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야기를 통한 자연적 교수법의 실행에 관한 연구

        임연수 The English Linguistic Science Association of Kore 2000 English Linguistic Science Vol.5 No.-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discuss the merit and effects of reading storybooks in the acquisition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in the cases of children growing up in Korea. It is emphasized that storybooks are the most accessible and effective tools for getting young learners of EFL exposed to English In their everyday life. The instruction guidelines for different levels of acquiring English are introduced and the most frequently rising issues such as teaching literacy and using the 1st language in daily lessons are studied through surveys and interviews.

      • KCI등재

        유튜브에서 ‘기후변화’, ‘기후위기’, ‘지구온난화’는 어떻게 다뤄지는가? : 기후 문제 대응을 위한 공공커뮤니케이션 방향 모색

        임연수(Yon Soo Lim),이기영(Kiyoung Lee),이진균(Jin Kyun Lee) 한국광고PR실학회 2021 광고PR실학연구 Vol.14 No.3

        기후 문제를 지칭하는 용어로 ‘기후변화’, ‘기후위기’, ‘지구온난화’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용어가 지닌 사회적 담론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기후 문제 대응을 위한 공공커뮤니케이션 방향을 모색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최근 정보 검색서비스로 이용되고 있는 유튜브 콘텐츠에 대한 채널연결망 분석, 의미연결망 분석, 토픽모델링 분석 등을 활용해서 용어별 담론을 세부적으로 분석했다. 분석 결과, 기후 문제 관련 용어별 담론의 특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기후위기’는 공적 의제설정 단계에 적합한 용어로 기후위기 시대에 대한 대응정책 마련과 비상 행동 참여를 강조한다. ‘지구온난화’는 공중 형성 단계에 적합한 용어로 기후 문제의 원인을 살피고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 ‘기후변화’는 다른 두 용어의 담론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특성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기후 문제 대응을 위한 공공커뮤니케이션 과정에 기후 문제 지칭 용어들을 어떻게 적절히 활용할지에 대한 건설적 논의가 필요한 시점임을 주지시킨다. The terms “climate change”, climate crisis , and global warming are used to refer to climate-related iss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public communication on climate-related issu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ocial discourse of those terms. The discourse by terminology was analyzed in detail by using channel network analysis,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analysis of the relevant contents on YouTube, which has recently been used as an information retrieval service.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discourse by the terms are different. The term climate crisis appears more apt for the stage of public agenda-setting and emphasizes the preparation of climate policies and participation in emergency actions in the era of climate crisis. Global warming is a term suitable for the public formation, which discusses the causes of climate problems and seeks solutions. “Climate change” is characterized by the inclusion of both discourses. In conclusion, this study calls for constructive discussions on how to appropriately utilize terminology concerning climate-related issues in the public communication process.

      • KCI등재

        유튜브를 활용한 폭력 예방 캠페인의 방향성 모색 : 유튜브 영상 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임연수(Yon Soo Lim) 한국광고홍보학회 2020 광고연구 Vol.0 No.124

        이 연구는 유튜브를 활용한 폭력 예방 캠페인 활동을 위한 방향성 모색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유튜브 공간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구조를 파악하고 시간 변화에 따른 양상을 규명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유튜브 공간에서 폭력을 주제로 주로 어떠한 내용이 다뤄지고 있는지, 또한 그러한 폭력 이슈를 이끄는 영향력 있는 주체는 누구인지 등을 시기별로 구분하여 체계적으로 살피고자 했다. 2007년부터 2019년까지 유튜브 공간에 게재된 폭력 관련 영상들을 중심으로 연결망 분석을 수행했다.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국내 유튜브 공간에서 폭력 이슈는 시기별로 다뤄지는 내용과 구조적 특성이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폭력 이슈를 이끄는 주체도 시기별로 정부 및 공공기관, 언론매체, 개인 크리에이터 등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발견했다. 이 연구에서 살펴 본 유튜브 공간은 긍정성과 부정성이 공존하는 양면적 특성을 내재하고 있었다. 이러한 유튜브 공간의 환경적 특성은 유튜브를 활용한 폭력 예방 캠페인 활동의 활성화가 우리 스스로 어떠한 노력을 기울이는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주지시킨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irection for violence prevention campaign activities using YouTube. For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he communication structure of YouTube space and the changes over time. Specifically, it focused on the contents of violence-related videos and channels in YouTube space.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violence-related videos posted from 2007 to 2019 on YouTube. The results showed that violent issues in Korea"s YouTube space have different contents and distinct structural characteristics over time. The channels leading the violent issues have been changed into government and public organizations, press media, and YouTube creators by time. In this study, YouTube space had both positive and negative properties. This environmental nature of YouTube space notes that the direction of violence prevention campaign activities using YouTube can depend on what efforts we make ourselves.

      • KCI등재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쟁점 분석

        임연수(Yon Soo Lim) 한국자료분석학회 202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5 No.1

        이 연구는 사회적 쟁점을 추적하고 탐색하는 쟁점 분석 측면에서 토픽모델링의 활용 가능성을 탐지하는 데 목적이 있다. 토픽모델링 방식 중 잠재 디리클레 할당(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알고리즘에 기반한 토픽 분석과 구조적 토픽모델링(Structural Topic Modeling: STM) 방법은 연구 접근 방식에 따라 구분해서 사용할 필요가 있다. 가설 검증을 위한 확인적 자료 분석(Confirmatory Data Analysis) 방식에는 STM이 적합하고, 언론 보도에 대한 쟁점 분석과 같이 자료에 대한 탐색적 자료 분석(Exploratory Data Analysis)에는 LDA가 적합하다. LDA 기반 토픽 분석에서 문서 내 메타 정보를 활용해 문서 범주를 분류한다면 동태적 자료 분석도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실증적으로 살피기 위해서 10개의 국내 주요 전국일간지에서 보도한 증오 관련 기사를 대상으로 LDA 기반 토픽 분석을 수행했다. 분석 결과, 모든 언론사에서 여성 증오 범죄를 2021년에 주요하게 다루고 있었고, 증오와 혐오 정치 토픽이 2022년에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다. 증오문제에 대한 보도 방향이 언론사 간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고 있으며, 정치적 편향에 따른 보도특성도 크지 않았다. 이는 증오 문제가 언론 보도에서는 중요한 쟁점으로 아직은 부상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쟁점을 추적하고 탐지하는 활동에 LDA 기반 토픽모델링 방법이 충분히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실증 분석을 통해 보여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sing topic modeling in terms of issue analysis in tracking and detecting social issues. Among the topic modeling methods,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based topic analysis and STM(Structural Topic Modeling) need to be us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research approach. STM is suitable for Confirmatory Data Analysis for hypothesis test, and LDA is suitable for Exploratory Data Analysis, such as issue analysis on news media. Dynamic data analysis may be possible if document categories are classified using meta-information in documents in LDA based topic modeling. In order to empirically examine, an LDA based topic analysis was conducted on hatred articles reported by 10 major national daily newspapers in Korea. From the results, all newspapers mainly dealt with hatred crimes against women in 2021, and hatred politics of politicians showed an upward trend in 2022. The direction of news reporting on the hatred issue did not show much difference among newspap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news reporting due to political bias were not large. This indicates that the issue of hatred has not yet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in news coverage. I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at LDA based topic modeling can be fully utilized for research activities that track and detect issues.

      • KCI등재
      • KCI등재

        성폭력 근절 공공 캠페인 기획을 위한 방향성 모색

        임연수(Lim, Yon Soo),장안리(Jang, Ahnlee) 한국광고홍보학회 2018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0 No.4

        이 연구는 성폭력 범죄(성희롱, 성추행, 성폭행) 관련 언론 보도와 대학생들의 인식에 대한 심층분석을 통해 성폭력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인식을 탐색한다. 이를 통해, 성폭력 근절 공공 캠페인에 대한 바람직한 기획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성폭력에 대한 전반적인 사회적 인식과 여론을 살피기 위해 관련 언론 보도에 대한 의미 연결망 분석을 시도했다. 또한, 기존 사회 통념에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대학생들을 주요 공중으로 선정하여 심층 면접을 진행했다. 분석 결과, 언론과 공중 모두 성폭력 범죄를 성희롱, 성추행, 성폭행 등의 세부적인 형태로 구분하여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 사회가 성폭력을 심각한 인권 침해 범죄라는 포괄적 개념으로 인식하기보다는 처벌 강도와 수위에 따라 분리된 문제들로 나누어 살피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성폭력 범죄에 대해 남성은 가해자이고 여성은 피해자라는 성별 차이에 따른 차별적 인식을 나타냈다. 이러한 성폭력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성범죄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성폭력 근절 캠페인 기획 방향은 성폭력에 대한 명확한 개념 규정과 피해자 중심의 인권 교육 강화에 초점을 둘 필요성을 제기한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research is to focus on sexual violence and suggests ways in which more effective sexual violence prevention public campaign can be delivered. For this objective, media coverage of 13 major Korean news outlets were examined by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By focusing on how news have covered issues concerning sexual violence from 2010∼2017, we sought to examine key terms, concepts, ways in which news have framed topics related to sexual harrassment, sexual assault and sexual violence. In addition, by examining how 34 college students make meaning of sexual violence we sought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media as well as how college students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sexual harrassment, sexual assaults and sexual violence. The results of media coverage indicate that the media differentiates between the 3 terms and women, law, police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terms-indicating all 3 terms are related to violence against women. Results of the focus group interviews revealed that participants understood 3 terms to be different, moreover, they suggested society’s high tolerance on sexual harrassment and assault to be problematic, also adding that ways in which media covers these issues has influence on secondary damage. Specific ways to bring more effective sexual assault prevention campaig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suggested.

      • KCI등재

        유튜브 매개 공공커뮤니케이션 모형과 방향성 모색 : 기후변화 문제를 중심으로

        임연수(Yon Soo Lim) 한국광고홍보학회 2021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3 No.3

        이 연구는 유튜브를 활용한 공공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와 방향성을 정립하기 위해 유튜브 매개 공공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개념적 정의를 도출하고 관련 이론적 모형들에 대해 고찰한다. 구체적으로, 유튜브 매개 공공커뮤니케이션의 개념적 정의는 참여 주체들 간의 상호 협력과 공동체 문제해결에 초점을 둔다. 이러한 개념적 특성을 반영한 이론적 접근으로 협력적 상호작용 모형과 공동 문제해결 과정 모형을 제안한다. 이 모형들을 중심으로 2010년부터 2020년까지 기후변화 관련 유튜브 영상들을 분석하고 그 현황을 파악한다. 분석 결과, 지난 10년 동안 유튜브 공간에서 이뤄진 기후변화 관련 공공커뮤니케이션 활동은 참여 주체들 간 다자간 협력 관계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았고, 기후변화 문제가 사회적 의제로 발전하고 있는 단계임이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튜브 공간에서 정부, 언론, 개별 주체들 간의 상호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기후변화 문제해결을 위한 공동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시점임을 주지시킨다. This study aims to define YouTube-mediated public communication and establish a systematic understanding and direction for public communication using YouTube by considering relevant theoretical models. Specifically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YouTube-mediated public communication focuses on mutual cooperation among participants and collective problem solving. With regard to theoretical approaches reflecting these conceptual properties, this study suggests a cooperative interaction model and a collective problem-solving process model. Based on these models,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YouTube videos related to climate change from 2010 to 2020. According to the network analysis, public communication activities related to climate change in the YouTube space over the past decade have not properly formed multilateral cooperation among participants, and the climate change issue has been developing into a social agenda.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time to build mutual cooperation among governments, media, and individuals in the YouTube space and make collective efforts to solve climate change problems.

      • KCI등재

        갈등 관련 전국일간지 보도에 대한 토픽모델링

        임연수(Yon Soo Lim)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23 사회융합연구 Vol.7 No.1

        이 연구는 국내 주요 전국일간지를 대상으로 갈등 보도의 주제와 특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언론보도가 갈등의 순기능과 역기능 중 어떠한 측면에 중점을 두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2010년부터 2022년까지 주요 전국일간지에 보도된 갈등 관련 기사를 토픽모델링 방법을 활용해 분석했다. 분석 결과, 정책/외교 갈등, 정부와 지자체 갈등, 국제 무역 갈등, 정치권 갈등 등의 주요 토픽을 도출했다. 갈등 관련 주요 전국일간지 보도는 정부의 대내외적 갈등 상황과 정치권 갈등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 연도별로 특정 갈등 상황을 중심으로 보도하는 특성도 나타났다. 이는 갈등에 대한 언론보도가 사회적 분열과 대립을 양산할 수 있는 갈등의 역기능을 강조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갈등을 예방하고 사회 통합을 지향하는 언론의 역할에 대한 고민과 개선 노력이 필요한 시점임을 주지시킨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ubject and characteristics of conflict reports in major national daily newspapers in Korea. This study is intended to understand which aspects of the news media coverage focuses on between the positive function and the negative function of the conflict. Specifically, conflict-related news articles reported in major national daily newspapers from 2010 to 2022 were analyzed using topic modeling. From the results, major topics such as policy/diplomatic conflict,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conflict, international trade conflict, and political conflict were derived. The conflict reports in major national daily newspapers focused on the government's internal and external conflict and political conflict. There was also a characteristic of reporting on specific conflict events by year. This reveals that news reports on conflict emphasize the negative function of conflict that can produce social division and confront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notes that it is time to consider and improve the role of the news media in preventing conflict and aiming for social integ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