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물리적인 방법을 이용한 잡초 및 병해충 방제 방법의 개발 : 적외선 조사가 잡초종자의 발아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frared irradiation on viability of weed seeds

        유창연,강화석,강위수,이귀현,오재헌 한국환경농학회 1996 한국환경농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는 LPG를 사용한 방열장치를 이용하여 잡초종자를 열처리한 후 처리온도간에 차이가 있다는 판단하에 잡초종자의 발아력에 관계하는 잡초의 종류, 잡초종자의 상태, 조사시간을 실험의 변수로 선택하여 그 주효과 및 각 변수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여 열처리 잡초방제 방법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실험에 이용된 잡초종자는 화본과인 바랭이(Digitaria sanguinalis S.)와 쌍자엽잡초인 쇠비름(Portulaca oleracea L.)의 건조종자 및 습윤종자(증류수에 24시간 침지)를 사용하였고, 5개의 온도 수준과 8개수준의 조사시간으로 각 종자를 똑같이 처리하였으며 각 처리별로 3회 반복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각 변수에 대한 잡초종자의 발아력은 처리 온도가 150℃일 때를 제외하고 평균 발아율이 모두(1% 유의수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잡초종자의 처리상태에 대해서는 평균 발아율이 60℃에서는 유의성이 없었으며 80℃, 100,℃, 200℃에서는 1%의 유의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150℃에서는 5%의 유의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조사시간에 따른 잡초의 평균발아율은 모든 처리온도 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1% 유의수준), 모든 온도수준에서 잡초의 종류와 조사시간 사이에 상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유의수준). 3) 잡초의 처리상태와 조사시간 사이에도 역시 각 온도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1% 유의수준), 잡초의 종류와 잡초의 처리상태 간에는 60℃를 제외한 모든 온도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 유의수준). 4) 잡초의 평균발아율은 각 온도 수준에서 조사 시간에 따라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rmal weeder which uses LPG as fuel. Weed seeds of Digitaria sanguinalis S. and Portulaca oleracea L. mainly developed in from and forestry nurseries were used as experimental samples. At different irradiation temperature(60, 80, 100, 150, 200℃), the dffects of weed seed species(digitalis, purslane), condition of seed(dry, soaked), and irradiation time(2, 5, 10, 20, 30, 60, 180, 300 sec) on seed viability were investigated was investigated by examining interaction and main effect of experimental factors. The results showed that viability of weed seed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all irradiation temperature tested. Irradiation time significantly affected on viability of weed seed on all levels of irradiation temperature. also, there were interactions between condition of weed seed and irradiation time on seed viability at each irradiation temperature.

      • KCI등재

        폐광의 냉기 및 냉수를 이용한 온실의 야냉 시스템 개발

        류근창,강화석,강위수,이귀현,오재헌,김일섭 한국환경농학회 1996 한국환경농학회지 Vol.15 No.2

        폐광으로부터 유출되는 냉기 또는 냉수를 이용하여 여름 동안 야간에 온실을 냉방시키는데 있어 가장 효율적인 냉각방법을 결정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냉각 장치가 제작 및 냉각 실험되어졌다. 온실을 냉방시키는데 있어 여러 냉각장치의 효율을 비교할 때 독립적으로 소형 radiator, 냉각 pad 및 냉기를 사용한 냉각방법은 거의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대형 radiator를 제외한 여러 냉각장치를 동시에 가동하였을 때는 독립적으로 이러한 냉각장치를 각각 가동하였을 때 보다 약간 향상된 냉각 효율을 나타냈다. 그러나 대형 radiator를 독립적으로 사용했을 때 온실의 냉각 효율은 다른 냉각 방법에 비하여 상당히 좋았으며, 야간의 외기 온도가 23-24℃ 범위에 있을 때 온실내의 공기 온도는 약 15℃로 냉각되었다.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most effective cooling system which is needed to cool greenhouse during summer night for getting up early blooming of strawberry. Various cooling systems were designed and constructed to use cool air and water from an abandoned coal mine. Cooling systems built for this study included an evaporative cooling system with cooling pad, heat exchanger using small or large radiator, and cooling duct for drawing cool air from coal mine. The cooling pad, small or large radiator and cooling duct were individually tested. Also, combined cooling system was tested by operating cooling pad, small radiator, and cooling duct simultaneously. The results in this study showed that individual cooling systems such as cooling pad, small radiator, and cooling duct had about the same effect on cooling greenhouse. The combined cooling system had little better cooling effect than individual cooling system except the large radiator. The most effective cooling system for cooling of greenhouse was obtained by using a large radiator as the heat exchanger. By using a large radiator, temperature in greenhouse was dropped into about 15℃ when outside temperature was 23-24℃ during summer night.

      • KCI등재

        수확손실과 도정수율을 (搗精收率) 기초로한 벼의 수확적기결정에 관한 연구

        강화석,이종호,정창주 ( Whoa Seug Kang,Chong Ho Lee,Chang Joo Chung ) 한국농업기계학회 1977 바이오시스템공학 Vol.2 No.1

        本硏究는, 在來品種(아끼바레)과 新品種(統一)두 品種에 對하여 慣行 收穫作業 體系를 비롯한 바인더 및 콤바인 收穫作業 體系에 관한 各 工種別 穀粒損失의 待性과 量을 測定하여, 最大數量의 槪念에서 各 體系別 收穫適期를 判定하고 穀粒損失滅少를 期할 수 있는 慣行 및 機械化 體系의 辯立에 必要한 基本資料를 提示하는데 있었다. 그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在來種(아기바레) 品種의 收穫總損失은 刈取時 穀粒合水量에서 1.1∼1.5%, 바인더 作業 體系에서는 2.1∼4.8%, 콤바인 作業體系에서는 約기2.8∼4.3%로 나타났다. 搗精收率面에서, 바인더 作業體系가 74.8∼75.7%, 慣行作業 體系가 74.3∼75.0% 콤바인 作業體系가 73.8∼75.0%로 바인다 作業體系가 若干 높았고, 完全米收率은 機械的 乾燥方法을 採擇한 콤바인 作業體系가 餘他體系보다 越等히 優秀하였다. 2. 統一品種의 收穫作業 總損失量은, 收穫作業時 穀粒含水量이 28-16%의 範圍에서, 慣行作業方法에서 3.8∼5.0%, 바인더 作業體系에서 5.2∼10.0%, 콤바인 作業體系에서 約 3.0∼5.0%였다. 3. 統一벼의 搗精收率은, 慣行方法에서 72.3%∼73.6%,바인더 作業體系에서 73.2∼75.0%, 콤바인 作業體系에서 73.0∼74.6%로서 慣行方法이 餘他方法에 比하여 낮다고 判斷되었다. 4. 統一벼의 完全米收率은, 慣行方法에서 58.0∼61.5%, 바인더 作業體系에서 約 62.1∼64.9%, 콤바인 作業體系에서 63.4%∼64.8%로서 역시 慣行作業體系가 낮음을 判斷할 수 있었다. 5. 統一벼의 慣行作業總損失의 約 70%는 取扱損失(結束, 運搬, 줄가리損失)이므로 이 作業의 簡略化, 例컨대 刈取後 ??時結束 生脫穀의 技術開發을 通하여 損失減少策의 마련이 必要하다고 判斷되었다. 이와같은 改善慣行收穫體系가 通하면 適期收穫 總損失量을 現實의 3.6∼4.9%에서 約1.0∼2.0% 範圍內로 減少시킬 수 있다고 推定되었다. 6. 統一벼의 바인더 作業에서의 큰 損失量은 主로 結束된 볏단이 機械放出損失과 慣行方法에 準하는 取扱損失이므로 이의 減少策으로서, 衝擊力減少를 期하는 技術的 補完硏究와 生脫穀 技術開發이 切實함을 判斷할 수 있엇다. 取扱工程을 ??略하는 改善바인더 收穫作業體系 가 適用되면 適期收穫 總損失量은 現實의 6.0∼7.3%에서 2.1∼3.6%로 減少시킬 수 있다고 判斷되었다. 7. 最高收量 槪念에서, 各을 作業別 收穫適期를 總搗精量(圃場收量×搗精收率)에서 決定하면 統一벼는 刈取時 穀粒含收量이 大體로 26-19%의 範圍內에서, 또 아끼바레 品種은 大體로 20-16%의 範圍에서 나타났다. This experimental work was conducted in order to find out the optimum time of harvest of japonica-type (Akibare) and Indica-type(Tong-il) rice variety for three harvesting systems by investigating the harvesting losses and milling quality. The study was also concerned about the nature and amount of grain losses incurred during the each sequence of post-harvest technologies, and based on these results, a modification of existing systems giving a minimum grain loss was attempted. Binder, combine, and traditional harvesting systems were tested in this study and five grain moisture levels were disposed according to the decrease of grain moistur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total losses of Akibare variety were ranged from 1.1 to 1.5 per cent for the traditional harvesting system, 2.1 to 4.8 per cent for the harvesting system by use of binder, and 2. 8 to 4. 3 per cent for the harvesting system by use of combine as the grain moisture content was reduced from 24 to 15 per cent. Milling recovery of the harvesting system by use of binder, 74.8∼75.7 per cent, was a little higher as it was compared to that of traditional harvesting system, 74.3∼75.0 per cent, and that of the harvesting system by use of combine, 73.8∼75.0 per cent. Head rice recovery of mechanically dried paddy samples was higher than that of sun-dried paddy samples. 2. The total losses of Tong-il variety were ranged from 3. 8 to 5. 0 per cent for the traditional harvesting system, 5. 2 to 10. 0 per cent for the system by use of binder, and 3. 0 to 5. 0 per cent for the system by use of combine as the grain moisture was reduced from 28 to 16 per cent. 3. Milling recovery of Tong-il variety harvested by the traditional harvesting system was 72.3∼73.6 per cent and it was lower when compared to that of 72.3∼75.0. per cent harvested by binder, and 73.0∼74.6 per cent harvested by combine. 4. Head rice recovery of Tong-il variety harvested by the traditional harvesting system (58.0∼61.5 per cent) was lower when it was compared to that of 62.1∼64.9 per cent harvested by binder, and 63.4∼64.8 per cent harvested by combine. 5. About 70 per cent of total losses for the traditional harvesting system of Tong-il variety occurred during the handling operation. This amount of grain loss could be reduced by omitting the hauling and shocking processes and by threshing the stalk paddy soon after the cutting operation. The total losses at the optimum harvesting time would be reduced from 3.4∼4.9 per cent to 0.9∼1.5 per cent by appling such a modified system. 6. In the harvesting system of Tong-il variety by use of binder, the grain loss was mainly due to the handling (shocking) and throwing loss. It can be reduced by threshing the stalk paddy when it was wet, and the bundle-kicking mechanism of the binder should be improved for the harvesting operation of Tong-il variety to minimize the grain loss. It was found that the total losses of 6.0∼7.3 per cent at the optimum harvesting time would be reduced to 2.1∼3.6 per cent by applying the modified system in which handling operation would be omitted. 7. The moisture content of the optimum harvesting time was found to be 26 to 19 per cent for Tong-il variety and 20 to 16 per cent for Akibare variety, respectively. The optimum harvesting time was determined based on the maximum total milled rice recovery.

      • KCI등재

        잣송이의 채취(採取)를 기계화(機械化)하기 위한 기초연구(基礎硏究) (I)

        강화석,이재선,김상헌,최종천,Kang, Whoa Seug,Yi, Jae-Seon,Kim, Sang Hun,Choi, Jong-Cheon 강원대학교 산림과학연구소 1993 Journal of Forest Science Vol.9 No.-

        잣송이 수확기계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강원대학교 임과대학 부속연습림에서 7영급 및 4영급의 착과한 잣나무의 정단부위 성장특성과 착과특성을 1992년 8월 말부터 9월 중순까지 조사하였다. 1. 당년 성장한 가지의 길이는 4영급에서 주지는 27~56cm이고 측지는 18~47cm로 7영급보다 훨씬 왕성하였다. 2. 측지의 분지각은 $24{\sim}89^{\circ}$이었고, 2년 성장한 주지의 직경은 10~30mm로서 두 특징에 있어 영급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1년생 주지의 직청은 4영급에서 9~18mm로서 7영급보다 생장량이 더 높았다. 3. 착과수는 평균 5개, 구과 생중량은 평균 272g으로 영급간 유의적인 차가 없었다. 4. 2년 자란 주지의 착과위치는 그 마디 아랫 쪽으로부터 7영급에서는 9.7~33.0cm, 4영급에서는 18.0~51.0cm의 범위인 곳으로 평균위치는 각 마디의 1/2과 4/5되는 위치였다. 5. 착과한 나무에 있어서 구과, 1년생지 및 2년생지를 합한 총생중량의 범위는 1.0~7.4kg이었다. In the fall of 1992, growth characteristics and cone-bearing behaviour of crown top shoots were investigated on Pin us koraiensis trees, belonging to age class VII and IV, in the School Forests, College of Forestr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to obtain basic information for the design of Korean pine cone harvesting machine.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length of terminal main shoots and lateral shoots of the trees in age class IV was 27~56cm and 18~47cm, respectively, both of which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trees in age class VII.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age classes in the branching angle ($24{\sim}89^{\circ}$) of lateral shoots and in the diameter (10~30mm) of two-year-old main shoots. However, one-year-old terminal main shoots of age class IV showed the higher diameter (9~18mm) than those of age class VII. 3. Mean cone number per tree was 5, and mean fresh weight of cone was 272g.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se traits between both age classes. 4. Cones, on an average, hung on the two-year-old main shoots 15cm above the basal ends in age class VII and 33cm above in age class IV. Both lengths are equivalent to one half and four fifths of the shoots, respectively. 5. The fresh weight range of crown-top shoots containing cones was 1.0~7.4kg.

      • Effects of the Rainfall-Rewetting of Paddy on the Quality of the Milled-Rice¹

        鄭昌柱,全龍雲,姜和錫 서울大學校 農科大學 1980 서울대농학연구지 Vol.5 No.2

        本 硏究는 벼의 慣行收穫作業 過程中 刈取後 天日乾燥期間 中에 發生하는 降雨가 搗精米의 品質, 卽, 玄米收率 搗精收率 및 完全米收率에 미치는 影響을 究明하고자 實施하였다. 實驗에 供試된 벼의 品種은 在來種의 미네히까리 品種과 統一系 品種인 水原 264號이었으며 降雨에 對한 處理內容은 벼 刈取後의 天日乾燥日數, 乾燥期間中의 降雨發生回數 및 降雨 發生時의 降雨持續 時間이었다. 實驗의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가. 天日乾燥期間 中 降雨에 露出된 벼의 玄米收率은 미네히까리 品種의 境遇 81.6∼82.1% 사이에 分布하였고, 水原 254號 品種의 경우는 79.4∼80.1%사이에 分布하였으며, 이들은 降雨에 依한 影響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 미네히까리 品種의 搗精收率은 降雨發生이 1回일 때는 降雨持續時間에는 影響을 받지 않으며, 刈取後의 天日乾燥日數가 8日일때 影響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降雨發生이 2回일 境遇에도 刈取後의 天日乾燥日數가 4日以上일때 影響을 받으며 降雨持續時間에는 影響을 받지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降雨發生이 1回 및 2回일 境遇의 搗精收率 分布범위는 各己 75.18∼74.07% 및 75.24∼73.46%로서 降雨로 인하여 豫想되는 搗精收率의 最大 減少量은 各己 0.9% 및 1.5%까지로 推定되었으며 豫想되는 平均 減少量은 各各 0.4% 및 0.6%로 推定되었다. 다. 水原 264號 品種의 搗精收率은 降雨發生回數가 1回일 境遇, 刈取後의 天日乾燥日數에 依하여 苦干의 影響을 받고, 降雨持續時間의 差가 11時間 以上이 되면 減小를 나타내기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回 및 2회의 降雨가 發生할 境遇의 搗精收率은 各己 74.24%∼73.21% 및 74.02%∼72.36%로서 最大 0.9% 및 1.8%까지 搗精收率의 減小를 招來할 것으로 推定되었으며 平均的으로 0.6% 및 0.8%의 減小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라. 미네히까리 品種의 完全米收率은 刈取後의 天日乾燥日數의 增加에 따라서 많은 影響을 받으며, 刈降發生回數가 1回일 때에는 降雨持續時間의 差가 5時間부터 相當히 影響을 받으며, 2回 發生의 境遇에는 降雨持續時間에 依하여서는 影響을 받지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乾燥期間中의 2回 및 1回의 降雨가 發生할 境遇의 完全米收率은 各己 61,86∼30/03% 및 65.15%∼40.85%程度로서 降雨로 인한 完全米收率의 減少量은 各各 35% 및 25%나 될것으로 推定되었으며 平均 16% 및 21%까지의 減少를 招來할 것으로 나타났다. 마. 水原 264號 品種의 完全米收率은 天日乾燥期間中의 降雨發生回數에 關係없이 刈取後의 乾燥日數에 依하여 相當히 많은 影響을 받으며, 降雨發生回數가 2回일 境遇에는 降雨持續時間에 依하여서도 많은 影響을 받는 것으로 分析되었고, 降雨가 1回 發生할 境遇에는 降雨持續時間의 差가 5時間以上이면 相當한 影響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降雨發生回數가 1회 및 2回일 境遇의 完全米收率은 各己 56.43%∼33.94% 및 51.28%∼21.03%程度로서 天日乾燥期間中에 降雨가 發生하지 않을 境遇보다 最大 約 24% 및 37%까지의 減少를 招來하는 것으로 推定되었으며 平均 13% 및 21%까지의 減少를 招來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rofiles of Milling Plants in Korea

        Chung,Chang Joo,Keum,Dong Hyuk,Kang,Whoa Seug 서울大學校 農科大學 1978 서울대농학연구지 Vol.3 No.2

        우리나라 各地에 散在하여 있는 搗精工場의 運營現況과 問題點을 把握함과 同時에 各工場에서 加工되는 벼의 品質과 損耗量을 測定하기 위하여 調査分析한 結果 다음과 같은 結論을 얻었다. 가. 賃搗精工場의 一般特性을 볼 때 所有形態는 個人所有가 92%로 支配的이고 93% 以上이 1950年 以前에 設置되었으며, 利用動力의 80%가 電動機였다. 또한 雇用人員은 2人까지를 雇用하는 工場이 約 75%였으며 穀物倉庫는 約40%의 工場이 所有하고 있었다. 나. 全體調査地域에 대하여 賃搗精工場에서 所有하고 있는 精米機는 40個를 넘는 製作工場에서 供給된 것이나 그 中 約 60%의 機種이 6個 工場에서 供給된 것이었다. 또한 이것을 原理上의 形式別로 分類하여 보면 約 51%의 工場이 噴風磨擦式, 나머지가 在來의 磨擦式 精米機를 利用하고 있었다. 다. 搗精施設을 擴充하거나 改善하는 理由는 行政當局의 指示에 따르기 위한 것이 支配的이나, 老朽施設의 代替나 統一系品種의 搗精收率向上을 期하고자 하는 動機에서 비롯되는 것도 約 60%를 차지하고 있었다. 라. 賃搗精工場의 加工工程體系는 許可基準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大同小異하였으며, 다만 原料精選裝置 및 玄米分離機의 設置與否만이 差異가 있을 뿐이었다. 이에 따른 工程體系를 分類하여 보면, 原料의 精選裝置와 玄米選別機를 모두 갖춘 工場은 36.7%에 不過하고 原料精選裝置만 갖춘 工場이 45.0%로서 가장 많으며, 玄米選別機만 갖춘 工場은 13.3%, 兩者 모두를 갖추지 않은 工場은 5.0%였다. 따라서 36.7%의 工場만이 標準工程으로 加工하고 있었으며 나머지 63.3%의 工場은 施設의 未備로 因한 能率의 低下, 機械損傷, 加功米의 收率 및 質의 低下가 豫想되므로 施設의 補完이 要望되었다. 마. 賃搗精工場의 時間當 加工能力은 大體로 190kg에서 1,210kg까지로서 工場規模에 따라 多樣하였으며, 여기에 基準을 둔 日加工能力(8時間 基準) 分布는 3M/T以下가 24.3%, 3-4M/T이 20.0%, 4-5M/T이 15.9%, 5-6M/T이 6.7%, 6-7M/T·22.3%, 7M/T以上이 11.0%로서 約 60%의 工場이 5M/T 以下의 日加工能力을 갖추고 있었다. 바. 年間加工量은 310M/T程度였고, 月別 加工量은 벼 收穫直後인 10-12月에 年加工量의 42.3%를 加工하므로서 搗精最盛期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1-5月 사이에는 10-12月에 比하여 相對的으로 적으나 6-9月의 閑期에 比하면 大端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 年加工能力에 대한 加工量의 比率 卽, 精米施設利用率은 年平均 18.3%에 不過하며 搗精最盛期인 11月에도 40.7%밖에 되지 않았고 6-9月에는 10% 水準에 머물고 있었다. 加工作業日數는 年平均 約 250日 月平均 21日 程度이나 實加工量을 보면 年間 約 70日, 月 6日程度로 나타나므로서 우리나라의 搗精施設은 過大한 것으로 判斷되었다. 아. 賃搗精工場에서 加工되는 벼의 含水率은 一般벼와 統一系벼 共히 14.5%에서 19.5%사이에 分布하고 있었으며, 秋穀買上을 위한 政府基準 含水率인 15.0%以下에 分布하는 比率은 一般벼가 15.6%, 統一系 벼가 6.5%程度 밖에는 되지 않았다. 이러한 結果로 보아 乾燥期의 積極的인 普及 내지는 乾燥의 重要性에 대한 對農民 啓蒙對策이 要望된다. 자. 賃搗精工場에서의 一般벼의 搗精收率의 平均値는 75.0%였으며 收率의 分布範圍는 69.0%에서 78.0%로서 大端히 넓었고, 現在의 搗精收率을 現搗精工場에서 加工이 可能한 最高水準으로 向上시킬 수 있는 搗精條件이 갖추어 진다면 全體的으로 約 1.9%의 搗精收率增加를 圖謀할 수 있을 것으로 推算된다. 統一系 벼의 搗精收率의 平均値는 69.8%였으며 分布範圍는 62%에서 77%까지로서 一般벼의 境遇보다 훨씬 幅이 넓었고 賃搗精工場에서 加工可能한 最上位의 範圍로 向上시킬 수 있는 搗精條件이 갖추어 진다면 全體的으로 約 4.8%의 搗精收率 向上을 圖謀할 수 있는 것으로 推定되며 이러한 增加量은 食糧의 間接增産이라는 側面에서 깊이 考慮되어야 할 것이고, 特히 統一系 벼의 搗精收率 向上을 위한 技術開發이 時急한 것으로 思料된다. 차. 一般벼 및 統一系 벼의 完全米收率은 各各 52%에서 73%까지, 44%에서 65%까지로서 相當히 넓은 範圍에 分布하고 있었으며 平均値는 各各 65.9%와 53.8%였다. 加工되는 벼의 品位 및 搗精施設을 改善할 境遇 一般벼는 約 3.3%, 統一벼는 約 7.0%의 完全米收率을 增加시키므로서 加工된 精米의 品質을 向上시킬 수 있을 것으로 分析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