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hrist as a Model for Eschatological Worshipping Community

        Youngju Kwon 대한성서공회 2016 성경원문연구 Vol.- No.39

        Based on the premise that Paul’s theology and ethics are interrelated rather than separated, this article rereads Romans 15:7-13 with a particular concern to prove that Paul’s various ethical admonitions are profoundly shaped by his theology, especially christological and eschatological beliefs. Despite the presence of a number of christological and eschatological beliefs interwoven in this passage, there are two undergirding beliefs. Regarding the eschatological belief, Paul believes that, through the eschatological Christ’s event (i.e., his death and resurrection), Gentiles are now incorporated into a new eschatological people of God. His various ethical call for unified worship are the natural corollary of this eschatological belief. Regarding the christological belief, in the catena of scriptural citations (15:9b-12), Christ is essentially depicted as the one who both exemplifies and exhorts mutual welcoming and unified worship. In short, Paul’s ethical admonitions are not arbitrary or tactical solutions to ad hoc pastoral problems, but the thoughtful outworking of his coherent theology.

      • KCI등재

        When Theology and Ethics Meet

        Youngju Kwon(권영주) 한국신약학회 2016 신약논단 Vol.23 No.4

        본고는 바울의 신학과 윤리 사이에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전자는 후자를 형성하는 데 있어 분명한 동력을 제공하고 있다는 입장에 기대어 롬 14:13-15:6을 재고찰한다. 바울의 신학 특히 기독론 · 종말론적 입장이 그의 윤리를 구성함에 있어 핵심적 역할을 한다는 선행연구들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본문은 그 논의에서 철저히 배제되거나 혹은 충분히 검토되지 못했다. 이러한 간극을 메우기 위해 본고는 이전 문맥(12:1-2과 13:11-14)과 롬 14:13-15:6을 중심으로 주석 작업을 실행하고자 한다. 이전 문맥에 대한 연구가 중요한 것은 해당 두 본문이 차지하는 전략적 위치 때문인데, 롬 12:1-2은 윤리적 권면을 주로 다루는 12-15장 전체의 서론에 해당하며, 13:11-14은 신자에게 두루 적용되는 일반 권면(general hortatory section; 12:1-13:10)과 로마 신자에게 주어지는 특별 권면(particular hortatory section; 14:1-15:13)을 연결하는 이음새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전 문맥의 주석 작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두 가지 사실은, 첫째 두 본문의 전략적 위치를 고려할 때 그것들이 12-15장의 윤리적 권면을 해석하는 틀을 제공한다는 것, 둘째 그 해석학적 틀은 다름 아닌 바울의 기독론 · 종말론적 입장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가 함의하는 바는 롬 14:13-15:6 역시 바울의 신학과 윤리의 긴밀한 상관관계 속에서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롬 14:13-15:6의 다양한 윤리적 권면은 바울의 기독론 · 종말론이라는 해석학적 틀에 근거하여 독해할 때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provide additional textual evidence to the position that Paul’s ethics is fundamentally shaped by his theology, especially his christological and eschatological beliefs. In scholarly endeavor to prove this position, Rom 14:13-15:6 has been either completely ignored or partially treated in the previous scholarship. In an attempt to fill this lacuna, the article will conduct a contextual analysis of the previous context (12:1-2 and 13:11-14) and a textual analysis of our passage (14:13-15:6). The contextual analysis reveals that 12:1-2 and 13:11-14 contain two hermeneutical frameworks that affect the interpretation of the hortatory section of which our passage is part: christology and eschatology. That is, the strategic places of these passages (i.e. 12:1-2 as programmatic statements for the entire hortatory section, and 13:11-14 as a connecting section that signals reading strategies for surrounding hortatory units) invite us to interpret our passage from these two hermeneutical frameworks. After this contextual analysis, the rest of this article will examine 14:13-15:6 with a special concern to show how Paul constantly formulates various ethical admonitions based on his christological and eschatological beliefs.

      • KCI등재

        Is the Old Testament Too Old for Christian Ethics?

        Youngju Kwon 대한성서공회 2020 성경원문연구 Vol.0 No.47

        This article examines the issue whether the Old Testament is still relevant for Christian moral life. Affirming the relevance of the Old Testament for Christian ethics is not an easy task due to a number of problems that the OT does have. These problems can be categorized broadly into three: historical (i.e. Old Testament ethical teachings are directed to particular people in particular time and place), hermeneutical (i.e. the Old Testament itself presents various viewpoints on the same ethical issue), and moral (i.e. the Old Testament, from time to time, either allows or sanctions immoral values and actions). This article, having examined these problems in turn, argues that they can be reasonably resolved so as to reclaim the Old Testament as an authoritative source for Christian moral life. In other words, the historically conditioned nature of the Old Testament does not necessarily mean the irrelevance of the Old Testament teachings for Christian moral life, but it reminds us that both rigorous exegesis and imaginative application are required for finding analogies between the Bible world and our world. Concerning hermeneutical and moral problems, they, despite their differing nature, can be equally resolved by a proper understanding of how God reveals his will and purpose in an imperfect human world. In doing so,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how an evolutionary approach, a principle of condescension, and a canonical approach, respectively, may enrich our understanding on this issue. Then the article will end with some proposed guidelines for using the Old Testament as an ethical resource.

      • KCI등재

        Cacophony or Symphony? : Paul’s Grand Vision of the Church in 1 Cor 12

        Youngju Kwon 한국기독교학회 2016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01 No.-

        고린도전서 12장을 기록할 당시 바울이 연합(unity)과 다양성(diversity) 중 어디에 방점을 두고 있는가 하는 것은 신약학자들 사이의 오랜 쟁점이었다. 이는 바울이 본문에서 개념적으로 상충하는 두 가치를 모두 언급하고 있기 때문인데, 이에 일부 학자는 바울의 관심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 있지 않으며 동일한 무게를 갖는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본 논문은 고린도전서 12장이 연합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분명한 전개를 이루고 있음을 논증하려 한다. 이를 위해 연합과 다양성이 언급된 구절들을 중심으로 성경 안팎의 증거들을 비평적으로 비교 분석할 것이다. 이는 본문의 섬세한 뉘앙스를 포착한 주석 작업을 수행하는 것과 동시에, 고대문서의 연합 연설(homonoia speech)과 바울의 몸의 비유 간의 상관관계를 검토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문 주석 작업을 통해 바울이 은사를 분배하시는 삼위‘일체’ 하나님께 신학적 근거를 두고 어떤 방식으로 연합의 가치를 강조하는지(12:1–11), 또한 다양성이 연합의 가치 아래 조화를 이루며 어떻게 본문에 녹아들어 있는지 상세히 밝히려고 한다(12:12–31). 이처럼 본 논문은 다양성에 중점을 두었던 선행연구들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연합을 제시하는 연구들이 간과했던 부분들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또한 고대문서와의 비교를 통해 바울의 기본 논조가 연합 연설과 상당한 유사성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 그리고 그 차이점은 바울의 다양성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된 것임을 증명할 것이다. The issue whether Paul’s primary emphasis in 1 Cor 12 falls on unity or diversity has long been a scholarly debate. The main difficulty lies in the fact that Paul himself speaks of both unity and diversity in this chapter. For this reason, some scholars argue that Paul may want to emphasize both aspects so that one should not be sacrificed for the other. But contra this posit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laim that in 1 Cor 12 Paul mounts various arguments in the way of stressing unity. To do this, this article will conduct a critical analysis of scattered evidence found in and outside the Bible. This involves a textual investigation of chapter 12 as a whole, and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ancient homonoia speech and Paul’s body metaphor. The textual investigation will reveal that Paul’s unity is theologically grounded in the triune God who is one and the same source of diverse spiritual gifts (12:1–11), and that Paul’s primary emphasis on unity does not preclude diversity but creatively includes it (12:12–31). In this way, our textual investigation will help not only to see the limitations of the previous research of the diversity-camp scholars, but also to provide additional evidence in areas that the unity-camp scholars have been largely ignoring. Further, the comparative analysis will demonstrate that Paul’s use of body metaphor generally follows homonoia speech calling for unity, and that Paul’s differing points from homonoia speech underscores his nuanced concern for diversity.

      • KCI등재

        Two Spheres of Life

        Youngju Kwon 대한성서공회 2017 성경원문연구 Vol.- No.40

        Galatians 3:10-14 is arguably one of the most difficult passages in Pauline letters since it contains a number of exegetical and theological issues. But the clear meaning of this passage will emerge when we pay due attention to Galatians 1 and 2 that have been largely ignored in previous studies. Paul places several important interpretive keys in these chapters that may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Galatians 3:10-14. Such interpretive keys include: that the letter as a whole—especially numerous antithetical themes attested throughout the letter—is best understood in light of apocalyptic two ages; that despite the frequent change of antithetical themes, law and Christ are the overarching antithesis; that law and Christ are depicted essentially as mutually exclusive spheres of life; and that the inclusion of gentiles is the core element of Paul’s true gospel. Based on these, the rest of the article offers a fresh reading of Galatians 3:10-14. In the exegesis of Galatians 3:10, noting the so-called Old Perspective’s and New Perspective’s inadequate readings of “works of the law,” it argues that the emphasis in this phrase is not on “works” but on “the law.” Thus Paul’s fault with works of the law is neither that they rely on human works nor that some, not all, practices of the law function as boundary markers. But Paul’s real problem is, we propose, that the entire law as a sphere of life cannot produce life and blessing. As to Galatians 3:11-12, there are two main contributions of this article. First, despite Paul’s use of different antithetical referents here (i.e. law vs. faith), the investigation of other parts of the letter reveals that Paul’s overarching antithesis is still clearly law and Christ. Second, the change of expression (from ἐξ ἔργων νόμου in v. 10 to ἐν νόμῳ in v. 11) underscores the law as a sphere of life. Regarding Galatians 3:13-14, Paul’s use of the verb ἐξαγοράζω stresses the law as an old sphere of life that enslaves those in it. Again, the use of preposition ἐν in association with Christ also highlights him as a new sphere of life.

      • KCI등재

        The Dynamics of Literal and Spiritual Senses

        Youngju Kwon(권영주)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6 신학논단 Vol.86 No.-

        창세기 1장 26-28절은 하나님의 형상, 피조세계를 향한 인간 지배의 성격, 삼위일체론, 남성과 여성의 관계 등 중요한 신학적 주제들을 담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주제들에 관한 교부들의 다양한 주석과 접근법을 조명함에 있어 문자적 의미와 영적 의미를 정의하고 그 상관관계를 추적한다. 이 두 의미가 서로 상충할 뿐 아니라 특정 학파가 특정 의미에 천착한다는 전통적 견해와 달리, 본 논문은 교부들이 주석 작업에 있어 두 가지 모두를 창조적으로 교차 사용하고 있음을 논증한다. 이를 위해 성서해석 방법론의 다양성을 각각 대표하는 알렉산드리아 학파의 오리겐(Origen), 안디옥 학파의 크리소스톰(John Chrysostom), 서방교부 어거스틴(Augustine), 동방교부 바질(Basil of Caesarea)의 텍스트를 집중적으로 살펴보려고 한다. 본 논문은 이들의 입장을 살펴보는 가운데 몇 가지 중요한 관찰점을 발견했다. 첫째, 교부들은 (때로 자신들이 표방하는 이론과 달리) 본문의 다층적 의미를 전제한다. 예를 들어 문자적 의미를 중시하는 안디옥 학파의 크리소스톰 역시 회중들에게 본문의 도덕적, 영적 의미를 깨우치는 것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둘째, 문자적 의미를 도출할 때 몇 가지 요소에 공통적인 역점을 둔다. 본문의 역사성을 강조하는 것, 본문에 표현된 (혹은 표현되지 않은) 디테일에 충실한 것, 인간의 보편적인 상식과 경험에 호소하는 것 등이 그 예다. 셋째, 해석이란 결국 고착된 의도에 따른 일률적 이해가 아닌, 인간의 노력과 창조성의 산물임을 알 수 있다. 동일한 본문에서 서로 다른 영적 해석을 도출하는 교부들과 동일한 본문으로 서로 다른 말씀을 선포하는 오늘날의 설교자들이 이 사실을 명징하게 드러낸다. 본문 자체의 사실적 경계가 분명히 존재하지만 교부들의 성서해석은 그 경계 안에서 어떻게 해석의 다층성을 드러낼 수 있는지 보여준다 창세기 1장 26-28절은 하나님의 형상, 피조세계를 향한 인간 지배의 성격, 삼위일체론, 남성과 여성의 관계 등 중요한 신학적 주제들을 담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주제들에 관한 교부들의 다양한 주석과 접근법을 조명함에 있어 문자적 의미와 영적 의미를 정의하고 그 상관관계를 추적한다. 이 두 의미가 서로 상충할 뿐 아니라 특정 학파가 특정 의미에 천착한다는 전통적 견해와 달리, 본 논문은 교부들이 주석 작업에 있어 두 가지 모두를 창조적으로 교차 사용하고 있음을 논증한다. 이를 위해 성서해석 방법론의 다양성을 각각 대표하는 알렉산드리아 학파의 오리겐(Origen), 안디옥 학파의 크리소스톰(John Chrysostom), 서방교부 어거스틴(Augustine), 동방교부 바질(Basil of Caesarea)의 텍스트를 집중적으로 살펴보려고 한다. 본 논문은 이들의 입장을 살펴보는 가운데 몇 가지 중요한 관찰점을 발견했다. 첫째, 교부들은 (때로 자신들이 표방하는 이론과 달리) 본문의 다층적 의미를 전제한다. 예를 들어 문자적 의미를 중시하는 안디옥 학파의 크리소스톰 역시 회중들에게 본문의 도덕적, 영적 의미를 깨우치는 것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둘째, 문자적 의미를 도출할 때 몇 가지 요소에 공통적인 역점을 둔다. 본문의 역사성을 강조하는 것, 본문에 표현된 (혹은 표현되지 않은) 디테일에 충실한 것, 인간의 보편적인 상식과 경험에 호소하는 것 등이 그 예다. 셋째, 해석이란 결국 고착된 의도에 따른 일률적 이해가 아닌, 인간의 노력과 창조성의 산물임을 알 수 있다. 동일한 본문에서 서로 다른 영적 해석을 도출하는 교부들과 동일한 본문으로 서로 다른 말씀을 선포하는 오늘날의 설교자들이 이 사실을 명징하게 드러낸다. 본문 자체의 사실적 경계가 분명히 존재하지만 교부들의 성서해석은 그 경계 안에서 어떻게 해석의 다층성을 드러낼 수 있는지 보여준다

      • KCI등재

        그레코-로만 전기의 장르적 특성에 비추어 본 복음서 해석 - 마가복음 5장을 중심으로 -

        권영주(Youngju Kwon) 대한성서공회 2021 성경원문연구 Vol.- No.49

        This article reinterprets Mark 5 in light of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Greco-Roman biography. Every interpretation is performed with a specific perspective, and this article aims to extract meaning of Mark 5 from the perspective of Greco-Roman biography. The two genre characteristics to which this article gives special attention are (1) the extensive focus on the protagonist and (2) comparison/contrast. In the episode of a man with evil spirits in the region of the Gerasenes (5:1-20), Mark accentuates two qualities of Jesus, the protagonist of the Gospel as a Greco-Roman biography. First, Jesus is described as the one who can bind Satan and thus release the man from the oppression of evil spirits. Second, Jesus is depicted as the one who has the same authority with God. In terms of comparison/contrast, the episode contrasts Jesus who is a real bringer of peace with Caesar who merely purports to bring peace. The Roman Empire and its emperor, which are not shy about giving massive propaganda for peace, actually turn out to be the oppressor of a subjugated people. By contrast, Jesus and the kingdom of God can grant the real peace to his people. In the episode of Jairus and the woman with hemorrhage (5:21-43), comparison/contrast is more explicit than in the previous episode. In this episode, Jairus is more supreme than the woman in many respects: socially, economically, and religiously. In terms of social standing, Jairus who is a named man and a synagogue ruler must have enjoyed more privileges in comparison to the unnamed woman. Economically speaking, the text says that the woman with hemorrhage “had spent all she had” while we can assume that Jairus must have had more secure position in terms of financial status. In the realm of religion, Jairus is respected by people, whereas the woman is despised by people due to her illness. Despite of this, Jesus heals the woman before healing Jairus’ daughter. This teaches two things. First, Jesus takes side with the weak rather than the strong. Second, the most important thing that one needs in getting God’s grace is faith.

      • KCI등재

        그레코-로만 전기의 장르적 특성에 비추어본 복음서 해석: 마가복음 2:1-3:6을 중심으로

        권영주 ( Kwon Youngju )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20 영산신학저널 Vol.0 No.54

        본 논문은 복음서가 그레코-로만 전기이며, 이 장르에 충실한 복음서 해석은 주인공인 예수에게 집중하는 것이라는 이전 연구의 주장과 방법론을 마가복음 2:1-3:6의 해석에 적용한다. 마가복음 2:1-3:6은 치유, 죄 사함, 금식, 옛 시대와 새 시대, 안식일 문제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지만 복음서 장르에 충실한 해석을 위해서는 일종의 필터링 작업이 필요하다. 그중 한 가지는 다음의 시금석 질문을 지속적으로 던지는 것이다. “이 석의 작업이 복음서의 주인공인 예수를 관찰하고 조명하고 드러내고 부각시키고 있는가?” 위의 시금석 질문을 통과한 마가복음 2:1-3:6의 해석은 다음과 같다. 마가복음 2:1-3:6은 교차대구법의 구조를 이루고 있는데 그 중심에 위치하는 에피소드는 금식 논쟁(2:18-22)이다. 이 에피소드는 표면적으로 금식의 문제를 다루고 있으나 실상은 복음서의 주인공인 예수의 정체성을 드러내고 있다. 이 에피소드에서 예수는 새로운 시대를 열고 현 상태에 새로운 질서를 부여하는 존재로 묘사된다. 이러한 예수상은 금식 에피소드 전후 두 묶음의 에피소드를 이해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새로운 시대에서 예수는 하나님과 같이 죄를 사할 수 있는 권위를 소유한 분이다(2:1-12). 또한 그분은 죄인들을 배제하는 옛시대와 달리 세리와 죄인들과 식탁의 교제를 나눈다(2:13-17). 예수는 안식일의 주인이자(2:23-28) 안식일 준수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분이다(3:1-6). The present paper applies the arguments and methodology of previous studies―that the Gospels are Greco-Roman biographies, and that the interpretation of the Gospels faithful to this genre focuses on Jesus, the protagonist of the Gospels―to the interpretation of Mark 2:1-3:6. Mark 2:1-3:6 deals with a variety of issues such as healing, forgiveness of sins, fasting, old and new eras, and Sabbath, but some sort of filtering is needed to conduct a genre-sensitive interpretation. One of them is to constantly ask the following touchstone question: “Is this exegetical work helpful for observing, illuminating, revealing and highlighting Jesus, the protagonist of the Gospels?” The interpretation of Mark 2:1-3:6 passing the touchstone question above is as follows: Mark 2:1-3:6 constitutes a chiastic structure and the episode at the center is the fasting debate (2:18-22). On the surface, the episode addresses the issue of fasting, but in reality, it reveals the identity of Jesus, the protagonist of the Gospels. In the episode, Jesus is portrayed as the one that opens a new era and gives a new order to the present state. Such image of Jesus plays a vital role in understanding the two episodes before and after the fasting episode. In the new age, Jesus, just like God, possesses the authority to forgive sins (2:1-12). In contrast to the old age when sinners were excluded, Jesus has meals with tax collectors and sinners (2:13-17). Jesus is the Lord of the Sabbath (2:23-28) and the one who can give a completely new meaning to Sabbath observance (3:1-6).

      • KCI등재

        그레코-로만 전기의 장르적 특성에 비추어본 복음서 해석 : 마가복음 1:16-20절을 중심으로

        권영주(Youngju Kwon)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20 신약연구 Vol.19 No.1

        그의 책 What Are the Gospels?: A Comparison with Graeco-Roman Biography에서 리처드 버릿지는 탄탄한 장르이론과 고대문헌에 대한 꼼꼼한 분석을 통해 복음서의 장르가 그레코-로만 전기임을 설득력있게 증명했다. 또한 그레코-로만 전기의 주요한 장르적 특성 중 하나가 주인공에 대한 집중적 관심임을 구체적으로 논증했다. 하지만 연구의 범위와 한계 탓인지 이러한 장르적 특성이 복음서 독해에 어떻게 새로운 빛을 비추어줄 수 있는지 구체적인 주석작업을 실행하지 못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마가복음 1:16-20절을 중심으로 복음서 장르에 충실한 독해가 기존의 해석과 어떤 차별성을 가질 수 있는지 논증했다. 본 논문에서 구체적으로 논증하게 될 주요논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복음서의 장르는 그레코-로만 전기이고, 그레코-로만 전기의 주요한 장르적 특성 중 하나는 주인공에 대한 집중적 관심이다. 따라서 그레코-로만 전기의 장르적 특성에 충실한 복음서 독해란 주인공인 예수에 초점을 맞추고 그를 부각시키는 해석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예수에게 집중하는 해석, 즉 기독론적 해석 자체는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니다. 하지만 이전의 연구들이 기독론적 해석을 주로 신학적인 입장에 근거해서 주장했다면 본 논문은 복음서의 장르 자체가 기독론적 해석을 요청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셋째, 주인공 예수에 집중하는 해석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이전 주석작업들의 한계가 포착된다. 예를 들어, 마가복음 1:16-20절의 주석작업은 주로 제자들의 즉각적이고도 급진적인 반응을 분석하는 데 대부분의 지면을 할애했다. 하지만 복음서 장르에 충실한 해석은 이같은 연구결과를 전면부정하진 않지만, 한 단계 더 나아가 제자들의 반응은 결국 예수의 권위를 부각시키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넷째, 본문에 등장하는 다른 요소들 역시 예수의 다른 모습을 조명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17절에 나오는 예수의 초청과 약속은 그분의 권위를 더욱 부각시킨다. 또한 이러한 권위를 지녔음에도 불구하고 제자들을 직접 찾아간 것은 자신의 특권을 내려놓는 자기포기와 자기희생의 모델을 보여준다. In his book entitled What Are the Gospels?: A Comparison with Graeco-Roman Biography, Richard Burridge persuasively argues that the genre of the Gospels is Greco-Roman biography. Plus, he also claims that one of the primary generic features of Greco-Roman biography is a sustained focus on the hero. However, probably due to the focus of his research, Burridge does not show how this generic feature can shed a new light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Gospels. In order to fill this lacuna, this study intends to demonstrate how the interpretation attentive to this generic feature can make differences, especially focusing on Mark 1:16-20. The followings are the main arguments of this article. First, the genre of the Gospels is Greco-Roman biography and one primary generic feature is a sustained focus on the hero. Therefore, the interpretation attentive to this generic feature should focus on the hero of the Gospels, that is, Jesus Christ. Second, the interpretation focusing on Jesus is not a new enterprise at all. However, the main difference of this proposal is to claim that the Christ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Gospels is required by the genre of the Gospels. Thir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terpretation attentive to the generic feature, many previous interpretations of our passage are found wanting because their primary concerns are on the responses of the disciples. However, if one takes this generic feature seriously, he or she will want to interpret disciples responses as the signs of Jesus authority. Fourth, other details of our passage also shed light on who Jesus is. For example, Jesus invitation and promise in v. 17 underscore Jesus authority. Further, despite possessing this authority, Jesus act of visiting disciples personally indicates his renunciation and sacrif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