時代 白鷺圖, 그 表象의 변천

        고연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한국문학연구소 2003 民族文化硏究 Vol.38 No.-

        白鷺는 물가에 내려앉아 물고기를 잡아 먹는 새로, 그 모습이 희고 크며 머리에 흰 장식털이 솟아나 깨끗하고 고결한 이미지로 인식되는 새이다. 백로를 그린 백로도는 고려시대부터 감상화로 그려지기 시작하여 조선시대에 지속적으로 그려졌다. 백로도는 매, 학, 기러기 다음으로 많이 그려진 새그림이며, 대개는 기러기 혹은 학그림과 함께 畵帖이나 屛風으로 그려졌다. 조선시대 백로도는 크게 세 가지의 유형으로 전개되었으며, 화면상의 유형전개에 따라 그림의 뜻이나 기능도 달리 전개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첫 단계는 조선조에서 17세기 부렵까지 정착된 雙笠型 백로도이다. 두 마리의 백로가 가을 연못가 시든 연잎 앞에 서 있는 古典的 화면으로, 섬세한 수묵법으로 표현되었다. 문인들은 이 그림을 보면서 속세에서 벗어난 한적한 정취 혹은 물고기를 잡느라 물가에 서 있는 백로에 대한 자연이해로 흥겨운 감상을 펼쳐냈다. 그 다음으로 17세기 중반기무렵부터 ‘立型’ 백로도가 나타났다. 시든 연과 연밥의 배경이 점차 사라지고 갈대만 있는 쓸쓸한 배경에 한 마리 백로가 서있는 장면이다. 이 유형의 백로도는 거친 필묵법의 소략한 표현으로 자연의 백로보다는 필묵의 멋을 살려낸 그림이다. 또한 그려진 한 마리의 백로는 지극히 정신적인 존재로 보인다. 조선후기에 인기를 누렸던 그림이다. 19세기 이래로 근대로 들기까지 새로 등장한 민화류 그림에서는 쌍립형 백로도도 많이 그려졌지만, 한 마리가 날아오고 한 마리를 서서 보는 一飛一笠型의 새로운 백로도가 또한 큰 병풍도에 잘 그려졌다. 민화류 백로도들은 연꽃을 크고 밝게 백로는 하얗게 채색하여 한적하거나 정신적인 느낌은 사라지고 풍요롭고 화려한 분위기가 넘친다. 대개 화목하기를 바라는 민화적 소망을 담아낸 것으로 보인다. 이 세 단계의 백로도 유형은 중국의 백로도 화풍과 관련을 보여주지만, 문인들의 감상을 누리며 쌍립형이 지속된 점이나 소박한 바람을 담아 간결한 구도의 일비일립형이 유행한 점은 한국 백로도의 특징적 면모들이다. Thank to the all-white and tall appearance, snowy egret has been regarded as a bird of lofty character and choosen as a good object of paintings in East Asia. Egret was painted continuely through Koryo and Choson periods in Korea, too. Most of the painting of Egret was worked in the form of an album or a fooding screen with paintings of wild goose and crane. There seem to be three types in the egret painting of Korea. The first type is the type of ‘two standing’ by the pond of lotus all wilted in late autumn. It was painted with delicate skill of bruch and ink, having a charm of desolate seene. The literati enjoyed the flavour of the scene, the mood of renouncing the world, and the nature of the egret that looks like standing aloft, but setting its eyes on a fish in the other sense. The second type is ‘one standing’. The only one egret is standing in a field of reeds. It was painted with simple bruch work, evoking spiritual mood. The other type is ‘one flying and one standing’. It belongs to folk painting (Minhua) of which function is to express folk’s wishes. The paintings of third type was worked not in ink-washing but in colour like the most of folk painting. As they accedtuate the colour of snowy egret and flowers of lotus, the egrets in the paintings of the third type look like wonderful lovers. So the meaning of the third type seem to be the desire of living in harmony. Although it’s true that the three types show some influence from Chinese paintings, there are features in Korean painting of egret in that the two standing type continued long under the literati’s taste and the one flying one standing type was in vogue in popular simple desir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