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복지사들이 경험하는 공감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인애(Ryu, In Ae),한정우(Han, Jeong Woo)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들이 자신의 직장인 사회복지기관 내에서 경험하는 공감(compassion)이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로 실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의 사회복지시설 및 기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공감이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었고, 사회복지사들이 경험하는 공감이 긍정심리자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긍정심리자본이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실증되었으며 공감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끝으로 국내의 사회복지학 분야에서 최초로 사회복지사가 경험하는 공감이 성과변수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로 실증한 본 논문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하고 사회복지기관에서 공감 경험 증대를 위한 실천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how compassion influences the job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and the effect of compassion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 data collected from 369 social workers employed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in Gyeonggi Province and Seoul, were analyzed in the SPSS 20.0 program for frequenc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In addition, the Bootstrapping method was used to verify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ssion and job performance. The study found that first, compassion has a positive impact on job performance. Second, compassion experienced by social workers has positive effects on psychological capital. Thir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s shown to influence job performance.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ssion and job performance has proven to contribute to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ormation.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is that it is the first study of “compass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variables with regard to Korean social workers’ job performance. Suggestions are made to forge compass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social workers.

      • KCI등재
      • KCI등재

        이주민의 긍정적·부정적인 사회적 관계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남녀 비교 연구

        박선영(Park, SunYoung)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5 No.1

        이 연구는 우리나라 광역시들에서 한국인 배우자와 거주하는 20-59세 사이의 이주민(남: 582명, 여: 1,363명) 자료를 이차 분석하여 삶의 만족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인 사회관계의 영향과 부적 관계(차별)에 대한 대응노력의 영향을 남녀 비교·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첫째, 여성의 삶의 만족, 한국인과의 유대, 가족관계 만족이 상대적으로 높고, 남성의 차별경험, 모국인과의 유대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둘째, 남녀 모두 삶의 만족은 차별과 부적 상관을, 한국인과의 유대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남녀 차이로 나타난 결과 중, 남성의 삶의 만족은 사회참여활동과, 여성의 삶의 만족은 모국인과의 관계 및 가족관계 만족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끝으로, 사회관계의 삶의 만족에 대한 상대적 영향을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본 결과, 여성의 경우에만 부정적 사회관계인 차별변수들이 삶의 만족에 대한 설명력을 향상시켰다. 그 다음 긍정적 관계 변수들의 추가는 여성에서 보다 유의하게 설명력을 향상시켰다. 구체적으로 남성의 삶의 만족에는 한국인과의 사회관계가 유의한 영향력을 발휘하였고, 여성의 삶의 만족에는 가족관계의 만족, 한국인과의 유대, 모국인과의 유대, 차별시정노력이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논의하고 이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다문화사회복지 및 연구를 위한 함의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ve effects of positive and negative social relationships and corrective efforts on life satisfaction in a comparative way of men and women, using the data set of 『2009 National Survey Research of Multicultural Family』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Major findings are first, women’s levels of life satisfaction, relationship with Koreans, and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men’s; men’s levels of Korean language skills, discrimination, relationship with people from their own country were relatively higher. Second, for both men and women, life satisfaction showed positive associations with relationship with Koreans. Women’s life satisfac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length of residency in Korea and discrimination,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relationship with people from their own country and with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 Third, adding discrimination variables as negative social relationship to personal factors was significant for women, then adding positive social relationship variables increased relatively higher explanatory power for women’s satisfaction with life. Finally, in explaining life satisfaction, social relationship with Koreans demonstrated significant effects for men. For women,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 relationship with Koreans, relationship with people from the same country, efforts to correct discrimination demonstrated significant effects. Based on these findings,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social work practice and research were suggested.

      • KCI등재

        Cultural Capital, Social Capital and Power Control Theory

        Kim Jeong-gyu(김정규)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0 한국사회과학연구 Vol.29 No.1

        이 연구는 부르디외와 콜먼의 자본이론을 중심으로 자본이론이 범죄학에 있어서 어떤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권력통제이론의 이론적 구조와 결합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지에 대해서 논의를 시도하였다. 먼저 권력통제이론의 이론적 핵심 부분에 대해서 논의 하였다. 권력통제이론의 핵심은 가족 밖에서의 부모의 상대적 지위가 가족 안으로 그대로 반영되어 가부장가족에서는 딸이 주된 통제 대상이 되는 반면, 평등가족에서는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가부장가족에서의 남녀 청소년들의 비행의 차이는 크고, 평등가족은 상대적으로 적다. 이러한 가족구조의 차이에 따른 남녀 비행의 차이는 가부장적 사회구조에서 남녀평등의 사회구조로 바뀌게 됨에 따라 증가하는 여성의 비행을 적절하게 설명하고 있다. 둘째, 부르디외의 문화, 사회자본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리고 이어서 콜만의 자본이론에 대해 논의하고 두 이론에서 나타나는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부르디외와 콜만의 자본이론은 사회구조와 개인의 행위와의 연결이라는 점에서 유사점을 갖는다. 권력통제이론도 사회구조가 가족의 구조에 미치는 영향과 그것이 청소년들에게는 자본으로 작용하여 비행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동일성을 지닌다. 셋째, 자본이론이 범죄학에서 어떤 식으로 적용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범죄학에서의 문화, 사회자본의 개념은 그것의 결핍이 범죄 행위를 이끌어 내지만, 이와 반대로 부정적인 자본을 소유하면 할수록 범죄 행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주장도 있다. 마지막으로 자본 이론이 권력통제이론과 연결되는 점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권력통제이론과 자본이론의 연결점은 사회구조가 반영되는 가족구조가 개인적인 자본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문화, 사회자본은 가족구조에 따른 부모와 자녀 간의 관계의 결과로 나타난다. 부르디외의 입장에서는 자녀들의 발달을 위한 부모의 지원은 문화적 자본의 토대가 되고, 사회적 자본은 가족과 그 연결망을 통해서 얻어진다. 콜만의 시각에서는 가족의 사회적 자본은 사회적으로 구조화된 관계에 의해 만들어지고 그것이 자녀들의 자본의 원천이다. 특히 가족이 더 큰 사회적 제도와 관계 속에서 영향을 받을 때 사회적 자본은 원활히 형성된다. 권력통제이론은 바로 가족의 노동조건의 차이에 의해서 가족의 계급적 형태가 구성된다는 것을 이론적 바탕으로 한다. 그리고 가족구조에 따른 차별적인 부모의 도구적, 관계적 통제는 자녀들의 사회자본의 주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청소년들의 일탈적 하위문화의 접촉은 가족과 문화, 사회자본의 결핍에 의한 보상적 자본의 확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가부장적 권력은 보상적 자본의 확보와도 밀접한 관계를 갖기 때문에 권력통제이론과 자본이론의 연결점을 찾을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사회자본이 복지의식에 미치는 영향

        김민주(Kim, Min Joo)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6 No.1

        본 연구는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 중 사회자본 요인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 이유는 사회자본이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고, 그 영향에 의해 사회복지 영역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다주는 주요한 요인으로 복지촉진에 사회자본이 절대적 조건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배경에 의해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사회자본이 복지의식에 대한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주목적이며, 특히 복지실천현장에서 직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는 점이 본 연구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표집방법은 확률표집의 층화표집 중 비비례층화표집(disproportionate stratified sampling)방법을 활용하여 K, D지역의 사회복지기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최종 17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Win21.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그리고 단순상관관계 분석을 실시 한 후, 사회복지사의 복지의식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회복지사의 사회자본과 복지의식 정도는 보통수준을 보였다. 다음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은 성별이 검증되었다. 즉 여성이 남성보다 복지의식 수준이 높다는 결과이다. 그리고 사회복지사의 사회자본은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복지의식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함의와 사회복지사의 사회자본 형성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explorer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among the variable factors influencing on the welfare awareness of social workers. The main reason of this study is that social capital impacts on the social welfare awareness of people and so the influence of the social capital could improve the social welfare level. Based on this reason, as an impacting factor of the social capital on the welfare awareness, the study particularly focuses down to the social workers because they provide direct services at the welfare practice. For this study, the sample is collected through the disproportionate stratified sampling method. The data collected from the 175 social workers working at the social welfare agencies in D and K area at South Korea are analyzed and use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by win SPSS 20.0.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degree of perceiving social capital of social workers are average level and general factor impacting on the welfare awareness of the social workers is gender. That is, women social workers show higher welfare awareness than the men. However social capital did not impact on the welfare awareness of the social workers, but social capital was an increasing factor of welfare awareness. Based this results, the methods for improving social capital of social workers are presented.

      • KCI등재

        지방정부 신뢰의 결정요인 : 지역변화와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중심으로

        최정윤(Choi, Jung Yoon),유두호(Yoo, Doo Ho)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한국사회과학연구 Vol.40 No.2

        정부 신뢰는 정부의 역할에 대한 시민들의 기대와 정책에 대한 평가를 통해 형성되며, 중앙정부와 달리 지방정부의 신뢰는 지방정부의 역량에 따른 정책 집행과 지역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발생한다. 본 연구는 지역성(locality)에 초점을 두어 지역변화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과 지역에서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사회적경제의 활성화에 따라 지방정부의 신뢰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분석결과, 지역경제 활성화, 사회자본, 사회혁신에 대한 인식은 모두 지방정부의 신뢰를 높이는 반면, 사회적경제가 활성화될수록 오히려 지방정부의 신뢰는 낮아진다. 또한 사회적경제를 알고 있는 사람들은 사회적경제가 활성화될수록 지방정부를 신뢰하지 않는다. 따라서 지방정부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변화를 시도하고, 지역주민 참여를 통한 사회자본 형성과 사회혁신의 실천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지속적인 정책홍보를 통해 사회적경제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고, 지역 내 긍정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효과적인 사회적경제 정책의 설계가 요구된다. Government trust is formed through citizens" expectations of the government"s role and evaluation of policies, and unlike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 trust varies depending on policy enforcement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focuses on locality and empirically analyzes how trust of local governments depends on residents" perceptions of regional change and the revitalization of the social economy that creates economic and social values for the reg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perception of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social capital and social innovation all increase the trust of local governments. On the other hand, the more the social economy is activated, the lower the trust of local governments. Also, people who know the social economy do not trust local governments as the social economy becomes more active. Therefore, local governments need to make policy changes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and practice social capital formation and social innovation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In addition, the design of effective social and economic policies is required to raise awareness of the social economy and create positive values for the region through continuous policy promotion.

      • KCI등재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가정 및 다문화교육 인식에 대한 은유분석

        김정민(Kim, Jung Min),신은정(Shin Eun Jung)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9 No.3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가정 및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시에 위치한 A대학의 유아교육과 1, 2학년을 대상으로 다문화사회, 다문화가정, 다문화교육에 대한 은유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예비유아교사는 다문화사회를 ‘통합을 추구하는 사회’, ‘다양성을 가진 사회’, ‘돌봄이 필요한 사회’의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다문화가정을 ‘다양한 문화를 가진 가정’, ‘공존하며 살아가는 가정’, ‘특별한 가치를 가진 가정’, ‘동화될 수 없는 가정’, ‘어려움에 노출된 가정’, ‘사회적 도움이 필요한 가정’의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다문화교육에 대해서는 ‘모두에게 필수적인 교육’, ‘다양성을 인정하는 교육’, ‘함께 성장하기 위한 교육’, ‘조화를 이루기 위한 교육’, ‘편견을 없애기 위한 교육’, ‘한계가 있는 교육’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추후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올바른 다문화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tende to explore the awareness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multicultural families and multicultural educa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this end, a metaphorical analysis of multicultural society, multicultural families, and multicultural education was conducted for the first and second graders of A University located in D city. As a resul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multicultural societies in the order of “a society seeking integration”, “a society with diversity”, and “a society in need of care”. Multicultural families were recognized in the order of “family with various cultures,” “family living together,” “family with special values,” “family with uncoordinated values,” “family exposed to difficulties,” and “family in need of social help.” A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t was in the order of “essential education for everyone”, “education to recognize diversity”, “education to grow together”, “education to achieve harmony”, “education to eliminate prejudice”, and “education with limitations”. Through this, we present the direc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for prospectiv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hope that proper multicultural education will be achieved a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ite in the future.

      • KCI등재

        사회적 자본으로서 PR

        오창우(Changwoo Oh)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5 No.1

        이 논문은 첫째, 한 사회의 커뮤니케이션 수준이 어떻게 사회적 자본 형성과 연결되는지를 살펴보고, 둘째, 기업의 윤리성 실천 단계에 따른 기업의 사회적 책임실현의 변화를 살펴보며,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를 통해 사회적 자본으로서 새로운 PR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인적 자본이나 경제적 자본과 달리 사회적 자본은 한 사회의 총체적이고 역사적인 경험의 축적을 통해 형성된 무형의 자산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한 사회의 커뮤니케이션 수준이나 이를 통한 합리적 의사결정 경험은 매우 중요한 사회적 자산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대표적 실천영역이라 할 수 있는 PR의 토양과 수준은 중요한 사회적 자산이 된다. 새로운 자본주의 패러다임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PR은 기업 경영을 위한 수단이나 전략이 되어서는 안 되며, 조직의 윤리적 실천이 가져다주는 효과 또는 결과가 되어야 한다.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levels of a society and social capital, changes i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e company"s ethical action steps, and the possibility of new PR as a social capital. Unlike human capital and economic capital, social capital can be called intangible assets formed through a holistic and accumulation of historical experience of a society. In this sense, Communication levels of society and reasonable decision-making experience with them can be a very important social asset. Therefore, the soil and the level of PR, which is the typical practice areas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is an important social asset. PR should not be the means and strategies for corporate management in the age of capitalism 5.0 and it should be the effect or result of bringing the ethical practices of the organization.

      • KCI등재

        공중의 심리적 기저 ‘인정받기’의 개념적 논의

        오창우(Oh, Chang Woo)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6 No.1

        “자기의식은 오직 인정된 것으로서만 존재할 뿐이다”(Hegel, 1807, 141/220) 이 논문은 한국 사회에서 하나의 도덕적 범주로서 호네트(Axel Honneth)의 인정개념의 수용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헤겔을 시작으로 하버마스와 호네트에 이르기까지 인정의 개념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호네트에게 있어서 인정개념, 인정유형, 무시유형 등이 어떻게 설명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 PR의 실행에 있어서 공중(public)의 성격 진단 및 그들의 심리적 기저로서 인정 욕구에 대한 해석, 그리고 규범적 입장에서 중요한 도덕 범주로서 ‘인정문화’가 갖는 의미에 대해 논의하였다. 다양한 사회적 이슈에 반응하는 공중들은 강력한 인정욕구를 갖고 있다. 그래서 그들은 중요한 사회적 이슈의 논의 과정에서 자신들이 소외되거나 무시된다고 인식하는 경우에는 적극적인 저항 내지는 투쟁 양상을 나타낸다. 한편 공중 행동의 정당성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공중의 자율성(autonomy)이다. 공중이 자율적으로 행동하지 않는 경우, 그들의 행위는 사회적 인정을 받을 수 있는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다. 사회구성원 간의 인정의 또 다른 형태인 신뢰는 국가의 도덕성, 사회 구성원들 간의 경쟁의 정도, 자원의 공급과 수요의 균형성, 사회 내 지배적인 가치 및 정신, 사회체계의 자율성, 지배적인 커뮤니케이션 형태 등의 외부적 요인과 사회구성원들의 심성(心性), 타인을 대할 때의 목적성(目的性), 종교적 규범(規範) 등과 같은 내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동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acceptability of the recognition concept of Axel Honneth as a moral category in Korean society. In addition, it is examined how Hegel"s concept of recognition differs in Habermas and Honneth, and in particular Honneth"s recognition concept, recognition type, and ignorance type. It was also discussed in public relations ab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as well as their need for recognition as a cause of their behavior. Responding to various social issues, the public has strong desire for recognition. When they think that they are alienated or ignored in the process of discussing social issues, they represent actions of resistance or struggle. On the other hand, the most important thing in explaining the legitimacy of public behavior is the autonomy of the public. If the public does not act autonomously, their conduct can not be granted social recognition. Trust, another form of recognition, is a combination of external factors such as morality of the state, the degree of competition among the members of society, the balance of supply and demand of resources, the dominant values and minds in society, autonomy of social systems, and internal factors such as the spirituality of the members of society, the purpose of serving others, and the norms of reli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