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tudying and Living in KOREATECH from Intercultural Communication Perspective : 이문화간 소통 관점에서 한국기술교육대학교에서의 학업과 삶

        Gauri Prasad Acharya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35

        The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has made studying and living abroad a fast growing worldwide phenomenon. Study abroad necessitates living abroad, experiencing different way of life, changing one’s way of thinking as well as acting in daily life.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at Korean universities has been increasing considerably.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from different cultures, has become an important part of life with increasing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Keeping this in mind, studying and living in KOREATECH University has become the study area of research from intercultural communication perspective. The study focused on how international students understand Korean culture and society while studying and living in KOREATECH University. Furthermore, this study commenced with research questions consisting of a) How did international students experience when they interact with Korean culture and society while studying and living in KOREATECH? This also includes what difficulties did they face in new cultural and academic environment? And how did they adjust themselves in new cultural environment when they do not share the same culture? The study employed a qualitative approach, using grounded theory as a framework and methodology. Grounded theory is recognized as one of the major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es which makes possible to know about what is going on or happening or what is local reality in or around an event. This study employed semi-structured interview method which is powerful tool for data collec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Nine participants were selected by applying the purposive network sampling method among those international students who were studying in KOREATECH University on 2013 and staying in Korea more than one year. Among nine students, four students were studying at undergraduate level and five were graduate students.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English and all interviews were audio recorded by using smart phone. After gathering raw data, the open coding method was used to develop categories, subcategories and codes then axial coding was used for making connections among broad categories as a conceptual framework or model. The findings of the study provided four broad categories, twenty eight sub-categories and sixty four codes. Furthermore, academic life provides the context o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fields wher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barrier, intercultural understanding, intercultural communication skill development and adjustment in new cultural environment were making connections to each other on the basis of cause and effect-relationship in sequential order which is the main conceptual framework or model of the study. 고등교육의 국제화로 인해 해외에서의 학업과 삶은 빠르게 늘어나는 국제적인 현상이 되었다. 해외에서의 학업은 해외에서의 삶, 다른 방식의 삶에 대한 경험, 사고방식의 변화와 그에 따른 일상에서의 실천을 필요로 한다. 최근 들어, 한국 대학에서 공부하는 해외 유학생들이 수는 상당히 증가하고 있다. 다른 문화에서 온사람들 사이의 소통인 이문화간 소통은 증가하는 국제화와 세계화 속에서 삶의 중요한 부분이 되고 있다. 이점을 염두에 두면, 한국기술교육대학교에서 학업과 삶은 이문화간 소통의 관점에서 의미있는 연구 영역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해외유학생이 한국기술교육대학교에서 공부하고 생활하면서 어떻게 한국문화와 사회를 이해하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해외 유학생들이 한국기술교육대학교에서 공부하고 생활하면서 어떻게 한국 문화 및 사회와 상호작용을 경험하는지에 대한 연구문제와 그들이 새로운 문화와 학업 환경에 처했을 때 어떤 어려움을 겪는가라는 문제, 그리고 그들이 동일한 문화를 공유하지 않을 때에는 어떻게 새로운 문화 환경에서 적응하는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을 채택하여 연구의 틀과 방법론으로 근거이론을 사용하였다. 근거이론은 주요한 질적연구방법의 하나로서 사건과 사건 주변의 진실은 무엇인지 또는 어떤 일들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게 해 준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연구의 자료수집에 있어서 강력한 도구인 반구조화된 면접 방식을 사용하였다. 2013년에 한국기술교육대에서 공부하고 있으며 한국에서 1년 이상 살고 있는 해외 유학생 가운데 9명이 의도적 표집 방식으로 선발되었다. 9명의 학생 중에 4명의 학생은 학부 과정이고 5명은 대학원생이다. 면접은 영어로 진행되었고, 모든 면접은 녹음되었다. 원자료를 수집한 후에 개방코딩 방법으로 범주, 하위 범주와 코드를 만들었고 축코딩을 하여 개념적 구조나 모델로서 확장된 범주간 연결을 만들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4개의 범주, 28개의 하위 범주와 63개의 코드가 작성되었다. 학업 생활은 이문화간 소통의 장벽, 이문화간 이해, 이문화간 소통 기술의 개발과 새로운 문화적 환경의 적응이 서로간의 연결을 만드는 곳에서 이문화간 소통 영역과 맥락을 제공한다. 이는 순차적인 원인과 결과 관계에 기반하며 본 연구의 주요한 개념적 틀과 모델이 되었다.

      • A Comparative Study on the TVET Curriculum at Upper Secondary Level of Cambodia and Other 4 Asian Countries

        Songheang Ai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캄보디아 직업기술교육과정과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태국, 인도네시아의 직업기술교육과정 사이의 다양한 관점을 조사/비교하고자 한다. 방법론으로서 문헌조사접근법(Documentary reviewing approach)은 직업기술교육과정 학술지/문헌자료/웹사이트 내의 논문, 기사, 교재에 초점을 맞추어 문헌조사의 범위를 설정하였으며, 선별된 아시아 4개국의 직업기술교육과정 조직들에 대한 조사를 대상 범주로 삼았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는 교육현황, 교육목표 및 체계, 직업기술교육과정 구조, 직업기술교육과정 시행 가이드라인, 당면과제로 분류되었다.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는 전기중등단계에서부터 직업기술교육 및 훈련(TVET)을 운영하고 있지만 말레이시아의 경우 70%의 직업기술훈련(Vocational Skill Training)과 30%의 보통교육(Academic Education)으로 구성된 기초직업훈련 교육을 실시하는 한편 싱가포르의 직업기술교육 및 훈련(TVET)은 학생의 흥미와 재능에 따라 각기 다른 과정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와 비슷하게 캄보디아, 태국, 인도네시아는 동일한 직업기술교육 및 훈련(TVET)의 목적과 함께 동일한 일반교육체 계 및 직업기술교육 및 훈련(TVET) 체계를 가지고 있지만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는 각기 다른 일반교육체계 및 직업기술교육 및 훈련(TVET) 체계를 가지고 있다. 직업기술교육과정 체계에서, 핵심교과(Core Subject) 또는 필수교과(Compulsory subject), 보통교과(Normative subject) 또는 일반교과(General subject) 그리고 몇몇 인문교과(Academic subject)들은 각자의 언어, 문화, 종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선택교과는 인문, 직업, 기술, 과학과 같이 학생들의 선택에 맞게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직업(Vocational subject) 또는 기술교과(Technical subject)는 각 직종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교육과정 시행 가이드라인과 관련해서, 캄보디아 직업기술교육 및 훈련 교육과정은 총 1,540 시간의 일반교과를 다루고 있다. 직업교과(Vocational subject)는 2,246-2,306 시간의 직업교과(Vocational subject)와 240-300 시간의 지역직업교과(Local vocational subject)로 둘로 구분되어 있고 18시간의 선택 교과가 존재한다. 320 시간의 인턴쉽 과정은 교육과정 시수에서 제외되어 있다. 총 시수는 3년간의 훈련 동안 4,104 시간을 초과한다. 말레이시아는 70%의 실습수업과 30%의 이론수업(인문교과 55%, 직업교과 45%)을 중등학교에서 강조하고 있다. 각 5개국의 일반교과들은 각국들의 모국어, 수학, 종교 교육, 과학, 사회과학, 체육 교육, 컴퓨터, 도덕 및 공민 교육, 예술 및 문화로 구성되어 있다. 선정된 각각의 국가들의 교육과정체계는 서로 다른 교육과정 시수, 교육환경 그리고 직업기술교육 및 훈련의 관점이 다르기 때문에 독특하다. 담당부처에 서 공표한 직업기술교육 및 훈련(TVET) 교육과정의 가이드라인은 각 분야의 실제 상황을 적용해야만 한다. 학교권한체계는 교육과정 시행의 효율성 및 효과성을 위해 활용되어야 한다. 교육과정에서 가장의 중요한 당면과제는 학생들의 인턴쉽과 실습작업을 저해하게 만드는 학교와 산업분야 간 협력의 결핍이다. 학교와 산업분야들은 노동력의 공급과 실습 작업의 교환 속에서 상호간에 연결이 되어야 한다. 또한 대부분의 선정 국가들은 산업분야로부터 제한된 초래할 수도 있는 동일한 당면과제가 있다. 인적자원개발은 이해관계자로부터 인정되고 용납되는 능 숙한 기술을 학생들이 갖추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개발도상국 대부분은 학교 업무를 진보시키기 위해서 제한된 예산을 가지고 있다는 동일한 당면과제에 마주하고 있다. 진로지도 및 기초직업교육은 중학교 졸업생들이 기술교육과정을 선택하도록 하는 매력적인 방법이다. 몇몇 국가에서는 직업교육 졸업생들이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양질의 교육과 민간분야의 적극적 참여의 결핍으로 인하여 직업을 찾기가 어렵다. 직업기술교육 및 훈련(TVET)에 대한 고도로 파편화 된 관리(체계)는 관리 절차를 복잡하게 만들며, 민간분야, 학생 그리고 지역사회 에서 혼란을 발생 시킨다. 재정지원과 관련하여 소수의 자격을 갖춘 직업기술교육 및 훈련(TVET) 교사를 보유한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정부의 역량은 제한적이기 때문에 이들 국가들은 비슷한 당면과제를 가지고 있다. 정부로부터의 강력한 지원과 이해관계자들의 적극적 참여는 개발도상국에서 직업기술교육 및 훈련(TVET)에서 확산되고 있는 이러한 당면과제들을 개선할 수 있다. 동 비교연구의 결과는 몇몇 국가들은 전기중등교육단계에서, 이 밖의 국가들을 후기중등교육단계에서 직업기술교육 및 훈련(TVET)을 운영하는 것이며, 교육체계는 후기 중등교육단계에서 11/12학년 그리고 2년/3년으로 구성되어 있고, 몇몇 국가들은 직업교과(직업기술교육 및 지역직업교과), 핵심교과(core subjects), 필수교과(core subjects), 일반교과, 보통교과, 추가적인 교과, 선택교과, 생산교과(productive subjects), 조정교과(adaptive subjects), 인턴쉽을 총 3년간의 교수 시수 안(캄보디아 4104 시간, 인도네시아 4410 시간)에 내포하고 있다. 몇몇 국가들은 정부부처에서 공표한 가이드라인을, 실제 실행을 가이드라인으 The study set out to examine and compare the broad perspective of Cambodia’s TVET curriculum with Singapore, Malaysia, Thailand, and Indonesia’s. A documentary reviewing approach as a methodology is a targeted literature review focusing on papers, articles, and textbooks within TVET curriculum journals and relevant documentaries, as well as TVET websites, and target TVET curriculum organizations of selected countries. The findings were categorized into educational context, educational goals and systems, TVET curriculum structures, TVET curriculum implementation guidelines, and challenges. Singapore and Malaysia start TVET from lower secondary level because it’s the prevocational education with 70% vocational skill training and 30% academic education (Malaysia), but Singapore specified different courses according to the students’ interests and talents. Likewise, Cambodia, Thailand, and Indonesia have the same general education system and TVET system with the same TVET goals, but Singapore and Malaysia have different general education system and TVET system. In TVET curriculum structures, core or compulsory, normative or general subjects focusing on their individual languages, cultures and religions, and some of academic subjects; elective subjects are diversified for students’ choices such as humanities, vocational, technology and science; vocational or technical subjects focus on each trade. Regarding curriculum implementation guidelines, Cambodia’s TVET curriculum covers general subjects, totally 1,540 hours; vocational subjects are divided into other two: vocational technical subjects (2,246-2,306 hours), and local vocational subjects (240-300 hours); elective subjects, totally 18 hours; internship excluding from the curriculum, totally 320 hours. The grand total hours are more than 4,104 for three-year training. Malaysia stresses on practical 70% and theoretical 30% with 55% academic subjects, and 45% vocational subjects in secondary schools. General subjects in the five respective countries consist of their native languages, English language, Maths, religious education, science, social science, physical education, computer, moral and civic education, arts and cultures. The curriculum structure of each selected country is unique because they have different time allotment, educational context, and TVET aspects. The TVET curriculum implementation guidelines issued by the Ministry in charge have to be common adapting to real situation of each area. A school empowerment system should be harnessed for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The most important challenge of TVET is the lack of cooperation between schools and industrial sector that hinders the students’ internships and practical work. Schools and the industrial sector have to be interconnected in exchange of labor provision and practical work. Most of the countries face the same challenges that may result in limited recognition from the industrial sector as well. Human resources play a key role in equipping the students with competent skills accepted and recognized by stakeholder. Most of developing countries face the same challenges of limited budget for progressing school work. Career counseling and vocational orientation education are attractive means for middle school graduates to opt for technical education stream. In some countries vocational graduates are hard to find jobs because of the aforementioned statements which need to be quality training, and active involvement from private sector. Highly fragmented management on TVET complicates managerial processes, and causes confusion from private sector, students, and communities. Similar challenges faced by Cambodia, Indonesia, Thailand, and Malaysia because their governments’ capacities regarding financial supports are limited with few qualified TVET instructors. Strong supports from the government remedy TVET epidemics in developing countries along with active involvement from stakeholders. The result of the comparative study was that some countries start TVET at lower secondary level and others start at upper secondary level; educational systems consist of 11 and 12 years, and 2 and 3 years at upper secondary level; some countries encompass vocational subjects (vocational technical subjects and local vocational subjects), core subjects, compulsory subjects, general subjects, normative subjects, additional subjects, elective subjects, vocational subjects, productive subjects, adaptive subjects and internship, total teaching hours for three years: 4104 (Cambodia), total teaching hours for three years: 4410 (Indonesia); some countries follow the guidelines issued by the ministry level and others converted the guideline into the real practice or made decision on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most of them faced some challenges consisting of poor cooperation between schools and industrial sector, limited human resources, lack of learning and teaching materials and equipment, highly fragmented management of TVET, and the curriculum mismatches with labor market demands. Likewise the Singapore curriculum made the students stressful. The comparison implied critical nuances. Prevocational education or basic vocational education should start initially from lower secondary level by introducing basic vocational education to the student. The curriculum should be flexible by dividing into two parts: 70% for general subjects, and 30% for basic vocational subjects. General subjects should include entrepreneurship and employability skills in addition to introduce the student to gain the business concepts, the skills to get employed, and to work successfully at the workplace. Traditional subjects such as pottery, culinary skills, stone sculpture, wood carpentry, gold smith, weaving, smith craft, etc. should be added into the curriculum. All vocational instructors and management should be on-the-job trained regularly to keep track on the new tech

      • 다국적 반도체 장비회사 한국인 지사장의 역량에 대한 사례연구

        길성식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50703

        It is said that the business environment and the company's technological capabilities play important roles for multinational companies to decide the strategy for the operation of their overseas subsidiaries. This study is derived from the question of why the Korean is selected as a country manager in multinational semiconductor equipment companies in Korea and is an exploratory case-study to identify their strategies and country managers’ competencies that need for strategy implementation. That is, it is to identify and categorize the competencies of the Korean country manager in multinational semiconductor equipment companies as a unique field, which has not been tried in previous studies,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human resources for strategy implementation. The 5 of competencies of the Korean country managers which explored by interviews with the active country managers and related persons are being categorized, such as excellent communication skills between the headquarter and customers respectively; semiconductor equipment expert capabilities; the ability to establish and maintain strategic partnerships with customers by close customer relationship; control power and leadership over Korean employees; and the luck. And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 country managers of multinational equipment companies have almost the same competencies to perform similar jobs. Furthermore, in order to categorize the different capabilities of the country manager according to the company's own strategy by the technological capabilities and the size of market demand of multinational semiconductor equipment companies, the researcher classifies technology·market-based type which is composed of high technology & large market; the technology-based type which is composed of high technology & small market; the sales-based type which is composed of low technology & small market; and the market-based type which is composed of low technology and large markets. Then, the researcher categorizes the competency types of the country managers as comprehensive competency EV type; sales competency type TB; comprehensive competency EF type; sales competency MO type respectively. The content to be covered are as follows. Chapter 1 contains the necessity, purpose, issues, its contribution,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the Korean semiconductor industry and multinational semiconductor equipment companies to help you understand the research. Chapter 2 covers a literature review to investigate the competency, CEO competency, competency modeling, NCS, fit in between the organization and human capital, the structure of the multinational companies and competitive strategies, and the roles of country managers in multinational companies. In Chapter 3, referring to McKinsey's classification, semiconductor equipment companies are classified by the market demand and technical competence, and then, the hypothetical model for the competencies of country managers is proposed according to Kotler's classification. Chapter 4 is a research methodology that covers a qualitative single-case study, researcher preparation, validity, and reliability. In Chapter 5, the results of the study, 18 roles and 5 common competencies of the country managers in multinational semiconductor equipment companies are found. Chapter 6 is a conclusion, as the research model is proposing, that different competencies are identified by different types of strategies that are implementing in the multinational semiconductor companies, implication, and finally its limitations of the research & further research plan are discussed 다국적기업에서 기업환경 및 기업의 기술역량은 해외자회사 운영전략 결정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왜 한국에 진출한 다국적 반도체 장비회사의 한국지사장은 한국인인가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였으며, 반도체 장비회의 전략과 그 전략을 수행하는 한국인 지사장들의 역량에 대한 탐색적 사례연구이다. 전략 수행을 위한 인재의 중요성의 인지를 바탕으로 기존의 연구에서 시도하지 않았던, 특정한 분야 로서의 다국적 반도체 장비회사 지사장의 역량을 살펴보고 그들의 역량을 유형화 하는 것에 본 논문의 목적이다. 현직 지사장 및 관계자들의 면접을 통하여 탐색한 한국인 지사장의 역량은 본사와 고객과의 탁월한 커뮤니케이션 능력; 반도체 장비 전문가로 서의 능력; 고객과의 친화력을 바탕으로 하는 고객과의 전략적 파트너십 형성 및 유지 능력; 한국직원에 대한 장악력 및 리더십; 운 과 같은 5가 지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다국적 장비회사의 지사장들은 서로 유사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거의 동일한 역량을 보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다. 나아가, 기업의 전략에 따른 지사장의 서로 다른 역량을 유형화하기 위하여 다국적 반도체 장비회사의 기술역량과 시장수요의 크기에 따라 높은 기술, 큰 시장의 기술․시장기반형; 높은 기술, 작은 시장의 기술기반 형; 낮은기술, 작은시장의 영업기반형; 낮은기술, 큰시장의 시장기반형으로 나누어 보았으며, 각 기업유형에 필요한 지사장의 유형을 각각 종합역량 EV형; 영업역량 TB형; 종합역량EF형; 영업역량MO형으로 유형화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룰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은 연구의 필요성, 목적, 문제, 의의 및 연구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한국의 반도체산업과 다국적 반도체 장비회사의 현황 등에 대한 설명을 담고 있다. 제2장에서는 다국적 기업의 지사장의 역할과 역량을 알아보기 위한 문헌연구로서 역량, CEO역량, 역량모델링과 NCS, 조직과 인재의 정합성, 다국적기업의 현지지사의 형태와 경쟁전략 및 그 전략에 따른 지사장의 역할 등을 알아보았다. 제3장에서는 연구모형으로서 M c Kinsey consulting의 유형구분을 인용하여 시장수요와 기술역량에 따라 반도체 장비회사의 기업을 구분하였고, Kotler의 기업유형 분류에 따르는 지사장 역량에 대한 가설을 수립하였다. 제4장은 연구방법론으로서 질적 단일사례연구, 연구자의 준비, 타당성 및 신뢰성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제5장은 연구의 결과로서 18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지사장의 역할과 5개항목의 공통역량을 도출하였다. 제6장에서는 결론부분으로 연구모형에서 제안하였듯이 다국적 반도체 회사의 유형에 따른 각기 다른 역량을 도출하고, 시사점,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하여 논의 하였다.

      • DACUM기반 대학 행정직원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요구분석 : K대학교 학생처 중심으로

        조수진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703

        This study drew duty and task, by using DACUM technique focusing on duty of student service center to improve job ability of K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 In addition, perception gap of job ability by positions was analyzed, and priority of education was confirmed by analyzing educational needs of administrative staff. This can be a base of study to design more systematic and scientific training program and to establish a career development system through practical learning need analysis for improvement not only of other duties but also of job ability of other universities and institutions,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offer practical basic information and implication in site. As research process and method to achieve this purpose of the study, 12 site experts drew duty and task through 2 DACUM workshops, and questionnaire was formed after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by taking counsel from 4 content experts. As statistical analysis, MS-Excel and SPSS 18.0 Version were used, and t-test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otal tendency of education by rankings between expected level and present level. Work item with high importance and discord level was finally decided as priority through Borich Need Formula with easy discrimination capacity between items and The Lotus for Focus Model. This research finding is as follows. First, 7 duties and 27 work areas were drawn as critical task through reliability and validity verification of site experts and content experts. Second, as a result of an analysis on perception gap of present level and expected level by positions about administrative staff’s duty of student service center, things with high perception level of present job ability are ‘establishment of scholarship operating plan, scholarship counsel and selection of scholarship student, and counsel and personal guidance of student’, and relatively-low work areas are ‘support of alumni association infrastructure establishment, administration and support of disabled student, and activity to attract scholarship’. In addition, perception gap of present level by positions shows a big difference in the order of ‘guidance and support of media activity, operation of social-minded activities, and guidance and support of self-governing body’, but as a result of an analysis on expected level by positions, significance probability of all 27 work areas is bigger than 0.05, so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is result shows a present level difference by positions, so customized training is needed according to level of positions. Third, as a result of paired sample t-test about priority of learning need, all 27 work areas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less than 0.05 of significance probability. This means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expected level and present level, so priority of education is ‘support of alumni association independent activities, guidance and support of adaptation program to college life, and administration of student loan’. As a result of an analysis on Borich Need, the highest need value ranking is in the order of ‘activities to attract scholarship, counsel with disabled student, and establishment and support of alumni association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an analysis on The Lotus for Focus Model, the first quadrant with the highest priority of education is 9 work items such as ‘guidance and support of foreign technology volunteer work, establishment of scholarship operating plan, administration of scholarship payment and statistics, activities to attract scholarship, personal guidance and counsel of student, guidance and support of adaptation program to college life, counsel with disabled student, support and evaluation of disabled student, and administration and support of disabled student’. Fourth, the commonly-highest high priority group of Borich Need Formula and The Lotus for Focus Model is 8 items such as ‘guidance and support of foreign technology voluntary work, establishment of scholarship operating plan, administration of scholarship payment and statistics, activities to attract scholarship, personal guidance and counsel of student, counsel with disabled student, support and evaluation of disabled student, and administration and support of disabled student’. The final analytical result was drawn that 2 items drawn in one of Borich Need Formula and The Lotus for Focus Model are ‘support of alumni association infrastructure establishment, and guidance and support of adaptation program to college life’, and are next priority group in training. As a result, priority of learning need are voluntary work and scholarship work among K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s’ tasks. 본 연구는 K대학교 행정직원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학생처 직무를 중심으로 DACUM기법을 사용하여 책무와 과업을 도출하였다. 또한, 직위별 보유한 직무능력의 인식수준의 차이를 파악하고, 행정직원의 교육 요구도를 분석하여 교육의 우선순위를 확인하였다. 이는 K대학교의 타 직무 뿐만 아니라 타 대학과타 기관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실제 교육요구분석을 통하여 좀 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교육훈련프로그램의 설계나 경력개발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연구의 기반이 될 것이며, 현장에서 실용 가능한 실천적 기초자료와 시사점을 제공하는데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절차와 방법으로는 현장전문가 12명이 2차례의 DACUM 워크숍을 거쳐 책무와 작업을 도출하였으며, 내용전문가 4명으로부터 자문을 받아 수정·보완 후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통계분석은 MS-Excel 과 SPSS 18.0버전을 사용하였고, 기대수준과 현재수준간의 순위별 교육의 전체 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t-검정을 실시하였다. 항목간의 변별력이 용이한 Borich 요구도 공식과 The Lotus for Focus 모델을 통해 중요도와 불일치 수준이 높은 작업항목을 우선순위로 최종 결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전문가와 내용전문가의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을 통해 핵심과업으로 책무 7개와 작업영역 27개를 도출하였다. 둘째, 행정직원이 학생처 직무에 대한 직위별 현재수준과 기대수준에 대한 인식 차이의 분석결과, 공통 적으로 현재 보유한 직무능력의 인식수준이 높게 나타난 것은 ‘장학금 운영계획 수립 하기, 장학 상담·장학생 선발하기, 학생 개인지도·상담하기’ 등이며,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작업영역은 ‘총동문회 인프라구축 지원하기, 장애학생 관리·지원하기, 장학유치 활동하기’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위별로 현재수준에 대한 인식의 차(gap)는 ‘언론 활동 지도·지원하기, 사회봉사활동 운영하기, 자치단체 지도·지원하기’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직위별 기대수준에 대한 인식차이는 모든 작업영역의 유의확률이 0.05보다 크므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으나, 팀원은 ‘자치단체 지도·지원하기, 장학금 지급·통계 관리하기, 장학상담 및 장학생 선발하기’ 등의 교육을 중요하게 더 인식하는 것과는 달리 팀장급 이상은 ‘학생문화행사 지도·지원하기, 국내 기술봉사 지도·지원하기’ 등의 항목에 대해 좀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육요구의 우선순위에 대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27개의 작업영역 모두가 유의확률이 0.05미만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기대수준과 현재수준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동문회 자치활동 지원하기, 대학생활 적응프로그램 지도·지원하기, 학자금 대출관리하 기’ 등이 교육의 우선순위로 나타났다. Borich 요구도 분석결과로는 요구도 값이 가장 높은 순위로는 ‘장학유치 활동하기, 장애학생 상담하기, 총동문회 인프라 구축·지원하 기’ 등으로 나타났다. The Lotus for Focus 모델의 분석결과, 교육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제1사분면으로는 ‘해외 기술봉사 지도·지원하기, 장학금 운영계획 수립하기, 장학금 지급·통계 관리하기, 장학유치 활동하기, 학생 개인지도·상담하기, 대학생활 적응프 로그램 지도·지원하기, 장애학생 상담하기, 장애학생 지원·평가하기, 장애학생 관리·지 원하기’의 9개 작업항목이 도출되었다. 넷째, Borich 요구도 공식과 The Lotus for Focus 모델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난 최우선순위군은 ‘해외 기술봉사 지도· 지원하기, 장학금 운영계획 수립하기, 장학금 지급·통계 관리하기, 장학유치 활동하기, 학생 개인지도·상담하기, 장애학생 상담하기, 장애학생 지원·평가하기, 장애학생 관리· 지원하기’의 8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둘 중 하나에 도출된 2개의 항목은 ‘총동문회 인프라구축 지원하기, 대학생활 적응프로그램 지도·지원하기’로 교육훈련에서 차우선 순위 군으로 최종 분석결과가 도출되었다. 위 연구결과는 K대학교 학생처의 직무 중에서도 대학 고유기능인 사회봉사와 각종 중요한 평가요소로 활용 되어지고 있는 장학의 작업영역에 대하여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의 우선순위로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을 최종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보유한 직무능력이나 필요수준에 대한 인식차이가 있으므로 개인별·직위별 수준에 적합한 맞춤 교육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 성인중기 전문대학원생이 학업에 부여하는 의미 : 직업경력 10년 이상 한국기술교육대학교 HRD 전문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홍순성 한국기술교육대학교 HRD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03

        이 연구는 나 자신이 참여하고 있는 한국기술교육대학교(이하 한기대) HRD 전문대학원 석·박사 과정에 있는 재학생들 중 정규 대학 졸업 후 10년 이상의 직업경력을 가진 성인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학위과정 학업에 그들은 어떤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학위과정 학업 동기와 학업 경험에 대한 그들의 진술을 자료로 하여 질적 연구를 수행한 것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인력개발 분야 혹은 그와 유사분야 직종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들이며, 2012년 6월 9일부터 2012년 12월 8일까지 매주 토요일본 대학원 빈 강의실에서 1명씩 모두 6명에 대해 심층 면담을 수행하고, 그 내용을 녹취하였다. 녹취한 내용을 전사한 다음, 연구 목적에 부합된다고 생각되는 의미 진술문을 추려내고, 그 문장에 나타난 참여자의 의도, 인식, 느낌을 중심으로 분석, 의미 요소들을 범주화하고 의미주제를 도출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연구 참여자들의 전문대학원 진학은 무엇보다도 경쟁 속에서 살아남아야 하는 직장경험에 의해 촉진되었으며, 학업경험에 직장에 서의 한계 극복이라는 의미를 부여하였다. 둘째, 학력의 가치를 인정하는 사회 문화적 맥락들은 학업에, 존중받고, 매력적인 인간으로 살아가는 것이라는 의미를 부여하게 만든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성인중기의 직장인으로 , 학업에, 퇴직이후를 대비하는 것이라는 의미를 부여하였으며, 학업을 통해 HRD 분야 전문가로서 자기 성장을 주도하는 의미를 부여하였다. 넷째, 연구 참여자들은 학업에, 자기의 가치를 높여 사회에 공헌할 수있는 기회를 모색하는 것이라는 의미를 부여하였다. 다섯째, 연구 참여자들은 학업에 대한 기대와 두려움을 가지고 학업에 임한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그들은, 학업에, 스스로의 한계를 극복하고 도전하는 것이라는 의미를 부여하였다. 여섯째, 연구 참여자들은 HR 분야에서 실무를 해온 사람들로서, 학업 에, 현장 경험지식을 체계화하고 구체화하는 동시에 인증 받는 것이라는 의미를 부여하였고, 그 과정에서 학업의 즐거움을 느꼈다. 일곱째, 연구 참여자들은 삶의 정점에 있는 직업인이자 생활인으로서 학업을 병행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그들은, 학업에, 삶의 목표를 실현하는 과정이라는 의미를 부여하였다. 여덟째, 연구 참여자들은 학업경험을 통해 학위과정이 끝이 아니며, 앞으로 해야 할 일에 대한 자기실현적 예언의 의미를 부여하였다. 결론적으로 의미주제로 부터 성인 중기의 연구 참여자들이 전문대학원 학업에 부여하는 의미는 ‘전문가로서의 자기성장과 사회공헌 하기’로 직관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eanings which middle-aged students with job experience over 10 years attending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HRD are attaching to their academic experience where I am attending too. The participants have been working at the job related to human resource development or similar field after their university, and I asked six men/woman for interview about what is the reason they decide to enter the school and what they has experienced in school. To explore the research problem, I use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ith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The interview was fulfilled from ninth June 9th, 2013 to December 8th, 2013 every saturday in the empty classroo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bove all things, job experience which requires struggle for existence facilitated their entering graduate school and they attached the meaning of overcoming the limit in the competitions to their academic experience. Second, they attached the meaning of being held in respect and as a attractive person to their academic experience in the social-cultural contexts of admitting values of educational attainment. Third, as a mid-aged worker, participants attached the meaning of preparing after their retirement and leading personal growth as expert of HRD to their academic experience. Fourth, they attached the meaning of opportunity which they could contribute to society through enhancing their values to their academic experience. Fifth, Participants have expectation for class and anxiety and through these experience, they attached meaning which they challenge their limits to their academic experience. Sixth, participants who has been working in the HR field attached meaning of systemizing and materializing their experienced knowledge to their academic experience. And they feel a pleasure of learning. Seventh, Participants who are in the peak of life have difficulties that should combine both working and learning but they attached the meaning of a part of course for achievement their goal of life to their academic experience. Eighth, Participants recognize that this course is not the end, and attached the meaning of a self-fulfilling prophecy for things that they do in the future to their academic experience. To conclude, the meanings which participants attaching to academic experience in graduate school are intuited personal growth as expert and contributing for society. The personal growth is what he or she to be free from prejudice, custom and culture etc.

      • 기술창업기업 성과 영향요인 연구 : 기업가적 지향성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배창환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87

        This research aims at investigating determinant factors of technological start-ups’ performance. technological start-ups are increasingly considered as an important source of economic growth in national and regional levels. The Government has promoted successful start-ups by designing and implementing various policy instruments. However, most technological start-ups tend to face financial, technological, and organization obstacles, in particular, in early stage of growth. Many studies suggest various factors Influencing the performance of technological start-ups.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deepening our understanding on determinant factors of technology start-ups in Korea. This paper measures impact of entrepreneur’s characteristic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nnovation capabilities, and region innovation system support on firm performance. We collect data from survey on technological start-ups in incubators including universities, Techno-parks, public institutes and associations. We have 200 respondents out of 2313, and finally 178 data was used.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entrepreneur’s entrepreneurship education, firms’ marketing capability, innovativeness, proactiveness, and rational innovation system support exhibit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performance. Firms’ innovativeness also appears to moderate positively the relationships between entrepreneur’s start-up experience, innovation, innovation capability and performance. Firms’ proactiveness also moderates positively the relationships between entrepreneurship education, experience in the line of business, R&D capability and performance. Firm risk taking moderates positively the relationships between R&D capability, marketing capability and performance. This paper found that Technology-based Start-ups performance is determined by a complex process. It appears to be influenced by a variety of entrepreneur and organization and environment perspectives. All of these results can give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on performance of Technology-based Start-ups in Korea. 기술창업기업은 국가 및 지역 경제차원에서 경제성장률 저하, 일자리 부족, 성장 동력 부재 등의 문제해결에 기여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기술창업기업의 생존 및 지속적인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상당 수 기술창업기업은 창업초기 자원 및 역량부족으로 인해 생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기존 연구들은 기술창업기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기업가 특성, 전략, 환경, 역량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기술창업기업 특성 및 성과 영향요 인을 분석한다. 우리나라 기술창업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가 교육 및 경험특 성, 기업가적 지향성, 혁신역량, 지역혁신체제 거점기관 지원이 기술창업기 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실증분석을 위해 전국 2313개의 테크 노파크 및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회수된 200개 데이터의 설문지 중 178개의 데이터를 실증분석에 활용했다. 분석결과, 기업가의 창업교육경험, 조직의 마케팅역량, 혁신성, 진취성, 지역혁신체제 거점기관 지원은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가적 지향성의 조절효과는 혁신성은 기업가의 창업경험, 조직의 혁신역량과 기업성과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진취성은 기업가의 창업교육경험 및 관련 산업경험, 조직의 R&D역 량과 기업성과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위험감수는 조직의 R&D역량 및 마케팅역량과 기업성과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기업의 개인, 조직, 환경 측면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및, 기업의 전략성향 및 운영방식을 나타내는 기업가적 지향성의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이를 바탕으로 기술창업기업 성과 영향요인에 대한 학술적,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e-Learning에서 學習者의 學習行動과 學業成就度와의 關係 : 韓國産業人力公團의 成人敎育 프로그램 學習參與者를 中心으로

        김시태 韓國技術敎育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50687

        사회환경 변화와 함께 시도되고 있는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e-Learning은 시·공간의 제약을 뛰어넘어 최신 정보와 기술을 실시간에 전 세계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널리 각광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업인력공단(이하"공단"이라한다)에서 학습 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시범적으로 실시 중인 사이버교육훈련 학습자 관리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학습형태, 학습소요시간, 학습시간대, 토론방참여도, 반복학습정도,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 가를 분석하여 원격교육훈련 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공단과 e-Learning 실시기관에 대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조사는 2003년 3월 3일부터 공단에서 실시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제작 전문가과정의 멀티미디어 개론과목과 소비자 전문상담사 과정의 소비자와 시장과목에 수강하고 있는 학습자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사이버 설문을 실시하였고, 총 311명의 학습자중 응답자는 120명으로 응답회수율은 38.5%로 다소 낮게 나타났다. 학업성취도 측정도구는 연구대상 2개 과목의 교수자 즉 사이버강사에게 수업시간에 다루어진 학습내용을 중심으로 문항을 작성케 하여 사이버에 서 평가한 성적을 활용하였고, 학습형태, 학습시간대, 반복학습정도, 학습만족도는 설문도구에 의해서, 인구사회학적 특성, 학습소요시간, 토론방참여도는 학습관리시스템에서 관리되고 있는 자료를 SPSS 10.0 Window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와 ANOVA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나타냈다. 첫째, 학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학업성취도에는 유의미한 값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학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학력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아주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의 학습형태, 학습소요시간, 학습시간대, 토론방참여도에 따라 학업성취도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의 반복학습정도와 학습만족도는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인을 중심으로 한 e-Learning은 운영자, 교수자, 학습매체로 하여금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유발시켜 자주적이고 적극적인 자세로 학습에 참여토록 할 수 있다면 학업성취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공단의 e-Learning 사례에 국한하여 분석되었기 때문에 교수변인, 학습자변인, 그리고 과목변인에 따라 다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어 본 연구결과를 모든 상황과 과목에 일반화시키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보완한 유사연구들이 향후 수행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In changing social environment this regard, e-learning based on utilization of computer and communication network is drawing attention in that most updated information and technology can be provided to learners from all over the world on real time by surpassing time and space restrictions. This study is focused on adult learners attending a pilot cybe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which is currently run by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HRD Korea). Various factors such as socio-demographic features of learners, learning type, duration, time-frame, participation in discussion room, frequency of repetition, satisfaction level etc.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order to find out how these factors affect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results are projected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 for institutions including HRD Korea that are involved in distance learning and cyber education. For this study, two courses (①An overview on multi-media and ②consumers and market), which have been started from March 3, 2003 were selected. Targeting 311 participants of the two courses, a cyber opinion poll was conducted. Out of 311 participants, only 38.5%(120 persons) has responded ending up with a low collection rate. To gauge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test results based on cyber evaluation by instructors of the two courses were utilized. A cyber questionnaire was sent in order to get information on learning method, duration, frequency of repetition and satisfaction level. The socio-demographic features, learning duration and participation in discussion room were based on database for learner management system and were analyzed through the T-test and ANOVA techniques by utilizing the SPSS 10.0 Windows program. This study has shown conclusions as follows. Firstly, character of population sociology of learners did not take significant values in the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it was proved that the educational background among socio-demograp hic features has a slight impa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Secondly, That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arning method, duration, learning time-frame and participation in discussion room was significant. Thirdly, it was shown that frequency of repetitive learning and satisfaction level did not affect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In conclusion, the e-learning for adult learners is foreseen to enhance their academic achievement provided that system operators, instructors and learning aids can motivate learn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learning on their own. Lastly, as this study was focused on e-learning case of HRD Korea, variants in instructors, learners and courses can generate different results. Therefore, it seems unreasonable to generalize this study result. All in all, it is deemed necessary that similar works should be continuously done to make this study more feasible and significant.

      • 혁신거점기관이 기술기반 창업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윤호열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87

        이 논문은 한국의 기술기반 창업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거점기관의 역할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기술기반 창업기업은 지역의 경제적 개발을 촉진하고,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 에는 테크노파크, 창업보육센터 같은 다양한 형태의 거점기관들이 기술기반 창업기업의 성장과 생존을 위해 설립되어 왔다. 다수의 연구에서 기술 기반 창업기업의 형성과 성장에 영향을 주는 혁신거점기관의 중요성이 강조해왔다. 그런데 한국에서 기술기반 창업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주는 혁신거점기관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편이다. 특히 지역혁신역량, 혁신거점기 관에 관한 연구는 기업의 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 다각 적인 측면에 대해 분석하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혁신체제의 선행문헌 분석을 통해 지역적·환경적 요인을 정리하고 분석한다. 국내 18개 테크노파크와 262개의 공공기관, 대학 에서 설립한 창업보육센터에 입주한 2,313개의 기술기반 창업기업을 대상 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총 200부를 회수하여 연구의 목적과 특성에 맞는 110개의 자료가 실증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기업혁신역량인 마케팅역량, R&D역량은 재무적 성과에 긍정 적인 영향을, 관리역량의 경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적 요인인 거점기관 지원은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역적·환경적 요인으로는 경제적 기반, 지역내 협력의 경우 구매업체와의 협력만이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기술창업기업의 생존과 성장에 필요한 정책적·환경적· 지역적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정책입안자, 거점기관 관계자와 기술창업기업가에게 정책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한다. This paper analyzes role of Innovation intermediate institutes that affect performance of technology-based firms in Korea. Technology-based firms are important to the economy in that they contribute to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In Korea, various types of intermediate institutes such as Techno-parks and incubators have been established to foster technology-based firms. Many studies hav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nnovation intermediate institutes that influence formation and growth of technology-based firms. However, there is little studies on innovation intermediate institutes that affect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based firms in Korea. In particular, research on regional innovation capabilities and innovation intermediate institutes has failed to uncover the factors and multidimensional aspects that affect technology-based firms performance. In this study, we identify instituti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light of literature of regional innovation system. We surveyed 2,313 technology-based firms in Techno-parks, Business Incubator of public institutes and universities. A total of 200 respondents were collected and 110 data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OLS techniques applied to analyse data. Empirical results show that marketing competence, R&D capacity, which is a firms’ innovation capacity, had a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It is confirmed that the support of the intermediate institutes, which is a policy factor, positively affects on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based firms. Economic aspect of regional innovation infrastructure, and cooperation with customer has positive affect on performance of technology-based firms. This study identifies the political, environmental, and regional factors for growth financial performance of technology-based firms, and suggests poli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policy makers and entrepreneurs.

      • 직업기초능력 인식수준 및 교육요구 분석 : G공업고등학교 국가직무능력표준기반 시범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배광민 한국기술교육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50687

        이 연구의 목적은 국가직무능력표준에 기반한 교육과정을 운영 중인 특성화고등학교의 재학생, 졸업생, 교사, 나아가 채용기관인 기업체 근로자 들을 중심으로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현재수준과 기대수준을 파악하고, 기업분야 중 기계계열, 전기․전자․반도체계열, 건축․토목․건설계열 영역의 직업기초능력 교육우선순위를 결정, G공업고등학교 직업기초능력 교육 과정 편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목적을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내용으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국가직무능력표준에 대한 일반적 개념, 국가직무능력표준 교육과정의 개념과 연구기관으로 선정된 G공업고등학교의 교육과정 개편현황에 대해 기술하였다. 또한 직업기초능력 선행연구를 분석하였으며, 기존 연구 자별 직업기초능력의 분류형식을 10개 영역별로 구분하여 개념을 정리하 였다. 이를 토대로 특성화고등학교 교육과정으로의 적용을 위한 직업기초 능력 교육요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10개 영역(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개발능력, 자원관리능력, 대인관계능력, 정보능력, 기술능 력, 조직이해능력, 직업윤리)의 34개 하위영역(문서이해능력, 문서작성능 력, 경청능력, 언어구사력 ,기초외국어능력, 기초연산능력, 기초통계능력, 도표분석능력, 도표작성능력, 사고력, 문제처리능력, 자아인식능력, 자기개 발능력, 경력개발능력, 시간관리능력, 예산관리능력, 물적자원관리능력, 인적자원관리능력, 팀웍능력, 리더십능력, 갈등관리능력, 협상능력, 고객서비 스능력, 컴퓨터활용능력, 정보처리능력, 기술이해능력, 기술선택능력, 기술 적용능력, 국제감각, 조직체제이해능력, 경영이해능력, 업무이해능력, 근로윤리, 공동체윤리)별로 설문문항을 개발하였으며, 현재수준과 중요도를 근거로 집단별 인식수준을, 기업근로자의 기대수준을 중심으로 교육요구도의 우선순위와 교육과정을 기업규모․분야별로 제시하였다. 연구는 직업기초능력과 중등직업교육과정, G공업고등학교 국가직무능력 표준 교육과정 개편과 동향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집단(재학생, 졸업생, 기업담당자)간 직업기초능력의 인식수준을 비교하였다. 또한 기업근 로자를 중심으로 특성화고 출신 졸업생이 갖추고 있는 직업기초능력의 현재수준과 향후 졸업생들에게 요구되는 기대수준의 차이를 분석하여 G공 업고등학교 기계계열, 전기․전자․반도체계열, 건축․토목․건설계열학과의 직업기초능력 교육요구 우선순위를 분석하는 순서대로 진행되었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거쳐 수행한 주요 연구결과는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집단의 인식수준, 교육요구분석으로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기초능력의 집단별 현재수준에 대한 인식수준 검증, 직업기초 능력의 집단 간 현재수준에 대한 인식수준 검증, 현 직장에서 향후 필요 하다고 인식하는 졸업생의 수준과, 취업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교사의 인식수준, 입사를 희망하는 졸업생에게 요구하는 대․중견기업근로자의 인식수준을 비교하였다. 둘째, 기업규모와 분야를 중심으로 G공업고등학교의 기계계열학과, 전기․전자․반도체계열학과, 건축․토목․건설계열학과에 적용 가능한 교육요구 우선순위를 분석하고 직업기초능력 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기초자 료를 제시하였다. 기계계열학과의 경우 언어구사력, 문제처리능력, 자기개 발능력, 경력개발능력, 시간관리능력, 협상능력, 기술이해능력이 최우선적 으로 반영되어야 하며, 전기․전자․반도체계열학과는 시간관리능력, 건축․토목․건설계열학과는 문제처리능력, 자기개발능력, 경력개발능력, 시간관리능력, 갈등관리능력의 교육과정이 기업규모와 상관없이 최우선적으로 요구되는 내용으로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직업기초능력 하위영역에 대한 관련 변인들을 검증된 통계기법과 Borich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한 교육요구분석 기법을 활용하였다. 또한 현재수준, 중요도, 기대수준을 반영한 인식조사, 기업근로자들의 현재수준과 기대수준을 분석하여 실제 기업 현장이 요구하는 교육내용과 특성화고등학교에서 현실성 있는 교육을 진행할 수 있도록 종합적인 이해를 돕는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가치가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연구가 좀 더 정확하고 한층 심화되어 진행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가 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G 공업고등학교에서 직업기초능력 교육과정을 편성할 경우 앞서 논의된 학과별 우선순위 결과를 1차적으로 고려하고, 학교와 연계된 장기현장실습 파견기관의 분야와 규모를 고려하여 기업에서 요구하는 직업기초능력을 갖출 수 있는 인재양성이 되도록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편성되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에 대한 후속연구와 연계되어, 특성화고등학교 출신 졸업생이 기업이 요구하는 인재상에 부합될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the cognitive level of basic job ability for students, graduates, and teachers in a specialized high school, as well as for workers in a company, and to suggest an optimal educational curriculum by deciding the priority of the basic job ability in education in the field of mechanic, electric․electronic․ semiconductor, and architecture․civil engineering․construction. To achieve those goals, the general approach of NCS, the concept of NCS curriculum, and the curriculum revision in G Engineering High School, which was selected as an object of this research were described. Also, the preceding studies on NCS were analyzed, and the categories of basic job skills were reclassified into 10 groups. According to this, survey questionnaires were derived from the 34 subcategories (Understanding documents, Writing documents, Active listening, Expressing oneself, Basic foreign language skills, Basic calculation, Basic statistics, Analyzing diagrams, Writing diagrams, Thinking, Problem solving, Self-awareness, Self-management, Career development, Managing time, Managing budget, Managing material resources, Managing human resources, Teamwork, Leadership, Conflict management, Negotiation, Customer service, Utilizing computers, Processing information, Understanding technology, Selecting technology, Applying technology, Global perspective, Understanding management, Understanding tasks, Work ethics, and Community ethics) within the 10 categories (Communication skills, Mathematical skills, Problem-solving skills, Self-development skills, Resource management skills, Interpersonal skills, Information skills, Technological skills, Skills for understanding groups, and Professional ethics). The cognitive level of intergroup was analyzed based on the current level and importance, and then the priority and new curriculum were suggested according to the company sizes and categories. The research investigated the previous researches on the basic job ability, job curriculum at high school, and NCS curriculum of G high school. And it compared the cognitive level of basic job ability among current students, graduate students, and person in charge at companies. Then the as-is and to-be levels of basic job ability are analyzed, and according to it, the priority of the education in mechanic, electric․electronic․semiconductor, architecture․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is evaluated. Finally, two main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Firstly, the cognitive level of basic job skills was analyzed. The current cognitive level of intragroup and intergroup were verified, and the level required for the graduates, the level which teachers expected to be required in the job market, and the level which company workers asked to of the high school graduates were compared. Secondly, the educational priority which shall be applied to the mechanic, electric․electronic․ semiconductor, and architecture․civil engineering․construction at G Engineering High school was analyzed, and according to this, a new curriculum was suggested. For mechanic, it put its educational priority on Expressing oneself, Problem solving, Self-development, Career development, Managing time, Negotiation, and Understanding technology. For electric․electronic․semiconductor, its focus was on Managing time, and for architecture․civil engineering․construction, they emphasized Problem solving, Self-development, Career development, Managing time, and Conflict management. This research was undertaken with the use of various statistic skills, the Borich method,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lso, this research shall be valued in synthetic understandings for curriculum revising. The following researches are expected to be investigated in a deep and elaborate level, and to be connected to the researches in curriculum development and effect.

      • 대학의 기술이전 성과 요인에 관한 경로 분석 연구

        김상화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8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factor affecting performance of technology transfer for Korea universities. I have analyzed the factor affecting performance of technology transfer by using path analysi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is The information service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from 2011 to 2013. By analysing former empirical study, this study drew the factors affecting performance of technology transfer are internal/external resources, research capacity, technology capacity, technology marketing capacity. And this study has attempted to analysing the result of total effects that comprise direct effect and indirect effect by using path analysis. This study comes up with the following empirical result. First, the main factor affecting performance of technology transfer is external resources. As a result, we have to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ies and their stakeholder to fund cooperative research for facilitating technology transfer. However, this study has some restrictions also. First, it did not consider time lag research/technology capacity converting to performance of technology transfer. Second, this study is quantitative so inherently there are potential risks of the endogeneity. There are some suggestions for additional research. First we need qualitative study to consider comprehensive universities transfer systems. Additionally, we focus on technology transfer activities for each university case to find difference factors affecting performance. 본 논문은 대학의 기술이전 성과 요인에 관한 종합적인 분석을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연구의 범위를 우리나라 대학 126개로 제한하여 분석 하였으며 이러한 요인들을 도출해내기 위해 국내외 선행 문헌 분석을 수행하였고 대학정보공시자료를 이용해 요인들을 측정하였다. 또한 직접효 과와 간접효과의 종합적인 분석을 위해 경로분석을 사용하였다. 선행 문헌을 종합한 결과 본 연구에서는 대학 기술이전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대학의 내 외부 자원, 연구 역량, 기술역량, 기술마케팅 역량으로 도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내 외부 자원을 대학의 내 외부 연구비, 연구 역량을 대학 연구자의 국내 외 학술 논문 게재 건수, 기술 역량을 국내 외 특허 등록 수, 기술 마케팅 역량을 대학 기술이전 전담조직의 규모, 대학 기술이전 성과를 대학 기술이전 건수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 모든 요인들이 기술이전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경로분석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직접 효과 뿐 아니라 간접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대학의 연구역량이 직접 효과에서 가장 큰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지만 경로분석을 통해서는 외부 자원으로 밝혀졌다. 이로 대학과 외부 조직과의 협력적 관계를 통한 외부 연구비가 대학 기술이전 성과에 중대한 영향을 준다는 결과를 밝혔다. 따라서 대학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 및 연구 역량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연구의 목적을 제시하고 외부 조직과의 협력을 강화시켜야 한다는 정책적 함의가 도출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