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 저온 지역의 기온과 일장 조건에서 벼 품종의 출수 반응

        양운호,강신구,최종서,이대우,이석기,채미진,Yang, Woonho,Kang, Shingu,Choi, Jong-Seo,Lee, Dae-Woo,Lee, Seuk-ki,Chae, Mi-Jin 한국작물학회 2021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66 No.3

        북한 저온 지역의 재배 기간과 환경 적응 벼 품종 선정을 위해 각 지역의 조기이앙 한계기 - 출수기 기간 중 기온과 일장 변화 조건에서 남한 조생종, 북한 품종, 중국 동북3성 품종을 공시하여 30일간 육묘한 산파묘와 포트묘의 출수 반응 차이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산파묘를 이앙재배하는 경우 안전출수 한계기가 나타나는 6지역에서 안전출수 한계기까지 출수한 품종은 지역에 따라 생육 기간이 매우 짧은 몇몇 품종으로 제한되거나 나타나지 않았으며, 남한 품종 중에서는 희천 환경에서 조운이 유일하였다. 2. 산파묘의 경우 안전출수 한계기 - 출수만한기 사이에 출수한 남한 품종은 기온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함흥, 평강, 희천, 강계 환경에서 공통적으로 진부올, 백일미, 조운, 조품, 진옥, 조평, 산호미, 오대였으며, 신포 조건에서는 조운, 기온이 낮았던 양덕, 김책, 청진, 선봉, 중강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3. 산파묘의 출수소요일수는 모든 10지역 환경에서 서로 유의확률 1% 수준에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포트묘의 출수소요일수는 산파묘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단축되었으나 차이가 없거나 증가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산파묘 대비 포트묘의 출수단축일수는 다른 지역과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는 경우가 7지역에서 나타났다. 5. 산파묘 대비 포트묘의 출수소요일수 단축 정도는 남한품종 중 진옥에서 지역에 따라 8~13일, 북한 품종 중 선봉9가 7~15일로 컸으며, 중국 동북3성 품종은 묘 종류사이에 출수소요일수 차이가 적었다. 6. 포트묘 공시 남한 5품종 중 안전출수 한계기까지 출수한 품종은 함흥, 평강, 양덕, 신포, 강계의 5지역 환경에서 진옥, 희천 환경에서 진부올, 조품, 진옥이었으며, 김책과 중강에서는 진옥이 출수만한기까지 출수가 빨라져 적응성이 향상되었다. 7. 기온이 가장 낮은 청진과 선봉에서는 산파묘와 포트묘 모두 출수만한기까지 출수하는 품종이 없었으며, 이들 지역에 대하여는 생육이 더 진전된 묘의 출수 단축 효과를 검토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The heading response of rice varieties, originated from South Korea, North Korea, and northern China, was examined under the temperature and day-length conditions of 10 low-temperature regions in North Korea. When 30-day-old broadcast tray-raised seedlings (BS) were used, only one or a few varieties reached the heading stage within the safe marginal heading date (SMHD) under the Hamhung, Pyonggang, Huichon, and Kanggye conditions. In the Yangdok and Sinpo environments, no varieties reached heading until SMHD. The South Korean varieties that reached the heading stage between SMHD and late marginal heading date (LMHD) were Jinbuol, Baegilmi, Joun, Jopum, Jinok, Jopyeong, Sanhomi, and Odae for the Hamhung, Pyonggang, Huichon, and Kanggye; Joun for Sinpo; and none for Yangdok, Kimchaek, Sonbong, and Chunggang environments. The number of days to heading (DTH) was positively correlated among all 10 regions. Reduced DTH in the 30-day-old pot tray-raised seedlings (PS), compared to BS, was not consistent with varieties and regions. Reduced DTH in PS, compared to BS, was the largest in Jinok and Sonbong9 among the South and North Korean varieties, respectively, whereas it was small in the northern Chinese varieties. The South Korean varieties that headed until SMHD in PS were Jinok for the Hamhung, Pyonggang, Yangdok, Sinpo, and Kanggye environments; and Jinbuol, Jopum, and Jinok for the Huichon condition. In the Kimchaek and Chunggang conditions, Jinok reached the heading stage within LMHD. With the use of PS for some responsive varieties such as Jinok, varietal adaptability could be improved to the conditions of low-temperature regions in North Korea. None of the PS or BS among the tested varieties reached the heading stage until LMHD for the Chongjin and Sonbong conditions.

      • KCI등재

        중부 평야지에서 고품질 중생종 벼 '하이아미'의 재식밀도에 따른 수수 변화와 수량의 관계

        양운호,강신구,박정화,김숙진,최종서,윤영환,Yang, Woonho,Kang, Shingu,Park, Jeong-Hwa,Kim, Sukjin,Choi, Jong-Seo,Yoon, Young-Hwan 한국작물학회 2017 한국작물학회지 Vol.62 No.3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2014 and 2015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ransplanting density on panicle production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panicle production with yield traits in the mid-maturing quality rice cultivar 'Haiami' in the mid-plain area of Korea. Number of tillers per square meter increased by reducing planting distance and increasing seedling number per hill. These effects were maintained until maturity and were reflected in the final number of panicles per square meter, although the effect of planting density decreased as rice growth progressed. However, increased panicle number per square meter following dense planting did not improve head rice yield. Panicle number per square meter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spikelet number per panicle and was not correlated with other yield components or head rice yield. Head rice yield was not correlated with head rice percentage but was close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milled rice yield. Milled rice yield did not increase with grain filling percentage but increased with spikelet number per square meter. Spikelet number per square meter increased with both spikelet number per panicle and panicle number per square meter, although the former had a greater influence. Therefore, we conclude that head rice yield of the 'Haiami' cultivar grown in the mid-plain area of Korea is not improved with an increased panicle number following high planting density but it could be improved with high milled rice yield by increasing spikelet number per unit area.

      • KCI등재

        중부 평야지에서 사료용 벼 기계이앙과 담수산파 재배의 건물 생산성 비교 분석

        양운호,박정화,강신구,김숙진,최종서,Yang, Woonho,Park, Jeong-Hwa,Kang, Shingu,Kim, Sukjin,Choi, Jong-Seo 한국작물학회 2018 한국작물학회지 Vol.63 No.3

        A field study was conducted over a 3-year period from 2014 to 2016 in the central plain area, Suwon, Korea, 1) to compare the biomass production between machine-transplanted and water-broadcast seeded silage rice and 2) to elucidate the growth factors that affect the difference in biomass production between the two cultivation practices. The heading date for the water-broadcast seeded silage rice was September 11-18, which was delayed by 11-17 days when compared to that for the machine-transplanted silage rice. On average, water-broadcast seeded silage rice had a shorter plant height, more panicles per area, and a greater biomass production because of the increased straw dry weight. However, the difference in dry weight of each plant organ between the two cultivation practices exhibited yearly variation. When the data were pooled across experimental years, cultivation practices, and varieties, biomass production was high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straw dry weight but not with panicle dry weight. When the ratio of water-broadcast seeding to machine-transplanting was analyzed, total dry weight and straw dry weight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each other, whereas no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otal dry weight and panicle dry weight. Despite that water-broadcast seeded silage rice produced more panicles per area than machine-transplanted silage rice, the two cultivation practices had a similar dry weight per culm.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 silage rice from the water-broadcast seeding, compared to the machine-transplanting, produced more biomass because of the combination of the increased panicle number per area and a similar dry weight per culm. These results suggest that silage rice could be produced through water-broadcast seeding to increase biomass production with low labor and cost input.

      • KCI등재

        기온에 따른 벼 출수기 생육 반응 및 남한에서 북한 적응 품종 육성을 위한 출수기 목표 생장량 추정

        양운호 ( Woonho Yang ),최종서 ( Jong-seo Choi ),이대우 ( Dae-woo Lee ),강신구 ( Shingu Kang ),이석기 ( Seuk-ki Lee ),채미진 ( Mi-jin Chae ) 한국농림기상학회 2021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북한 적응 벼 품종을 남한의 유사 기후 지역에서 육성하는 경우, 북한 지역별로 육성모지 수준의 생장을 위한 출수기 목표 생장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기온이 서로 다른 지역(수원, 철원, 진부)에서 6품종의 출수기 벼 생장 반응을 검정하고 북한 지역의 기온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시험지역, 연도를 합하여 품종의 최고값 대비 지수 성적을 분석하였을 때, 이앙기-출수기 기간의 평균기온과 출수기 초장 및 건물중은 고도로 유의한 2차 함수식의 관계를 보였으며, 초장 최고값은 23.2 ℃, 건물중 최고값은 22.8 ℃에서 나타났다. 각각의 품종에서 이앙기-출수기 평균기온이 낮아짐에 따라 출수 소요일수는 증가하였으나, 출수소요 적산온도는 지역간 차이가 적고 비교적 일정하였다. 시험지역의 토양 특성 차이에 의한 출수기 벼 생육 차이는 적었으며, 시험지역의 기온 처리에 의한 출수기 건물중은 현지시험에서와 같은 양상이었다. 현지시험에서 나타난 품종별 출수소요 적산온도를 북한 지역의 평균기온과 안전 출수 한계기에 대입하여 비교한 결과, 5지역(개성, 해주, 사리원, 남포, 평양)은 중생종 까지, 14지역(용연, 신계, 안주, 구성, 신의주, 장전, 원산, 함흥, 평강, 양덕, 희천, 수풍, 신포, 강계)은 조생종만 재배 가능하며, 4지역(김책, 청진, 선봉, 중강)은 출수가 가장 빨랐던 조품도 적응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북한의 중생종 재배 가능 5지역은 이앙기-안전 출수 한계기 평균기온이 수원보다 0.7∼1.2 ℃ 낮았으며, 이들 지역에서는 수원에서 육성한 중생종을 동일한 방법으로 재배하면 수원과 비슷한 수준의 출수기 생장량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생종 재배만 가능한 14지역 중 9지역(용연, 신계, 안주, 구성, 신의주, 장전, 원산, 희천, 수풍)의 이앙기-안전 출수 한계기 평균기온은 22.2∼23.0 ℃로 철원의 22.9 ℃와 차이가 크지 않았으며, 철원에서 육성한 조생종을 재배하면 철원과 비슷한 수준의 출수기 생장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철원과 같은 수준의 조생종 출수기 생장량 확보를 위해서는 함흥과 강계의 경우 철원에서 나타나는 초장보다 4cm 긴 품종, 평강과 양덕 및 신포의 경우에는 초장은 8∼14cm, 주당 건물중은 2∼4g 큰 품종을 육성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종합적으로, 북한 적응 품종을 남한의 유사 기후 지역에서 육성하는 경우, 중생종 재배 가능 지역은 수원, 조생종 재배 가능 지역 중 철원과 기온이 비슷한 지역은 철원에서 육성한 품종을 재배하면 출수기 생장량이 비슷하며, 철원보다 기온이 낮은 지역에 대하여는 철원에서 나타나는 것보다 더 큰 출수기 생장량을 보이는 품종을 육성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Field studies at Suwon, Cheorwon, and Jinbu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 temperature from transplanting to heading (MT) and growth at heading stage of rice. Plant height (PH) and dry weight (DW) at heading stag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T, showing second degree polynomials. The optimal temperatures for PH and DW were 23.2 ℃ and 22.8 ℃, respectively. Little differences in rice growth among soils collected from the experimental sites and the temperature-response in a phytotron study supported that MT was the main determinant of the growth shown in the field study. Though number of days to heading increased as MT decreased, cumulative temperatures (CT) affected by sites and MT for given varieties were fairly constant. When applying specific CT for each of the varieties to the temperature in North Korea, (1) five regions (Kaesong, Haeju, Sariwon, Nampo, Pyongyang) were suitable for early to mid-maturing varieties and (2) 14 regions (Yongyon, Singye, Anju, Kusong, Sinuiju, Changjon, Wonsan, Hamhung, Pyonggang, Yangdok, Huichon, Supung, Sinpo, Kanggye) were suitable only for early-maturing varieties. In (1) regions, the similar extent of growth with that in Suwon could be achieved when mid-maturing varieties grown in Suwon are cultivated. Among (2) regions, early-maturing varieties are expected to demonstrate the similar extent of growth with that in Cheorwon in 9 regions except Hamhung, Kanggye, Pyonggang, Yangdok, and Sinpo. For Hamhung and Kanggye, the target PH was assessed as 4cm higher than that shown in Cheorwon. Plant height of 8 -14cm and DW of 2-4g per hill greater than those shown in Cheorwon were the target growth for Pyonggang, Yangdok, and Sinpo to attain the similar amount of growth with that in Cheorwon. It is suggested that rice varieties for North Korea could be bred by adjusting the target growth at the breeding sites in Sou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