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규슈와 한국 간의 무역실태 분석 : 기계제품을 중심으로

        김용민(Yongmin Kim)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21 전자무역연구 Vol.19 No.1

        연구목적: 이 연구는 일본 규슈와 한국간의 무역실태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은 규슈와 한국간의 기계제품 무역에 한정하여 전개하고자 한다. 그것은 규슈와 한국간의 무역에서 일반기계, 전기기기, 운송용기기 등 기계제품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논문구성/논리: 일본 규슈는 지리적으로 한국 및 중국과 가깝고 동아시아 지역의 중간에 위치하여 인적뿐 아니라 문화·예술분야에서도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무역을 통한 경제교류는 아시아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규슈는 아시아에서 중국과의 무역규모가 크지만, 전국대비 수출과 수입의 비중은 한국이 더 높다. 2019년 규슈의 대한국 수출은 전국비율로 살펴보면 운송용기구 84.9%, 반도체 등 전자부품 62.3%, 전지 51.4%, 일반기계 23.4%, 철강 20.9%로 나타났다. 이는 일본이 한국으로의 반도체 등 전자부품 수출이 규슈지역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규슈와 한국간의 무역실태 분석은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과: 규슈와 한국간의 기계제품 무역에 한정하여 무역실태를 분석하였고,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규슈의 대한국 수출은 제조업 중간재 부품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거래 품목은 반도체 등 제조장치의 일반기계와 반도체 등 전자부품의 전기기기 비중이 높다. 2019년 규슈의 대한국 일반기계와 전기기기를 합하면 규슈 수출의 40%를 차지하고 있다. 둘째, 규슈의 대한국 수입 품목은 원재료가 많다. 한국으로부터 철강과 원유 및 석유제품이 수입되고, 이들 재화는 전체 규슈 수입의 23%를 차지하고 있다. 셋째, 무역수지의 불균형이 확대되고 있다. 규슈의 대한국 수출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지만, 대한국 수입이 변함이 없어 결과적으로 수출초과의 무역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독창성/가치: 이 연구는 지역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무역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미시적 관점에서 지역경제를 바라보고 규슈지역의 도시화 과정에서 무역실태를 파악하여 한국과의 무역 관계를 전망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tate of trade between Kyushu (in Japan) and South Korea. This is because machine products such as general machines, electrical equipment, and transportation equipment take up large proportions of the trade between Kyushu and South Korea. Composition/Logic: Kyushu, Japan is geographically close to South Korea and China,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East Asian region. Accordingly, cultural/artistic as well as personal exchanges are actively made. The economic exchanges through trade are centered on the Asian region. It has a high rate of trade with South Korea, China, Hong Kong, and Taiwan in Asia and a high rate of importing trade with Asia and Middle Asia. Kyushu trades with China in Asia on a large scale; however, it has a higher rate of exports and imports with South Korea. In light of this, an analysis of the state of trade between Kyushu and South Korea is meaningful. Findings: This study analyzed the state of trade of machine products between Kyushu and South Korea,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 large proportion of Kyushu’s exports to South Korea are parts of intermediary products for manufacturing. Among the items that are traded, general machinery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s and electronic parts, such as semiconductors, take up a large proportion. The sum of Kyushu’s exports of general machinery and electronic equipment to South Korea in 2019 accounted for 40% of Kyushu’s export. Second, most items imported by Kyushu from South Korea are raw materials, including steel, crude oil, and petroleum products, and these commodities account for 23% of Kyushu’s entire imports. Third, the imbalance of trade is expanding. Kyushu’s exports to South Korea continue to increase; however, there is no change in its imports from South Korea. Consequently, Kyushu records a trade surplus with an excess of exports. Originality/Valu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analyzed the trade affecting the regional economy. It looked at the regional economy from a microscopic perspective and forecast the trade relationship with South Korea, thus helping to understand the state of trade in the process of the urbanization in the Kyushu region.

      • KCI등재

        중국 문화산업 무역과 한중관계

        강승호(Kang Seung Ho)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16 전자무역연구 Vol.14 No.2

        연구목적: 한국의 중국문화산업연구 대부분은 일방적인 대 중국 진출을 목적으로 하고 있어 대 중국 경쟁력과 중국의 수입장벽 분석에 초점이 두지만, 본 연구는 중국과 한국이 문화산업 세계시장과 양국시장에 있어서 경쟁력이 어떠한지와 더불어 양국간에 상호 긴밀도를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논문구성/논리: 양국 문화산업 무역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분석 개념 및 분석방법을 도출하한 결과, 주요 분석지표로 무역경쟁력과 무역결합도 및 수출성장요인을 선정하고 이를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과: 중국은 대 세계교역에 있어서 문화상품의 거대한 무역흑자를 보이는 기형적 구조를 나타내며, 한국은 적자구조를 보이고 있다. 중국의 대 세계교역에서 시청각제품 분야를 제외하고, 공예품, 뉴미디어, 공연예술품, 시각예술품 특히 디자인 분야에서 강한 경쟁력, 수출특화를 보이지만, 한국시장에서는 그 특화정도가 약화되고 있다. 한국은 세계시장에서 문화무역의 경쟁력이 약하고 수입특화를 보이는데 대 중국관계에서는 더욱 큰 수입특화를 보이고 있다. 한국이 특화 경쟁력을 지닌 품목은 공예분야의 편직과 디자인분야의 건축설계 품목정도로 나타난다. 결합도 분석결과 한국의 대 중국 문화산업 수출의 무역결합도는 중국의 대 한국 결합도에 비해 매우 작다. 예상과 달리 한국의 경우 대륙에 대한 의존이 매우 낮고 긴밀하지 못함을 의미한다. 한국의 경우 대 세계시장이나 대 중국시장 모두 수출성장에 있어 경쟁력 효과가 마이너스이며 상대국 시장확대에 의존한 수출성장 패턴으로 나타나고 있다. 경쟁력 제고가 필요한 상황이다. 하지만 결합도 분석결과 나타나듯이 현재 중국 시장이 세계시장에서 점하는 비중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수출 결합도가 낮은 상황이므로 한국은 문화산업에서 대중국 집중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문화산업에 있어 양국간 교역에 있어 협력적 정책이 필요한 상황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독창성/가치: 기존 국내연구 대부분은 한국의 대 중국 경쟁력과 중국의 수입장벽 분석에 초점이 두어져 있어, 중국의 대 세계 경쟁력을 종합적으로 다루거나 한국과의 보완성을 다룬 연구가 없다. 본 연구는 중국과 한국 문화산업의 품목별 대 세계 경쟁력을 분석함과 동시에 상대국 시장과의 결합도를 분석하기 위해 UNCTAD 분류와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Purpose: Most of Korea's researches on China's cultural industry aimed at advancing for China unilaterally. Thus, Korea's export competitiveness and China's barriers to entry analysis focuses on. This study analysis on China and Korea's cultural industrial export competitiveness in the global market and intensity of trade in cultural industry between the two countries. Composition/Logic: First of all, followed by preceding studies on cultural industries trade in Korea and china. Analysis of the concepts and analytical methods should be drawn. The main analysis as an indicator of trade competitiveness, intensity of trade and export growth factors. Finally, policy implications and conclusion. Findings: China with the world trade in cultural products holds a huge trade surplus. Korea is showing a deficit structure. China in the world trade, except the audiovisual products sector - handicrafts, performing art, Visual art, new media - have a strong export competitiveness. Especially in the field of design is stronger. China's competitiveness in the Korean market is also strong. But it's not as competitive in the world market of China. Korea's competitiveness in the world market is weak, so most of the items in the trade deficit. The impact of even more from the China is growing. In Korea, with competitive items specializing in yarn craft and architectural design as well. Korea's intensity of trade for China is smaller than 1. South Korea's exports focused on the China means that there is not. Korea cultural industry to further increase the emphasis on the China. Originality/Value: In previous studies, China's competitiveness in the world market, China and South Korea failed to deal with intensiy of trade. In order to resolve such issues, this study uses classification and data analysis in UNCTAD.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이 체결한 FTA 무역구제제도 비교고찰

        김만길(Man Gil Kim),유창권(Chang Gwon Yoo)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17 전자무역연구 Vol.15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이 체결한 FTA의 무역구제제도와 중국이 체결한 FTA의 무역구제제도를 비교하여 한-중 FTA의 무역구제제도의 특징을 찾고자 한다. 그럼으로써 한-중 FTA 이행에 따른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논문구성/논리: 본 논문의 구성은 총 다섯 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장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FTA현황을 살펴보고 체결된 각각의 FTA의 무역구제제도를 분석한다. 제3장에서는 한-중 FTA에서의 무역구제제도를 분석한다. 제4장에서는 한-중 FTA 무역구제제도의 문제점과 대응방안을 모색하며, 마지막장에서는 결론을 제시 한다. 결과: 우리나라와 중국이 체결한 FTA에서의 양자 세이프가드는 한-칠레 FTA를 제외하고 나머지 FTA에서는 조치기간의 단축, 재발동 금지 등 WTO보다 조치 수준이 낮아지도록 규정하여 WTO협정보다 강화된 형태이며, 다자 세이프가드의 경우 기체결된 모든 FTA에서 상호 적용배제 조항을 두고 있지 않은 WTO 준용형태이다. 한편 상계관세 조치는 한국과 중국 모두 WTO 협정 준용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반덤핑조치와 관련해서 우리나라는 반덤핑조치의 수준이 낮아질 수 있도록 제로잉(zeroing)의 금지조항과 최소 관세 부과원칙(lesser duty rule)을 채택하고 있으나, 중국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반덤핑 및 상계관세 조치의 완화에 대한 의지는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세이프가드 조치와 관련해서는 전체적으로 피해의 요건과 조사절차, 조치의 존속과 재적용 및 보상의 형태에 치중하고 있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독창성/가치: 한국의 15건의 FTA 무역구제 조항을 분석하고 중국의 15건의 FTA별로 무역구제조항 들을 비교 분석하여 특징을 정리한 논문이 많지 않다. 그 특징들을 토대로 한-중 FTA를 검토하여 문제점을 찾고 그에 대한 대응방안을 제시한 것에 의의를 둘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e remedy system of the Korea-China FTA by comparing the trade remedy systems of the FTA concluded by Korea with the trade remedy systems of the FTA concluded by China. By doing this, we seek to find a countermeasure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Korea-China FTA. Composition/Logic: : The paper consists of five chapters. Chapter2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FTAs of both Korea and China and analyzes the trade remedy system of each FTA concluded by them. Chapter 3 analyzes the trade remedy system under the Korea-China FTA. Chapter 4 explores the problems and countermeasures related to the Korea-China FTA and the final chapter presents our conclusions. Findings: In the FTA concluded between Korea and China, bilateral safeguards are made stronger than those in WTO agreements by stipulating the shortening of the measures and a prohibition on their re-issuance. The multilateral safeguards do not allow mutual exclusion and are a form of WTO compliance. Meanwhile, countervailing tariff measures have been maintained by both Korea and China under the terms of the WTO Agreement. With regard to anti-dumping measures, Korea has adopted a zeroing prohibition clause and a lower duty rule to reduce the level of anti-dumping measures, but China lacks regulations on the mitigation of anti-dumping and countervailing measures. Originality/Value: There are not many papers that have analyzed the fifteen FTAs signed by each Korea and China.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China FTA, we have been successful in both identifying the problems and suggesting countermeasures to resolve them.

      • KCI등재

        한국 전자무역(e-Trade) 그린화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강상구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12 전자무역연구 Vol.10 No.3

        한국 정부는 전자무역을 촉진하기 위해 90년대부터 법·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전자시스템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uTradeHub는 세계 최초의 웹기반 전자무역플랫폼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UNI-PASS는 전자통관시스템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전 세계가 환경을 고려한 경제활동에 주목하기 시작하면서 무역업무 역시 그린 IT에 바탕을 둔 무역활동으로 전개되고 있다. 그러므로 전자무역의 선도 국가인 우리나라도 전자무역에 그린 IT를 접목하는 전자무역의 그린화 방안을 모색해야 할 시점이라고 판단된다. 본 논문은 한국의 전자무역의 발전과정과 현황을 다루고 전자무역의 그린화 관점에서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제시하여 전자무역의 효율성 제고에 기여하는 것이 그 연구목적이다. The Korean government has endeavored to establish legal basis and to develop electronic trade system in Korea since 1990s. As the product of these efforts, uTradeHub has been estimated as the first web-based e-Trade platform in the world and UNI-PASS has served as an electronic custom system. As the economic activities considering environment get a lot of global attention, the Green IT based trade is proceeded constantly. It is time to seek an approach of greening grafting e-Trade and Green IT in Korea which is the leading e-Trade country. This paper deals with the development and current situation of Korean e-Trade an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tribute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e-Trade by finding some problems and their solutions in a Green perspective.

      • KCI등재후보

        한국의 전자무역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최석범(Seok-Beom Choi)․,이영찬(Young-Chan Lee)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07 전자무역연구 Vol.5 No.2

        전자무역관련된 한국정부의 정책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번째, 산업자원부는 2001년 5월에 21세기 새로운 수출동력 전자무역종합육성시책을 수립하였고 두번째, 2003년 8월 30일에 전자무역확산전략을 수립하였다. 세번째, 한국정부는 제1차 국가전자무역위원회에서 21세기 무역부국실현을 위한 전자무역촉진 3개년계획을 확정하였다. 네번째, 제2차회의에서 국가전자무역위원회는 전자무역혁신계획 -e-Trade 2007-을 발표하였다. 다섯번째, 2006년 8월의 전자무역명품화사업계획은 전술한 전자무역혁신계획의 2차년도와 3차년도 기간중의 홍보에 치중하고 있다. 본 논문은 한국의 전자무역정책과 e-Trade 플랫폼을 다루고 그 연구목적은 한국의 전자무역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전자무역의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다. Korean Government's e-Trade related polici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MOCIE) announced "e-Trade Total Development Policy as a New Export Drive for 21st Century on May, 2001. Secondly,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Strategy on Effusion of e-Trade on 12 August, 2003. Thirdly, Korean Government finalized a There-Year Plan for e-Trade Promotion to accelerate trade power for 21st century by the first meeting of Korean National e-Trade Committee. Fourthly, in the second meeting, Korean National e-Trade Committee published e-Trade Innovation Project titled as e-Trade Korea 2007. Fifthly, Project on enhancing famous brand on e-Trade on August, 2006 focuses on promotion during second and third years of e-Trade Innovation Plan as said This paper deals with Korea' e-Trade Policy and e-Trade Platform an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Trade by resolving problems of e-Trade in Korea.

      • KCI등재

        무역기술장벽 대응을 통한 한국 출판물 수출 확대 방안- 출판물 TBT의 무역효과 실증분석을 중심으로

        이진우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22 전자무역연구 Vol.20 No.2

        연구목적: 출판시장이 전 세계로 확장되면서 외국(수입국)의 법과 제도가 한국 출판물 완제품 수출을 제한하는 TBT(무역기술장벽, Technical Barriers to Trade)로 작용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출판물 TBT의 무역효과를 실증분석하고 한국 출판물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논문구성/논리: 먼저 한국 출판물 수출정책을 간략히 알아보고, TBT 해소의 측면에서 부족한 점이 무엇인지 도출하였다. 이후 일반 서적과 어린이 그림책에 적용되는 TBT가 어떠한 것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위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전 세계 출판물 수출입에 대한 패널 데이터를 구축하였고, PPML을 사용하여 TBT의 무역효과를 추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출판물 수출 확대 전략을 제시하였다. 결과: 실증분석을 통해 잔류 허용 및 제한, 라벨링 및 표시 요건, 상품 품질 혹은 성과에 대한 요건, 적합성 평가에 관한 규정이 출판물 수출을 제한하는 효과를 가짐을 보였다. 실증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한국 출판물 수출 확대를 위하여 (1) 출판문화산업 진흥계획에 TBT 대응에 관한 내용 추가, (2) 정보채널 확대를 통한 출판물 TBT 정보 회득, (3) 출판문화산업 관련 기관과 TBT 관련 기관의 협업 강화, (4) 출판물 TBT에 대한 WTO TBT 위원회 특정무역현안 제기, (5) 무역촉진효과가 있는 TBT 활용, (6) 출판문화산업 관계자에 대한 TBT 지원 홍보를 제시하였다. 독창성/가치: 본 연구는 연구가 미진하였던 출판물 TBT를 조사하고, TBT가 출판물 무역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는 점에서 독창성이 있다. 또한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출판물 TBT를 해소하여 한국 출판물의 수출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한국의 출판문화산업의 성장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한일 기계제품의 수출입 현황 분석

        김용민(Yongmin Kim),윤일현(llhyun Yoon)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21 전자무역연구 Vol.19 No.2

        연구목적: 이 연구는 일본 도쿄와 한국의 수출입 비중이 높은 기계제품을 대상으로 무역실태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계제품의 분석은 일반기계, 전기기기, 운송용기기, 정밀기기로 나누어 전개한다. 논문구성/논리: 한국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규슈지역 관할의 세관은 모지세관이며, 대한국 수입 비중이 높은 세관은 도쿄세관이다. 모지세관은 2010년 이후 도쿄세관보다 대한국 수출비중이 높지만, 수입은 도쿄세관의 비중이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쿄세관의 대한국 기계제품 수출입을 대상으로 분석을 전개하였다. 논문의 구성은 한국과 일본의 무역상황을 개관하고, 이후 도쿄의 대한국 기계제품 수출입의 수평무역 분석과 무역특화 지수를 이용하여 비교우위를 파악한다. 그리고 기계제품 수출입의 품목별 분석을 전개한다. 결과: 도쿄와 한국간의 수출입 비중이 높은 기계제품을 대상으로 무역실태를 분석하였고,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9년 일본의 수출규제로 도쿄와 한국간의 무역에 영향을 미쳤다. 도쿄의 대한국 수출입은 2018년까지 증가하였지만, 2020년 감소하였기 때문에 수출규제의 영향이 작용한 것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 둘째, 도쿄의 대한국 수입은 규모측면에서 전기기기(HS85)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 전기기기는 무역특화지수에서 마이너스 값으로 나타나 국제경쟁력이 매우 약한 것으로 나타나 대한국 수출보다 수입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도쿄의 한국 간 기계제품 수출입이 불균형이다.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수출입에 변동이 있지만, 도쿄의 수출초과로 무역불균형 발생하고 있고 일반기계(HS84)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정밀기기(HS90)로 나타났다. 증가규모는 변동이 있지만, 정밀기기의 수출이 일반기계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독창성/가치: 이 연구는 일본의 세관을 대상으로 한국과의 무역실태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일본과의 무역상황을 특정 지역에 한정하여 분석한 미시적 접근방법은 지역경제연구의 독창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ade state of mechanical products that have a high proportion of exports and imports from Tokyo and Korea. The mechanical products in this analysis can be divided into general machinery, electrical equipment, transportation equipment, and precision equipment. Composition/Logic: Moji customs office governs the near areas from Kyushu that is geographically close from Korea, and Tokyo customs office has a high proportion of exports to Korea. Moji Customs has been getting a higher proportion of exports to Korea than Tokyo Customs since 2010, but Tokyo Customs has a greater proportion of imports than Moji Customs does. Therefore, this study set Tokyo Customs as the subject of analysis and studied on the import and export of Korean machinery products from there. This paper takes a critical view of the trade situ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and the import and export status of Korean machinery products in Tokyo is also studied by using the horizontal trade and the trade specialization index. In addition, the import and export status of the mechanical products is analyzed as well. Findings: The trade status was analyzed on machinery products with a high proportion of exports and imports between Tokyo and Korea, and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Japan’s export regulations in 2019 affected the trade between Tokyo and Korea. Tokyo’s exports and imports to Korea have been increased until 2018, but it decreased in 2020, so it can be inferred that the export regulation worked and had an influence on the situation. Second, electric devices(HS85) account for a large portion of Tokyo’s imports to Korea. Electric devices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number in the trade specialization index, indicating that their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was very weak, and they were imported more than they were exported to Korea. Third, the import and export of mechanical products between Japan and Korea is unbalanced. There were some fluctuations in exports and imports from 2010 to 2020, but trade imbalance has occurred due to Tokyo’s exports exceeds. Originality/Value: This study matters in that it analyzed the trade status with Korea from Japanese customs. The micro-approach, which analyzes the trade situation on certain regions, has the originality of regional economic research.

      • KCI등재

        e-Business에 관한 연구동향과 향후 연구방향 고찰

        이충배(Choong-Bae Lee),노진호(Jin-Ho Noh)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10 전자무역연구 Vol.8 No.1

        지난 10년간 전자무역은 전자물류, 전자상거래, 전자무역정책, 전자무역 관련법규, 친 환경 IT 등 다양한 연구범위에서 논문들이 다수 발표되었으며,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새롭게 전자무역연구가 출간되었다. 전자무역연구는 중앙대학교 부설 한국전자무역연구 소에서 발행하는 전자무역 전문 학술지로써 2003년 창간호의 발행을 시작으로 매년 4 회 발행되어 학계 및 업계에 기여하고 있다. 현 시점에서 과거의 연구동향을 정리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는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e-Business에 관한 과거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 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과거 연구동향은 국내 주요 학술지의 논문과 국회 도서관과 각 대학 도서관 사이트에서 검색이 가능한 학위논문을 위주로 정리하였다. Many papers for a range of different e-trade studies which are composed e-Logistics, e-Commerce, e-Trade policy, e-Trade-related laws and green IT such as e-Trade were presented. Depending on the need for a new research study published e-Trade Review has become. Korea E-Trade Researcher of Chung-Ang University issued in electronic trade is a professional journal. Starting with the first issue of 2003 issue is published 4 times a year in academia and industry are contributing. At this point the trend of the past research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proposed by the research needs to be don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past research on e-Business, trend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research purposes has to offer.

      • KCI등재

        e-Commerce의 연구동향과 향후 연구방향 고찰

        김종칠(Jong-Chill Kim),신성식(Sung-Shik Shin),박재헌(Jae-Hun Park)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10 전자무역연구 Vol.8 No.1

        1990년대 후반부터 전자무역은 전자상거래, 전자무역, 전자물류, 전자무역 관련법규, 친환경 IT 등 다양한 영역에서 수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며, 이런 흐름에 따라 전 자무역연구지가 출간되었다. 전자무역연구지는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에서 발 행하는 전자무역 전문학술지로써 2003년부터 발행을 시작하여 매년 4회 발행되며 각 기관 및 학계에 기여하고 있다. 현재 경영학과 공학으로 단순 분류된 연구동향을 7개 분야로 연구주제를 설정하여 분류하여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과제에 대해 논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자상거래에 관한 과거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연구방향을 제 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거 연구동향은 국내 주요 학술지와 학위논문을 검색하여 정 리하였다. From the end of 1990's, many research for a range of different sectors which are e-Commerce, e-Trade, e-Logistics, e-Policy, e-Law and Green IT have been presented. Depending on the need for a new research study, e-Trade Review has been published. e-Trade Review is a professional journal published by Korea e-Trade Researcher of Chung-Ang University. It is Published 4 times and contributing to each industry and academia. Now, e-Commerce is only divided to 2 sectors which are management and engineering. In this study, therefore, seven sectors are used for knowing more detailed trends about e-Commerc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the past research and propose future directions for e-Commerce. Past studies summarized by using research papers and degree thesis.

      • KCI등재

        비세그라드그룹 시장에서 한국의 무역전략과 유망수출품목

        여택동(Taek-Dong Yeo),기석도(Seuk-Do Kie)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20 전자무역연구 Vol.18 No.1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중동부 유럽 4개국(이하 비세그라드그룹, V4) 간 무역 투자 관계와 비교우위 구조를 분석하고, 우리나라의 V4에 대한 무역전략과 유망수출상품을 도출하였다. 논문구성/논리: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비세그라드그룹(V4) 4개국의 거시경제 개황과 주요 산업 및 교역 현황을 간단히 분석한다. 그리고 우리나라와 V4 간 무역 투자 관계와 비교우위 구조를 분석한다. V4 시장에 대한 SWOT 분석을 바탕으로 무역 확대방안을 도출하고, 우리나라의 對V4 유망수출상품을 선정하고자 한다. 결과: 우리나라의 對V4 무역 확대전략을 도출하면, 첫째, 전기전자,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전기차배터리, 에너지 등 제조업 및 건설업 전반에 걸친 對V4 산업협력 다각화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EU기금을 활용하여 공공 조달과 인프라 건설, 지역개발 프로젝트, 그리고 전자정부 및 정보화 시스템사업에 대한 수주 지원이 요구된다. 셋째, 對V4 원자력발전 산업기술협력 확대 및 신규 원전 수주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對V4 시장에 대한 수출 유망품목 및 거래선 다변화, 그리고 수출마케팅 지원 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對V4 유망수출품목으로 對세계 비교우위(RCA)를 갖는 상품 중 V4 시장에서의 점유율과 성장률이 높고, 수입 비중이 높은 품목을 선정하면, 차량 부분품과 부속품, TV 및 송수신기기 부분품, 기타(고유 기능의) 기계류, 엔진 부분품, 혈액 및 백신 용품, 펌프 압축기와 팬 등, 전자직접회로, 철 비합금강의 평판 압연제품 등 8개 품목이다. 독창성/가치: V4에 대한 기존 연구는 주로 EU 내의 중동부 유럽 2-3개 국가 또는 개별 국가, 또는 특정 국가의 특정 산업에 대해 조사가 이루어졌으나, 비세그라드그룹 차원의 무역 투자 전반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V4 국가 간의 무역 투자 현황과 구조를 분석한 이후, 우리나라가 추진하여야 하는 V4에 대한 무역 확대방안을 도출하고 對V4 유망수출상품을 선정하였다. Purpos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conomic conditions of the four countries in the Middle and Eastern Europe, known as the Visegrád Group(hereinafter, V4), analyzes the trade and investment relations and the comparative advantage structure between Korea and the V4 and then attempts to derive Korea’s trade strategy and promising export products toward the V4 markets. Composition/Logic: First, we briefly analyze the macroeconomic and trade trends in the V4. Second, we analyze trade and investment relations and comparative advantage structure between Korea and the V4. Third, based on the SWOT analysis, we derive Korea’s trade strategy and promising export products toward the V4 markets. Findings: Korea’s trade strategy toward V4 is as follows: First, Korean firms should participate in public procurement,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nd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utilizing the EU fund. Second, Korea should establish industrial technology cooperation with the V4 countries in nuclear power generation. Finally, Korea must diversify promising export items and trading lines in the V4 markets. The following eight items are among Korea s promising export products in the V4 markets: parts and accessories of the motor vehicles, parts for transmission, radar, and reception apparatus, other machinery and mechanical appliances, engine parts, blood products and vaccine supplies, air or vacuum pumps, air or other gas compressors and fans, electronic integrated circuits, flat-rolled products of iron or non-alloy steel, etc. Originality/Value: While the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particular country, two or three countries, or on a particular industry in the Middle-Eastern Europe, the present study comprehensively deals with the overall trade-investment relations with Korea at the level of the V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