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트로야의 빌라(Vila v Tróji)』에 나타나는 집의 공간적 특성과 기능

        유선비(Sunbee Yu)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18 동유럽발칸연구 Vol.42 No.4

        공간의 문제는 철학을 비롯한 다양한 학문에서 다루어지는 중요한 요소이다. 문학에서도 공간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본고에서는 무엇보다 집 이라고 하는 공간에 대한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유럽문학에서 집 혹은 장소가 구체적이고 의미 있게 등장하기 시작한 것은 19세기로 유럽이 세계로 팽창해가는 과정과 부르주아계급의 형성과 소멸 등과 연관한다. 이런 과정에서 드넓은 외부세계와 구별되는 개인적이고 내부적인 세계에 흥미를 두게 되었고 인간의 ‘존재와 의식’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었다. 󰡔트로야의 빌라󰡕는 체코 작가 이반 클리마(Ivan Klíma)가 실제 존재하는 프라하의 한 빌라에서 경험했던 것을 바탕으로 한 단편이다. 이 작품 속에서 집이라는 장소는 실질적으로 존재하는 현실의 공간이면서 동시에 문학 작품 안에서 다른 기능을 하는 가상의 공간이다. 작가의 이미지나 환상이 어우러져 만들어내는 가상의 공간이 현실의 공간을 새로운 의미와 기능의 공간으로 만들어내는 것이다. 어린아이의 시선으로 바라본 이 공간은 처음에는 낯선 공간이었지만 점차 친밀의 공간이 된다. 공간을 점유하는 다른 사람들과의 심리적인 안정은 공간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는 것이다. 이런 친밀의 공간은 이 공간에 있는 또래 친구들뿐만 아니라 어른들과 함께 여러 놀이를 하는 놀이의 공간이다. 하지만 즐거움과 행복이 가득한 놀이의 공간은 시간의 상관관계 속에서 전쟁과 연관한 트라우마의 공간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어린이에게는 외부의 전쟁과는 격리된 친밀의 공간이었지만 어른들에게는 외부세계와 연결되어 있고 마침내 삶의 터전에서 쫓겨날 수밖에 없음을 느끼는 두려움의 공간으로 기능한 것이다. 이처럼 공간은 그 공간을 점유하는 사람의 기억과 추억과 함께 새로운 가치를 획득하거나 상실한다. 공간은 사람이 존재하는 그 이유 때문에 가치가 주어지는 것이다. This paper focuses on Ivan Klíma’s short story, Vila v Tróji (Villa in Troja), which was written on the basis of the author’s real experience. The space of the villa is a real space – a space that really exists – and, at the same time, an imaginary space. The imaginary space, created by the interconnection of the author’s visions and ideas, replaces the real space and adds new meanings and functions to it. This space, seen through a child’s eyes, is unknown and unfamiliar at first, but it gradually becomes intimate and familiar. The mental stability of other people who occupy the given space imparts a new value to it. This familiar and intimate space is a space of games in which the hero plays not only with friends of the same age but also with adults. However, as we learn, this space of games – full of happiness and joy – is interconnected with the time and space of trauma related to war. For the child, the space was intimate and isolated from the war outside; for the adults, however, it was connected to the outside world and was a space of fear. They felt that they would be driven away from their base. Thus, the space gains new meanings or loses old ones, depending on the memories of the people who occupy it.

      • KCI등재

        얀 네루다의 「백합 세 송이」에 나타난 공간의 특성

        유선비 ( Sunbee Yu ) 세계문학비교학회 2021 世界文學比較硏究 Vol.77 No.-

        장소라는 것은 다양한 공간적 기능의 복합체이다. 그리고 그 공간적 기능의 척도가 되는 것은 그 공간과 상관하는 유기체 즉 인간이다. 다시 말해 장소는 인간이 공간적 기능을 어떻게 조합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장소가 될 수 있다. 「백합 세 송이」는 체코의 사실주의 작가 얀 네루다의 작품으로 『말라스트라나 이야기』에 속한 짧은 이야기이다. 작품의 배경이 되는 곳은 선술집으로 19세기 후반에 체코에서 남녀가 자연스럽게 만날 수 있는 공적인 장소는 선술집이었다. 이 선술집의 경우 수도원 옆에 위치하고 있어 신성과 대비되는 세속을 보여주는데 더 큰 효과를 내고 있다. 네루다는 이 작품에서 선술집을 배경으로 밝음과 어둠, 안과 밖, 삶의 활력과 죽음이라는 보편적인 대조를 극대화시키는 과정과 이러한 과정에서 에로틱한 특성이 어떻게 극적으로 전개될 수 있는 지를 보여주고 있다. 네루다는 20세기에 크게 발전하게 될 ‘공간’에 대한 이해를 이 작품에 잘 담아내고 있다. 네루다는 말라스트라나라는 공간에 주목하면서 단편소설집의 제목과 이 단편집에 포함되어 있는 여러 작품의 제목도 장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선택하고 있으며 이들 장소들이 독특한 공간적 기능을 하고 있음을 작품집에서 그려내고 있다. 이는 이전의 작가들에게서는 찾아볼 수 없는 독창적인 관점이었다. ‘백합 세 송이’는 선술집이라는 하나의 장소이지만 이 장소는 바로 어둠과 밝음의 대조적인 요소를 통해 형체를 드러내고, 안과 밖의 보편적인 공간 기능을 하고 있으며, 남녀의 관계가 만들어내는 에로틱한 공간으로서의 기능이 합쳐진 다양한 공간적 기능의 복합체이다. The paper examines the space and its various functions in Jan Neruda’s short story At the Three Lilies(U tři lilií). Neruda is one of the most famous Czech authors of the 19<sup>th</sup> century. He is also a columnist, essayist, journalist and, above all, a poet and prose writer. Even though it is very short, there are many important functions of the space, such as a very common pub with a dance hall. This story is framed by a series of dichotomic elements. Of the various contrast presented in the story, including life versus death, sacred versus mundane life, the most fundamental dichotomic elements are that inside versus outside and lightness versus darkness. At the Three Lilies depicts the relationship between a girl who dances passionately in a pub, and a man who watches her closely. The space in the story is a dynamic and erotic one, creating a contrast between light and darkness, or life and death. The paper is intended to initiate a more in-depth exploration of a space that used to be considered a mere background of a story, in various literary works.

      • KCI등재

        도시 공간의 패러다임 : 체코의 문학동인 ‘스쿠피나 42(Skupina 42)’의 문학작품을 중심으로

        유선비(Sunbee Yu)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21 동유럽발칸연구 Vol.45 No.3

        체코의 예술 동인이었던 ‘스쿠피나 42(Skupina 42)’는 20세기 초 체코 문학에서 중요한 발자취를 남긴 단체로 본고에서는 동인에 속한 대표 작가들을 중심으로 그들이 생각했던 문학작품 속의 ‘도시 공간’은 무엇인가에 대해 알아보았다. Skupina 42는 장르의 경계를 넘어서면서 회화와 문학에서 동시에 같은 주제를 다루고 하나의 문학 작품 안에서도 다양한 장르를 넘나드는 작품을 시도했다. 또한 보이고 들리는 사건과 사물에 대해 직설적인 묘사와 일상생활에 대한 꾸밈없는 서사로 관습적이지 않은 작품들을 만들어냈다. 이러한 그들의 시도에 공통된 요소가 있었으니 바로 ‘도시’이다. 문명의 발달과 함께 전쟁 등으로 인한 실존의 문제가 대두되는 과정에서 이들이 주목한 것은 바로 도시의 삶이다. 현대인의 삶에서 도시는 너무나도 자연스러운 공간이고 상호 영향을 주는 공간이다. 도시에서 자라나는 사람은 도시라는 공간에 어울리는 사고를 하게 되고 도시에 맞는 생활패턴을 가지게 되며 이런 도시는 그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에 의해 변화를 가지게 된다. Skupina 42가 그려내는 도시는 그 자체의 모습으로도 등장하지만 기차, 기차역 혹은 변두리와 같은 대표적인 사물이나 지역으로 등장한다. 기차라는 공간은 아무도 자신을 모르는 곳이지만 동시에 익명의 사람들, 알 수 없는 수많은 사람들과 공존하는 곳이다. 이런 곳이 오히려 낯선 장소, 낯선 방에 홀로 있는 것보다 더 편안함을 느끼는 것은 이런 환경에 점차 익숙해져가는 현대인의 특성일지도 모르겠다. 이들이 작품 속에서 표현한 도시의 모습은 살아 숨 쉬는 유기체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인간은 그 유기체와 함께 살아가는 운명공동체의 모습을 하고 있다. 특히 인간은 유기체로서의 도시가 어떻게 살아가는 지를 바라보는 관찰자의 모습을 하고 있다는 것도 하나의 특징이다. Skupina 42는 도시 공간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통해 한낱 이야기의 배경이나 사건이 일어나는 장소 정도로만 인식되었던 공간을 새로운 시각에서 조명하여 예술의 중심에 두었으며 도시에 대한 예리하고 개성적인 이해를 보여주고 있다. Skupina 42, a Czech artistic group, left an important footprint in Czech literature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meaning of ‘urban space’ in literary works that they thought, focusing on the representative writers belonging to the group. This group included several poets, esthetics, and painters. The group worked across genre boundaries, for example, dealing with the same subject in painting and literature at the same time, and attempted works that crossed various genres within a single literary work. They also created unconventional works through direct descriptions of observed events and objects and unadorned narratives of everyday life. There was a common element in these attempts, namely the city.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civilization and the rise of existential issues such as war, what they paid attention to is the life of the city. In modern life, cities are a very natural space, and humans and cities are in a mutually influencing relationship. People who grow up in a city have an idea that fits the space of the city and have a life pattern that fits the city, and this city is changed by the people living in it. The city depicted by this group appears in its own form, but also appears as a representative object or area such as a train, train station, or outskirts. Through the new paradigm of urban space they have created, Skupina 42 takes a new perspective on a space that was only perceived as a background for a story or a place where events take place. They put the space of the city at the center of art rather than the background of their work, demonstrating a keen and individual understanding of the city.

      • KCI등재

        바츨라프 하벨의 희곡에 나타난 서사의 특성과 그 배경: 󰡔정원파티󰡕와 󰡔접견󰡕을 중심으로

        유선비(Sunbee Yu)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19 동유럽발칸연구 Vol.43 No.2

        본 연구는 하벨의 희곡작품들 중에서 그의 이름을 알린 󰡔정원파티󰡕와 1970년대 단막극인 󰡔접견(Audience)󰡕을 분석한 것이다. 󰡔정원파티󰡕는 하벨의 60년대 대표작으로 다른 작품들과 인간소외, 소통의 문제 등 유사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이에 반해 󰡔접견󰡕은 단막극이지만 70년대의 대표작 중하나이며 하벨의 경험담을 포함하고 있어 체코의 전반적이고 시사적인 내용을 많이 반영하고 있다. 특히 두 작품이 집필된 시간 사이에는 커다란 정치적 변화가 있었기 때문에 이런 극의 외부적 요건이 극의 내용에 크게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인지 할 수 있다. 먼저 희곡의 서사와 특히 부조리극의 서사가 지니는 특성에 대해 고찰해보고 이런 특성을 하벨 극의 분석을 통해 확인하고 나아가 하벨 극이 지니는 고유한 특징을 파악해본다. 하벨의 두 대표작을 통해서 그의 극이 지니는 전반적인 서사의 특성과 그 배경을 살펴볼 수 있다. 하벨은 극을 통해 소통의 부재와 권력의 문제와 같은 인간사회의 보편적인 문제와 작가가 살아간 당시의 사회상과 정치적인 배경을 나타내고 있으며 무엇보다 이를 부조리극의 순환과 반복의 구조를 통해 표현하고 있다. 하벨은 의사소통의 불가한 점 등을 통해서 체코의 공산주의 체제에 대한 부조리를 표현했다. 교육의 반대와 자연언어에 대한 거부는 사람들로 하여금 상대적으로 육체적인 노동을 많이 하고 생각을 적게 하게 만든다. 그들이 무슨 일을 하는지에 대한 생각을 멈추고 그저 기계적으로 일을 하게 만든다. 인간이 기계화되는 것은 당시 체제가 원하고 의도한 바일 것이다. 하벨 극의 인물들은 시스템이나 시대가 만들어내는 현대적인 장치에 의해 위협 받거나 정체성이 흔들린다. 하벨이 자주 다루는 주제가 권력과 관료주의 적인 체제의 강한 압박으로 인한 언어의 위기와 인간의 소외에 대한 것이 라고만 생각하기 쉽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주제는 바로 인간 정체성의 위기에 대한 문제이다. 하벨이 보편성 혹은 일반성을 강조한 것은 초기 작품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하벨 극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하벨은 그가 살아가면서 알게 되고 보고 관심을 가지고 고통 받았던 여러 경험을 작품에 담으려고 노력했다. 그래서 그의 극에는 사람들에 대한, 세상에 대한 일반적인 소식들과 보편적 이고 평범한 이야기들이 많이 담겨있다. 이런 강조는 아이러니하게도 우리가 일상에서 볼 수 있는 너무나도 평범한 현실의 모습에서 너무나도 부조 리한 모습을 보게 만든다. We study in the paper, what is the significance of the narration in the dramas by Václav Havel, and we deal mainly with his plays Garden Party and Audience. Garden Party is Havel’s first full-length play, which premiered at the theatre Na Zábradlí in 1963. Thanks to the play, Havel earned a name in the theatrical sphere. The play Audience was written in 1975, and it was rather for the amusement of friends and it contains a lot of elements of personal examples and experiences, which Havel collected in an unspecified brewery. Garden Party focuses on the problem of human speech, the system of bureaucracy and identity of the person. The characters in the beginning constantly say sentences creating somewhat fictitious conversation about fictional things and they repeat them over and over again. The hero Hugo thanks to the language and the system of bureaucracy receives the highest place in the winding-up office, but then he is not recognized neither by his parents nor by he himself. In the play Audience there are two men, a former writer and dissident Vaněk and the worker (brewer) in the brewery’s Sládek, talking about various things, drinking beer all the time and such a scene is over and over repeated. Between the two dramas there are enough differences, although they both have the basic principle of the theatre of the absurd, e.g. a repetition of the situation, story without action, and especially the problem of human speech and communication. Because in the meantime, a big event of the Prague Spring happened, many intellectuals, artists, etc., were suppressed, censored and harassed. Havel was also in the 1970’s prohibited to publish. Characteristics of the narrative in the dramas by Havel is mainly related with the language. The language and it works with neologism, which express the absurdity and misunderstanding. The specific feature is the repetition of the same dialogues in the context of the situation and the story line is simple. Another interesting feature of dramas is a certain generality. Havel has always stressed that it s not about a certain situation in a particular society. Havel dealt with not only the principle of the theatre of the absurd, which concerns the problem of language, of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the alienation of man and especially the loss of identity, but he also implied the problem of the fateful Czech social and political situation.

      • KCI등재

        카렐 차페크의 희곡 R.U.R.에 나타난 시간과 공간의 특성

        유선비(Sunbee Yu)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6 동유럽발칸연구 Vol.40 No.5

        본 논문은 체코의 대표적인 작가 카렐 차페크의 희곡 R.U.R.에 나타난 시간과 공간의 특성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1920년에 집필된 이 작품은 로봇이라는 새로운 소재의 사용과 파격적인 내용의 전개로 인하여 당대 최대의 이슈가 되었으며 작품의 주제, 형식, 언어적 표현, 모티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논의와 연구의 대상이 되어왔다. 희곡 텍스트는 대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어떤 서사문학보다 공간이나 시간의 묘사에 제한을 받는다. 이런 텍스트는 연극으로 형상화됨에 있어서 다양한 방법을 거쳐 새로운 의미로 재창조되는 경우가 많다. 극에 나타난 시간과 공간 은 이야기와 관계한 장소와 때를 나타내는 작품의 배경이 될 뿐만 아니라 그 이상의 의미와 상징으로서 역할 한다. R.U.R.의 시간적 배경은 주로 등장인물들의 대사를 통해서 파악할 수 있다. 연대기적, 역사적, 담화적 시간과 플롯의 시간을 통해 극의 시간적 구조를 살펴볼 수 있다. 차페크는 작품에서 시간과 공간에 대해 구체적인 묘사를 피하고 매우 일반적인 장소나 불특정한 시간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 작품은 시간을 추론할 수 있는 연도나 숫자들이 등장하기 때문에 대략의 극적 시간 혹은 연대기적, 역사적 시간을 추측할 수 있는데 당시 현대의 시간을 과거에 적용시키는 등 흥미로운 시간 구조를 가지고 있다. 시간의 또 다른 특징은 차페크가 제목에 덧붙여 설명했던 극의 성격과 연관하는 부분이다. 차페크는 이 극의 서막을 코미디로 규정하고 있는데 바로 이 서막이 코미디가 되게 만드는 한 요소로써 시간이 사용된다. 갑자기 등장인물들 사이에 주어진 5분이란 시간은 길고 긴박한 시간으로 담화의 시간이 다른 시간적 특성보다 전경화 된다. 이 담화의 시간은 일상적인 시간의 특성이 아닌 코믹한 요소와 함께 차페크가 사물을 바라보고 사실을 정의하는데 사용하는 상대성등 철학적 메시지를 담는데 일익 한다. 이 작품의 배경이 되는 장소들은 사무실, 방과 같은 매우 일상적인 곳들이다. 하지만 이런 일상적인 장소들은 작품에 등장하는 사물과 연관하여 공간의 확대 혹은 제한 등과 같은 독특한 특성을 드러낸다. 로봇이 세계를 점령하고 마지막으로 로봇을 생산하는 섬에 있는 인간들을 공격한다. 이 공격을 막기 위해 인간들은 전선을 설치하는데 이 전선은 로봇의 세상과 인간의 세계를 나누는 경계의 역할을 한다. 주인공들과 외부세력으로 나누어진 이 공간들은 내부와 외부로 분리된 것이고 이는 대립되는 힘의 균형과 상실을 의미한다. 특히 이 전선에 불이 켜져 있는 동안은 인간의 공간인 내부 공간이 안전하다는 의미로, 전구의 불빛은 인간의 공간이 생명의 공간임을 상징한다. The paper explores the drama of R.U.R. by Karel Čapek, written in 1920 and containing a variety of unusual themes, suggestions, etc., and therefore it has already been analysed or studied by many researchers. In this study, we have mainly analysed the characteristics of time and space and their symbolism. In terms of time, we first observed how this drama is structured according to the chronological, plot, historical and discourse time. R.U.R. has a rather complicated time structure. Its hero Domin tells to Helena who has visited the island, where robots are made, how the factory of robots was established. Domin mentioned that Rossum, who created the material for robots, arrived to the island for the first time in 1920 and it is exactly the date when this play was written. That means that Čapek shifted the historical time. To recognize the chronological time the reader must read the whole text carefully. Furthermore, the temporal features of the drama are related with the characteristic of the play. Čapek wrote the explanation under the title “a collective drama with the opening comedy and three acts”. As Čapek wrote, the overture is a comedy, that contains a variety of comic features. For example, when Helena visited the robot factory on the island, she thought that the secretary Sulla was a human being or she mistook people with robots. Such scenes provoke comical situations. In addition, the time element helps to comical situation. At the end of the overture, Helena is talking about human rights, but suddenly Domin asks her to marry him and gives her just five minutes to decide. Time suspense raises a comical situation. Out of various elements, time is there expressed by foregrounding (aktualizace) and it aff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y. Space of drama is quit common, e.g. an office, room and laboratory but we could observe the function of space in relation to things (objects). For example an electrical wire appears in the play to protect people from the attack of robots and it plays the role of a boundary that divides the inner world and the outer world. Space symbolizes there the world of power and indicates the semiotic divided spaces, peace and danger.

      • KCI등재

        카렐 차페크 Karel Čapek 희곡에 나타난 인물의 기능과 역할

        유선비(Yu, Sunbe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5 외국문학연구 Vol.- No.60

        본고에서는 희곡에서 사용하거나 나타나는 일반적인 인물의 유형이나 특징보다는 차페크라는 체코 대표작가의 희곡에서 그만의 특색으로 들 수 있는 인물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관점으로 그의 희곡 작품 다섯 편을 분석하였다. 그의 희곡작품에서 나타나는 인물들은 작품마다 매우 다양한 기능들을 하는 경우가 많다. 그중에서 보편적으로 등장하는 특색으로는 거시적인 측면에서 작품의 구조적인 골격을 이루는 "남과 여의 대립"과 "세대 간의 갈등"을 들 수 있다. 인간의 성에 의한 본질적인 차이를 이용한 대립구도는 어쩌면 인간의 삶에서 가장 기본이 되면서도 자연적인 것일 수도 있다. 신체적이고 외향적인 차이를 넘어서 사고방식에 차이가 있으며 이런 차이가 생활에서 사물을 인식하는 것까지도 차이가 있음을 표현한 차페크는 이를 작품마다 다양한 형식과 배합을 통해 표현하고 있다. 세대적 갈등도 차페크의 희곡에 거의 전반적으로 등장하는 대립구조이다. 차페크는 자신의 작품에 항상 사상과 철학을 담고자 주력 했는데, 다른 장르와 다르게 희곡에서는 현실적이고 사회적인 갈등이나 문제점을 조명하는데도 노력하였다. 다음으로는 작품에서 보조적인 역할을 하면서도 차페크 극의 특색을 잘 나타 내는 인물군의 기능을 분석했다. 이들로는 고대 코러스처럼 전조의 기능을 하는 인물들이 있으며, 극에는 직접 등장하지 않지만 소위 "환상에 대한 직시"의 기능을 하는 인물들이 있다. 극의 플롯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을 갖지 않는다고 할지라도 작품을 이해하는 중요한 모티브로서의 역할을 하는 이런 인물들은 고대극과 현대극의 접목이나 사물과 인물의 연관성 등과 같은 새로운 연구에 대한 계기를 마련해주는 차페크의 새로운 연극적 시도였다고 할 수 있다. The paper analyses special characteristics of Karel Čapek"s dramas from the point of view of functions and roles of the dramatic character rather than of common types and features of the dramatic character. First, the way in which the dramatic character functions in the whole structure is shown. Čapek often uses method of contrast in the structure, such as man versus woman or old generation versus young one, etc. Such structure of contrast occurs in various plays and in various parts. In terms of the generation contrast, it is quite frequent. It reveals what opinions both generations have to different notions, such as to love, ideology, social situation, etc. and how those opinions differ. Another characteristic of the dramatic character is linked with figures performing side or small roles that do not concern main line. Firstly, it is the function of "portent" mentioning or explaining what happened before the play or what is going to happen in future. K. Čapek uses such function often and in his dramas there are many characters. Those individual characters were not chosen in this paper but only a group of people who are very similar to the chorus in the ancient drama. Secondly, the function of dramatic character is "deixis to fantasy". The character is not physically present in the play but only in dialogues therefore quite lot readers" fantasy is expected. Such notion was used by J. Honzl in Bohemia and K. Čapek used it in his plays often in various shapes and forms, and sometimes it has an important role. 본고에서는 희곡에서 사용하거나 나타나는 일반적인 인물의 유형이나 특징보다는 차페크라는 체코 대표작가의 희곡에서 그만의 특색으로 들 수 있는 인물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관점으로 그의 희곡 작품 다섯 편을 분석하였다. 그의 희곡작품에서 나타나는 인물들은 작품마다 매우 다양한 기능들을 하는 경우가 많다. 그중에서 보편적으로 등장하는 특색으로는 거시적인 측면에서 작품의 구조적인 골격을 이루는 "남과 여의 대립"과 "세대 간의 갈등"을 들 수 있다. 인간의 성에 의한 본질적인 차이를 이용한 대립구도는 어쩌면 인간의 삶에서 가장 기본이 되면서도 자연적인 것일 수도 있다. 신체적이고 외향적인 차이를 넘어서 사고방식에 차이가 있으며 이런 차이가 생활에서 사물을 인식하는 것까지도 차이가 있음을 표현한 차페크는 이를 작품마다 다양한 형식과 배합을 통해 표현하고 있다. 세대적 갈등도 차페크의 희곡에 거의 전반적으로 등장하는 대립구조이다. 차페크는 자신의 작품에 항상 사상과 철학을 담고자 주력 했는데, 다른 장르와 다르게 희곡에서는 현실적이고 사회적인 갈등이나 문제점을 조명하는데도 노력하였다. 다음으로는 작품에서 보조적인 역할을 하면서도 차페크 극의 특색을 잘 나타 내는 인물군의 기능을 분석했다. 이들로는 고대 코러스처럼 전조의 기능을 하는 인물들이 있으며, 극에는 직접 등장하지 않지만 소위 "환상에 대한 직시"의 기능을 하는 인물들이 있다. 극의 플롯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을 갖지 않는다고 할지라도 작품을 이해하는 중요한 모티브로서의 역할을 하는 이런 인물들은 고대극과 현대극의 접목이나 사물과 인물의 연관성 등과 같은 새로운 연구에 대한 계기를 마련해주는 차페크의 새로운 연극적 시도였다고 할 수 있다. The paper analyses special characteristics of Karel Čapek"s dramas from the point of view of functions and roles of the dramatic character rather than of common types and features of the dramatic character. First, the way in which the dramatic character functions in the whole structure is shown. Čapek often uses method of contrast in the structure, such as man versus woman or old generation versus young one, etc. Such structure of contrast occurs in various plays and in various parts. In terms of the generation contrast, it is quite frequent. It reveals what opinions both generations have to different notions, such as to love, ideology, social situation, etc. and how those opinions differ. Another characteristic of the dramatic character is linked with figures performing side or small roles that do not concern main line. Firstly, it is the function of "portent" mentioning or explaining what happened before the play or what is going to happen in future. K. Čapek uses such function often and in his dramas there are many characters. Those individual characters were not chosen in this paper but only a group of people who are very similar to the chorus in the ancient drama. Secondly, the function of dramatic character is "deixis to fantasy". The character is not physically present in the play but only in dialogues therefore quite lot readers" fantasy is expected. Such notion was used by J. Honzl in Bohemia and K. Čapek used it in his plays often in various shapes and forms, and sometimes it has an important role.

      • KCI등재

        밀란 쿤데라 초기 희곡에 나타난 오브제의 특성과 기능

        유선비(Yu, Sunbe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7 외국문학연구 Vol.- No.66

        본고에서는 밀란 쿤데라의 초기 희곡 『열쇠의 주인들 Majitelé klíčů』과 『난센스 Ptákovina』를 분석하고자 한다. 쿤데라의 첫 번째 희곡 작품인 『열쇠의 주인들』에서는 열쇠, 거울, 창문, 시계 등이 다음 작품 『난센스』에서는 낙서, 회초리, 악기들이 핵심적인 오브제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등장인물 자체를 상징적으로 나타내거나 인물들의 심리상태, 다른 인물들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등 다른 어떤 작품들 보다 작품의 핵심적인 구조를 이루는 요소로서 기능하고 있다. 두 작품 모두 등장인물들 사이에 여러 사물들이 중요한 오브제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물론 두 작품은 약간 차이가 있다. 첫 작품은 독일 점령이라는 시대적 배경과 함께 인간의 권력과 관계한 사상적 요소를 내포하고 있으며 이 작품에서 오브제는 등장인물과 함께 공간과 연관하여 기능한다. 두 번째 작품은 사회주의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고 이를 풍자하는 모습들이 많이 보인다. 특히 여러 인물들의 대사를 통해 인간 내면과 인간관계, 여러 철학적 메시지들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첫 작품과는 달리 쿤데라의 전형적인 측면이 드러난다. 이 작품에서 오브제는 무엇보다 인물들의 특성이 은유와 환유를 통해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다. For this study I chose two works by Milan Kundera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objects in connection to their function as signs. The works are two early plays, The Owners of the Keys from 1962 and The Nonsense from 1969. These dramas were written before Kundera emigrated to France. Since these literary works are based on history, they are often interpreted in different ways, and the properties and functions of various objects in these works are unique. My research first explores the typical properties of signs, studied what kind of properties the things in the plays have as symbols regarding space, or people, and then analyzes how these things function in one structure. Both the plays are similar in the way they show objects in connection to dramatic characters. In the first play the interconnection of things and space is most important. In the second one, however, it is the things and the characters that are most significant. Therefore, in the first play the emphasis is given to the relation between things and space while in the second play it is given to the relation between things and persons. 본고에서는 밀란 쿤데라의 초기 희곡 『열쇠의 주인들 Majitelé klíčů』과 『난센스 Ptákovina』를 분석하고자 한다. 쿤데라의 첫 번째 희곡 작품인 『열쇠의 주인들』에서는 열쇠, 거울, 창문, 시계 등이 다음 작품 『난센스』에서는 낙서, 회초리, 악기들이 핵심적인 오브제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등장인물 자체를 상징적으로 나타내거나 인물들의 심리상태, 다른 인물들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등 다른 어떤 작품들 보다 작품의 핵심적인 구조를 이루는 요소로서 기능하고 있다. 두 작품 모두 등장인물들 사이에 여러 사물들이 중요한 오브제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물론 두 작품은 약간 차이가 있다. 첫 작품은 독일 점령이라는 시대적 배경과 함께 인간의 권력과 관계한 사상적 요소를 내포하고 있으며 이 작품에서 오브제는 등장인물과 함께 공간과 연관하여 기능한다. 두 번째 작품은 사회주의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고 이를 풍자하는 모습들이 많이 보인다. 특히 여러 인물들의 대사를 통해 인간 내면과 인간관계, 여러 철학적 메시지들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첫 작품과는 달리 쿤데라의 전형적인 측면이 드러난다. 이 작품에서 오브제는 무엇보다 인물들의 특성이 은유와 환유를 통해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다. For this study I chose two works by Milan Kundera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objects in connection to their function as signs. The works are two early plays, The Owners of the Keys from 1962 and The Nonsense from 1969. These dramas were written before Kundera emigrated to France. Since these literary works are based on history, they are often interpreted in different ways, and the properties and functions of various objects in these works are unique. My research first explores the typical properties of signs, studied what kind of properties the things in the plays have as symbols regarding space, or people, and then analyzes how these things function in one structure. Both the plays are similar in the way they show objects in connection to dramatic characters. In the first play the interconnection of things and space is most important. In the second one, however, it is the things and the characters that are most significant. Therefore, in the first play the emphasis is given to the relation between things and space while in the second play it is given to the relation between things and persons.

      • KCI등재

        공간적 전회의 관점에서 본 선술집의 기능: 얀 네루다(Jan Neruda)의 단편을 중심으로

        유선비(Yu, Sunbee)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20 슬라브학보 Vol.35 No.4

        The paper examines the pub and its various functions in Jan Neruda’s stories in the context of the Spacial Turn. Studies of taverns and pubs are, for the most part, conducted within the fields of economics, social sciences etc. They are only rarely found within the field of literary studies, either because the pub is seen as too ordinary a place or because, due to the current focus on globalization, space is considered less important than other elements, such as time. Nevertheless, the pub is a ubiquitous phenomenon and a crucial element of the human society. It is of particular importance when studying Czech society or literature, since due to the Czech beer culture, the pub or tavern is often the place of action. Jan Neruda, one of the most famous Czech authors of the 19th century, was a journalist, columnist, essayist and, above all, poet and prose writer. The pub features notably in many of his short stories, e.g. Mr. Rysanek and Mr. Schlegl and At the Three Lilies. In Mr. Rysanek and Mr. Schlegl, the titular protagonists sit across each other in a tavern and drink a beer every day, despite the fact that they have not exchanged a word for more than 10 years. Then Mr. Rysanek does not show up one day due to an illness, and their relationship changes. Rather than being just an ordinary place, the pub is an organic space with comic function. At the Three Lilies depicts the relationship between a girl who dances passionately in a pub, and a man who watches her closely. The space in the story is a dynamic and erotic one, creating a contrast between light and darkness, or life and death. In some stories such as An Old Bachelor or Episode on Christmas Eve a pub is described as a space with melancholy function. The paper is intended to initiate a more in-depth exploration of a space that used to be considered a mere background of a story, in various literary works.

      • KCI등재

        밀란 쿤데라 초기 희곡에 나타난 오브제의 특성과 기능

        유선비(Yu, Sunbe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7 외국문학연구 Vol.- No.65

        본고에서는 밀란 쿤데라의 초기 희곡 『열쇠의 주인들 Majitelé klíčů』과 『난센스 Ptákovina』를 분석하고자 한다. 쿤데라의 첫 번째 희곡 작품인 『열쇠의 주인들』에서는 열쇠, 거울, 창문, 시계 등이 다음 작품 『난센스』에서는 낙서, 회초리, 악기들이 핵심적인 오브제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등장인물 자체를 상징적으로 나타내거나 인물들의 심리상태, 다른 인물들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등다른 어떤 작품들 보다 작품의 핵심적인 구조를 이루는 요소로서 기능하고 있다. 두 작품 모두 등장인물들 사이에 여러 사물들이 중요한 오브제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물론 두 작품은 약간 차이가 있다. 첫 작품은 독일 점령이라는 시대적 배경과 함께 인간의 권력과 관계한 사상적 요소를 내포하고 있으며 이 작품에서 오브제는 등장인물과 함께 공간과 연관하여 기능한다. 두 번째 작품은 사회주의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고 이를 풍자하는 모습들이 많이 보인다. 특히 여러 인물들의 대사를 통해 인간 내면과 인간관계, 여러 철학적 메시지들을 드러내고 있 다는 점에서 첫 작품과는 달리 쿤데라의 전형적인 측면이 드러난다. 이 작품에서 오브제는 무엇보다 인물들의 특성이 은유와 환유를 통해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다. For this study I chose two works by Milan Kundera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objects in connection to their function as signs. The works are two early plays, The Owners of the Keys from 1962 and The Nonsense from 1969. These dramas were written before Kundera emigrated to France. Since these literary works are based on history, they are often interpreted in different ways, and the properties and functions of various objects in these works are unique. My research first explores the typical properties of signs, studied what kind of properties the things in the plays have as symbols regarding space, or people, and then analyzes how these things function in one structure. Both the plays are similar in the way they show objects in connection to dramatic characters. In the first play the interconnection of things and space is most important. In the second one, however, it is the things and the characters that are most significant. Therefore, in the first play the emphasis is given to the relation between things and space while in the second play it is given to the relation between things and persons.

      • KCI등재

        까렐 차페크의 희곡 "약탈자" 연구

        유선비 조선대학교 국제문화연구원 2009 국제문화연구 Vol.2 No.1

        The Brigand is the first dramatic work that Karel Cˇapek wrote by himself. In 1911 Cˇapek stayed for a while in Paris, and during this time he began writing the play in collaboration with his brother Josef. Later, he revised the play and brought it to completion on his own in Prague in 1919. As Cˇapek explains in his own foreword to the play, he had grown much and gone through many personal changes during the years intervening between the two versions of the play. Consequently, in the later version, Cˇapek placed more emphasis on the prudence and stability of middle age, over the passion and recklessness of youth. The two primary characters - the young Brigand and the old Professor - are personifications of the principles of life, and thus the story also conveys symbolic meaning. We can see the author's philosophy of 'realism' through the conflict of these two characters. This paper shows the changes in the author's view of life by comparing the two versions of The Brigand; illuminates aspects of the play that are characteristic of the lyric comedy; and explores Cˇapek's philosophy through an analysis of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main charac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