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전쟁기 남한사회의 공간 재편과 욕망의 동력학 - 염상섭의 장편소설을 중심으로 -

        오태영 ( Oh Taeyoung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20 사이 Vol.29 No.-

        한국전쟁은 한반도에서 대규모 인구의 이동을 낳았고, 그를 통해 사회적 공간의 생성 및 변화를 급격하게 추동했다. 특히 전선의 이동에 따라 경계가 유동적으로 구획되고, 그것들이 인간 삶의 조건으로 작동하면서 개인과 집단의 욕망을 통제했다는 점에서 한국전쟁으로 인한 공간의 재편은 복잡다기한 지점을 지니고 있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점을 감안해 한국전쟁 발발 이후 염상섭의 장편소설을 대상으로 인공치하 서울과 임시수도 부산으로 재편된 남한사회의 공간과 그러한 공간 재편이 인간의 욕망을 어떻게 추동했는지 살펴보았다. 한국전쟁 이후 염상섭의 장편소설들은 인공치하 서울과 임시수도 부산의 공간 재편 과정을 흥미롭게 서사화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곳을 살아가는 인간들의 욕망이 그와 같은 공간 재편을 추동한 정치경제적 조건들에 의해 발현되거나 강화되는 양상을 예리하게 포착해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전쟁이라는 역사적 사건에 조응한 인간의 존재 방식을 탐색하게 한다. 그것은 전후 냉전-분단 체제하 남한사회의 공간 재편의 방향성과 인간 삶의 조건으로서 자본주의적 욕망의 시원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The Korean War resulted in a large-scale population movement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rough it, the creation and change of social spaces was rapidly driven. The boundaries were fluidly divid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ront, and they functioned as conditions of human life. And in that they controlled human desires, the reorganization of space due to the Korean War had a complicated point. In this article, I discussed these points and discussed Yum Sang-seop’s novel after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The space of South Korean society reorganized into Seoul under the North Korean Army and Busan as the temporary capital, and how such space reorganization fueled human desire. After the Korean War, Yum Sang-seop’s novels are interestingly narrating the process of spatial reorganization in Seoul under the North Korean Army and Busan as the temporary capital. In addition, it sharply captures and presents the pattern in which the desires of humans living there are expressed or reinforced by the political and economic conditions that have driven such spatial reorganization. It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hat it enables us to confirm the beginning of capitalist desire as a condition of human life and the direction of spatial reorganization in South Korean society under the postwar Cold War-division system.

      • 가정소설의 정치학

        오태영(Oh Taeyoung) 나혜석학회 2013 나혜석연구 Vol.2 No.-

        이 글은 ‘가정소설’이라는 개념을 통해 김말봉의 『찔레꽃』을 새롭게 읽고자 시도한 것이다. 『찔레꽃』의 서사는 부르주아 가정 내 남성과 여성의 욕망이 어떻게 발현되고 강화되어가는지를 보여준다. 이 소설에서 조만호 일가는 부의 축적과 사회적 지위를 획득한 부르주아 계층의 면모를 여실히 드러낸다. 특히 조만호의 저택은 그 자체로 부르주아 가정의 표지인데, 흥미로운 것은 그것이 독립된 개별적 공간으로 기능한다는 점이다. 이 저택은 공간적으로 구획되고 밀폐되어 있어 그곳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자기만의 방’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자기만의 방은 개인으로 하여금 자기 기획의 공간이 되면서 동시에 타자와 스스로를 구별하는 장(場)으로 기능한다. 또한, 그것은 가정 내 남성과 여성, 주인과 하인의 관계에 따라 구획되면서 계층적, 젠더적으로 위계화된 독립적인 공간으로 기능한다. 한편, 『찔레꽃』에는 남녀 간의 사랑과 결혼이라는 서사 전개 과정 속에서 개인들의 다양한 욕망이 발산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개인들의 욕망이 대체로 ‘일부일처제’에 수렴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일부일처제에 기초한 가정을 꾸리기 위해 남성들은 가정이라는 공간 속에서 자신의 남성성을 탈각하고 ‘여성화’된다. 그리고 여성들은 스스로 이러한 남성들의 욕망의 대상이 되고, 남성들의 욕망을 통제하는 위치에서는 것을 통해 자신들의 권위를 획득해간다. 이처럼 김말봉의 『찔레꽃』은 부르주아 가정을 둘러싼 사랑과 결혼, 그리고 개인의 욕망의 서사를 펼쳐 보이는 것을 통해 1930년대 후반 식민지 조선의 현실을 가정적 영역 내로 축소하여 제시하면서 정치·경제적인 공적 영역으로부터 가정이라는 사적 영역으로 개인들의 시선을 돌리고 있다. This article attempted a new reading of the novel multiflora (『찔레꽃』) authored by Kim Malbong(金末峰) by way of the concept of ‘domestic fiction’. This novel shows how the desires of men and women in a bourgeois home are manifested and reinforced. The Cho Manho family in the novel is a typical bourgeois class, which accumulated wealth and obtained high social status. Especially the mansion of Cho Manho is the indicator of a bourgeois home by itself. Interesting is that the mansion performs the function of multiple independent individual spaces within it. The mansion provides the people living in it with ‘an exclusive room for each’, since the mansion is spatially partitioned and each room is closed to other rooms. Such exclusive room of each becomes a space of identifying for each individual and it also functions as a place of differentiating self from others. In addition, each room functions as an independent space as it is partitioned in accordance with the relations between man and woman in the family, or, master and servant in home. Meanwhile, the novel multiflora also tells various desires of individuals in the narrative flow on love and marriage between men and women.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desires of individuals are generally converging to the system of ‘monogamy’. The men characters in the novel get rid of their masculinity and become feminized in the space of a family in order to maintain a home based on monogamy system. Meanwhile, the women characters become the object of men’s desire and women build their authority by way of standing on a position where they can control the desire of men. Like this, the novel multiflora authored by Kim Malbong tells the reality of colonized Korea in late 1930s by scaling down it to family level and draws the attention of individuals from political/economic public areas to private area by way of narration on love, marriage and individual desire around a bourgeois family.

      • KCI등재SCOPUS
      • KCI등재

        동아시아 없는 동아시아 지역주의 -송병권, 『근현대 동아시아 지역주의 :한미일 관계를 중심으로』(소명출판, 2021)를 읽고-

        오태영 ( Oh Taeyoung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21 사이 Vol.31 No.-

        20세기 동아시아 지역 질서의 재편 과정을 지역주의 담론 틀 속에서 사고하는 한 일본과 미국으로 연쇄하는 제국주의적 패권 국가를 상정하는 것은 어쩌면 지극히 자연스러운 일일지도 모른다. 송병권의 『근현대 동아시아 지역주의:한미일 관계를 중심으로』 또한 이러한 관점을 견지하고 있다. 하지만 전전의 제국 일본의 수직적 분업 구조와 전후 미국 주도의 수평적 분업 구조를 통한 동아시아 지역 질서의 구상은 기본적으로 기존의 동아시아 지역 질서를 구성하는 단위로서의 국민국가의 위상을 재조정하는 것일 뿐이었다. 그런 점에서 동아시아 지역주의는 동아시아 국가나 지역들 사이의 협상의 산물이 아니라 패권 국가 주도의 경제 질서 구축이었다. 따라서 일본과 미국 측의 지역주의 구상에 대응하는 동아시아 국가와 지역에서의 응수, 즉 수용과 저항 등 담론 질서 외부로부터의 움직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해 보인다. 또한, 지역주의 구상이라는 측면에서 전전의 일본, 전후의 미국을 중심에 두고 사고하는 것은 필연적일 수밖에 없지만, 지금-여기에서 근현대 동아시아 지역 질서의 변동 과정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기 위해서라도 지금까지의 동아시아론에서 흔히 간과되어왔던 소련, 중국, 북한 등의 국가나 지역을 시야에 넣을 필요도 있을 것이다. As long as one considers the process of reorganization of regional order in East Asia in the 20th century within the framework of regionalist discourse, it may be quite natural to assume an imperialist hegemon that links Japan and the United States. Song, Byung-kwon’s Modern East Asian Regionalism Centering around Korea, Japan, and United States also holds this view. However, the idea of a regional order in East Asia through the vertical division of labor in Japan before the war and the horizontal division of labor led by the US after the war was basically just a readjustment of the status of the nation-state as a unit constituting the existing East Asian regional order. In that sense, East Asian regionalism was not the product of negotiations between East Asian countries or regions, but rather the establishment of an economic order led by a hegemonic state. Therefore, it seems necessary to consider movements from outside the discourse order, such as acceptance and resistance, in response to East Asian countries and regions responding to the regionalism initiatives of Japan and the United States. In addition, in terms of regionalist initiatives, it is inevitable to think with Japan before the war and the United States after the war as the center. It may also be necessary to take into consideration countries or regions, such as the Soviet Union, China, and North Korea, which have often been overlook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