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체육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들이 임용고사 준비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 탐색

        조인진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들이 임용고사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탐색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체육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의 삶을 이해하고 진로의 제약 문제들의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육대학원 졸업생 중 임용고사를 준비 중인 준비생 2명, 임용고사를 합격한 교사 2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수집 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분석을 통해 요인들을 추출하였다. 연구결과 체육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들이 임용고사 준비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실기수업 부재’, ‘교육과정 혼재’, ‘심리적 불안감’으로 범주화 되었다.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에 실기수업이 부족하여 2차 실기시험을 준비하는데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재교육과 교사양성교육의 교육과정 혼재로 인해 교사재교육에 관련된 수업을 듣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인터넷 강의와 사설학원을 통해서 임용고사에 관련된 내용을 보충하고 있었다. 또한 인터넷 강의와 사설학원 등록비와 학부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나이로 인해 심리적인 불안감을 격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임용고사를 준비하는데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참여자들의 어려움은 교육대학원생 개인적인 수준에서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체육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이 임용고사를 준비하는데 경험하는 어려움의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의 교육과정에 실기교육과정 추가와 교사양성과정과 교사재교육의 분리하여 운영 할 것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graduate students who major in physica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the process to prepare for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life of graduate students who major in physica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preparing alternatives career constraint issues through thi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2 students who are preparing for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and 2 teachers who passed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of the graduate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 collected data through an inductive analysis of categories. I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graduate students who major in physica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the process to prepare for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were categorized as 'absence of practice classes', ‘the mixture of curriculums’, and‘psychological anxiety.’Lack of practice classes in curriculum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s found that the subjects experience difficulties in preparing for the second practical examination. The mixture of teachers' reeducation and education curriculums ha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take classes related to teachers' reeducation and supplement contents related to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through lectures on the internet and private institutes due to this. And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suffer psychological anxiety due to tuition fees of lectures on the internet and private institutes and their older age than undergraduates and have found to experience difficulties in preparing for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due to this. These difficulties of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have found to have limits to be solved on an individual level of graduate student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inally, the study suggested the addition of practice classes to curriculums for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separation and operation of teachers' education from their reeducation as plans to solv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graduate students who major in physica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le preparing for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 2005학년도 대학입시가 제7차 선택중심 교육과정에 미치는 영향 : 일반계 고등학교 일반사회영역을 중심으로

        박재운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79

        In the 7th curriculum, the government adopted the selection -centered curriculum in the 2nd and the 3rd grade of high school not only to meet the local and the school's peculiar characteristics and students' demand for education to the full, but also to expand students' right for option. The bottom line of choosing the curriculum is to operate the curriculum equivalent to students' course, aptitude, demand and scholastic ability. Accordingly, we require systematic education that makes students consider their ability, interest, concern and aptitude, so they can opt for their college and major in close connect in with advanced subjects selected in high school. The point of 7th selection-centered curriculum is to help students choose appropriate subjects based on their quality, course and scholastic aptitude. Unfortunately, under the current situation of focusing on college entrance, it is very difficult to set up curriculum which helps decide scholastic courses and choose the appropriate subjects according to his or her aptitude. Today, we are facing serious educational problems ― that is, schools tend to organize a curriculum composed of subjects which are favorable to the students for the college entrance. Students tend to choose several subjects which are beneficial to themselves for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since the grade they earned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is crucial for choosing college or college coursework. In addition, Standard Point System gives rise to imbalance depending on the degree of how difficult examination subjects are. So, it is urgent to improve education reality in that selection-centered curriculum has been being operated out of balance; It is difficult to achieve the goals of social studies that are intended to build the quality of the democratic citizen because the range of option is so narrow for them to study in high school and they are practically forced to select some of social studies depending on high school curriculum and the number of available teaching staff and consequently, the most of selected subjects have little to do with the major subjects in college. To operate the 7th selection-centered curriculum effectively and efficiently under the current system, which expands students' right for option, we should try to improve the process of curriculum organization and curriculum operation, have to necessarily make devices that lessen the percentage of high school record reflection in the college entrance and boost close connection considerably between high school education and college education. Of course, parents and students who rely on private education should change their mind-set: we should value selection-centered curriculum that emphasize students' expectation, aptitude, ability and courses particularly in the college entrance.

      • 제7차 교육과정 기술 교과에서 통신기술 영역 교과서 내용분석

        강민석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study was tried to analyze the contents of computer sections in communication technology area of the middle school ‘Technology·Home-economics’ with comparative analysis standards by different publishing companies. The results was as follows: First, the percentage of contents of hardware were considerably lower than those of software in computer and information process sections. So, the contents of hardware is required to be added. Second, common elements were lack in the analysis of the construct of learning contents, presentation method of 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amount about computer sections in communication technology area of the middle school ‘Technology·Home-economics’. So, the unifications in elements of common contents are required among textbooks from different publishing companies. Third, the percentage of photographs was considerably higher in the analysis of the method of illustration presentation in computer sections in communication technology area of the middle school ‘Technology·Home-economics’. The presentation of photographs is important, but contents like figures, graphs, and tables are required to be added.

      •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2009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분석 : 중학교 1학년 함수영역을 중심으로 : With a focus on the concept of functions for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박현정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curriculum of mathematics has been revised several times due to the needs and request from the educational field and textbooks have been revised at the same time. It is meaningful to compare and contrast different kinds of textbooks as they vary in their contents, emphasis and ordering of the cont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hanges in contents and problems in the section of function in the math textbooks for 7th grade by comparing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7 and that of 2009. The goal of this comparison and contrast of newly revised textbooks is to learn the necessary requirements for teaching function more effectively.

      • 러일전쟁 후 일본문학에 나타나 있는『교사상』-『파계』, 『도련님』, 『구름은 천재이다』를 중심으로- : 이영미

        이영미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63

        제 1장은 명치시대 개관으로 에도막부가 종말을 고하고,1868년 명치유신으로 명치천황의 즉위와 함께 일본의 근대가 시작되었다. 에도시대 후기막부를 쇄국에서 개국한 명치정부는 천황친정을 기본으로 부국강병을 슬로건으로 한 적극적으로 스스로 구미열강에 대항 할 수 있는 내실을 조기에 육성하고, 독립국가로서의 자립하려고 하였다. 그것을 위해서 구미열강을 모델로 한 여러 가지 개혁에 착수했다. 명치정부의 기본방침은 다음해 1868년의 5개조의 어조문에서 구체적으로 명문화되었다. 합의체제, 궁민일체의 국가형성, 구습의 타파, 세계열국에 합류할 수 있도록 실력을 배양하는 것 등이 그 내용이다. 그리고 명치정부는 지조개정, 식산흥업, 학제, 징병령을 시작으로 정치 군사 경제 교육 등 모든 부문에서 개혁을 추진했다. 그러나, 성급한 수용이 가져온 부담의 증대는 사회의 혼란과 국민각층의 저항을 불러 일으켰다. 여기서 자유민권운동이 일어나게 되고, 정부는 운동의 부흥에 대해여 언론탄압의 법령으로 대항했다. 결국에는 10년 후 국회개설을 약속한 <국회개설의 칙유>를 내기에 이르렀다. 그리고1889년 대일본제국 헌법, 황실전범을 발포, 게다가 다음해의 부현제, 군제의 제정과 교육칙어의 알림까지 일련의 정책은 천황을 중심으로 하는 독립적인 입헌체제의 구축을 지향했다. 헌법에는, 천황의 절대성, 신성성을 전제로 광범위한 천황대권을 규정하여 강대한 권력을 집중해서 천황중심의 국가의 완성을 도모했다. 그 후 일청전쟁과 러일전쟁의 승리에 의해 일본은 강대국의 대열에 합세하게 되고, 본격적인 식민지 경영에 착수할 필요성을 느껴, 강대국에 걸맞은 군비의 확장과 철도 국유화, 공업의 확대, 정비 등 경영 기반의 내실을 과제로 삼았다. 그리고 교육은 1871년 문부성을 설립한 명치정부는 1872년 근대적통일국가의 건설을 위해 <학제>에 의한 교육개혁을 거행했다. 전국에 학교를 설립하고 의무교육을 도입하여 프랑스와 독일의 학제를 모델로 해서 근대 교육제도를 확립했다. 그 후, <학제>는 <교육령시대>그리고 <학교령 시대>로 변해가면서 교육목적은 급속하게 국가주의화 되어갔다. 결과적으로 1872년의 <학제>의 공표는 문명개화와 함께 개인의 입신양명을 위한 지식, 기술의 습득이 중요시 되었으나, 자유민권운동의 고양에 위기를 느낀 명치정부는 운동을 직접 탄압함과 동시에 학교 교육을 통제하기 위해 인의충효를 핵심으로 하는 도덕교육에 중점을 두게 된다. 부국강병과 천황중심의 명치국가를 확립하기 위한 정책과 방침은 교사가 일방적으로 교수하도록 하여 교육은 기계화 되고 ,형식화되었다. 이와 같은 교육은 생도의 자유나 발달을 방해하고 개인의 신장을 속박하게 된 것이다.『破戒』、『坊っちゃん』『雲は天才である』는 그 명치시대의 학교를 배경으로 쓰여진 소설로 작품 속에는 명치시대의 폐단을 예리하게 비판하고 있다. 특히 근대학교의 실정을 비교적 자세하게 그리고 있다. 제 2장은 지금까지의 선행론과 떨어져 학교와 교사를 중심으로 『破戒』를 분석했다. 형식주의자에 국가주의교육을 맹신하고 있는 교장을 비판하면서 청년 교사 우시마츠의 모습을 통해 오늘날 우리들이 교사로서의 가져야 할 올바른 자세를 제시한 소설이다. 『破戒』는 고모로의숙에서의 교사로서의 경험에 기초하여 당시의 학교교육이 행하고 있는 교육내용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소설로 당시의 일반적인 교육자의 학교생활이나 마음가짐을 우시마츠의 눈을 통해 비난하고 있다. 동경명치학원에서 공부하면서 신사상에 눈뜬 토손은 인본주의를 맛본 것이다. 시골교사는 <교육세목>에 기초하여 ‘규칙’을 지키고 ‘명령’에 따르도록이라고 생도를 훈도하면 자신의 역할은 완전히 수행했다고 착각하고 있다. 그리고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 군장학사에게 아첨하여 자신의 자리를 강건히 하는데만 관심이 있는 교장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우시마츠와 같은 민주적이고 생도에게 애정있는 인물을 그린 것 일 것이다. 굳이 우시마츠와 같은 교사를 그린 것은 당시의 교육계를 걱정한 토손으로부터의 메시지 일 것 이다. 학교의 안에 신구집단의 대립도 당면과제로서 제시되고 있다. 이것은 명치 사회의 당면과제이기도 했다 토손은 그것을 간과하지 않았다. 여기까지 본 결과, 토손은 교장을 통해서 군국주의에 기초하여 행해지고 있는 교육을 비판하고 봉건적인 색채가 짙은 교육과 구파라고 부를 수 있는 교장 등의 교사에 대해서 강하게 항의하고 있다. 토손은 명치 교육의 현실을 비판함과 동시에 학교 내의 신구의 대립을 확실하게 하여 새로운 교사상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토손이 바라는 사표(師表)를 분명하게하기 위해 아버지와 렌타로를 극명하게 대립시켰던 것이다. 참교사의 바른 자세는 물론 인간으로서의 인생을 살아가는 태도를 가르쳐 주었다. 부모라는 사람은 아이가 태어나서 처음으로 만나는 인생의 선생이다. 그 의미에서 아버지의 가르침인 훈계는 사회를 살아가기 위한 지혜였지만 진실이 결여되어 있는 지혜는 사회에서 살아가기 위한 하나의 요령에 불과하다. 아버지가 우시마츠에게 가르쳐야 했던 것은 사회를 혼자 헤쳐갈 수 있는 힘이었다. 아버지와 다르게 자각한 인간인 우시마츠는 아버지의 훈계와 진실의 사상을 두고 고뇌 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었다. 아버지의 훈계보다 진실의 사상을 가지고 정의를 지켜내려고 하는 렌타로의 행동이 우시마츠를 감동시킨 것이다. 여기서 확실해진 것은 토손이 진정으로 그리고 싶었던 이상의 교사는 우시마츠의 교사상을 뛰어넘는 인물이었다는 것이다. 토손의 이러한 강한 희망이 렌타로라는 사표를 낳은 것은 아니었을까. 진실을 위해서라면 목숨도 아까워하지 않고 사회에 대항한 렌타로의 진정한 삶의 방식. 이 진정한 삶의 방식 앞에서는 아무리 엄한 아버지의 훈계라 할지라도 무기력해져 버린 것이다. 렌타로가 장렬한 죽음을 맞이한다는 행동은 우시마츠의 사표로서 그에게 새로운 삶의 길을 안내해 준 것이 아닐까. 이러한 의미에서 시대의 사표로서 렌타로를 선생이라고 불러도 무리는 없을 것이다. 제3장에서는 소세키의 소설 『坊っちゃん』을 중심으로 소세키의 교사상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소세키가 동경제국대학 시절 쓴 『중학 개량책』을 분석해, 그의 교육관을 조사해 『坊っちゃん』에 어느 정도 반영되어 있는가를 고찰해 보았다. 그 결과, 소세키의 교사로써의 체험과 소세키의 교육관이 대부분 반영되어 있다는 것을 알았다. 등장인물을 중심으로 분석했으나, 『坊っちゃん』에 등장하는 인물을 신교육을 받은 근대교사 보짱과 전근대교사라고 말 할 수 있는 빨간셔츠를 대별해서 그것을 인물이 가진 성향을 중심으로 인격사회 지향의 도련님과 이익사회 지향의 빨간셔츠로 분류해서 순석해 보았다. 인격 사회를 지향하는 교사 도련님은 성급한 판단을 내리기도 하고 자기 위주에 제멋대로인 정격의 소유자라는 결점을 가지고 있으나, 근본적으로는 정의와 의리 그리고 정직을 기본으로 하여 도덕심을 중요시 여기는 교사이다. 그러나 소세키가 말한 바와 같이 교사가 되기 위해 준비한 것도 전혀 없고 성격적인 면에서는 자질이 없는 교사이다. 게다가 교육애도 없고 노력해 보겠다는 의지도 없이 겨우 1개월로 교사를 그만두는 책임감 없는 인물이기 때문에 그다지 올바른 교사상이라고는 말 할 수 없다. 특히 생도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생도의 심리를 이해하려고 하기 이전에 그들에 대한 편견을 가지고 보기 시작해 , 튀김사건을 시작으로 메뚜기 사건까지의 사건이 일어 날 때마다 그들을 악이라고 간주해 버리는 것은 교사로서의 자질 부족이 확실한 부분이다. 자질 부족이라는 것에서 보면『破戒』와『雲は天才である』에 비교해서 생도에게 친근감을 느끼는 교사와 정반대여서 아쉽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설정도 당시의 실용주의 중심의 교육을 비판하기 위한 소세키가 만든 장치이지 않았을까. 그는 학교교육이 정신적인 면에서는 등한시되고 있다고 보고 생도의 여러 가지 장난사건 후에 행동을 통해 도덕심이 없는 것을 강하게 비판하였다. 전근대 성향을 가진 이익사회 지향의 교사를 대표하는 너구리와 빨간셔츠는 형식적인 면만을 강조하는 위선자이고 표리부동으로 표면상에는 항상 교육자다운 언동을 하고 있으나 내면은 추악하고 삐뚫어진 인물이다. 임기응변의 처세술이 뛰어난 권력지향의 인물로 참교육에는 관심이 없다. 소세키에게 있어서 그들은 근대 사회가 탄생시킨 부도덕의 상징인 것이다. 소세키 자신이 혐악하는 인간의 구체적 유형에 그들을 이용한 것이다. 『坊っちゃん』의 등장인물은 소세키의 일관된 교육철학인 정직하고 도덕적인 인간상의 표출이라고도 말 할 수 있다. ‘세상에 정직이 이기지 않으면 무엇이 이긴단 말인가’라고 도련님의 입을 빌려 소세키는 자신의 교육관을 분명히 해 두고 있다.『坊っちゃん』은 근대 사회의 변모에 따라 학교 교육계에서 일어나는 문제점을 전망하고 교육계에 처방을 내린 것이 도덕적 양심을 가진 정의에 넘치는 도련님과 같은 교사였다. 소세키가 지지하는 도련님과 거센바람은 이익사회지향의 교사 집단에 의해 학교에서 쫓겨나게 되는데 여기서 소세키는 명치 교육의 어두운 단면을 그린 것이다. 거기에는 시대의 흐름에 말리지 않고 자신의 소신을 굽히지 않는 정직한 참용기를 가지고 있는 도련님이나 거센바람과 같은 교사가 교육계에서 인정받게 되고 존경 될 때 참교육이 성립한다는 작가의 메시지라 생각된다. 제 4장에서는 『雲は天才である』를 중심으로 타쿠보쿠의 교사상을 고찰해 보았다. S마을보통고등소학교의 대용교사인 주인공 아라타의 모습은 시부타미 보통소학교에서 근무한 작가타쿠보쿠가 그대로 반영되어 가르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라타는 방과 수업을 즐기면서 생도의 가슴에 뜨거운 열기를 불어넣는 교사로 정신없이 이야기하는 아라타에 대해서 같이 열기가 올라 수업에 열중하는 생도는 서로의 뜨거운 호흡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광경은 시부타미일기에서도 알 수 있듯이 타쿠보쿠의 교사 생활을 그대로 가지고 온 것이다. 아라타가 교우가를 만든 것이 교장과의 대립의 동기가 되어버린다. 여기서 아라타는 형식을 중시하는 교장의 형식주의를 비판하고 <교육세목>의 모순에 대해 강한 공격을 하고 있다. 여기서 타쿠보쿠가 명치의 형식주의교육관을 얼마나 배격했는지를 알 수 있다. 교장 측에 대립하고 동맹파업을 상상하는 장면은 3개의 작품 중에 가장 진보된 교사상을 그리고 있다고 말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아라타의 항의에 자발적으로 힘이 되어준 생도의 모습에서 교사는 적극적으로 능동적으로 생도를 변화 시킬 수 있는 힘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한 것이다. 타쿠보쿠가 바라고 있는 교사상은 어떠한 상황에도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불의를 넘기지 말고 그것을 변화시키려고 노력을 하는 교사일 것이다. 또한 『林中書』에서 타쿠보쿠는 명치 교육의 형식주의를 강하게 비판하면서 <학제>자체를 부정하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그는 교육은 인간을 만드는 것 이다.라고 주장 하고 교육은 개인의 정신을 존중해야한다는 것을 역설했다. 그리고 생도를 마음으로부터 사랑하는 인간적인 교사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여기서 알 수 있듯이 타쿠보쿠는 진정한 교사를 꿈꾼 것이다. 형식적인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교육하여 지식만을 가르치는 교사가 아닌 인간의 인성을 존중하는 교사를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교사상은 현재 교육의 문제에도 연결되는 것으로 우리들에게 참교육사상을 제시한 것으로 보여 진다. 지금까지의 고찰을 정리해 보면, 명치시대의 사람은 사회 변화의 흐름에 타지 못했던 피해자도 나오고, 새로운 사상에 눈뜬다던지 하면서 명치유신 후 사회의 급격한 변화에 정신적인 혼란을 맛보았다. 청일‧러일 전쟁의 승리로 세계강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되어 천황을 중심으로 하는 국가권력은 강해졌다. 명치정부의 사회 변화와 함께 교육에 있어서도 문부성을 설치부터 <학제>의 제정이 실시되고 근대의 학교가 탄생했다. 그러나 학교자체는 근대적인 면을 갖추었으나, 교육에 있어서는 <교육세목>을 만들어서 철저히 국가와 천황에 충성하는 국민을 만드는 것이 학교 교육의 목적으로서 행해지고 있었던 것이다. 본론에서 분석한 3개의 작품에는 주인공의 눈을 통한 명치 사회의 단면이 그려져 있다. 쇄락한 사족과 자신의 문제, 그리고 근대인의 고뇌 등이 소설 속에서 생생하게 그려지고 있다. 또한 3개의 작품에는 교사로서의 작가 자신의 경험을 살려서 소설을 쓴 것과 학교가 배경이 된 것 이외에 몇 개의 공통점이 있다. 국가의 교육정책에 따라서 <교육세목>을 맹신하는 교장을 중심으로 하는 주변인물이 세 작품에 공통으로 등장하고 있다.<규칙>을 지키는 것을 무엇보다 중요하게 생각하고 교사로서의 사명보다<교육세목>을 정확히 지키고 적당하게 자신의 자리를 지키려고 하는 것이 제1 관심사이다. 그리고 주인공으로서 등장하는 인물도 공통점을 찾아낼 수 있다. 주인공은 교장등의 형식적인 교육에 대항하고 있고 특히 <교육세목>에는 강한 반감을 가지고 있다 . 그리고 어떤 문제로 해서 교장등과 대립하고 있으나, 지지 않고 자신의 의지를 피력하는 교사이다. 명치교사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작가 제각각의 교사상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우선, 『破戒』에서는 우시마츠를 통해 양심에 기초를 둔 교사상을 그려냈다. 우시마츠는 아이들을 사랑하는 우수한 교사지만 천민이라는 신분을 숨기고 있는 것이 그를 고뇌하게 했다. 그러나 그는 렌타로라는 스승을 만나 렌타로의 당당한 행동에 감동을 받고 이이들 앞에서 고백을 하게 된다. 자신을 속이고 생도까지 속이는 것은 나쁘다고 생각한 그의 양심적 고백이었다. 그래서 학교를 떠나게 됐지만 후회없이 렌타로의 길을 따르게 된다. 또한 렌타로를 제시한 것은 교사를 넘는 사표로서의 선생을 그리려고 했던 토손의 의지표명이었을 것이다. 『坊っちゃん』에서 소세키는 정직과 정의감이 넘치는 교사상을 그려냈다. 도련님은 막무가내로 자기만 생각하는 성격이지만, 자신의 이익에 관계없이 어떠한 때에도 정직하고 정의를 지키는 교사이다. 자신의 손해를 각오해서까지 동료를 배반하지 않는 교사로 교감의 부조리를 응징한다. 마지막으로『雲は天才である』에서 타쿠보쿠는 생도에 대한 참교사를 제시했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교사가 되어 생도에 대해 애정을 가진 인간교육을 하려고 하는 것을 중요시여기는 교사상이다. 스스로 적극적으로 교육하려고 하는 의지를 가진 교육과 생도에 열정을 쏟는 교사상을 제시해서 진정한 교육자를 그려내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각각에 그려져 있는 작가의 교사상은 다르지만 그들이 생각하는 바른 교사상은 시대가 지나도 있어야하는 교사로 오늘날 교사의 길을 걸어갈 우리들에게는 마음에 새겨 두어야 할 교사로서의 바른 태도일 것이다.

      •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중학교 음악교육 수업지도안 연구 : 슈베르트 '마왕'을 중심으로

        가유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Countless knowledge and information is being produced in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In addition, science and technology are also changing radically. In line with this trend of the time, education is also changing and typical example is convergence talent education, STEAM. STEAM is a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which added Art area to STEM education that aimed to strengthen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education. In STEAM education, art plays a vital role in enhancing interest in and understanding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in cultivating convergence thinking and problem-solving ability by enabling emotional experiences. In addition, music in art area is a subject which can make contribution to the learners' development of personality, creativity, expression and communicative ability and can lead convergence education by linking with other subject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necessity of convergence talent education centering on music and to cultivate talents with creative thinking skills which STEAM education pursues. Four-session STEAM education curriculum centering on music suggested by this study constructed and presented music drama connecting with elements of STEAM with Schubert's 'Erlkönig' as its theme. First, study explores how one theme is expressed in different forms by linking literature and music in art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poems and music by comparing Goethe's 'Erlkönig' and Schubert's. Second, when appreciating music, utilization of 'musicogram' facilitates analysis of music and help composition of music drama. 'Musicogram' which is visual reproduction of dynamic outline of music can suggest the theme and structure of the music. Third, using computer program in editing background music and recycled musical instruments in expressing sound effects can help finding out improvement solutions for environmental pollution. This study hopes that, through STEAM-applied music education, learners can have improved creativity, expression and communicative ability by composing and planning music drama on their own and develop into talents with creative ideas.

      • 다문화 가정 학습자의 ‘학습 한국어’ 어휘 교육 방안 연구

        안주현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CALP(Cognitive Academic Language Proficiency) of Korean for the improvement of academic skills of student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analyze the CALP of Korean vocabulary based on The KSL(Korean as a Second Language) curriculum and to present the education plan. This study started with the recognition that the cause of the phenomenon that the number of student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s increasing but their attendance rate is decreasing and the school drop rate is increasing. In fact, student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ave no difficulty in communicating in everyday life as the grade increases, but it turns out that they are having difficulty in studying as the content of learning becomes more difficult and the usage of the concept and conjecture word increases. Therefore, it is essential that student from multi-cultural families learn CALP of Korean to help them understand key concepts and contents in curriculum or out of curriculum time to solve the problem of poor learning and to adapt to school life. However, such education is not done well in actual school field. Even studies on CALP of Korean education are only being conducted on the necessity and the list of vocabulary, and research on teaching methods of how to teach CALP of Korean is hardly done. Learning CALP of Korean education is needed in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to solve the problem of the learning underachievement of student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ecause the Korean language course is a curriculum that teaches a language as a tool for learning various subjects and a necessary subject for them to adapt to public education. Starting from awareness of this problem, the study presents an effective way to educate CALP of Korean vocabulary that can effectively help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improve their academic ability, and based on this education method, the study finally aims to lay the foundation for CALP of Korean vocabulary education. However, this study examines the educational methods by CALP of Korean vocabulary lists presented in the KSL curriculum revised in 2015, since the KSL curriculum revised in 2017 has not presented CALP of Korean vocabulary lists yet.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nature, concepts, goals and system of content of CALP of Korean by not only the KSL curriculum published in 2012, but also the KSL curriculum revised and published in 2017, and this study revealed the significance of CALP of Korean for improving academic ability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n, a systematic education model of CALP of Korean vocabulary was presented by analyzing CALP of Korean vocabulary and referring to existing Korean language teaching methods and vocabulary education models. According to the class guidelines, the contents and methods of CALP of Korean vocabulary education were designed in order to enable practical education. Among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iddle school students were targeted at the education, and the aim was to help them improve their academic ability by learning CALP of Korean vocabulary. The method of education was to utilize the after-school classes for student to prepare regular classes in advance, and to provide education by dividing the list of CALP of Korean vocabulary lists presented in the KSL curriculum by subject. The study conducted around the above processes has significance in three aspects. First of all, the study suggests an educational model of CALP of Korean vocabulary and concrete education methods. While studies have so far raised the importance of CALP of Korean to improve the academic ability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concrete education methods have been insufficient. Thus, the education models and methods suggested i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oncrete educational methods for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learn CALP of Korean vocabulary effectively. Second,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CALP of Korean vocabulary with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applied them to the education model for effective education.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or the importance of CALP of Korean lanaguage, but there haven’t been many studies to analyze these characteristics and apply them to education models for CALP of Korean vocabulary education. In this regard, suggestion on education models and methods can be seen as taking a step forward in realizing effective education for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ird, by presenting a CALP of Korean teaching-learning strategy as a model, it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vocabulary presented in the existing the KSL curriculum, but also to the education of CALP of Korean vocabulary newly introduced in the revised curriculum, and it can be applied to lesson units of various subjects in each school. Although this study limited CALP of Korean in Korean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 it would be applicable to CALP of Korean education in different grades and various subject based on this model and each teaching-learning strategy. It is expected that student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ill be able to improve their academic ability. Keywords : student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KSL curriculum, Cognitive Academic Language Proficiency, CALP of Korean, CALP of Korean vocabulary, Teaching Methods vocabulary. 이 연구는 다문화 가정 학습자들의 학업 향상을 위한 학습 한국어의 개념 및 필요성을 밝히고, 한국어(KSL)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학습 한국어 어휘를 분석하여 그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최근 다문화 가정 학습자들은 증가하고 있지만, 그들의 취학률은 낮아지고 학업중단율도 높아지고 있는 현상의 원인이 무엇일까라는 문제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실제로 다문화 가정 학습자들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일상생활에서의 의사소통에는 큰 문제가 없지만, 학습 내용이 어려워지고 개념어와 추상어 등의 사용이 많아짐에 따라 학업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학습자들이 교과 학습 부진을 해결하고 학교생활에 적응을 잘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교과시간 혹은 교과 외 시간에 주요 개념 및 내용 이해에 도움이 되는 학습 한국어를 익힐 수 있는 시간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하지만 실제 학교 현장에서는 그러한 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학습 한국어 교육에 대한 연구들마저도 그 필요성과 어휘 목록 등에 대한 연구만 진행되고 있을 뿐 학습 한국어를 어떻게 교육할 것인지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국어과는 여러 교과 학습의 도구가 되는 언어를 가르치는 교과로서 다문화 가정 학습자들이 공교육에 적응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교과이므로 다문화 가정 학습자들의 학업 부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어과에서 학습 한국어 교육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 학습자들의 학업 향상에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학습 한국어 어휘를 효과적으로 교육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습 한국어 어휘 교육의 토대를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하지만 아직 2017 개정 한국어(KSL) 교육과정에서는 학습 한국어 어휘 목록을 제시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2015 개정 한국어(KSL)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학습 한국어 어휘 목록을 적합한 기준으로 분류하여 교육 방안을 연구해보았다. 따라서 2012년 고시된 교육과정뿐만 아니라 2017년 개정 고시된 교육과정에서의 학습 한국어의 성격, 개념, 목표 및 내용 체계까지 분석하고, 다문화 가정 학습자들의 학업 능력 향상과 관련하여 학습 한국어의 의의를 밝혔다. 그 후 학습 한국어 어휘를 분석하고 기존의 한국어 언어 교수법 및 어휘 교육 모형을 참고하여 체계적인 학습 한국어 어휘 교육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업 지도안 양식에 맞게 학습 한국어 어휘 교육 내용 및 방안을 설계하였다. 다문화 가정 학습자들 중 중학생을 교육 대상으로 삼았고, 그들이 학습 한국어 어휘를 교육받음으로써 학업 능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두었다. 교육 방법은 학습자들이 정규 수업시간 외에 그 수업을 위한 예습 단계로 학습할 수 있도록 방과 후 수업 시간을 활용하며, 한국어(KSL)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학습 한국어 어휘 목록을 주제별로 나누어 교육할 것으로 계획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중심으로 수행된 이 연구는 다음의 세 가지 측면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먼저, 학습 한국어 어휘 교육 모형과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이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다문화 가정 학습자들의 학업 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 한국어의 중요성은 대두되고 있지만 구체적인 교육 방안 제시는 미흡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제시한 교육 모형과 교육 방안이 다문화 가정 학습자들의 효과적인 학습 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교육 방안 연구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더욱 효과적인 교육을 위해 다문화 가정 학습자들과 학습 한국어 어휘의 특징을 분석하여 교육 모형에 적용했다는 점이다. 기존의 연구를 살펴보면 다문화 가정 학습자들의 특징에 대한 연구 혹은 학습 한국어의 중요성에 대해 다루는 연구는 많았으나 이러한 특징을 분석하고 학습 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해 교육 모형에 적용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이러한 점에서 이 연구의 교육 모형 및 방안 제시는 다문화 가정 학습자들의 효과적인 교육 실현에 한 걸음 더 나아갔다고 볼 수 있다. 셋째, 학습 한국어 교수-학습 전략을 모형으로 제시함으로써 기존의 한국어(KSL)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어휘뿐만 아니라 개정된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제시할 학습 한국어 어휘의 교육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각 학교에서 교과목별로 수업할 단원에 맞게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국어 교육에서의 학습 한국어로 한정했지만 이 모형과 각 교수-학습 전략을 바탕으로 다른 학년 및 다양한 교과에서의 학습 한국어 교육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고, 이를 통해 다문화 가정 학습자들의 학업 능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초등학교 미술 현장학습과 연계한 경북대학교 박물관 셀프가이드 연구

        김아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A museum can be said to be a treasure house of educational resources and a field of history and culture class to awaken a viewer's intelligence and emotion and enhance the level of culture and the quality of life through the exhibition, a collection of art works and relics. Recently, the educational role of the museum tends to get bigger and the museum gets its function emphasized as a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 and cultural institution for all walks of people, and especially becomes a place of field study connected to school education. The strongest merit of museum field study lies in that students can see the works directly instead of seeing them only through subject illustrations, and the museum presents the environment of appreciation to understand the arts in a big context through ‥exhibition…. Therefore, the museum needs to grope for positive and diverse methods to reflect students' tastes and dispositions and induce their interest in developing the appreciation program and educational materials considering students' interest. What is most important for the activation of the educational function of the museum is to prepare and use the educational materials to induce an active participation in appreciating and understanding the exhibitions and collections of the museum. Hence the museum requires 'a Self-guide' fitted for the students' eye level as an educational means placed in the museum for the service. The Self-guide plays the role to help the students themselves to become the study subjects, learn to be fitted for their own level and necessity and make a meaningful view in their field trips. The field trips using a Self-guide will help the students understand the museum themselves and also make out the exhibitions and collections of the museum in the social cultural context. This student's problem awareness starts from here. Usually schools make field trips of the museum to get over the limitation of the appreciation activities in the school classrooms, but the museum and the schools have neglected the efforts for the systematic appreciative education. This student hereby intended to personally develop a Self-guide as an educational means for the students to express and criticize the reason of their favorite works through a field study and approach them closely. The Self-guide of this research is to help the students learn the museum and understand the appreciation widely and draw students' originative and creative ideas, and focus on their diverse activities with an active attitude to express ?E appreciate the works fully and evaluate themselves together with aesthetic experiences. In addition, this Self-guide aimed at analyzing the self-guide previously developed by the art gallery and the museum at diverse angles, complementing and differentiating insufficient parts in the museum appreciation activities, first of all, developing an integrating class to induce a creative idea and thinking as well as history study based on objective facts.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argue the necessity of a Self-guide as an educational means to heighten the importance of the museum field trips and the appreciation effects thereon, design ?E develop the Self-guide of the museum of Kungpook National University with a high educational value as a district museum and find out a method of the use of the Self-guide. In addition, it intended to analyze the problems of the self-guide of the existing art gallery and museum and seek for the progressive direction of the self-guide to be developed in future. It also attempted to contribute to arousing viewers' interest and lifting the efficiency of the appreciative education of the museum through a fresh self-guide development needed in inducing a variety of activities in the museum field trips.

      • 전통 조각보를 활용한 배색교육 지도방안

        이지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실제적인 경험위주의 교육방법과 실질적인 제작을 색채교육에 도입함으로써 전인적 인간을 육성할 수 있는 광범위적인 배색교육을 전통 조각보를 통해 실현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본 수업을 통해서 배색을 이해하고, 올바르게 사용하는 학습을 위해 전통 조각보를 활용하여 지도방안을 작성하게 되었다. 중등학교 미술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전통 조각보를 활용한 배색교육 지도방안을 모색하였고, 그 교육으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색 원리와 특성에 대한 이해 학습과 배색 표현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어 미술 이론의 지식의 폭과 배색 실기력을 증진 시킨다. 둘째, 한국적인 배색의 아름다움과 민족의 정서적 색감 체험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 인해 학생들이 한국 전통 문화의 우수성이 학습된다. 셋째, 탐구정신, 협동심, 행동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형성한다. 모둠별 공동작품 제작을 통해 주제에 대한 탐구정신과 의견교류를 통한 상호간의 배려심과 협동심을 향상 시킨다. 넷째, 학습에 대한 흥미유발, 자기주도적 학습과 자신감을 향상 시킨다. 학생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소재와 단순한 이론이 아닌 실질적으로 눈으로 보고 만질 수 있게 체험을 할 수 있는 수업이기 때문에 흥미를 가지고 즐겁게 학습할 수 있다. 다섯째, 학생들이 평소 이해하기 힘들고 어렵다고 느껴 소외되었던 전통 미술에 대한 관심이 높였다. 전통 조각보를 활용한 배색교육 지도방안은 이론 수업을 위한 활동지와 실질적인 제작이 함께 이루어지는 수업방법이다. 단순히 작품 제작에만 집중하여 결과물 중심적인 학습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전통문화의 우수성과 한국적인 색감의 아름다운 배색을 살펴보고 전통미술을 재인식 시켜 학생들이 그것의 가치를 스스로 깨우치는 것이 중요하다. 전통 조각보의 배색원리와 조형적인 미적특성을 활용하여 전통적인 방법에 얽매이지 않고 현대적인 감각으로 조각보를 재창조하는 작업을 통해 학생들의 창의성을 계발시켜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는 그 배색 교육은 전통 문화의 아름다움을 즐길 수 있는 심미적 인 태도를 가져 오며 열린 마음과 전통 문화에 접근하는 기회를 학생들에게 제공하며,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체계적인 배색교육 프로그램이 더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instructional plans for color arrangement lessons in order to help the students improve their color arrangement ability in art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The traditional Jogakbo is Korean traditional household items. That is the modern-style forms of the faces as well as the harmonious combinations of the colors. The harmonious color arrangement of traditional Jogakbo is excellent and not inferior to the works of the modern geometric abstract art of today. The educational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the color arrangement education utilizing the traditional Jogakbo as a resource are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 about color arrangement using traditional Jogakbo, with a view of re interpreting them in modern terms, can improve the color arrangement ability which are necessary for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we came to take interest and pride in our beautiful traditional Jogakbo, and had opportunities to renew their perception of our traditional beauties. Third, students can be improved cooperation and caring through team work. Fourth, the teaching method is improved induce interesting about less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nd self-confidence. Students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 and were great satisfaction in the work. Fifth, usually students was very hard to understand traditional art. but the teaching methods is increased interest of students about traditional art. Through this study, we expect that color arrangement teaching may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acquire an aesthetic attitude for enjoying the beauty of traditional culture and to approach traditional culture with an open mind, and that systematic education programs matching students’ level may be developed further.

      • 시적 대상을 활용한 시 창작 교수·학습 방안 연구

        전윤정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study aimed to suggest a teaching method for learners who are beginners in writing poetry to engage in creative poetry writing with interest. Creative poetry writing is a process of knowing the joy of creation through expression and gaining insight. The goal of teaching poetry writing is not to train professional poets, but to experience the joy of producing literary works and derive growth of learners through creating poetry. As learners are beginners in writing poetry, it is not necessary for them to go through a professional poetry writing course. The current literature education uses poetry writing education as a means of understanding poetry. Poetry writing education began in earnest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but it was not applied in real school lessons. High schools could not allot time for creative poetry writing due to education for entering university. In doing so, poetry writing has been regarded as being difficult and uninteresting by learners. Creative poetry writing in itself should be a meaningful educational activity. To this e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creative poetry writing should be prepared to be applicable to school field. The methods should reflect learner traits in secondary school level and enable learners to create poetry by doing activities to make learners express themselves and feel the joy of creation in the process of creating poetry. In this regard, teacher should provide a phased process from finding poetic objects for learners to create poetry which can gain sympathy from both writers themselves and readers. The process should include steps of reflecting on themselves, finding poetic objects, wring a poem, and polishing the poem. The summary of this thesis is as following: Chapter Ⅱ discusses changing aspects of teaching poetry writing suggest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The importance of poetry writing education was emphasized in the 7th Curriculum and have showed process up to 2015 Revised Curriculum. However, the status of creative poetry writing eduction was not improved in school field and I will examine its reason within the national curriculum. In chapter Ⅲ, I will analyze poetry writing teaching models. Providing measures to make up for limitations, I will suggest a poetry writing teaching model with reference to previous studies. It will begin by making leaners find out poetic objects(material, subject matter) in ‘finding poetic objects through observation’ step, and then go through ‘conversation with poetic objects’, ‘sensory imagery of poetic objects’, and ‘associating experience and objectifying poetic objects’ steps. Using these steps, I will suggest a creative poetry writing model which learners may engage in interestingly and which is also meaningful. In chapter Ⅳ, I will introduce an example of actual lesson applied by the above model that learners went through steps of creative poetry writing and wrote variety of poems. I will present learners’ works which stand out and discuss measures to make up for limitation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his study suggests an overall process of creative poetry writing through searching of poetic objects. Through this, I seek a counterplan of practica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learners of secondary school level, who create poetry for the first time, to be able to approach to creative poetry writing easily. I expect this study to invigorate poetry writing education in school and make learners take interests in creative poetry writing. I believe the creative poetry writing method through searching poetic objects will make it possible. 시 창작이란 표현을 통해 창작의 즐거움을 알고 통찰에 이르는 과정이다. 따라서 시 창작 교육의 목표는 학습자가 시를 창작해 보는 과정의 즐거움을 체험하게 하는 것이 그 첫 번째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시 창작을 통해 세계를 관찰하고 자아가 지각한 세계의 모습을 시적으로 표현해 보는 활동을 통해 타인과 세계에 대한 공감을 배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세계 속 자아의 모습을 인식하고 자아를 성찰하여 결국에는 성장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하는 것 또한 시 창작 교육의 목표가 될 수 있다. 지금까지 시 창작 교육은 시의 이해를 위한 도구적 활동에 머무른 경우가 많았다. 또한 제7차 교육과정에서 시 창작 교육이 본격적으로 논의되었지만, 학교 현장에서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는 경우는 많지 않았다. 고등학교에서는 여전히 대학 입시를 위한 교육에 치우쳐 시 창작 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했다. 또한 시 창작 교육을 받지 못한 상태에서 다수의 학생들이 각종 백일장에 참여하다 보니, 시는 그 능력을 타고난 사람만이 쓸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기도 했다. 특히 백일장에서 정해진 주제로 시를 쓰다 보니, 그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시 창작에 흥미를 잃기도 했다. 시 창작은 그 자체로 의미 있는 교육 활동이 되어야 한다. 표현의 즐거움이 동반된 가치 있는 교육 활동이어야 한다. 또한 시를 쓰는 창작주체인 학습자가 시 창작의 중심이 되도록 교육해야 한다. 따라서 학습자가 시로 써 내고 싶은 대상을 스스로 발견해 보는 경험으로 창작이 시작되어야 한다. 시 창작에 흥미와 관심을 먼저 가질 수 있어야 좋은 작품이 탄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시적 대상은 시에 활용할 수 있는 모든 소재와, 시적 발상을 촉발하는 모든 대상을 일컫는 말로, 학습자가 시적 대상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자아와 세계를 언어로 표현하는 기회를 주어야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시적 대상을 통한 시 창작 교수 학습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먼저 Ⅱ장에서는 교육과정에 제시된 시 창작 교육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시 창작 교육은 제7차 교육과정에서부터 그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이후 2009, 2011,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시 창작 교육은 조금씩 진보된 면모를 보였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는 여전히 시 창작 교육의 위상이 제대로 자리 잡지 못했다.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와 서술 방식 등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기존의 시 창작 교육 모형을 분석하여 시적 대상을 활용한 시 창작 교육의 가능성을 찾아보았다. 먼저 시적 대상과 관련한 체험을 중심으로 시 창작 교육을 시도한 모형과 대화와 이미지를 활용한 시 창작 교육의 모형을 분석해 보았다. 이 모형에서는 학습자와 교사 간 대화를 통해 시를 써 나가도록 하였는데, 본고에서는 시적 대상과 학습자 간의 대화로 그 방법을 바꾸어 적용해 보았다. 또한 학습자의 마음속에 떠오르는 이미지를 바탕으로 시를 창작하도록 한 점을 참고하여, 감각적 이미지를 활용하여 시를 창작해 보는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시적 대상을 활용한 시 창작 교육의 구체적인 모형을 제시해 보았다. 먼저 ‘시적 대상의 발견’을 첫 단계로 제시하였다. 시적 대상을 발견하기 위해 학습자가 교정을 거닐면서 자신과 닮은 사물을 찾아보도록 하였다. 그 과정에서 학습자는 자신을 돌아보는 동시에 세계를 자세히 관찰하였다. 관찰의 방법으로 ‘가만히 바라보기’, ‘대상을 그려 보기’ 등을 제시하였다. 다음 단계에는 시적 대상을 탐색하기 위한 방법으로 시적 대상과의 대화를 제시하였다. 이때 학습자는 앞서 발견한 시적 대상과 상상적 대화를 하게 된다. 대상과 나눈 대화를 대화문으로 모두 쓰게 하는데 그 과정에서 학습자는 자연스럽게 자신의 정서와 내면을 표출하게 된다. 시적 대상을 탐색하면서 학습자는 자신의 내면을 자연스럽게 드러내게 되는 것이다. 다음 단계로는 ‘체험 연상’을 제시하였다. 체험문을 쓰기 전에 기존에 찾은 시적 대상을 마인드맵의 중심에 놓고 자유연상을 하도록 하였다. 그 중 자신의 체험과 관련한 단어를 선정하도록 하고, 그 중 하나를 골라 체험문으로 써 보도록 하였다. 체험을 쓸 때에는 일기나 편지를 쓰듯이 형식에 얽매임 없이 쓰도록 하였다. 이렇게 하여 시를 쓸 재료를 마련하고 난 다음에는 본격적으로 ‘시적 대상의 재탐색 및 시 창작’을 하도록 하였다. 재탐색이란 시적 대상을 다시 발견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에 찾은 시적 대상에 대해 좀 더 깊이 있게 생각해 보고,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해 보는 것을 의미한다. 시적 대상의 재탐색과 동시에 시 창작을 하도록 하기 위해 세 가지 유형의 활동을 진행했다. 먼저 ‘대화문을 활용한 시 창작’으로, 앞서 시적 대상과의 대화를 기록한 대화문을 활용하여 시를 창작하는 것이다. 대화문에 있던 문장을 그대로 활용할 수도 있고, 바꾸어 쓸 수도 있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학습자는 시적 대상을 다시 한 번 탐색하게 된다. 다음 유형으로 ‘감각적 이미지를 활용한 시 창작’과정을 제시하였다. 이 단계에서는 학습자가 세계를 어떻게 지각하고 있으며, 어떠한 상을 그려내고 있는지를 감각적 이미지로 표현해 보도록 하였다. 인간은 복잡한 세계를 감각기관을 활용하여 단순화하며, 그것을 언어로 창조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지각 방식을 정립하기 때문이다. 이때도 앞서 발견한 시적 대상을 활용하여 그와 관련하여 떠오르는 그림을 먼저 그리도록 하였다. 또한 앞에서 쓴 체험문을 바탕으로 연상되는 그림을 그리는 것도 허용하였다. 그림을 그리면서 학습자가 기존의 시적 대상에서 또 다른 시적 대상을 연상해 볼 수 있는 기회도 주었다. 이렇게 설정된 시적 대상을 중심으로 감각적 이미지와 관련한 여러 가지 질문에 답을 하도록 하였다. 비유를 활용하여 참신한 표현을 만들어 볼 수 있도록 안내하였고, 이후 이를 나열하여 시를 쓰도록 하였다. 시적 대상의 재탐색 및 시 창작의 마지막 유형으로 ‘객관적 상관물을 활용한 시 창작’을 제시하였다. 여기에서는 앞선 활동에서 썼던 체험문을 활용하였다. 체험문에서 주체로 표현된 ‘나’와 같은 1인칭 주어를 시적 대상의 이름으로 모두 바꾸어 써 보게 하였다. 이후 객관적 상관물을 화자 또는 시의 소재로 활용하여 시를 완성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학습자가 흥미롭게 참여하면서도 의미 있는 시 창작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마지막 단계로 ‘창작시 수정 및 평가’ 과정을 제시하였다. 창작시를 수정할 때에는 ‘또래와 협력하여 수정하기’와 ‘교사와 대화를 통해 수정하기’를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이후 자기평가와 상호평가를 활용하여 시를 평가해 보도록 하였으며, 학교 현장에서 수행평가로 활용해 볼 있는 평가표를 제시해 보았다. Ⅳ장에서는 앞에서 제시한 모형을 실제 수업에 적용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대구시 모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적 대상을 활용한 시 창작 과정을 모형에 따라 직접 창작하도록 하였다. 이 수업은 교정을 거닐면서 시적 대상을 발견하는 활동으로 수업을 시작하였다. 시적 대상과 대화를 하도록 한 수업에서 처음에는 학습자들이 당혹스러워 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이내 집중하며 대화문에 자신의 내면을 솔직하게 드러내는 모습을 보였다. 시적 대상을 이미지화하고 객관화하는 단계를 거치며 학습자들은 정서가 언어로 표현되지 않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또래 학습자와 협력하여 시를 고쳐 쓰고 평가하는 단계에까지 나아가면서 점차 더 좋은 작품을 바라보는 안목 또한 키울 수 있었다. 처음에는 시 자체에 관심이 없던 학생들이 시 창작에 흥미를 보이며 변화하고 성장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