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비호지킨 림프종의 임상적 고찰

        김태원,조은택,조기섭,정재용,허재봉,장영,박유환,정춘해 조선대학교 1995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20 No.1

        A retrospective clinical and histologic study of 30 non-Hodgkin's lymphomas diagnosed at the Department of Hemato-oncology of the Chosun University from January 1989 to December 1993 is presented. Among total 30 cases whose sexes were mentioned, male were 18 and female were 12 and the ratio is 1.5:1. The peak incidence of non-Hodgkin's lymphoma was found in the third decade. The case distributions by Working formulation were summarized in table 3. The most common histopathologic type of non-Hodgkin's lymphoma was the diffuse large cell type of intermediate grade. The presenting symptoms at the time of first visit to the hospital were summarized in table 4. The most common symptoms were palpable mass. Lymph node enlargements were found in 87 %, and most frequently on cervical area(35%). The incidence of primary nodal lymphoma is more frequent than extranodal lymphoma, 1.2:1. The most common primary site of extranodal lymphoma is the gastrointestinal tract. In the laboratory findings, the data of hemoglobin and hematocrit were summarized in table 8, 9, Values of hemoglobin and hematocrit of female patients greater than those of male patients. The results of the immunophenotypings of nodal and extranodal lymphoma indicates that the B-cell lymphoma are predominant(B:T=1.4:1). The clinical stage was Ⅱ in 9 cases(30%) Ⅲ in 9 cases(30%), Ⅳ in 8 cases(26.7%), Ⅰin 4 cases(13.3%), 28 cases were treated with CHOP regimen. Among them, 17 cases(60.8%) achieved a complete remission. 5 cases had a partial response. The most frequent toxicities were toxic hepatitis.

      • 피부 병변을 동반한 악성조직구증 1예

        조은택,박용관,김진호,강정원,천영욱,전익섭,박유환,전춘해 조선대학교 1995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20 No.1

        Malignant histiocytosis, originally described in 1939 as histiocytic medullary reticulosis by Scott and Robb-Smith, is a rare histiocytic proliferative disorder that often shows an acute onset and used to progress to death within a few months. This disorder characterized clinically by fever, generalized weakness, lymphadenopathy and hepatosplenomegaly, and shows a variable range of pancytopenia. Extranodal involvement is common, with an incidence ranging from 50% to as high as 90%, skin involves8ment was noted in 10% to 15%. Typical skin lesions were mainly founded in extremity. i.e. erythematous papule and nodule occasionally become to necrosis and ulceration. We experienced one case of malignant histiocytosis in a 46-years-old female. The major clinical findings are fever, malaise, hepatosplenomegaly and erythematous skin lesion. In the laboratory study, pancytopenia is noted on the peripheral blood. And also aggregation of many atypical histiocytes were shown on skin and bone marrow biopsy. So we reported one related case with malignant histiocytosis as well as reviewing literature .

      • 유·초등학생 장애이해 교육

        이유훈,권택환,김희규,유장순,최세민 국립특수교육원 2003 연구보고서 Vol.- No.1

        특수교육이 장애학생을 포함한 모든 학생의 특성과 요구에 부응하는 통합교육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이 없어야 한다.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부정적인 태도는 결국 장애인의 사회통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ㆍ초등학생 장애이해 교육」자료를 개발ㆍ보급하여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을 해소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전문가 협의회, 관련 문헌 탐색, 기존 장애이해 교육 자료 분석, 현장교사 설문 및 심층면담 등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얻은 연구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의 학교현장에서는 장애이해 교육 시간확보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런 현상은 교육경력이 낮은 교사일수록 또는 학교경영자와 일반교사의 이해가 부족할수록 더욱 심각하게 나타나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립특수교육원이나 시ㆍ도교육청에서 장애 이해 교육에 따른 시간확보 방안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장애이해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학교경영자 및 일반교사의 인식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교경영자와 일반교사가 특수교육과 장애인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연수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장애이해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의 양이 부족할 뿐 아니라, 기존에 개발된 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방안이 마련되어 있지 많다는 점이다. 따라서 장애이해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가 개발되어야 하고, 기존에 개발된 자료는 쉽게 활용될 수 있도록 종류별로 정리되어야 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장애이해 교육이 학기초나 '장애인의 날'과 같은 특정기간에 편중되어 있다는 점이다. 장애인식 개선을 위한 교육은 년 중 계획을 세워 일정기간 단위로 실시하여야 한다. 넷째, 장애이해 교육에 활용되는 모델이나 이해교육 방법이 주로 감각장애(시각장애ㆍ청각장애) 또는 지체부자유학생을 중심으로 되어 있다는 점이다. 교육현장에서는 발달장애학생도 많기 때문에 발달장애학생을 모델로 하는 장애이해 교육 프로그램이나 교수-학습방법도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다섯째, 장애이해 교육방법이 다양하지 못하다는 점이다. 장애이해 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장애인의 다양한 특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수활동 방법 또한 이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보다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위에서 제시한 장애이해 교육 실태를 토대로 본 연구보고서에서는 현장교사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1부, 2부로 나누어「유ㆍ초등학생 장애이해 교육자료」를 안내하였다. 제 1부 「장애이해 교육의 개관」에서는 장애이해 교육자료 개발의 필요성, 목적, 연구방법 및 절차, 장애이해 관련 제이론, 장애이해 교육의 현황 및 문제점, 개선방안 등을 기술하여 학교현장의 교사들이 장애이해 교육에 대해 보다 폭 법은 이해를 도모하도록 하였다. 제 2부 「장애이해 프로그램 및 교육자료」에서는 장애유형별 즉, 시각장애, 청각장애, 정신지체, 정서장애, 자폐성장애, 학습장애, 지체부자유 등으로 나누어 제시하여 교사들이 장애 이해 지도를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고, 아울러 기존에 개발된 장애이해 교육자료를 도서, 방송프로그램, 영화, 인터넷 웹사이트 등으로 분류 제시하여 학교현장에서 학생의 수준과 활동 내용에 따라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유ㆍ초등학생 장애이해 교육자료」의 한 예에 불과하다. 학교 현장의 지도 교사는 프로그램의 수준을 상향 또는 하향 조정하여 지도할 수 있으며, 생활 주변의 다양한 소재로 프로그램의 내용을 수정 또는 대체할 수 있다. 나아가 창의적으로 새로운 상황을 전개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도 필요하겠다. 2004년에는 「중ㆍ고등학생 장애이해 교육자료」가 개발되어 학교현장에 보급될 계획이다. In order for special education to develop into an inclusive education system that meets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all children, including those who are disabled, there must be no prejudices and discriminations against children who are physically or mentally challenged. As the biases and negative attitudes toward persons with disabilities could eventually exert negative influences on their integration into society, these tasks must be effectively taken care of above all else. This study, with the aim of dissolving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by developing and disseminating materials for the "Education for Non-disabled Preschoolers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 Understand Disabilities", has had consultations with experts, researched related books and other documents, analyzed the existing educational materials for understanding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conducted surveys on and interviews with teachers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act remains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time to educate on how to understand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t the nation's schools. Such a phenomenon occurs more seriously among teachers with less educational experiences as well as school manag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without adequate understanding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resolve this problem, either the Korea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or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educational agencies need to provide ideas to secure time to educate the understanding of those who are challenged. In order to solve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mong school manag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various programs must be created and implemented to train the school administrators and regular teachers to exp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Second, not only is the amount of materials available for the education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sufficient, but moreover there are no systematic measures to make the most of those materials that are already developed. Therefore, diverse resources must be developed to use for educating the understanding disabilities, and already developed materials must be classified into categories for easy use along with concrete methods for utilizing such resources. Third, education for understanding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is concentrated on specific periods, such as the early semester or the "Day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disabilities should be conducted in periods under an annual program. Fourth, the models or methods used to educate for understanding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are centered mainly on the individuals with sensory injured (with visual or hearing impairments) or the persons with physically disabled. At educational sites, there are many children with developmentally disabled and so educational program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to educate the understanding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should be modeled after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ly challenged. Fifth, the methods to educ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are not diverse. For the efficient education of the understanding disabilities, the diverse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o be successful in this matter, more diverse methods of teaching activities also need to be used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On the basis of the reality of developing an understanding and proper awareness of those who are disabled as presented above, this study report guides the "Education for non-disabled preschoolers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 understand disabilities" in Part 1 and Part 2 for easy use by teachers on active duty. In Part 1, titled as "A General Survey of Educating the Understanding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I have described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educating the understanding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its study methods and procedures, various theories on educating the understanding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current situations and problems of educating the understanding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improvement measures to deepen the understanding about educating the understanding disabilities by teachers on active duty. In Part 2, titled the "Programs to Educate the Understanding Disabilities and Educational Materials," I have classified types of disabilities into visual impairment, hearing impairment, mental retardation, emotional disorder, autism, learning disability and the physical impairment for easy approach to educate the understanding disabilities by teachers. At the same time, I re-categorized the already developed materials to educate the understanding disabilities into books, broadcasting programs, movies, Internet web-sites and others for diverse use at schools according to the children' levels and activities. This program is just one example of the "Education for Non-disabled Preschoolers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 Understand Disabilities". I have arranged it in such a way as to allow teachers to teach the children by upgrading or downgrading the program's level as well as modifying or replacing the contents of this program by using various materials that can be obtained in everyday lives. In 2004, I am planning to develop and distribute the "Education for non-disabled Middle-and High-school Students to Understand Disabilities".

      • 유·초등학교 교과용도서 장애관련 내용 분석 : Focusing on the Views of Disability

        권택환,김수연,박은영,이유훈 국립특수교육원 2003 연구보고서 Vol.- No.2

        장애학생 통합교육의 성공적 실행은 특수교육뿐 만 아니라 교육 전반의 당면과제이자 목표이다. 장애학생이 일반학교에서 일반아동들과 물리적, 사회적, 그리고 교육과정적으로 통합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과정이 모든 학생에게 반응적이어야 하며, 궁극적으로 일반교육의 재구조화가 촉진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일반교사와 아동들의 장애에 대한 태도 및 인식의 개선은 필수 전제조건으로 지적되고 있다. 장애인에 대한 태도 및 인식 개선은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겠으나, 학생들이 매일의 학교 수업에서 접하는 교과서에 장애관련 내용이 어떠한 수준과 내용으로 수록되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간과되어서는 안 될 중요한 문제이다. 시대적으로 교과서의 역할과 기능은 변화되어 왔으나 학교 현장에서 교과서는 변함없이 교사와 학생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을 강조하는 현 교육정책 속에서 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에는 특히 일반학생들의 장애인식 개선을 위하여 학년별, 교과별로 다양한 장애관련 내용을 담으려는 노력이 역력하므로 적합한 내용이 제시되어 있는지 분석하는 것은 꼭 필요한 일이나, 아직까지 교과서에 수록된 장애관련 내용을 분석한 연구는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와 초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장애관련 내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방법은 문헌 연구와 내용 분석으로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 12권 과 초등학교 10개 교과(생활의 길잡이, 사회과 탐구, 실험 관찰 포함)의 교과서, 16개 시ㆍ도 우리들은 1학년 16권, 통합교과(바른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에서 장애와 관련된 내용(장애관련 용어, 삽화, 인물, 시설, 소계 등)을 학년별, 교과별로 분류하였다. 분류한 내 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공통주제어를 추출하였다. 먼저 2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내용을 읽으면서 관련 주제어를 기록하였다. 각자 주제어를 기록한 뒤 연구자 협의를 통해 공통으로 기록한 주제어를 추출하고, 다르게 기록한 주제어는 합의를 거쳐 최종 분석 주제어를 도출하였다. 주제어는 다음 6가지이다 (1) 보조도구 및 편의시설, (2) 장애 체험 활동, (3) 장애인 묘사, (4) 직접적 정보 제공 및 접촉, (5) 개인의 차이 수용 및 인권 존중, (6) 장애 관련 인물.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와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장애관련 용어와 삽화, 그리고 6가지 주제로 분석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관련 용어는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에 가장 많이 수록되어 있었으며, 그 중에는 몇 가지 수정되어야 할 용어도 있었다(예, 장애 인형, 장애 그림, 정상인, 지체부자유자). 이에 반해 초등학교 1학년 교과서에는 직접적인 장애를 지칭하는 용어는 제시되어 있지 않고, 2학년부터 장애인이라는 용어가 명시되어 있다. 체육교과의 '장애물'과 실험관찰의 '앉은뱅이 저울'과 같이 교과교육 전문가와 함께 장애 인식 개선을 위해 용어 수정을 협의해야 할 필요성도 지적되었다. 둘째, 장애관련 삽화는 지체부자유와 시각장애인이 가장 많이 묘사되어 있었으며, 이들을 도와주는 방식은 주로 휠체어 밀기, 가방 들어 주기였다. 장애아동이 또래들과 수업 및 다양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상호작용하는 모습의 삽화가 증가되는 것이 요구된다. 셋째, 주제별로 분석한 결과 교과서에 수록된 장애인들은 주로 장애로 인해 불편한 '처지'에 놓인 것으로 묘사되었으며, 일반인들은 이들의 어려움을 이해하여 도움을 제공해야 하는 것이 올바른 것으로 제시되어 있다. 장애인의 불편함을 이해하기 위하여 제시된 주요한 방법은 장애체험 활동이었다. 그리고 보조도구 및 편의시설의 확충을 사회복지 측면에서, 그러고 공정성의 확보 측면에서 장애인에게 제공되어야 할 중요한 지원의 하나인 것으로 명시되어 있었다. 장애를 직접적으로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개인의 외모, 국적, 능력, 성별에 따른 차이를 수용하고 존중해야 함을 담고 있는 내용도 제시되어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현재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와 제 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에는 장애관련 내용이 적지 않게 수록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합교육이 확산되어 가는 현 시점에서 매우 고무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올바르지 않은 용어와 삽화, 그리고 지문의 내용은 교과서 개정 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실제 초등학교 교실 안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에서 장애이해 교육이 보다 효과적이며, 적합한 내용과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세한 지도 방법이 '교사용 지도서' 에 안내되어야 할 것이다.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inclusive education is an urgent task not only for special education but also education in general. As is often suggested, teachers' and students' positive attitude and perception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crucial for this task. Particularly it is very important to analyze the way the textbooks depict disabilities. However, there is no research yet to be done about this sub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xtbook contents concerning disabilities. We employ literature review and content analysis as our research method. 12 instructional materials for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kindergarten, 10 different subject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the 16 first-grade textbooks of 16 cities and states (they have the same title, 'We are first-graders," but their contents differ), and the contents of subject-integrated texts concerning disabiliti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grades and subjects. We devise six frameworks of analysis and analysis indicators are as follows: (1) assistive technology and convinience facilities (2) the simulation of disabilities (3) the description of disabilities (4) providing direct information on disabilities and direct contact with disabilities (5) the acceptance of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 respect for human rights (6)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summary of our findings is as follows. First, contents concerning disabilities appear most frequently in instructional materials of kindergarten, and there are some words that need to be changed (e.g. a normal person and a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It is also pointed out that word change would be considered in consultation with specific textbook specialists to foster positive perceptions about disabilities (e.g. "hindrance" in the textbook of physical education and "a crippled scale" in the textbook of experiment and observation). Second, person with visual impairment and person with physical disability appear predominantly in the illustrations depicting disabilities, and the major activities to aid these children are wheelchair-pulling and backpack-carrying. To increase illustrations that portray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participate actively in classroom activities as well as various non-classroom activities interacting with their peer children is required. Third, in the textbooks people with disability are mainly depicted as being put in an uncomfortable "situation," and as those who need help from others. In addition, they suggest the simulative experience of disability as the major way to understand the uncomfortable situation of disability. They also propose that the expansion of assistive technology and convinience facilities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 main support for disabilities. We can find in these textbooks that although they do not refer to disability directly, there are many contents that encourage the acceptance of individual differences (the difference of countenance, nationality, ability, and gender). In conclusion, we find out that current instructional materials for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kindergarten and the elementary textbooks of 7th national curriculum contain a considerable amount of contents concerning disability. We regard this as very encouraging. When the textbook is revised, our study will help to choose more proper words, illustrations, and contents. We suggest that more detailed guidelines for understanding disability which help teachers to teach appropriate contents in a more effective and perceptive way in the classrooms of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should be provided.

      • 중·고등학생 장애이해 교육

        우이고,이유훈,권택환,김희규,유장순,최세민 국립특수교육원 2004 연구보고서 Vol.- No.3

        본 연구는 중등통합교육현장의 장애이해교육 현황과 문제점을 알아보고 바람직한 장애 이해교육 자료를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중등 통합교육 현장에 근무하는 208명의 교사로 하였으며 이들에게 설문과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통합교육 현장의 장애이해교육 현황과 문제점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이해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학교관리자의 인식이 긍정적이지 못한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교육현장에서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시간확보와 이해교육을 실시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학교관리자가 장애인식 개선을 위한 장애이해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확보하기 어려워 장애이해교육을 형식적으로 실시하거나 실시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특수교육담당 장학사나 국립특수교육원과 같은 연구기관에서 장애이해교육의 필요성과 그에 따른 시간확보 방안 등에 대한 지침을 제공해 줄 필요가 있다. 셋째, 장애이해교육 실시 대상이 대부분 일반학생 중심으로 되어 있어 일반 교사나 학부모 그리고 학교 관리자에 대한 장애이해교육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일반학생의 장애이해교육과 더불어 교사와 학부모 그리고 학교 관리자를 대상으로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자료의 개발과 더불어 교수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장애이해교육 자료가 다양하지 못하다는 점이다. 즉 학생에게 실시하는 장애 이해교육 자료와 교사나 학부모 그리고 학교관리자에게 실시하는 장애이해교육 자료는 그 내용뿐 아니라 전달 방법도 달라야 할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 학교에서는 동일한 자료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육대상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장애이해교육 자료를 조속히 개발 보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섯째,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자료의 수량이 부족할 뿐 아니라 기존의 자료의 질에 대한 만족도가 낮기 때문에 효율적인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위해서는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질 높은 장애이해교육 자료를 지속적으로 개발 보급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장애이해교육활동 시기가 대부분 학기 초나 장애인의 날과 같은 특성 기간에 집중되어 있으며 실시하는 시간 또한 대부분 재량활동시간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장애이해교육을 특정 기간에 집중적으로 실시할 경우 교육의 효과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기 어렵고 일회성 행사에 그칠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연중 계획을 세워 실시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일곱째, 장애이해교육을 할 때 사용하는 모델이 시각장애, 청각장애 및 지체부자유 같은 특정 장애영역 중심으로 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런데 대부분 교육현장에는 이러한 장애보다는 발달장애학생이 많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이해교육이 보다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장차 보다 깊이 있게 다루어져야 할 내용과 정책 결정시 고려해야 될 내용을 중심으로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장애학생과 통합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필요하다. 장애학생의 통합을 위해 물리적인 편의시설과 설비, 교재 교구의 확보도 중요하지만 함께 교육활동에 참여하는 학생과 교직원 그리고 지역사회가 장애학생과 통합교육에 대해 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갖도록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둘째, 현장 중심의 다양한 통합교육관련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할 필요가 있다. 일반교육 현장에서의 보다 효과적인 통합교육을 실시하는데 도움이 되는 연구 프로젝트를 다양하게 제안하고, 통합학급교사와 특수교육교사의 협력방안과 장애학생 가족지원 방안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현장교사와 심층면담 결과 장애이해교육에 필요한 자료를 어디에서 구입해야 되는지 알 수 없다고 하는 교사가 많았다. 따라서 기존의 장애이해교육 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도서 목록이나 자료집을 발간하여 현장에서 보다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넷째, 설문조사와 면담 결과 아직까지도 장애이핵육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거나 시간이 없어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하지 못한다는 교사도 있었다. 따라서 장애이해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안내와 교육현장에서 장애이해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and develop materials to teach secondary school students to understand disabiliti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a survey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208 teachers of secondary inclusive school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as follows. First, school administrators' perception tends to be not positive about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Therefore, there are difficulties in time allocation and implementation of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at schools. Measures are needed to improve school administrators' perception to encourage them to support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Second, difficulty in allocating time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is a problem which hinders the implementation of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Special education inspectors or KISE(Korea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need to provide directions to time allotment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Third, most of current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is for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for parents, teachers and administrators lacks in quantity and quality. Therefore, development of various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that are appropriate for teachers, parents and school administrators should be developed and continuous concern should be followed. Fourth, there are not various types of materials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for different groups of people. Though different contents or methods work for different groups, most schools actually use the same materials for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Various types of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to provide efficient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for different groups of people. Fifth, materials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lack in quantity and also the quality of current materials is not considered satisfactory. More materials of good quality should be developed and disseminated to the field successively. Sixth, the time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is concentrated on specific times such as the beginning of a school year or the Day for the disabled.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is implemented mostly during discretionary activities classes at schools. It is difficult to expect sustained effects of the education when it happens only at specific times of a year and in specific classes. It is encouraged that schools should set up plans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throughout the year. Seventh, the current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tends to concentrate on specific disability category such as visual impairment, hearing impairment or physical disabilities. Howeve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found more often at schools than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ntioned earlier. Therefore,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about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uld be regarded as more important. Based on these results here are some suggestions which need to be considered for further research and policy making. First, a positive attitude on disability and inclusive education is most important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inclusion. Besides convenient facilities and materials for the disables students various efforts should be exerted to promote disability awareness of students, school staff and community. Second, various programs related to inclusive education need to be developed and disseminated. Research projects and programs to support inclusive education such as programs to promote collaborative among regular educators and special educators and family support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field. Third, teachers said that they had no information about where they could get materials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in the interviews. Handbooks with lists of materials need to be developed and provided. Fourth, the result shows that there are teachers who do not understand reasons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or can not find time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Therefore, guidance of the reasons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and measures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at schools should be continuously provided in efficient ways.

      • Endoplasmic Reticulum Stress–Induced IRE1α Activation Mediates Cross-Talk of GSK-3β and XBP-1 To Regulate 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Kim, Sena,Joe, Yeonsoo,Kim, Hyo Jeong,Kim, You-Sun,Jeong, Sun Oh,Pae, Hyun-Ock,Ryter, Stefan W.,Surh, Young-Joon,Chung, Hun Taeg The American Association of Immunologists, Inc. 2015 JOURNAL OF IMMUNOLOGY Vol.194 No.9

        <P>IL-1 beta and TNF-alpha are important proinflammatory cytokines that respond to mutated self-antigens of tissue damage and exogenous pathogens. The endoplasmic reticulum (ER) stress and unfolded protein responses are related to the in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However, the detailed molecular pathways by which ER stress mediates cytokine gene expression have not been investigated. In this study, we found that ER stress-induced inositol-requiring enzyme (IRE) 1a activation differentially regulates proinflammatory cytokine gene expression via activation of glycogen synthase kinase (GSK)-3 beta and X-box binding protein (XBP)-1. Surprisingly, IL-1 beta gene expression was modulated by IRE1 alpha-mediated GSK-3 beta activation, but not by XBP-1. However, IRE1 alpha-mediated XBP-1 splicing regulated TNF-alpha gene expression. SB216763, a GSK-3 inhibitor, selectively inhibited IL-1 beta gene expression, whereas the IRE1 alpha RNase inhibitor STF083010 suppressed only TNF-alpha production. Additionally, inhibition of GSK-3 beta greatly increased IRE1 alpha-dependent XBP-1 splicing. Our results identify an unsuspected differential role of downstream mediators GSK-3 beta and XBP-1 in ER stress-induced IRE1 alpha activation that regulates cytokine production through signaling cross-talk. These result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in the regulation of inflammatory pathways during ER stress, and they suggest novel therapeutic targets for diseases in which meta-inflammation plays a key role.</P>

      • SCOPUSKCI등재

        Paxilline enhances TRAIL-mediated apoptosis of glioma cells $via$ modulation of c-FLIP, survivin and DR5

        Kang, You-Jung,Kim, In-Young,Kim, Eun-Hee,Yoon, Mi-Jin,Kim, Seung-U,Kwon, Taeg-Kyu,Choi, Kyeong-Sook Korean Society for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n 2011 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 Vol.43 No.1

        Tumor necrosis factor-related apoptosis-induced ligand (TRAIL) induces apoptosis selectively in cancer cells while sparing normal cells. However, many cancer cells are resistant to TRAIL-induced cell death. Here, we report that paxilline, an indole alkaloid from $Penicillium$ $paxilli$, can sensitize various glioma cells to TRAIL-mediated apoptosis. While treatment with TRAIL alone caused partial processing of caspase-3 to its p20 intermediate in TRAIL-resistant glioma cell lines, co-treatment with TRAIL and subtoxic doses of paxilline caused complete processing of caspase-3 into its active subunits. Paxilline treatment markedly upregulated DR5, a receptor of TRAIL, through a CHOP/GADD153-mediated process. In addition, paxilline treatment markedly downregulated the protein levels of the short form of the cellular FLICE-inhibitory protein (c-$FLIP_S$) and the caspase inhibitor, survivin, through proteasome-mediated degradation.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how that paxilline effectively sensitizes glioma cells to TRAIL-mediated apoptosis by modulating multiple components of the death receptor-mediated apoptotic pathway. Interestingly, paxilline/TRAIL co-treatment did not induce apoptosis in normal astrocytes, nor did it affect the protein levels of CHOP, DR5 or survivin in these cells. Thus, combined treatment regimens involving paxilline and TRAIL may offer an attractive strategy for safely treating resistant gliomas.

      • 正常月經週期동안의 末梢血液 T-淋巴球의 變動

        金錦才,鄭憲鐸,河大有 大韓免疫學會 1980 大韓免疫學會誌 Vol.2 No.1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measure peripheral blood T-lymphocyte during the various phases .of the normal menstrual cycle and to investigate the circadian variations of peripheral blood leukocytes.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on three medical students in the dark-room under the light-dark regimen of L. D. 17: 7 for circadian rhythm and on fifteen nursing students under the normal life pattern for lunadian rhythm. A significant decrease in T -lymphocytes occurred during. the menstrual period. However, the percentages of T -lymphocytes returned to the pre-levels one week after the end. of the menstrual period. On the other hand, total numbers of lymphocytes and neutrophils showed ' no changes during the menstrual period. The acrophase of peripheral neutrophil count was in the early stage of activity span whereas the acrophases of peripheral eosinophil count and lymphocyte count were in the midstage of the rest sp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