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지리학 교육의 개편 방안 연구 -GIS 분야를 중심으로

        오충원 ( Chungweon Oh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6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9 No.1

        사회 여건의 변화에 따라 대학 교육에서 사회 진출을 위한 실용 학문으로서의 가치가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지리학 교육도 순수 학문에서 실용 학문으로서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사회 진출을 고려한 지리학 분야의 발전 방향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리학 관련학과의 취업 특성을 분석하고, GIS 분야를 중심으로 실용적인 지리학 교육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대학에서 지리학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첫째, 사회 진출 활성화를 위해 국가 및 지역 사회 수요 분석, 둘째, 신기술 반영을 통한 교과 내용의 지속적 갱신, 셋째, 캡스톤 디자인, 현장 실습 등의 산학 연계를 통한 실무형 교육 강화, 넷째, 교육 과정의 다변화를 통한 융복합 교육 강화, 다섯째, 지리학 교육의 실용적인 전환에 대한 지속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As social environment has changed, a practical academy for higher employment rates becomes more important in higher education. It is need to have a paradigm shift in geography education. In this background, this study explore practical education in geography. This study propose practical strategy using GIS curriculum. First, the demand analysis in national and regional area is need. Second, continuous renewal reflecting new technologies is need. Third, capstone design and co-operative education with GIS company is need. Fourth, convergence and diversification in Geography education is need. Fifth, publicity for the practical geography education is need.

      • KCI등재

        사회적 재난에서 시각장애인 여성 안마사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소득, 권리의식, 정보접근 경험을 중심으로

        유지영(Yoo, Jiyoung),오충원(Oh, ChungWeon)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21 시각장애연구 Vol.37 No.2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라는 사회적재난 국면에서 중증 시각장애인 여성안마사 경험의 특징과 문제점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방법: 이를 위해 중증 시각장애 여성 안마사와 헬스키퍼 5명을 FGI하여 그들의 경험에 관한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고 녹취한 전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공통 쟁점을 도출하고 의미화 및 범주화를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여성 시각장애인 안마사들은 코로나19가 요구한 대면과 접촉 금지 속에서 공통적으로 소득 감소 및 일자리 불안 경험을 하였다. 헬스키퍼는 상대적으로 기본급이 보장되지만 두 직업 모두 중증 여성 시각장애인들을 최저 임금 수준의 패쇄된 안마사 직업에 평생을 가둔다는 점은 동일하다. 둘째 기업 소속 헬스키퍼 직종이 민간 안마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낫다는 판단 때문에 여성들은 권리의식이 낮고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데 예외적인 한 여성을 제외하고는 안마사들도 스스스로의 권리찾기나 권리 주장이 낮은 모습을 보인다. 이는 부분적으로 이들의 고용에 대한 정보제공 미흡과 고용불안정 자체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코로나19 이후 변화들이 시각정보 위주로 제공되는 불평등한 조건 속에서 중증 시각장애인 여성들은 정보접근 및 제도 이해 수준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결과는 사회적 재난이 이들의 고용이 본질을 그 극명하게 드러냈으며, 중증 시각장애인 여성에게 유보직종인 안마사에 대한 사회적 해석을 달리해야 함을 시사한다. 그들의 삶이 최저임금에도 못미치는 합법화된 가난을 제공하는 안마사 직업에 여성들을 가두는 사회적 구조를 지적하며, 이들을 위한 다양한 직종의 개발 및 직업편의 지원제도 확충, 권리의식 향상을 위한 교육의 확대 등을 제안하는 바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eatures and problems of the experience of a female masseur with severe visual impairment in the social disaster phase of COVID-19. Method: Five female masseuses and health keepers with visual impairments of level 1 were FGI to collect qualitative data on their experiences, and transcrip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derive common issues. Results: First, women who where interviewed commonly experienced reduced income and job insecurity amid the ban on face-to-face and contact required by COVID-19. Healthkeepers are guaranteed a relatively basic salary, but both jobs are the same in that they keep severely visually impaired women in a closed masseur job at the minimum wage for life. Second, because it is judged that the health keeper employed by company is relatively better than a private masseur, women have a low sense of rights and a passive attitude. This seems to be due in part to their inadequate provision of information on their employment and employment insecurity itself. Third, under the unequal conditions in which the changes since COVID-19 are mainly provided with visual information, severely blind women have very low levels of access to information and system understanding. Conclusion: These results clearly reveal the nature of their employment in the phase of social disaster, and suggest that the social interpretation of the masseuse--a reserved occupation for severely blind women-- should be different. It points to the social structure that confines women to masseuses jobs that provide legalized poverty where their lives are less than the minimum wage. In this regards, we suggest the development of various occupations and expansion of support systems for them, and expansion of education to improve awareness of their rights.

      • KCI등재

        시각장애인의 재난인식 및 재난대응 욕구에 대한 연구

        윤기봉(Yun, Kibong),오윤진(Oh, Yunjin),오충원(Oh, Chungweon)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20 시각장애연구 Vol.36 No.4

        연구 목적: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시각장애인의 재난에 대한 인식과 재난 상황에서의 대응에 대한 욕구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 20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 참여하고자 하는 연구대상자가 2020년 5월~6월까지 서울지역 5개의 시각장애인복지관의 모집문건을 통해 참여의사를 밝히고 서면동의를 한 후에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시각장애인이 가장 심각하게 인식하는 재난유형은 감염병이었고 그 다음은 지진, 화재, 태풍 순으로 나타났다. 시각장애인의 재난대응 욕구들 중에서 충족되고 있는 욕구는 자립성유지 욕구, 의사소통 욕구, 의료적돌봄 욕구, 이동욕구 순이었으며, 슈퍼비전 욕구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재난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재난대응에 대한 이해를 높여 재난약자로서의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재난관리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 기초자료가 되었다는 의의를 갖는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disasters and their desire to respond to disaster situations of the visually impaired in Korea. Method: This study targeted 203 blind people from May to June 2020. Research subjects who wish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through the recruitment documents of five blind welfare centers and gave written consent before participating in the study. Results: The type of disaster that the visually impaired perceived most seriously was infectious disease, followed by earthquake, fire, and typhoon. Among the needs for disaster response of the visually impaired, the need to be satisfied was the need to maintain independence, followed by the need for communication, the need for medical care, and the need for mobility, and the need for supervision was the lowest.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become a basic data suggesting the direction of disaster management policies for the blind as the disaster vulnerable by enhancing the awareness of disasters and their understanding of disaster response.

      • KCI등재

        시각장애인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재난적 스트레스와 재난적 우울감의 매개효과

        윤기봉(Yun, Kibong),오윤진(Oh, Yunjin),오충원(Oh, Chungweon)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21 시각장애연구 Vol.37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주관적 건강수준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력과 함께 재난적 스트레스와 재난적 우울감을 매개로 하여 미치는 간접적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 263명(남자 154명, 여자 10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21년 6월에 서울 및 경기도 지역의 활동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지관 및 활동지원서비스 수행기관을 통해 모집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시각장애인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시각장애인이 본인의 건강이 좋다고 인식할수록 생활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다. 둘째, 시각장애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생활만족도 간 관계에서 재난적 스트레스와 재난적 우울감은 각각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시각장애인이 건강하다고 인식할수록 재난적 스트레스와 재난적 우울감이 낮아서 생활만족도가 높았다. 결론: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생활 만족을 높이는데 신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이 모두 중요하다는 사실 뿐만 아니라, 그 구조적 관계를 밝힘으로서 시각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rect influence of the subjective health level of the visually impaired on life satisfaction and the indirect influence of stress and depression about disaster as a mediating role.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63 blind people (154 males, 109 females), who were recruited in June 2021 through welfare centers in the Seoul and Gyeonggi-do area. Results: First,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the visually impaired had an effect on life satisfaction.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stress about disaster and depression about disaster each play a mediating role. Conclusion: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of presenting both physical and mental health as a mechanism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visually impaired.

      • KCI등재

        시각장애인의 재난대응 욕구와 스트레스 및 불안 간의 관계

        윤기봉(Kibong Yun),오윤진(Yunjin Oh),오충원(Chungweon Oh)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21 재활복지 Vol.25 No.3

        본 연구는 재난약자로서 시각장애인의 재난과 관련한 정신건강에 관심이 필요하다는 인식 하에, 재난대응욕구와 스트레스 및 불안 간 관계를 살펴보고 어떠한 재난대응 욕구가 충족이 되면 시각장애인의 재난상황에 대한 스트레스와 불안이 감소될 수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20년 5월 ~ 6월까지 서울의 시각장애인복지관 5곳의 모집문건을 통해 참여의사를 밝히고 서면동의를 한 시각장애인 20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결과 분석을 위해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재난대응 욕구들은 시각장애인의 스트레스와 부적상관이 나타났으며, 재난대응 욕구 중 의사소통욕구만이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쳐 의사소통 욕구가 이미 충분히 충족되어 있으면 시각장애인의 스트레스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난대응 욕구들은 시각장애인의 불안과도 부적상관이 나타났으며, 재난대응 욕구 중 이동 욕구만 불안에 영향을 미쳐, 이동 욕구가 이미 충분히 충족되었다면 시각장애인의 불안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시각장애인의 정신건강을 고려한 재난대비 훈련 프로그램 및 매뉴얼 마련의 필요성과 정책적 접근이 마련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Under the recognition that the visually impaired as a disaster vulnerable person needs attention to mental health related to disas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cial need for disaster response and stress/anx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stress and anxiety of the visually impaired in a disaster situation could be lowered when certain disaster response special needs are satisfied. This study targeted 203 blind people from May to June 2020. Research subjects who wish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through the recruitment documents of five blind welfare centers and gave written consent before participating in the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pecial needs for disaster response, only the communication need affects stress. When communication needs are already sufficiently satisfied, the stress of the visually impaired is lowered. Second, special needs for disaster response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nxiety of the visually impaired. Among the special needs for disaster response, only the move need affects anxiety, so if the move need is already sufficiently satisfied, the anxiety of the visually impaired is reduc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discussed the necessity of preparing a disaster preparedness training program and manual considering the mental health of the visually impaired and that a policy approach should be prepared.

      • glTF 자산 데이터의 비사실적 렌더링 구현에 관한 연구

        이민재(Min Jae Lee),이환용(Hwanyong Lee),오충원(ChungWeon Oh)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6

        본 논문은 산업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glTF 3 차원 자산 파일로 제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조립과정이나 제품의 형체를 직관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일러스트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비사실적 렌더링 뷰어의 구현을 다루고 있다. 비사실적 렌더링은 glTF 뷰어가 기본적으로 추구하고 있는 물리 기반 렌더링 보다 경우에 따라서는 물체의 모양과 조립과정, 부품의 구분 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제시된 glTF 자산 데이터를 수정하지않고, 잘 알려진 오픈소스로 되어 있는 Three.js 와 glTF 로더 등을 활용하여, glTF 비사실적 렌더링 뷰어의 효율적인 구현 방법을 제시한다.

      • 지명관리시스템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오충원 남서울대학교 2010 남서울대학교 논문집 Vol.16 No.2

        Geographic Name is one of the key features of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frastructure. Depending on Web 2.0 environment, there is need to improve Geographic Name Service. This study explore fundamental improvement scheme about Korean Geographic Name Service. Firstly, There is more linkage between Geographic Name Service and Geographic Portal. Secondly, Open Web Map Sevcie is needed. Thirdly, this service would be extended to Spatio-Temporal GIS service. Key Words : Geographic Name, Geographic Name Service, Toponymy

      • 지도집에 구성 요소에 관한 연구

        오충원 남서울대학교 2007 남서울대학교 논문집 Vol.13 No.4

        이 연구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한 나라의 지리정보를 시각화하는 지도집의 지도 구성 요소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첫째, 국가지도집은 기존 국가지도집의 장점을 취합하여 최신의 컴퓨터 지도 제작기술을 활용하여 만들어져야 한다. 둘째, 지도집의 형태로는 주제도를 중심으로 관련 설명, 도표 및 사진 등의 보조자료로 구성되어야 한다. 셋째, 지도집에 포함되어야 할 컨텐츠는 영토, 지형, 기후, 환경, 인구, 산업, 교통 등의 다양한 주제를 포함하여야 한다. The aim of this paper per is to investigate Elements of map for National Atlas which authoritatively represent geographic information. Firstly, It is need to produce National Atlas using computer cartographic technology, Secondly, It must consist of thematic maps supplemented with commentary, table and graphic data. Thirdly, contents of Atlas will be territory, geomorphology, climate, environment, population, industry, traffic, and so 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