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MONITORING OF METHANE IN AMBIENT AIR AS AN INDEX OF STABILIZATION AT LANDFILL SITES

        ( Noboru Tanikawa ),( Tomo Oikawa ),( Kazuei Ishii ),( Tohru Furuichi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02 APLAS Vol.2002 No.1

        Methane (CH<sub>4</sub>), carbon dioxide (CO<sub>2</sub>), and nitrous oxide (N<sub>2</sub>O) are well known as being the main landfill gases. We used continuous analyzers to measure CH<sub>4</sub>, CO<sub>2</sub> and N<sub>2</sub>O in ambient air and also the direction and velocity of the wind at a point near the landfill site to evaluate a simple method of measuring the emission of landfill gases. When there was a wind velocity over 2-3 m/s blowing from the landfill site to the measurement point, the atmospheric levels of CO<sub>2</sub> ranged from about 380 to 480 ppm, and the N<sub>2</sub>O concentrations ranged from about 0.30 to 0.33 ppm, similar to background levels m this urban area. However, the CH<sub>4</sub> concentrations were dependent on the direction and the velocity of the wind. When there was a wind blowing in from the landfill site, CH<sub>4</sub> concentrations were always higher than about 2 ppm, the value considered to be the urban background concentration. It was supposed that gas emitted from the landfill site caused this increase of CH<sub>4</sub> concentration. If the CH<sub>4</sub> concentration increase was approximately equal to zero, we could judge that the landfill gas emission had almost ceased. The continuous measurement of CH<sub>4</sub> in ambient air near a landfill site is clearly a simple and effective method for monitoring landfill gas emissions and the CH<sub>4</sub> concentration in ambient air may be usable as an index of the degree of stabilization of the landfill site.

      • 매립지 안정화 지표로서 대기의 메탄성분의 모니터링

        ( Noboru Tanikawa ),( Tomo Oikawa ),( Kazuei Ishii ),( Tohni Furuichi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02 APLAS Vol.2002 No.2

        메탄, 이산화탄소, 아산화질소는 매립가스의 주성분으로 잘 알려져 있다. 대기의 메탄, 이산화탄소, 아산화질소를 연속적으로 측정하였고, 매립가스의 배출량을 측정하기 위한 간단한 방법을 평가하기 위해 매립지 부근에서의 풍향과 풍속 또한 연속적으로 측정하였다. 매립지로부터 측정지점으로 풍속 2-3 m/s 이상으로 불 때,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380- 480ppm, 아산화질소는 0.30-0.33ppm 로, 이러한 도시지역의 배경농도와 유사한 값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메탄농도는 풍향과 풍속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립지로부터 바람이 불 때, 메탄농도는 항상 2ppm 보다 높았고, 그 값은 도시배경농도가 된다고 판단되었다. 매립지로부터 배출되는 가스가 이런 식으로 메탄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메탄농도의 증가가 0에 근접하게 되면, 매립가스의 배출은 대부분 중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매립지 부근의 대기중 메탄농도의 연속적인 측정은 매립가스의 배출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따라서, 대기중 메탄농도는 매립지의 안정화 정도를 평가하는 지표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Methane (CH<sub>4</sub>), carbon dioxide (CO<sub>2</sub>), and nitrous oxide (N<sub>2</sub>O) are well known as being the main landfill gases. We used continuous analyzers to measure CH<sub>4</sub>, CO<sub>2</sub> and N<sub>2</sub>O in ambient air and also the direction and velocity of the wind at a point near the landfill site to evaluate a simple method of measuring the emission of landfill gases. When there was a wind velocity over 2-3 m/s blowing from the landfill site to the measurement point, the atmospheric levels of CO<sub>2</sub> ranged from about 380 to 480 ppm, and the N<sub>2</sub>O concentrations ranged from about 0.30 to 0.33 ppm, similar to background levels in this urban area. However, the CH<sub>4</sub> concentrations were dependent on the direction and the velocity of the wind. When there was a wind blowing in from the landfill site, CH<sub>4</sub> concentrations were always higher than about 2 ppm, the value considered to be the urban background concentration. It was supposed that gas emitted from the landfill site caused this increase of CH<sub>4</sub> concentration. If the CH<sub>4</sub> concentration increase was approximately equal to zero, we could judge that the landfill gas emission had almost ceased. The continuous measurement of CH<sub>4</sub> in ambient air near a landfill site is clearly a simple and effective method for monitoring landfill gas emissions and the CH<sub>4</sub> concentration in ambient air may be usable as an index of the degree of stabilization of the landfill site.

      • KCI등재

        プロパガソダの道具としての李香蘭

        谷川建司 中韓人文科學硏究會 2007 한중인문학연구 Vol.22 No.-

        이향란(李香蘭)이라는 야마구치 요시코(山口淑子)는 만주영화협회의 전속여배우로써 일본의 토호영화사(東寶)와 제휴하여 “대륙3부작(大陸三部作)” 즉, 〈백란의노래(白蘭の歌)〉,〈차이나의 밤(支那の夜)〉,〈열사의 맹세(熱砂の誓ひ)〉에 출연하는데 처음에는 일본에 반감을 가지고 있었으나 차제에 일본남아의 진지한 사고에 생각을 바꾸어 마침내는 일본인을 사모하고 순종하게 되는 시누이역할을 하여 일본의 대륙진출은 중국국민을 행복으로 인도한다고 하는 레토릭을 구현화시키는 시각적 심볼이 되었다. 야마구치 자신도 그러한 작품에 출연했던 것에 깊은 후회를 하고 전후에는 일본이나 헐리웃에서 여배우로써 활약한 후, 마침내 저널리스트를 거쳐 정치가가 되어 당대의 유명인으로 활약했다. 하지만 야마구치 요시코에게 있어서의 이향란(李香蘭)과 연구자나 관객에게 있어서의 이향란은 미묘하게 다르다. 그것은 전자가 어디까지나 피가 흐르는 인간으로써 예전의 야마구치 자신인 반면 후자에게 있어서의 이향란(李響蘭)은 60년이상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당시의 역사적 상황을 객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거리감을 가지게 되었다고 하는 것을 의식하면서 그렇게 해낸 역할을 상대화시켜 “기호”로써 받아들이기 때문일 것이다. 야마구치는 전자가 가진 프로파간다성을 부정하지만 후자가 분명하게 프로파간다의 도구로써 기능하고 있었던 사실에 대해서는 의식하고 있다. 또한, 학생74명에게 〈차이나의 밤〉을 감상하게 하여 자유기술식 앙케이드조사를 행한 결과, 이 작품의 히어로=李香蘭의 “프로파간다성”은 어떤 의미에서 오늘날 아직 유효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기호로써의 李香蘭을 ‘李(리)香蘭(코란)’으로 하고, 야마쿠치에게 있어서의 李香蘭을 李(리이) 香蘭(샹란)과 구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전후에 있어서 ‘李香蘭’신화화의 과정의 시작은 1952년 영화 〈상해의 여인(上海の女)〉에서 그녀자신을 떠올리게 하는 히어로가 비명의 횡사를 맞이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그것은 마치 일본의 대륙침략을 정당화하는 것으로써 “프로파간다 도구”였던 ‘李(리)香蘭(코란)’을 의사적(擬似的)인 형태로 묻어버림으로써 야마구치 요시코의 분신인 李(리이)響蘭(샹란)을 그러한 “프로파간다성”에서 떼어내는 의식이었는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이신화를 완결시키기 위해서는 일단 죽은 ‘李香蘭’을 다시한번 부활시키는 것이 필요했다. ‘李香蘭’의 죽음과 재생의 신화, 그것은 이듬해 1953년의 홍콩영화〈天上人間〉에 출연으로 실현되었다. 야마구치 요시코는 이 작품을 계기로 4작의 홍콩영화에 출연하여 그들 작품에서 다시금 ‘李香歌’이라는 이름으로 데뷔한다. 다만 여기서는 ‘李香蘭’의 홍콩발음 ‘리홍란’으로 불러졌다. 죽음과 재생을 거친 ‘李香蘭’은 얼마든지 재생 가능한 신화가 되었으며 본인에 의한 자서전 발매를 계기로 뮤지컬이나 TV드라마화 되었고 나아가서는 만화라는 또 다른 미디어에서도 캐릭터로써의 진화를 계속하고 있다. As an actress under the contract with Manchuria Motion Picture Corporation (Manei), Li Xianglan appeared on so-called “Continental Trilogy”-Song of White Orchid (Byakuran no Uta. 1939), China Night (Shina no Yoru, 1940), Vow in the Desert (Nessa no Chikai 1940), co-produced by Manei and Toho Studio. Amongst these films, Li Xianglan, who was originally born as Japanese Yoshiko Yamaguchi, played Chinese Girl who used to have Antipathy against Japan, but changed her mind by knowing sincerity of a Japanese man, then fell in love with and started to follow him obediently. These roles became symbol to visualize concept that Japanese extension to China will lead Chinese People happiness. Tough Yamaguchi herself kept regretful feeling toward the fact that she had acted in these films, she kept running as top Japanese actress and Hollywood Actress, as a Journalist, as a politician throughout postwar period. Interesting fact is that there are slight differences of meaning of “Li Xianglan” between Yamaguchi and scholar, or audience. For Yamaguchi, it is just one of her former identity as human being with fresh and blood. For scholar and audience, “Li Xianglan” is a code which became capable to understand its function and its historical situation relatively, after the passage of time of more than 60 years. Yamaguchi denies former one's propagandistic nature, but aware of the letter's function as a propaganda tool. Li Xianglan's propagandistic nature is proved still effective after administering a questionnaire from 74 college students who doesn't know about Li Xianglan at all after the screening of China Night. What I found important is that we should divide “Li Xianglan” and “Ri Koran”, a Japanese pronunciation of Li Xianglan. In another word, “Li Xianglan” is Yamaguchi's former identity and “Ri Koran” is the code for the scholar and audience. The beginning of mythologizing process of Li Xianglan started on the last sequence of Toho production Woman of Shanghai (Shanhai no Onna 1952). The heroine of the film whose career is as like as two peas to Yamaguchi herself, dies an unnatural death. This is just like the ritual to bury “Ri Koran” as a propaganda tool in a fake way, for the purpose of dividing “Li Xianglan” as Yamaguchi's other self from its propagandisticnature. Naturally, it required the next process of rebirth of “Li Xianglan” to complete this mythology. The rebirth of “Li Xianglan” was realized by Yamaguchi's appearance on Hong Kong film Tenjo Ningen(1953), which was followed by 3 other Hong Kong films. Yamaguchi named her old stage name again, but it was read as Lee Hsinag Lan as the Hong Kong way. After its death and rebirth, “Li Xianglan” became mythology which is capable of playback over and over again. And after Yamaguchi's autobiography was published, it became musical play, dramatized on TV, and inspired many other media like Manga and continuing to be evolutive character.

      • KCI등재

        占領期の對日武道政策 : チャソバラ禁止と剣道への対応を巡って

        谷川建可 한중인문학회 2006 한중인문학연구 Vol.18 No.-

        연합국군최고사령관 총사령부(GHQ)는 점령하 일본에서 국가신도와 연결시켜 전시기 일본인의 정신구조에 나쁜 영향을 주었다는 이유로 무도 중에서도 검도를 엄하게 규제했다고 하여 검도계에서는 일반적으로 미점령기를 "검도가 탄압받은 겨울시기"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1950년에 부활이 허가된 궁도나 유도에 비하여 검도만 공식적으로는 점령 종결후의 1953년4월까지 해금이 되지 않았고 1952년4월에 사실상 부활했을 때에도 "죽도 경기"라는 귀에 설은 단어로 바꿔 사용 하게 했다. 하지만 실제로 1945년11월에 나온 "검도금지" 하달은 검도전체에 대한 금지조치가 아니라 "학교검도"만을 금지했다. 그것을 역으로 말하면 실제 개인이 자주적으로 검도연습을 하는 것 자체는 금하지 않은 이유는 검을 가진 주인공이 등장하는 것만으로 무조건 문제시하여 영화에서 "찬바라(칼싸움) 금지"라는 상황과는 차원이 전혀 다르다. 개인이 자주적으로 검도의 연습을 하는 것이란 구체적으로는 "道場劍道"와 "警察劍道"이고 이러한 것에 대해서는 상관없다고 GHQ는 공식적으로 표명하고 있다. 또한, 검도를 국가주의적 정신교육과 연결된 조직으로 간주하고 있던 大日本武德會가 자주해산을 선언하긴 했지만 GHQ에 의한 강제해산 명령을 내린 사실도 꼭 검도(무도)에 대한 엄한 탄압이었다고 말할 수 없다. 명령에 의한 해산과 자주적 해산과의 결정적 차이는 재산몰수의 유무라는 부분이 아니라 조직의 중심 입장에 있던 자에 대하여 공직추방조치를 취할 수 있는가 아닌가라는 점일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오히려 검도나 그 외의 무도를 주입시켜왔던 국가주의적인 프레임을 GHQ가 제거해 주었다고 하는 플러스 평가까지 할 수 있을 것이다. 프랑케문고가 소장하고 있는 점령기 경찰관계 잡지에는 경찰관에 의한 유도 · 검도대회의 기사가 빈출하고 있다. 그러한 자료를 통해 지역에 따라 온도차를 느끼면서도 전체적으로는 1949년 가을경까지는 "警察劍道" "道場劍道"와 함께 국가주의적 정신교육에서 탈피하여 서양의 펜싱과 같이 새로운 스포츠로 다시 태어날 것을 강조하면서 검도나 유도가 일본 각지에서 행하여지고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전국 각 지역(都道府縣) 경찰에서 유도 · 검도대회에 자주 GHQ관계자가 내빈으로 초청되어 실제로 GHQ스텝이 검도나 유도를 배우기 시작한 사람도 적지 않았다. 물론 지방군정부에 따라서는 GHQ의 의향과는 관계없이 일반인의 검도구의 소각을 명하거나 소유자를 처벌하거나 하는 혼란도 있었지만 그것이 GHQ에 의한 검도에 대한 조직적인 탄압이었다고 해석하는 것은 잘못이다. 그 후 1949년11월에 "警察劍道"훈련중지 통달이 발하였다고 하는 자료가 있지만 그것이 사실이라면 어떠한 경위로 행해졌는지는 금후의 조사로 명백히 하고자 한다. During the occupation of Japan by allied forces, it has been said that the General Headquarters/Supreme Commander for the Allied Powers(GHQ/SCAP) severely restricted the practice of budo(martial arts), and kendo in particular, as being linked to nationalistic Shintoism and as having badly influenced the minds of the Japanese during the war. Thus in the world of kendo, this particular period during the occupation is generally referred to as the bleakest age in kendo, when kendo was persecuted. It is true that compared to kyudo(Japanese archery) and judo, which were officially reinstated by 1950, only kendo did not see its ban officially lifted until April of 1953. Even after April 1952, when kendo had been resurrected for all practical purposes, it was still referred to by the unfamiliar term, shinai kyogi(bamboo sword fencing). However, the original ban on kendo proclaimed in November 1945 was actually an exclusive ban on school-kendo and not a blanket ban on all manner of kendo practice. In other words, the act per se of an individual practicing kendo on one's own was not prohibited. In this sense, the situation with kendo differed greatly from the ban on chanbara(swordplay) in films, which caused movie characters to be unconditionally frowned upon for simply wielding a sword. When an individual practices kendo of his own accord, he specifically practices dojo kendo or keisatsu (police) kendo. In actuality, the GHQ/SCAP had officially sanctioned the practice of these two types of Kendo. In spite of the fact that GHQ/SCAP issued mandatory dissolution order to the Dai Nippon Butoku Kai(Greater Japan Martial Virtue Society), once considered an organization promoting kendo in connection with prewar nationalistic moral education, even after it had declared it would voluntarily dissolve itself, there is no evidence to suggest that GHQ/SCAP had done so out of a sense of severe persecution. The decisive difference between mandatory and voluntary dissolution lies not in the confiscation of property, but whether the authorities could enforce measures to expel the leading figures of the organization from public office. In this sense, the actions of the GHQ/SCAP can be assessed in a positive light, since it was they who had freed kendo and the other budo(martial arts) from the restricting framework of nationalism. In police related publications from the occupation era, as preserved in the Prange Collection, we find many articles on kendo and judo competitions among police officers. Despite slight differences in regional attitudes, the articles generally emphasize that by the fall of 1949, kendo and judo, together with keisatsu-kendo and dojo-kendo by then freed from the strictures of nationalistic moral education, had been given new life as sports, not unlike fencing in the West, and we learn that they were being practiced everywhere in Japan. In fact, in many kendo and judo competitions held nationwide by prefectural police, GHQ/SCAP officials were often invited as guests and a number of GHQ/SCAP workers actually began to practice kendo and judo. Granted, there were a number of disturbing incidents where local government forces, ignoring the wishes of the GHQ/SCAP, went ahead and incinerated the kendo equipment owned by the general public and punished their owners. However, it would be a misunderstanding to interpret these acts as a systemic persecution of kendo on the part of the GHQ/SCAP. Some historical materials point to a November 1949 ban on the practice of keisatsu kendo, but whether such a ban was actually issued or the circumstances leading to such a ban are yet to be researched.

      • KCI등재

        食玩ブ一厶の源流としての「おまけ」&「ふろく」文化

        谷川建司 中韓人文科學硏究會 2008 한중인문학연구 Vol.24 No.-

        일본의 “쇼쿠간”문화는 일본 민영기업 간에 고객과의 직접적인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수단”로서 뿐만 아니라 새로운 고객을 영입하는 매우 효과적인 “매체”로 성장한 듯 하다. “쇼쿠간”이 붐을 이루면서 편의점에서 장난감을 파는 추세도 늘어났다. 본 논문의 목적은 “쇼쿠간” 문화의 근원인 것으로 여겨지는 “오마케”와 “후로쿠”의 역사를 살펴보면서 “쇼쿠간” 문화의 기원을 파악하고자 함이다. 일본에서는 어린이들 뿐 아니라 어른들 사이에서도 미니어처 인형을 수집하는 취미가 오래 전부터 있어왔는데 “네쓰케” 같은 것이 전형적인 예이다. 일본에는 미니어처 인형 수집 문화 뿐 아니라 또 다른 방식으로 “오마케”를 수집하고 즐기는 문화가 있다. 1922년 설립된 (주)에자키 글리코는 자사 제품의 “오마케” 및 고단샤에서 출간하는 아동잡지로 유명한데 특히 “쇼넨 쿠라부”는 잡지에 첨부되는 “오마케”를 가리키는 말인 “후로쿠” 때문에 특히 일본 남자아이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다. 글리코사의 “오마케”가 소형 장난감 “세계”의 확장가능성 및 총체성을 보여줄 수 있고, “쇼넨 쿠라부”에 첨부되는 “후로쿠”가 수집용 품목으로서의 입지를 굳혀 잡지구매의 주요 동기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오마케”의 새로운 측면을 보여줌으로써 “오마케”가 소비자 욕구를 자극할 수 있다는 점이 분명해졌다. “오마케”와 “후로쿠” 문화가 오늘날 일본의 “쇼쿠간” 문화와 관련이 있음은 분명하며 “오마케”와 “후로쿠” 문화가 오늘날 “쇼쿠간” 문화의 성장과 다양성을 실현하는데 기여한다고 볼 수 있다. Japanese “Shoku-gan” culture seems to be matured enough to become very effective “Media to acquire new customers, as well as being “Communication Tool” to maintain direct channel with customers among Japanese private enterprises. The development of “Shoku-gan” boom also caused phenomenon of increasing share to sell toys on convenience store market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make sure the origin of this “Shoku-gan” culture by examining history of the “Omake” and “Furoku” culture as possible roots of it. There is a long tradition of enjoying collecting miniature figure, not only for children, but also for adult in Japan, which we see typical example like “Netsuke”. In addition to the culture of enjoying miniature figure, there is another culture to collect and enjoy “Omake” from various products in Japan. Ezaki Glico Co.,Ltd., which was founded in 1922 is well-known as its products' “Omake”, and magazines for children issued by Kodansha Ltd., especially “Shonen-Kurabu” is popular among Japanese boys because of its “Furoku”, which is the word especially used for “Omake” attached on magazines. Since Glico's “Omake” proposed the new aspect of “Omake”, which might be defined as extensibility and collectivity of a series of tiny toys' “world”, and “Furoku” attached on Shonen-Kurabu” acquired status as collectable item which became main purpose to purchase the magazine, it seems obvious that they cultivated consumers' demands. The “Omake” and “Furoku” culture is undoubtedly connected with Japanese “Shoku-gan” culture today, and we can rather define that it is “Omake” & “Furoku” culture that prepared maturity and diversity of “Shoku-gan” culture to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