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커피전문점 종사원의 직무요구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TMX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채연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커피전문점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지만 커피전문점 종사원의 이직률은 여전히 높은 편이다. 열악한 근무 환경과 함께 높은 직무 스트레스를 그 원인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데 그 중 커피전문점 종사원의 직무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직무요구와 팀-구성원의 관계(Team member exchange, TMX)가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았다. 연구 결과 과도한 업무량, 직무 상황에서의 시간적 압박, 조직 내 역할 갈등으로 인해 직무스트레스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시간적 압박, 역할모호성, 역할갈등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가 TMX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커피 전문점 종사원 직무 스트레스 완화 방안을 제시한다. Although the market for coffee shops has been steadily growing, the turnover rate of coffee shop employees is still high. The reason for this is the high job stress along with the poor working environment.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factors that cause job stress of coffee shop employees. Therefore,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effects of job demands and team member exchange (TMX) on job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termined that job stress increased due to excessive workload, time pressure in job context, and role conflict in the organization.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pressure, role ambiguity, role conflict and job stress was found to be dependent on TMX.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measures to reduce job stress in the coffee shop.

      • 산욕기 산모의 모유수유 적응과 수면의 질이 산후우울에 미치는 영향

        이채연 고신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여성의 우울증의 첫 발생시기가 출산을 경험하는 가임기에 현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 시기의 산후우울은 여성의 정신 건강에 주요한 문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산욕기 산모의 산후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산욕기 산모의 산후우울 감소를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연구대상자는 K시에 소재한 2개의 여성전문병원 산후조리원과 외래에 방문한 산후 2-6주의 산욕기 산모 130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8월 2일부터 동년 8월 31일까지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먼저 K대학교의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각 대상기관의 협조를 받아 구조화된 자가 보고형 설문지를 배부하여 서면 동의를 받고 작성한 후 회수하였다. 연구 도구로 모유수유 적응 측정은 김선희(2009)가 개발한 모유수유 적응 도구를, 수면의 질 측정은 Verran과 Snyder Halpern(1987)이 개발한 VSH수면측정도구(Verran & Snyder Halpern Sleep Scale : VHS)를 김금순과 강지연(1994)이 번역한 도구를, 산후우울 측정은 Cox, Holden과 Sagovsky (1987)가 개발하고, 한귀원 , 김명정, 박제민(2006)이 번역한 한국어판 에딘버러 산후우울 척도(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Korean Version : EPDS-K)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é test 및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요약은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모유수유 적응 정도는 평균 102.69±11.97(도구범위: 27-135), 평균평점 3.80±0.44(척도범위: 1-5)로 중간보다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수면의 질 정도는 평균 39.30±11.40(도구범위: 0-80), 평균평점 4.91±1.42(척도범위: 0-10)로 중간 정도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산후우울 정도는 평균 8.65±0.43(도구범위: 0-30), 평균평점 0.87±0.49(척도범위: 0-3)로 우울군은 전체의 42.3%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산후우울 정도는 일반적 특성에서 월 평균수입 (F=2.453, p=.049), 어머니 역할 준비도(t=2.157, p=.033)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산과적 특성에서는 분만 횟수(t=2.030 p=.044), 임신 중 정서 상태(t=3.120, p=.002), 출산 후 평균 수면시간(F=4.293, p=.016), 분만 전 출산 후 모유수유 교육여부(t=-2.075, p=.040)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산후우울과 모유수유 적응 정도의 관계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443, p<.001), 산후우울과 수면의 질 정도의 관계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400, p<.001)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모유수유 적응과 수면의 질 정도의 관계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262, p=.003)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산후우울 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수면의 질(β=-.285, p <.001), 모유수유 적응 하위요인 중 아기의 수유능력과 성장(β=-.261 p =.002)과 수유불편함(β=-.213 p =.005), 임신 중 우울감(β=.198 p =.007), 모유수유 적응 하위요인 중 수유자신감(β=-.164 p =.046)로 나타났고, 이들 요인의 전체 설명력은 36.1%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산욕기 산모는 수면의 질이 좋을수록, 모유수유 적응 중 수유자신감이 높을수록, 아기의 수유능력과 성장이 좋을수록, 수유불편함이 없을수록, 임신 중 우울하지 않았던 경우가 산후우울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산욕기 산모의 산후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 수면의 질을 높이고 모유수유 적응력과 임신 중 우울을 예방하는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중심단어: 산욕기, 산후우울, 모유수유 적응, 수면의 질

      • 화재위험특성을 고려한 건축물 생애주기의 위험관리체계 구축 방안 : 손해보험사의 공장 화재위험관리 중심으로

        이채연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의 보험인수대상의 특수 건물 중에서 공장 건축물의 화재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국내 건설 시장 및 손해보험사의 경영 손실 뿐 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많은 피해손실을 입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화재로 인한 피해의 근본적인 원인은 국내의 공장화재특성을 고려하지 않는 법체계와 방재기술(Loss control)의 낙후로 인한 건설 위험관리체계의 부실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건축물의 설계와 시공 및 보험인수까지의 전체적인 건축물 전생애주기 단계별 화재위험관리체계가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의 보다 효율적인 화재안전관리를 위하여, 국내 건설 환경에 맞는 방재기술(Loss control)을 기본으로 둔 법체계 개선안을 바탕으로 각 주요 건설 위험 관리자 및 참여자의 역할과 손해보험사의 위험관리 및 보험인수체계가 서로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건축물 생애주기 단계별 화재위험관리체계를 제시하였다. 건축물 생애주기 화재위험관리체계 개선 및 구축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미국의 화재위험관리체계와 비교 분석을 통하여 그 차이를 확인하고 국내의 공장 건축물의 화재위험관리체계의 문제점을 도출 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안을 구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걸쳤다. 첫째, 국내 공장화재통계 및 보험요율 산정에 쓰이는 화재위험지수를 근거로 공장의 화재위험특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둘째, 도출한 국내 공장 건축물의 화재위험특성요소를 바탕으로 제도적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국내 공장화재 특성에 맞는 화재안전기준 제시 및 낙후된 방재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전문가 집단 및 자료포락 분석을 통해 미국의 FM Global 손해보험사의 손해방지기준(Loss Prevention Data Sheets)을 국내 공장 건축물의 화재위험특성을 바탕으로 필요 항목을 도출하고 재조정하여 최종 개선된 화재안전기준을 제시하였다. 위의 도출한 공장화재위험특성요소와 기준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제도적 개선안으로 세부 공장의 용도 및 업태별 상대적 평가를 통한 화재 위험특성 순위 및 등급 산정을 수행하여 현재의 용도분류체계를 중분류, 소분류로 재조정하여 제시하였다. 도출된 개선 기준을 적용한 국내의 현재 보험인수 체계 개선 모델과 상호보완적으로 건축물의 계획단계부터 유지관리단계까지의 화재위험 식별 및 구체적인 위험 예방 관리체계를 제시하였다. 도출한 화재안전기준 및 건축물 생애주기의 화재위험관리체계가 기존의 안전기준 및 관리체계에 비하여 어떤 차별화된 결과를 나타내는지 2개의 보험인수 물건 대상으로 도출안을 적용하여 화재발생 결과와 보험요율 등의 사례 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위의 연구과정을 통하여 도출한 국내 공장 건축물의 화재특성을 반영한 FM Global 활용 개선 기준은 국내의 손해보험사의 공장물건에 대한 화재위험관리기준 임과 동시에 건축물의 설계 및 시공 시방서의 하나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아울러 건설 사업의 위험관리 측면에서 이러한 화재위험특성을 고려한 전반적인 기준과 법체계의 확립을 바탕으로 건축물의 생애주기의 계획단계에서부터 손해보험사의 화재위험관리전문가 및 기타 건설사업 관련자들의 통합적인 참여와 화재위험기준을 바탕으로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하고 각 단계별 화재위험특성을 관리하도록 업무절차를 제시함으로써 화재위험으로부터 안전을 도모하는 지속가능한 건축물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한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화재위험관리체계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해외 출재를 통해 해결했던 보험인수를 개선된 방재기술과 화재위험기준 적용을 통하여, 근본적인 화재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국문 보유율을 높이고 해외출재의 비율을 줄여 국내 손해보험사의 경영 안정화와 이익증진에 기여 할 수 있다.

      • 전라북도 전통 소목공예 전승력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채연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통 공예는 전통적인 기능으로써 삶에 필요한 생활용품으로 사용하기 위해 자연과 문화, 사회, 역할 속에서 스스로 제작하면서 시작되었다. 공예는 숙달된 기술로 만들어진 기능을 한다는 의미를 지니는데, 특히 전통 공예는 각 지역의 자연의 재료와 지역민인 장인의 기술이 결합하여 생겨난 결과물로 제작방식은 다품종·소량 생산으로 수공예 방식으로 제작한다는 특징이 있다. 변화하는 자연, 문화, 사회 환경 속에서 시대 구성원에 의해 파생된 전통 공예는 발전하는 시대 속에서 정체성을 반영하여 세대의 배경과 흐름을 파악하여 함께 변화하고 성장하는 무형의 문화재이다. 그러나 시대와 사회·문화적인 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하면서 과거의 전통적인 기술과 기법으로 제작한 공예품은 그 역할과 쓰임의 의미를 잃어가게 되면서 관심과 활용의 빈도가 사라지고, 관리 및 보호도 소홀해지며 기술자들에 대한 지원 부족, 전승자 없는 종목이 사라질 현실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전통 공예는 문화 속에서 만들어진 재화이자, 국가와 역사의 정체성의 한 부분으로 지역의 발전과 활성화에 영향을 기여 할 수 있는 충분한 조건을 갖추고 있기에 현재 발생하고 있는 결점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지속적인 전승이 가능하고 활용되기 위해서는 기술의 존재가 중요하기 때문에 전통 공예 기술의 전승이 기초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처음에 만들어진 그대로의 기술을 전승하는 것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이다음 세대가 전승의 필요성을 느끼고 전승을 위한 대상으로 수긍할 수 있는 타당한 근거와 전승의 충분한 의도와 이유 필요하다. 이것이 지속적인 전승의 힘이 강화되는 방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전라북도의 전통 공예 중 소목공예를 대상으로 선정해 이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전라북도는 지역적으로 풍부한 산림과 전통 공예가 성행하던 시대의 문화와 사회적으로 활발했던 지역으로 이는 거주하던 생활 방식에서 사용하는 소목공예품에서도 잘 나타나고 현재까지도 각 지역에서 전승자들이 꾸준히 활동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자는 전라북도의 소목공예를 지정과 전승 활동의 현황을 토대로 분석하여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후에 전라북도에서 활동하고 있는 보유자와 이수자의 의견을 수립하고, 지역의 축제 또는 브랜드화, 단지 활성화, 산업화로써 전통 공예를 활용한 지역의 사례를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서 전라북도 소목공예를 중심으로 전통 공예 전승력을 강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지역의 특수성과 소량 생산 수공예 기법, 자연 재료로 제작하는 전통 공예는 현대의 편리한 교통, 세계화로 인해 확장된 문화, 다양해진 생활 방식 등은 전통 공예의 강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에 한계가 존재한다. 하지만 본 연구는 전통 공예의 본질적인 파악하기 위해 전라북도라는 지역과 지역성을 대표하는 종목인 소목공예로 축소하여 전승 강화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변화하는 현대사회와 문화를 바탕으로 사라지지는 문제점을 고찰하고 전통 공예의 전승력을 강화하여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활동에 보탬이 되고자 한다.

      • 효과적 기업비서 인력양성을 위한 NCS기반 비서직무 능력의 중요도 분석

        이채연 한양사이버대학교 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order to develop the working-level human resources that are recently required in most industries, the departments of secretarial studies in junior colleges have aggressively developed and operated education programs that applied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NCS). Such education programs duly reflect the understanding of professors and the positions of the NCS in schools that provide education. Therefore in-depth review is needed from the point of view whether such programs appropriately satisfy the requirements of businesses or executives that hire secretari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of NCS-based secretarial job performance by competency unit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and suggest directions for optimal educational effect. The existing study examined the importance of NCS-based secretarial job performance by competency unit with a focus on secretaries and professors, but it had limitations in reflecting expectations of industries. To solve such limitations, this study classified the subjects into four groups: entry-level secretaries, experienced secretaries, managers and executives, and human resources officers. In addition, this study covers all of the 41 competency units, while the existing study analyzed 37 of the units at the junior college levels (Levels 3 to 5). This study also evaluated the importance of by level /system defined during a secretarial education with the aim of presenting directions for the levels to which prospective secretaries should sharpen their skills in an intensive manner. By making it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tudy, this study pointed out a clear difference between the competency level required by businesses and the NCS-based secretarial education programs understood by universit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firm the following: First, the relative importance on 11 competency units in secretarial duties is shown to the in the following sequence of executive document preparation, executive schedule management, and executive support works. Second, the most importantly acknowledged for each competency element of respective competency unit would be in the followings of working on congratulatory and condolence events, finding out internal organizational environment, schedule adjustment of executive, preparation of business trip for executive, selective response for visitors, having the work instruction from executive, document preparation, protocol working, maintenance of information security, international event support, and facilitating accounting management system. The relative importance for each competency element shows difference in a few competency units with the existing research result, and in particular, for the level 6 and 7 for competency elements excluded in existing study, protocol works and support of international event have been perceived as the most important work competencies in applicable competency level. Third, with respect to 41 competency elements for secretarial duties, having the work instruction from executive, maintaining information security, and preparing business trips for executive are recognized as comprehensively most important. For each group, the entry-level secretaries consider electronic document management as the most important, while experienced secretaries as having the work instruction from executive, having the work instruction from executive for executive and officers, and document planning for person in charge of personnel. Importance of secretarial duties as evaluated by executive, officers and person in charge that had not been included as the subject of studies previously are shown to have differences with the evaluation made by secretary. Fourth, on importance for each level/system of secretarial duty, it is acknowledged as the most important comprehensively for level 4, new entry and experienced secretary for level 4, executive and officer for level 3, and persons in charge of personnel for level 7. In addition, the competency elements with the highest importance for each level are shown as having work instruction of executive, preparation for business trip of executive, document preparation, protocol work, and support of international event. And fifth, from the various qualifications of secretary that are considered in hiring a secretary, it is considered as important in the sequence of neat and clean cut image, manners and etiquettes, and succinct and firm communication skill. The foregoing result of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upgrade of the competency and qualification of secretaries as well as the enhancement of the work efficiency of secretaries when used as practic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on NCS-based secretarial competency in junior colleges. 최근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실무형 인력의 양성을 위해, 전문대학의 비서학과에서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적용한 교육과정을 활발히 개발 및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과정은 교육을 제공하는 학교나 교수의 NCS에 대한 이해와 입장이 반영된 것이다. 그러므로 비서를 채용하는 기업이나 경영진의 요구사항을 제대로 만족하고 있는가 하는 점에서 심층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분석적 계층과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방법을 이용하여 NCS 기반 비서직무 능력별 상대적 중요도를 파악하고, 교육 효과를 최적화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는 비서 및 교수를 대상으로 NCS 기반 비서직무 능력의 중요도를 파악하였으나, 산업 현장의 기대 수준을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신입, 경력비서 뿐 아니라 경영진 및 임원, 인사 담당자를 포함한 네 그룹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기존의 연구는 전문대학의 수준(3 ~ 5 수준)에 해당되는 37개 능력단위요소만 분석하였으나, 본 연구는 41개 모두를 포함하였다. 한편, 비서직무 교육과정 운영 시 정의되는 수준별/체계별 중요도에 대한 분석도 함께 실시하여, 예비 비서들이 어느 수준에 집중적으로 역량을 키워야 하는지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기존 연구와의 차별화를 통하여 기업에서 원하는 역량수준과 대학이 이해하고 있는 NCS 기반 비서 교육과정의 차이점을 보다 명확히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확인된 사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서직무 11개 능력단위에 관한 상대적 중요도는 경영진 문서작성관리, 경영진 일정관리, 경영진 지원업무 순으로 높았다. 둘째, 각 능력 단위의 능력단위요소 별로 가장 중요하게 인식되는 것은 경조사 관련 업무하기, 조직 내부환경 파악하기, 경영진 일정 조율하기, 경영진 출장 전 준비하기, 내방객 선별 응대하기, 경영진의 업무 지시받기, 문서 작성하기, 의전업무하기, 정보 보안 유지하기, 국제 행사 지원하기, 회계 관리시스템 활용하기였다. 각 능력단위요소 별 상대적 중요도는 기존 연구결과와 몇몇 능력단위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6, 7수준의 능력단위요소로 기존 연구에서는 제외되었던 의전업무하기, 국제 행사 지원하기가 해당 능력단위에서 가장 중요한 업무 능력으로 인식되었다. 셋째, 비서직무 41개 능력단위요소 전체에 대해서는 경영진의 업무 지시받기, 정보 보안 유지하기, 경영진 출장 전 준비하기가 종합적으로 가장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었다. 각 집단별로는, 신입비서는 전자문서 관리하기, 경력비서는 경영진의 업무 지시받기, 경영진 및 임원은 경영진의 업무 지시받기, 인사 담당자는 문서 기획하기를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연구대상으로 포함되지 않았던 경영진 및 임원, 인사담당자가 평가하는 비서직무 중요도가 비서가 평가하는 것과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넷째, 비서직무 수준별/체계별 중요도는 종합적으로 4수준, 신입비서와 경력비서는 4수준, 경영진 및 임원은 3수준, 인사담당자는 7수준을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수준별로 가장 중요도가 높은 능력단위요소는 경영진의 업무 지시받기, 경영진의 출장 전 준비하기, 문서 작성하기, 의전업무하기, 국제 행사 지원하기로 파악되었다. 다섯째, 비서 채용 시 고려하는 다양한 비서의 자격 요건 가운데 깔끔하고 단정한 이미지를 가진 자, 예의범절을 갖춘 자, 간결하고 확실한 의사표현이 가능한 자 순으로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전문대학에서의 NCS 기반 비서직무 교육과정 개발에 실질적인 자료로 활용되어, 향후 비서 업무에 대한 능률을 높이고, 비서 자질과 역량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국내 동물원 인증기준 제안을 위한 국제 동물원 인증기준 분석 연구

        이채연 건국대학교 농축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Modern zoos are being reborn as a place for conservation and research unlike the beginning of the zoos started as a place for people's interest and entertainment. On the other hand, the Korea zoos, by contrast, are still debating whether the zoos need its existence, and the level of animal welfare and the basic role of domestic zoos are always the focus of this debate. Already, the globally recognized advanced zoos are changing to raise and develop with a clear purpose of animal welfare and conservation within the limited environment of zoos. As part of this, they are proving the need for zoos' role clearly by going through the inspections and evaluations of zoos themselves. And this is an essential thing for many zoos that are springing up in this country, too.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minimum zoos accreditation standards suit the needs of the circumstance of domestic zoos based on common item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international accreditation standard items of each zoos association, which are being proceeded for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zoos. There are already various accreditation standards around the world, but in this study, the division of common standards was analyzed by comparing the published accreditation standards of the five associations, the Association of Zoos and Aquariums 'AZA' in America, Canada's Accredited Zoos and Aquarium 'CAZA', European Association of Zoos and Aquaria 'EAZA', Zoological Association of America 'ZAA', and the Pan-African Association of Zoos and Aquariums 'PAAZA'. Among them, the standard for animal husbandry,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animal care and welfare, were compiled separately and wrote a separate table. And then, the accreditation standard items that all associations have in common, and the other items felt necessary were tabulated according to the domestic situation through consultation meetings with zoos and animal welfare experts and reflected in this study. Then, it was suggested a framework of basic accreditation standards by divided into a total of 10 categories, such as animal welfare and care and management, veterinary care, conservation, education, and interpretation, governing authority, staff, financial, physical facilities, safety and security, and master&strategy plan. I hope this suggestion can be used as a reference to discuss the need to introduce the accreditation program which is recommended as one of the tools for reviewing the zoo animal welfare and zoo facilities for domestic zoos, and also it can be used as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zoo accreditation program of Korea. 현대 동물원은 처음 사람들의 흥미와 오락을 위한 장소로 시작한 것과 달리 종 보전과 연구의 장으로 거듭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반해 우리나라는 아직도 동물원의 존재 필요성 자체에 대한 논쟁을 겪고 있다. 국내 동물원의 동물복지 수준 및 본연의 역할이 항상 이런 논쟁의 중점이 된다. 이미 전 세계의 유수 동물원들은 동물원이라는 제한된 환경 내에서 동물들의 복지와 종 보전이라는 명확한 목적을 가지고 교육과 연구의 매개체로써 수준을 높이고 발전하기 위해 변화하고 있다. 그 일환 중 하나로, 각 동물원 협회의 전문가들에게 시설 검사와 평가를 받음으로써 기관을 인증받고 동물원의 역할에 대한 필요성을 확실히 증명하며 시설의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이는 국내에 무분별하게 생겨나고 있는 많은 동물원에도 필수적으로 필요한 사항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동물원의 발전과 평가를 위해 진행되고 있는 각 국가별 동물원 협회의 국제적인 인증 기준 항목들을 비교 및 분석하여 공통된 항목을 표를 통해 간추려냄으로써, 공통 항목들을 바탕으로 국내 현황에 맞는 최소한으로 필요한 동물원 인증 평가 기준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미 전 세계에 다양한 인증 기준이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공식적으로 공개된 5개 협회인 미국동물원수족관협회 AZA, 캐나다의 인증된 동물원 및 수족관 협회 CAZA, 유럽동물원수족관협회 EAZA, 미국동물학협회 ZAA, 범아프리카주의 동물원 수족관 협회 PAAZA의 기준을 참고하여 각 인증 기준을 비교하고 공통된 기준의 중분류를 따로 분석하였다. 또한, 그중에서도 동물 사육 및 복지와 직결된 동물 사육 기준은 따로 세부항목을 정리하여 별도의 표를 작성하였다. 이후 모든 협회가 공통으로 가지고 있는 인증 기준 항목과 기타 동물원 및 동물 복지 전문가들과의 자문 회의를 통해 추가로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항목을 국내 실정에 맞게 작성하여 설문 형태의 표로 제작함으로써 ‘동물 복지와 돌봄 및 관리, 수의학적 관리, 보전, 교육 및 설명회, 운영 기관, 직원, 재정, 물리적 시설, 안전 및 보안, 마스터플랜’까지 총 10가지 대분류로 나누어진 기초적인 인증 기준의 틀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추후 동물원 동물 복지 및 동물원 시설의 필요성에 대한 검토 도구 중 하나로써 도입이 추천되는 제도인 동물원 인증제도가 국내에 도입되었을 때 동물원 인증 기준의 개발과 개선의 방향성 제시를 위한 자료로써 충분히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또한 국내 동물원 인증제도 도입의 필요성을 논하는 데에 참고 자료로써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청자대우법 전환에 대한 구어 담화 분석 연구 : ‘-습니다’, ‘-아요/어요’를 중심으로

        이채연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Honorific system is very important when we communicate in Korean. The Korean honorific system asks you to use different vocabulary or syntax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aker and hearer. Mostly it is used when we speak to the seniors with respect or when we speak with those who are strangers to you. As the process to learn honorific system is very complicated, foreigners do not know the right way to use honorific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to communicate in Korean using honorific language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e honorific system is to show the respect to the hearer. In Korean we call the honorific system ‘Daewoo (treatment)’ as it needs a pair such as speaker and listener. When we communicate in Korean, we usually use ‘-Smnida’와 ‘-Ayo/Eoyo’. The pair is interchangeable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erefore, we need to know when and how ‘-Smnida’ is changed to ‘-Ayo/Eoyo’ and vice versa. It is the most important to explain the situation when it is changed from one form to another.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n to use ‘-Smnida’ or ‘-Ayo/Eoyo’ in the communication and why they change from ‘-Smnida’ to ‘-Ayo/Eoyo’ rather than using the same form throughout the conversation through the verbal language corpus analysis. It is to provide foreigners with information on how to use hearer-honorific system in verbal conversations. This study will study hearer-honorific system through the verbal language corpus discourses. The analysis tool is Hanmaru 2.0, the usage abstraction system. I would like to review two forms. First, I would like to analyze the transition from ‘-Smnida’ to ‘-Ayo/Eoyo’. Second, I would like to analyze the transition from ‘-Ayo/Eoyo’ to ‘-Smnida’. Through the analyses, the verbal discourse styles using hearer-honorific will be analyzed. Among various honorific styles, this study focuses on the hearer-honorific, because it is the most frequently used honorific system. This study is composed as follows. In Chapter 1,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previous studies are presented in the Preface. In Chapter 2, the theoretical background such as corpus linguistics and discourse analysis techniques is analyzed corpus with the examples in the linguistics and discourse analysis techniques. In Chapter 3, the hearer-honorific system, formal style hearer-honorific and informal style hearer-honorific usages are analyzed and presented with examples. Then hearer-honorific transition phenomenon is analyzed. In Chapter 4, the transition from ‘-Smnida’ to ‘-Ayo/Eoyo’ is dealt with. Examples are presen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Smnida’ to ‘-Ayo/Eoyo’ transition categories. Then the current status of transition usages from ‘-Smnida’ to‘-Ayo/Eoyo’ is analyzed. In Chapter 5, the transition from ‘-Ayo/Eoyo’ to ‘-Smnida’ is explored. It is analyzed with the examples according to its transition category. Then the usage of the transition from ‘-Ayo/Eoyo’ to ‘-Smnida’ is analyzed. In Chapter 6, the conclusion is provided. In this chapter, verbal discourse styles on the hearer-honorific transition is analyzed and researched. The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described in detail. In the usage analysis of the transition from ‘-Smnida’ to ‘-Ayo/Eoyo’ in Chapter 4 and from ‘-Ayo/Eoyo’ to ‘-Smnida’ in Chapter 5, verbal language corpus discourses are analyzed. There are many examples to use ‘-Smnida’ and ‘-Ayo/Eoyo’ together. Therefore, it was tried to analyze when and to whom this form is used in detail and why they use them like that. First of all, there are 5 formats in the transition from ‘-Smnida’ to ‘-Ayo/Eoyo’. First, it is ‘Subject addition type’. The subject is presented in ‘-Smnida’ and supporting explanation is presented in ‘-Ayo/Eoyo’ form. Second, ‘summary addition type’, Summary is presented in ‘-Smnida’ form and additional subject is described in ‘-Ayo/Eoyo’ form. Third, ‘subjective and objective type’. In ’-Smnida‘ objective explanation is given and subjective explanation is followed in ’-Ayo/Eoyo form. Fourth, there is ’behavior content type’. Behavior is explained in’-Smnida‘ and content is explained in ’-Ayo/Eoyo‘. Fifth, there is ’introduction and repetition type‘. In ’-Smnida‘ introduction and presentation are made and repetitious explanation is made in ‘-Ayo/Eoyo’. As such there are hearer-honorific transition types according to the five type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three types in the transition from ‘-Ayo/Eoyo’ to ‘-Smnida’. First there is ‘flexible explanation and decision’. In ‘-Ayo/Eoyo’ flexible description is made and in ‘-Smnida’ detailed description is made. Third, there is ‘background and in-depth type’. In ‘-Ayo/Eoyo’ background is described and in ‘-Smnida’ in-depth description is made. As such there are hearer-honorific transitions according to the three typ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hearer-honorific transition types are reviewed based on the foreign students’ learning focusing on communication abilities by analyzing verbal language discourse types using hearer-honorific language transition.

      • 동작류에 따른 한국어 시제와 동작상 습득 양상

        이채연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show how Korean learners acquire tense and aspect. This study especially focuses on the role of lexical aspect in interlanguage Korean Learners produce. This study is expecting to explain Korean learner's thinking process by their internal norm when they learn tense and grammatical aspect. This study examines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this study compares the distribution of verb morphemes across lexical class.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how the level of learner's proficiency is related with the distribution of past morphology. Third, this study examined whether Korean learners have more difficulty in the combination between a progressive imperfective marker ‘-go it-’ and activity verbs than the combination between a durative perfective marker ‘-go it-’, ‘eo it-’ and achievement verbs. This study used a cloze passage and a multiple-choice acceptability test to 51 Chinese students who have been studying Korean at the institute of Korean university. A cross-tabulation analysis, distributional analysis, Kruskal Willis test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are applied for analyz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is study consists of five chapters. In the first chapter,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is described. In the second chapter,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is introduced. One is about interlanguage and Slobin(1985)'s four operating principles explained by Andersen(1990) in an aspect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The other is about tense, grammatical aspect and lexical aspect in Korean studies. In the third chapter, the overall processes of the research execution including a cloze passage, an acceptability test are described and the lexical aspect diagnostic test for Korean is presented. In the fourth chapter, the results of my three research questions is analyzed. As a result of a cloze test, [±telic][±dynamic] of predicates affects the distribution of verb infections in past obligatory contexts. However, [±punctual] do not affect distribution of verb infections as much as other two lexical aspect. This study finds out that the highest level and the lowest level of proficiency are not affected by lexical aspect of predicates when they are using verbal morphology in past obligatory contexts at least. However, the middle level of proficiency is affected by lexical aspect class. In the other side, Korean learners have more difficulty when they judge the rightness of the combinations which have opposite lexical aspect each other. This study suggests that future studies have to observe how Korean learners acquire tense and aspect by internal norm with extending the vision to the temporality to get more various ideas to understand learner's difficulties and to let study results available at the real education area. 본고는 용언 동작류에 따른 한국어 시제와 동작상 습득 양상을 본 연구다. 본고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시제 선어말어미를 습득할 때 시제의 부수적 의미인 동작상을 기본적 의미로 인식해 용언 동작류에 영향을 받아 시제 개념을 표시하는 경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동시에 시제와 동작상 사용능력에 따라 실험 참여자를 골고루 분배함으로써 시제와 동작상 사용능력이 향상되면 이와 같은 경향이 사라진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형태적으로 같은 동작상을 습득하더라도 용언 동작류에 따라 습득의 난이도가 다르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이 연구는 시제 형태 오류의 원인을 학습자 인지 처리 과정에서 형성된 용언 동작류와 시제 선어말어미 또는 용언 동작류와 동작상의 관계 때문이라고 보았으며 한국어 시상법 습득에서 나타난 학습자 언어를 다양한 시각에서 관찰하기 위해 시제와 동작상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고는 총 51명의 중국인 기관 학습자에게 빈칸 채우기 과제와 문법성 판단 시험을 실시했다. 빈칸 채우기 과제 결과는 추출된 표본이 정규분포를 이루지 않으므로 교차분석과 분포분석, Kruskal Willis 검정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문법성 판단 시험은 추출된 표본이 정규분포를 이루어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I 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기술하고 시상법 습득의 선행연구를 모국어 습득 연구와 제2언어 습득 연구로 나누어 살폈다. 그리고 선행연구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세 개의 연구문제를 도출했다. Ⅱ 장에서는 시제와 동작상 습득을 제2언어 습득의 측면과 국어학의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기 위해 인지적 관점에서 언어의 형태와 의미 습득에 관여하는 네 가지 작동원리에 대해 알아보고, 국어학 연구를 통해 한국어 시제와 동작상의 기본적 의미(기능)와 문맥적 의미에 대해 알아보았다. Ⅲ 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해 기술했다. 실험 참여자의 모국어 배경과 참여자 정보를 기술하고 실험 절차는 순서도 모형으로 요약했다. 실험 도구에서는 빈칸 채우기 과제와 문법성 판단 시험에 대한 설명을 상세하게 실었으며, 한국어의 통사적 기제에 따라 실험 과제에서 도출된 용언의 동작류를 판별하였다. 분석방법에서는 각각의 연구문제를 해석하기 위해 사용된 교차분석, 분포분석, Kuskal Willis 검정, 독립표본 t-검정을 소개했으며, 연구문제에 대한 귀무가설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예비 실험에서는 예비 실험 과정 및 결과에 대해 기술하였다. Ⅳ 장에서는 추출된 자료를 바탕으로 세 가지 연구 문제에 대한 결과를 도출했다. 첫째, 빈칸 채우기 과제의 결과로부터 과거 문맥의 글에서 동작류 [±운동성][±완성성][±순간성]은 시제 선어말어미 및 ‘-고 있-’, ‘-었었-’의 분포에 영향을 주었지만, 각 동작류에 따른 시제 선어말어미 및 ‘-고 있-’, ‘-었었-’의 분포 양상은 달랐다. 둘째, 빈칸 채우기 과제의 결과로부터 시제와 동작상 사용능력 수준이 가장 낮은 집단과 가장 높은 집단의 용언 동작류에 따른 과거 선어말어미 ‘-었-’ 정답률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시제와 동작상 사용능력이 중간 수준에 있는 집단에선 통계적으로 용언 동작류에 따른 과거 선어말어미 ‘-었-’ 정답률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문법성 판단 시험의 결과로부터 동작상과 동작류의 원형적 어휘의미가 일치하는 서술어의 정답률이 동작상과 동작류의 원형적 의미가 일치하지 않은 서술어의 정답률보다 높았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또한 시제와 동작상 사용능력이 우수한 집단에서도 용언 동작류가 동작상 습득에 영향을 준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본고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한국어 시제 형태 오류의 원인으로 학습자 인지 처리 과정에서 형성된 용언 동작류와 시제 선어말어미 또는 용언 동작류와 동작상의 관계를 처음으로 제시했다. 연구 결과, 용언 동작류의 [상태성]과 [완성성]이 시제 선어말어미 및 ‘-고 있-’, ‘-었었-’의 분포와 과거 선어말어미 ‘-었-’의 습득에 영향을 주며, 용언 동작류에 따라 동작상 습득의 난이도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둘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시상법에 대해 세우는 가설을 인지적 관점에서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환기했다. 그 동안 한국어 시제 습득 연구는 오류 분석 연구와 발달 순서 연구로 이루어져 시상법에 대한 한국어 학습자의 내부 가설을 살피지 못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한국어 시상법 습득 과정을 문법적, 표현적, 화용론적 관념들의 총체로 인식하고 이를 인지적인 측면에서 연구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 키치 표현을 통한 현대민화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이채연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회화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2017년 9월 ‘미련한 그림’展에 전시된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내용 및 조형적인 측면과 작업과 관련한 미술사적 이론을 분석한 연구결과를 수록한 것이다. 본인의 전반적인 작품들은 형식상으로는 민화의 영향을 받은 조형적인 구도이다. 조금 더 세부적으로는 살펴보자면 현대의 키치적 기물들이 민화의 구조 안에 자리 잡고 있다. 민화와 키치적 오브제를 재해석하고 독창적인 조형언어로 표현하고자 했다. 2000년대에 들어와 민화는 현대미술에 많은 영향을 끼쳤고 젊은 작가들의 작품에 재해석되거나 차용되어 현대적인 시각과 시대정신을 반영하여 새롭게 창조되고 계승되었다. 민화는 소박한 바람과 간절한 염원이 담긴 그림이고, 길상적이고 종교적이다. 모두의 행복을 구하는 인간의 본능적인 소망이 담긴 것이다. 키치의 사전적 의미는 “저속한 작품”이나 “관광기념품”을 뜻하고, 형용사로는 “천박한, 대중취미의”의 뜻을 가지고 있다. 본래 조악하고 저급한 개념이었으나 기존의 예술이 간과한 삶의 실체로서의 가벼움, 통속성과 대중의 감성을 미적 형식과 내용으로 받아들인 작가들에 의해 키치 예술은 오늘날의 미술계의 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본인의 작업 ‘미련한 그림’이란 의미는 미련히 꾸준히 작업하기를 맹세하며, 이발소그림(키치) 같은 것에 아련히 미래를 비는듯한 느낌이다. 그림을 통해서 행복한 세상을 염원 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키치와 민화의 개념을 이론으로 정리하고, 나아가 현대회화에서 민화와 키치의 역할과 위치를 짚어 보았다. 이것을 바탕으로 본인의 작품을 고찰하고, 주제를 더욱 효과적으로 부각 시키고, 진행될 새로운 표현 방법을 찾는 기회로 삼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행복의 예술인 키치와 민화에 대해 알아 보았으며, Ⅲ장에서는 현대 한국사회에서의 키치와 민화를 비교 분석 하였다. Ⅳ장에서는 본인의 작품을 민화적 형식으로 구분과 사회적 이슈에 따른 구분으로 나누어 작업에 대한 설명을 하였다. Ⅴ장 결론에서는 본인의 작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생각을 제시하고 있다. The research study described the analytic research results of theories on history of art in relation to those contents, modeling and works, with the main focus on my works exhibited in the exhibition of ‘Rigid Painting’ in September 2017. My general works have modeling form influenced by Korean folk paintings, in a formal manner, but a closer examination on such works shows that contemporary kitsch objects are established in the structure of Korean folk paintings. The artist meant to reinterpret Korean folk paintings and kitsch objects and to express them into unique modeling language. With 2 millennium era emerging, Korean folk paintings have begun to have much influence on contemporary art, and have been reinterpreted or borrowed into works of young artists to be created in a novel manner and passed down, in the reflection of contemporary viewpoints and spirits. Korean folk paintings are the religious ones of an auspicious sign which portray innocent desires and earnest aspirations. In other words, Korean folk paintings reflect humans’ instinct desire to find happiness for all. In dictionary, Kitsch is defined as “crude work” or “tourist souvenir.” Its adjective meanings are “Crude” or “Popular hobby.” The word had, originally, a coarse and low-level concept. But kitsch art assumes a part of today’s fine arts by artists who have accepted lightness, popular nature and popular sentiment as the substantiality of life disregarded by the existing arts to sublimate them into aesthetic form and content. The subject of ‘Aspiring Picture’ that I performed means a promise for a steady work, and the aspiration for a happy world through a picture which gives a feeling of the aspiration for an uncertain future about something like the painting of barber shop (kitsch). In this regard, the research study is to understand the theories on the concepts of kitsch and Korean folk paintings, and furthermore, to investigate the roles and positions of Korean folk paintings and kitsch in contemporary paintings. Based on that, the study is going to consider my works, and highlight the right themes, in a more efficient manner, and use it as the opportunity to find new expression methods that I’ll proceed with. Chapter Ⅱ explores kitsch and Korean folk paintings of happiness. Chapter Ⅲ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 folk paintings and kitsch in contemporary society. Chapter Ⅳ explains about my works, categorizing them according to Korean folk painting form and social issues. Chapter Ⅴ presents the opinion on the direction that my works

      • From adamant Eurosceptics to Europhiles : Impact of the Euro on European Identity of 3 Baltic States

        이채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tudies regarding the euro have paid its attention to primarily economic aspects but some researchers have examined its relationship with the identity. Since its introduction in 2002, the single currency has been not merely the currency of the EU but most importantly, as Risse mentioned, it has also played its role as the most important identity markers in people’s daily lives (Risse, 2002) and engendered the entitativity or realness of the EU. So, the euro-area has been acknowledged as ‘more Europe’ or full-fledged member state, which implies that their European identity would be enforced due to the use of single currency at least more than non-euro members. However, according to Flash Eurobarometer from 2002 to 2016, largely 70~80% of people of euro-area has answered that the euro has nothing to do with their feeling of being European, which shockingly contradicts the previous researches and the intentions of European elite behind creating the single currency. Then, is the relationship of the euro and European identity merely theoretical or rhetorical? Examining the case of 3 Baltic states through their transition of answers to Eurobarometer,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euro can affect one’s European identity only to the extent of the civic identity emanated from the satisfaction of their demands to the currency. Estonia, Latvia and Lithuania who adopted the euro even after the Eurozone crisis in 2010, had strong motivation and clear demands from the introduction of single currency which was enough to overcome grim prospects of the Eurozone at the moment. Fulfilling their hopes, the euro has significantly affected European civic identity of 3 Baltic states, who were adamant Eurosceptics in early 200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