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병행 처리 시간 흐름도 방식의 대화형 멀티미디어 응용 저작

        유석(Seok Yoo),이석호(Sukho Lee),안종길(Jongkil Ahn),박석원(Sukwon Park),김동석(Dongseok Kim),김치권(Chikweon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6 정보과학회논문지(B) Vol.23 No.5

        대화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에 사용되는 흐름도 방식은 미디어 사이의 시간 관계를 명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런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병행 처리 시간 흐름도(CTF; Concurrent Timed Flowchart)라는 보강된 흐름도 방식의 멀티미디어 저작 방법을 제안하였다. 흐름도 방식에 비하여 병행 처리 시간 흐름도 방식은 여러 개의 작업에 대한 병행 실행(Concurrent Execution) 표현 기능과 각 미디어에 대한 실행 시간 명세 기능을 보강하였다. 따라서 병행 처리 시간 흐름도 방식에서 저작 자는 병행 실행과 실행 시간 명세 기능을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응용을 구성하는 각 미디어 사이의 시간 관계를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고, 저작 도구는 각 미디어의 실행 시간과 미디어 사이의 시간 관계를 예측 하여, 미디어 사이의 실시간 제약조건과 시간 관계를 만족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The flowchart approa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authoring interactive multimedia applications. One drawback of the flowchart model is that it does not clearly represent the temporal relations between the media in multimedia applications In this paper, we provide a enhanced flowchart model to overcome the drawback, called the Concurrent Timed Flowchart(CTF). The CTF augments the conventional flowchart model with the concurrent execution facility and the time specification facility on each medium. One advantage of the CTF is that it allows an author to specify the execution time of each medium and the temporal relation between them in multimedia applications. Another advantage is that authoring programs can satisfy the real-time constraints and temporal relations between the media.

      • KCI등재

        Association of β-Catenin with Fat Accumulation in 3T3-L1 Adipocytes and Human Population

        Sungmin Bae(배성민),Haeyong Lee(이해용),Soo Ahn Chae(채수안),Dong-Jin Oh(오동진),Sukwon Park(박석원),Yoosik Yoon(윤유식) 한국생명과학회 2011 생명과학회지 Vol.21 No.9

        비만은 중성지방이 체내에 과잉으로 축적되어 지방 본래의 에너지 저장과 대사조절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본 연구진은 siRNA 방법을 이용하여 Wingless-type MMTV integration site (WNT)/β-catenin pathway에 의한 지방축적 조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WNT/β-catenin pathway에 속한 유전자 중 β-catenin을 siRNA기법을 통하여 knock down 한 후 adipogenesis의 핵심 조절자인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γ,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C/EBP)a의 mRNA와 단백질 발현 변화를 확인해 보았다. 그 결과 β-catenin유전자의 knock down에 의하여 PPARγ, CEBPa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WNT/β-catenin pathway에서 β-catenin의 상위 조절자인 LRP6와 DVL2의 knock down에 의한 adipogenesis 조절 유무를 분석하였으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이는 β-catenin이 상위 조절자들의 영향을 받기 보다는 독립적인 기작으로 PPARγ, CEBPa의 mRNA, 단백질 발현의 조절함으로써 adipogenesis의 negative regulator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290명의 한국인을 대상으로 비만의 대표적인 표지인자인 혈중 중성지방 농도와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에 대한 β-catenin 유전자의 단일염기다형성(SNP)과의 연관성을 통계 분석해보았다. 그 결과 프로모터 부분에 위치한 4종류의 SNP 중에서 transcription개시 지점으로부터 -10,288위치에 존재하는 C/T polymorphism인 rs7630377이 유의하게 혈중 중성지방 농도와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β-catenin이 세포 수준에서 뿐 아니라 인체에서도 지방축적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The major function of adipocytes is to store fat in the form of triglycerides. One of the signaling pathways known to affect adipogenesis, i.e. fat formation, is the WNT/β-catenin pathway which inhibits the expression and activity of key regulators of adipogenesi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genes among the WNT/β-catenin pathway which regulate adipogenesis by using small interfering (si) RNA and to find the association of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of the gene with serum triglyceride levels in the human population. To elucidate the effects of β-catenin siRNA on adipogenesis key factors, PPARγ and C/EBPα, we performed real-time PCR and western blotting experiments for the analyses of mRNA and protein levels. It was found that the siRNA-mediated knockdown of β-catenin upregulates adipogenesis key factors. However, upstream regulators of the WNT/β -catenin pathway, such as DVL2 and LRP6, had no significant effects compared to β-cateni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β-catenin is a candidate gene for human fat accumulation. In general, serum triglyceride level is a good indicator of fat accumulation in humans. According to statistical analyses of the association between serum triglyceride level and SNPs of β-catenin, -10,288 C>T SNP (rs7630377) in the promoter reg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erum triglyceride levels (p<0.05) in 290 Korean subjects. On the other hand, serum cholesterol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NPs of the β-catenin gen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β-catenin is associated with fat accumulation both in vitro and in the human population.

      • KCI등재

        A Study on the Gene Expression of Adipogenic Regulators by an Herbal Composition

        Haeyong Lee(이해용),Ryunhwa Kang(강련화),Sungmin Bae(배성민),Soo Ahn Chae(채수안),Jung Ju Lee(이정주),Dong-Jin Oh(오동진),Sukwon Park(박석원),Soo Hyun Cho(조수현),Yae Jie Shim(심예지),Yoosik Yoon(윤유식)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생약복합제제인 SH21B의 adipogenesis 억제 효능에 대한 상세한 분자적 메커니즘을 3T3-L1 지방세포를 이용하여 밝히는 데 있다. 실험에 사용된 SH21B는 7가지 생약성 천연물질인, 황금, 행인, 마황, 석창포, 포황, 원지 및 하엽으로 이루어졌다. 최근, 본 연구진에 의해 3T3-L1을 이용한 in vitro 연구와 마우스를 이용한 in vivo 연구에서 SH21B의 adipogenesis 억제효능이 밝혀진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세포가 분화될 때 작용하는 다양한 지방세포형성 조절자들의 유전자 발현이 SH21B에 의해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시간중합효소반응(real time PCR) 기술을 이용하여 SH21B를 처리한 지방세포와 그렇지 않은 지방세포를 비교한 결과, 최종마커인 ADIPOQ와 SLC2A4의 유전자 발현이 SH21B에 의해 급격하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최종 마커의 발현을 유도하는 핵심전사인자인 PPARγ와 C/EBPα의 유전자 발현 역시 SH21B의 처리 시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좀 더 상세한 분자적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해, 핵심전사인자의 상위에 위치한 다양한 조절자들의 유전자 발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여러 지방세포형성 유도조절자 중, Krox20과 KLF15의 유전자 발현이 SH21B 처리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된 반면, C/EBPβ와 KLF5의 유전자 발현은 SH21B 처리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리고 지방세포형성 억제조절자인 KLF2와 CHOP의 유전자 발현은 SH21B 처리에 의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SH21B의 지방세포형성 억제효능이 지방세포의 분화에 작용하는 다양한 상위조절자 중 지방세포형성 유도조절자인 Krox20과 KLF15 그리고 지방세포형성 억제조절자인 KLF2와 CHOP 등의 유전자 발현이 변화되면서 일어나는 복합적인 반응의 결과임을 제시한다. In our previous study, it was reported that an herbal mixture, SH21B, inhibits fat accumulation and adipogenesis both in vitro and in vivo models of obesity. SH21B is a mixture composed of seven herbs: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Prunus armeniaca Maxim, Ephedra sinica Stapf, Acorus gramineus Soland, Typha orientalis Presl, Polygala tenuifolia Willd, and Nelumbo nucifera Gaertner (Ratio 3:3:3:3:3:2:2).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tailed molecular mechanisms of the effects of SH21B on various regulators of the adipogenesis pathway. During the adipogenesis of 3T3-L1 cells, SH21B significantly decreased the expression levels of central transcription factors of adipogenesis, such as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γ and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C/EBP)α. To elucidate the detailed molecular mechanism of the anti-adipogenic effects of SH21B, we examined the expression levels of the various pro-adipogenic or anti-adipogenic regulators of adipogenesis upstream of PPARγ and C/EBPα. The mRNA levels of Krox20 and Kruppel-like factor (KLF) 15, which are pro-adipogenic regulators, were significantly down-regulated by SH21B treatment, whereas the mRNA levels of C/EBPβ and KLF5 were not changed. KLF2 and C/EBP homologous protein (CHOP), which are anti-adipogenic regulators, were significantly up-regulated by SH21B 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olecular mechanism of the anti-adipogenic effect of SH21B involves both the down-regulations of pro-adipogenic regulators, such as Krox20 and KLF15, and the up-regulations of anti-adipogenic regulators, such as KLF2 and CHOP, which results in the suppression of central transcription factors of adipogenesis including PPARγ and C/EBPα.

      • KCI등재

        생약복합물의 지방세포형성억제 기전규명을 위한 전사체 분석

        Haeyong Lee(이해용),Ryunhwa Kang(강련화),Sungmin Bae(배성민),Soo Ahn Chae(채수안),Jung Ju Lee(이정주),Dong-Jin Oh(오동진),Sukwon Park(박석원),Soo Hyun Cho(조수현),Yae Jie Shim(심예지),Yoosik Yoon(윤유식)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7

        생약복합물인 SH21B는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행인(Prunus armeniaca Maxim), 마황(Ephedra sinica Stapf), 석창포(Acorus gramineus Soland), 포황(Typha orientalis Presl), 원지(Polygala tenuifolia Willd), 하엽 (Nelumbo nucifera Gaertner)의 혼합(비율 3:3:3:3:3:2:2)으로 이루어졌다. SH21B는 예로부터 한의학에서 비만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으나 자세한 분자적 메커니즘과 효능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진은 선행연구를 통해 SH21B가 지방세포의 분화에서 adipogenesis (지방세포형성)와 관련된 유전자를 조절하여 중성지방의 축적을 억제함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microarray 기술을 이용하여 adipogenesis의 in vitro 모델인, 3T3-L1 세포에서 SH21B에 의한 지방세포형성 억제의 분자적 기작을 보다 상세하게 연구하고자 하였다. 전지방세포, 분화된 세포 그리고 SH21B에 의해 분화가 억제된 세포의 각각의 유전자 발현을 분석하기 위해 각 시료들에서 total RNA를 분리하여 cDNA를 합성한 후 microarray에 적용시켰다. 그 결과, 각각의 시료들의 비교에서 2배 이상의 유의한 발현 변화를 가지는 2,568개의 유전자를 확보하였다. 이 유전자들에 대해 Hierarchical clustering과 K-means clustering 분석을 진행하였고 서로 다른 양상을 가지는 9개의 군집(cluster)들을 분류하였다. 그 중, SH21B의 첨가에 의해 뚜렷하게 감소(cluster 4, cluster 6 및 cluster 9)하거나 반대로 뚜렷하게 증가(cluster 7와 cluster 8)하는 양상을 보이는 군집들을 따로 선별하여 그 군집들에 포함되어 있는 유전자들을 분석하였다. 선택된 5개의 군집에는 지방세포형성과 세포증식에 관련된 유전자가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Cluster 4, cluster 6 그리고 cluster 9에는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gamma γ (PPARγ),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α (C/EBPα),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transcription factor 1 (SREBF1), adiponectin (ADIPOQ), fatty acid synthase (FASN), lipoprotein lipase (LPL) 등의 지방세포형성 유도 및 관련 인자와 B-cell leukemia/lymphoma6 (BCL6), retinoblastoma 1 (RB1), 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 2C (CDKN2c), ras homolog gene family, member B (RHOB) 등의 많은 세포증식 억제 유전자가 포함되었다. 이와는 반대로, cluster 7과 cluster 8에는 β-catenin, cyclin D1 (CCND1), WNT1 inducible signaling pathway protein 2 (WISP2) 등과 같은 지방 세포형성 억제 조절자와 MARCKS-like1 (MARCKSL1), colony stimulating factor 1 (CSF1), discoidin domain receptor family, member 2 (DDR2), leukemia inhibitory factor receptor (LIFR) 등의 세포증식을 유도하는 조절자가 다수 포함되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결과들은 SH21B가 지방세포형성과 관련된 조절자 및 세포증식과 관련된 조절자들의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여 지방세포형성을 억제함을 제시한다. SH21B is a natural composition composed of seven herbs: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Prunus armeniaca Maxim, Ephedra sinica Stapf, Acorus gramineus Soland, Typha orientalis Presl, Polygala tenuifolia Willd and Nelumbo nucifera Gaertner (Ratio 3:3:3:3:3:2:2). In our previous study, we reported that SH21B inhibited adipogenesis and fat accumulation in 3T3-L1 cells through modulation of various regulators in the adipogenesis pathwa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anscriptome profiles for the anti-adipogenic effects of SH21B in 3T3-L1 cells. Total RNAs from SH21B-treated 3T3-L1 cells were reverse-transcribed into cDNAs and hybridized to Affymetrix Mouse Gene 1.0 ST array. From microarray analyses, we identified 2,568 genes of which expressions were changed more than two-fold by SH21B, and the clustering analyses of these genes resulted in 9 clusters. Three clusters among the 9 showed down-regulation by SH21B (cluster 4, cluster 6 and cluster 9), and two clusters showed up-regulation by SH21B (cluster 7 and cluster 8) during the adipogenesis of 3T3-L1 cells. It was found that many genes related to cell proliferation and adipogenesis were included in these clusters. Clusters 4, 6 and 9 included genes which were related with adipogenesis induction and cell cycle arrest. Clusters 7 and 8 included genes related to cell proliferation as well as adipogenesis inhibi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echanisms of the anti-adipogenic effects of SH21B may be the modulation of genes involved in cell proliferation and adipogene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