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Synthesis of Azetidines based on Visible-light Photocatalytic [2+2] Aza Cycloaddition Between Alkenes and Imines

        Min-Ju Kim Graduate School of UNIST 2020 국내석사

        RANK : 233279

        The organic compounds which have four-membered ring structure are fascinating in organic chemistry, since they have been found in numerous bioactive molecules and used as useful synthon due to their ring strain. Among them, the azetidine which is nitrogen-containing four-membered heterocycle starts to gain in popularity as an interesting pharmacophore in current medicinal chemistry because of their desirable biological activity and improved metabolic stability. Also, as a synthon, their strained structure makes them excellent candidates for ring expansion reactions. In spite of their strong points, the lack of efficient synthetic method of azetidine is still remaining challenge. Among the known synthetic strategies, the [2+2] photocycloaddition reaction between imine and alkene has emerged as prominent method, which can directly afford the functionalized azetidine. However, because of low reactivity between imines and alkenes, previous methods usually relied on UV irradiation in order to activate the imine or alkene. UV irradiation can excite both alkene and imine so that the C=N bond can undergo undesired relaxation pathways such as isomerization, fragmentation, or decomposition. Some research groups designed rigid imine and alkene substrates to solve that, but still UV light is hazardous, and it has limited the functional groups of substrates. To break through these drawbacks, we developed the visible light induced photocatalytic [2+2] cycloaddition reaction between imine and alkene. The selective activation of alkene was achieved via redox mechanism to avoid the excitation of imine or other functional groups. Using blue LED as light source and acridinium catalyst as organophotocatalyst, a variety of azetidine compounds were synthesized in moderate to excellent yield without any by-product. This redox neutral method gives product only and utilizes acridinium photocatalyst which is eco-friendly, cheap, and less toxic than metal photocatalysts. Therefore, it allows a highly atom economic reaction and it is highly desirable in green chemistry. Also, the constructed bicyclic azetidine moiety have great potential in biological activity and further modification.

      • Roles of hedgehog signaling in cementoblast differentiation

        김민주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17 국내박사

        RANK : 233263

        Despite the fact that Hedgehog (Hh) signaling pathway is one of the necessary components in the formation of human skeleton as it controls the osteoblast differentiation, its role in cementogenesis that has similar characteristics in various parts with osteogenesis has not been reported yet. This study was aimed to elucidate the roles of Hh signaling in the cementoblast differentiation. In this study, the consistent expressions of Hh signaling molecules in OCCM-30 murine cementoblast cell line was observed and they were up-regulated during cementoblast differentia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 treatment of cells with purmorphamine, a Hh activator, increased mRNA expression of skeletogenic markers, such as alkaline phosphatase, osteocalcin and osteopontin as well as key osteogenic transcription factors like Runx2 and Osx, and increased alkaline phosphate activity and mineralization capability, thus, implying enhancement of cementoblast differentiation. On the contrary, an Hh antagonist cyclopamine could effectively inhibit cementoblast differentiation. Furthermore, BMP7 synergistically promoted cementoblast differentiation through interactions with Hh signal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Hh signaling is involved in cementogenic differentiation and Hh signaling molecules may become as a new therapeutic target in periodontal treatment and regeneration.

      • High dietary iron from fetal to adults alters the lipid and iron metabolism in mice

        김민주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1 국내석사

        RANK : 233247

        Iron supplementation has been recommended in gestational period to meet higher requirements of iron in both mother and fetus. However, the effects of exposure iron on the fetus and their late life have not been elucidated.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iron overload (IOL) diet (FeSO4, 1% of diet weight) exposure from fetus to adults on their growth and metabolism. High Fe was confirmed by hepatic FeCl3 accumulation, H&E staining, and gene expressions including hepcidin and TfR1/2 both liver and fat. The IOL decreased body and fat weights. Adipocyte sizes were reduced in IOL with decreased triglyceride (TG) in plasma and fat tissue. Down-regulation related to de novo lipogenesis and differentiation of adipocyte in IOL group were inspected and iron-mediated upregulation of additional sex comb-like 1 (Asxl1) may affect differentiation of adipocyte by regulating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PPARγ). The antioxidant molecules such as nuclear factor erythroid-2-related factor 2 (Nrf2), malondialdehyde (MDA), and total glutathione (tGSH) showed not increase. Decreased ferritin heavy chain (FTH) mRNA of the IOL was not associated with change of methylation and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α (C/EBPα) was suggested to a possible binding transcription factor in FTH1 promoter. Therefore, our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of altered lipid metabolism from IOL affecting the regulation of iron metabolism. This may implicate long-term, high-dose iron exposure induced from fetus to adult may disturb iron homeostasis and the development in the early stage. 식이 철분 과잉 (Iron overload, IOL)은 지질 라디칼 생성으로 인한 간경변, 암 또는 당뇨병과 같은 다양한 질병과 일으킬 수 있다. 한국인영양섭취기준에서는 임신 중 권장되는 철분함량의 기준이 있으며 WHO 에서는 임신 2 분기부터 철분 보충제를 권고하고 있다. 또한, 여러 연구에서 임신 단계에 따른 태아 성장과 모성 철분 지표 사이의 관계성을 보여주고 있지만 그 연관성의 기반이 되는 메커니즘은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임신 한 어미 쥐부터 쥐가 성장하는 동안 실시한 식이 철분 과잉이 신진 대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그 기전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임신 2 주 차의 C57BL/6J 마우스에게 분만 전 2 주 동안 대조군 (CTRL, FeSO4, 0% of diet weight) 또는 IOL (FeSO4, 1% of diet weight) 식단을 제공하였다. 이후 태어난 새끼에게도 30 주 동안 동일한 식이 철분을 실시하였다. 희생 후, 조직학적 및 혈장 ELISA 분석을 통해 IOL 을 통한 높은 철분 축적 및 ferritin 수준을 확인하였으며 TfR1/2 mRNA 의 감소 및 hepcidin 의 발현 증가를 확인하였다. 하지만 간과 지방의 IOL 그룹에서 FTH mRNA 및 단백질 비정상적 발현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FTH 유전자 서열 내 CpG island 의 methylation 과는 무관하였다. 지질 과산화 수준 (MDA) 및 Nrf2 단백질 발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tGSH 수준의 감소는 IOL 식단에서 세포 내 산화 스트레스가 없었음을 시사했다. IOL 그룹에서 혈장 및 조직에서 체중, 지방 중량 및 중성 지방 함량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H&E 염색에서는 CTRL 에 비해 IOL 에서 지방 세포 크기가 유의하게 감소했음을 관찰하였다. 지방 대사와 관련한 주요 유전자 (지방 세포 분화, de novo 지방 생성, 지질 방울, 지방산 흡수, FA 산화)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그 중 de novo 지방 생성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SREBP1c, FASN 및 SCD1 의 발현이 지방 조직에서 감소했다. 또한 PPARγ와 C/EBPα를 포함한 지방 세포의 유전자 관련 분화의 감소가 일어났다. 본 연구는 발달 초기부터 성인기까지의 IOL 식이의 노출이 지질대사를 방해하고 마우스의 지방 축적을 낮추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일부 연구에서는 임신 중 철분 상태의 변화에 따라 철분 보충제를 널리 권장했지만 태어난 아이에 대한 이점이 입증된 결과는 없다. 본 연구 결과는 임신기 때부터 일어난 식이 철분 과잉이 비정상적인 철 항상성 및 태아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손 성장에 미치는 악영향을 뒷받침하고 임산부의 새로운 철분 보충 요법이 안전성을 모색해야함을 제안한다.

      • Study on the Contribution of Dietary Factors to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Metabolic Syndrome : Focusing on Korean Healthy Eating Index (KHEI)

        Kim, Min-Ju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3023

        본 연구의 목적은 암, 심뇌혈관계 질환 및 기타 질병이 없는 한국인 성인 남성에서 대사증후군의 위험요인과 식생활패턴과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2013-2015년 자료를 바탕으로 최근 개발된 한국인을 위한 건강식생활평가지수(Healthy Eating Index, HEI)로 평가된 식이패턴의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2013-2015년에 조사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만 19세-80세 성인 남성(n=1,141)을 대상으로, 인체계측자료, 혈당 및 지질농도, 영양섭취 정보 및 HEI 점수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전체 및 연령대별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연구 대상자들의 연령이 높을수록 HEI 점수가 더 높았다. 연구 대상자를 HEI의 점수에 따라 사분위 그룹(Q1-Q4)으로 세분화하여 연령, 체질량지수, 흡연여부, 음주여부, 교육수준, 소득수준 그리고 또는 약물치료에 대해 보정을 한 후 HEI 점수에 따른 대사증후군과 이상지질혈증의 교차비를 조사하였다. 전체 연구대상자에서 Q4 그룹이 보정 전과 후에 Q1 그룹에 비해 대사증후군에 대한 위험이 유의적으로 낮은 것이 관찰되었다. 고중성지방혈증과 관련하여서도 Q4 그룹은 보정 후에 Q1 그룹에 비해 낮은 위험성을 보였다. 연구대상자를 연령별로 세분화(20대, 30대, 40대, 50대)하여 살펴보았을 때, 40대에서 Q4 그룹이 Q1 그룹에 비해 대사증후군의 위험성이 낮았고, 특히 30대의 연구대상자에서 보정 후 Q1 그룹과 비교하여 Q4 그룹에서 고중성지방혈증과 이상지질혈증의 위험이 유의하게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40대의 연구대상자에서도 유사하게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HEI 점수를 높게 유지하면 대사증후군, 고중성지방혈증 및 이상지질혈증의 위험이 줄어들 수 있으며 이는 특히, 30대와 40대 연구대상자에서 뚜렷한 결과를 보였다. 이는 한국인 성인 남성, 특히 젊은 중년남성의 내분비대사 장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식사 섭취가 매우 중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MetS) in Korean men without cancer, cardiovascular/cerebrovascular and other diseases, and to evaluate the effect of dietary patterns estimated by Healthy Eating Index (HEI) for Koreans on MetS risk based on the recent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13-2015. From Data in the KNHANES 2013-2015, 1,141 men(19-80 years) were finally included in the analysis. Data on anthropometry, blood glucose and lipid parameter, nutritional intake information, and HEI score were collected. As the subjects were older, the HEI scores were higher. Study subjects were subdivided into quartile groups (Q1-Q4) according to HEI scores, and the values were tested with the adjustment for age, body mass index, smoking habit, drinking habit, education level, income level and/or medication. The risk of MetS, hypertriglyceridemia, and dyslipidemia was compared between quartile groups. In total study subjects, the Q4 group had a significantly lower risk for MetS and hypertriglyceridemia than the Q1 group before and after the adjustment.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by age groups (20’s, 30’s, 40’s, and 50’s, except 60’s and over). At 40’s, the Q4 group had a lower risk of MetS than the Q1 group. In the 30’s, the risks of hypertriglyceridemia and dyslipidemia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Q4 group than in the Q1 group after the adjustment. These results were similar with thoase observed in subjects in 40’s. In conclusion, maintaining a high HEI score may reduce the risk of MetS, hypertriglyceridemia, and dyslipidemia, which is clearly observed in subjects in 30’s and 40’s me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oper dietary intake is important in order to prevent metabolic disorders in Korean adult men, especially young middle-aged men,

      • A study to evaluate epigenetic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blueberry

        Kim Min-ju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3023

        Antioxidative and epigenetic capacity of natural products can be useful for assessing their chemoprevention. Blueberry (Vaccinium spp.) has shown a broad spectrum of biomedical functions including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in in vitro studies and animal studies. However,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blueberry in humans are not clearly understood, yet. Therefore, I performed a pilot study to evaluate antioxidative and epigenetic effects of blueberry in healthy young women (N=10, age=23.1 ± 1.6 yrs). Among these subjects, four women consumed vitamin C (vt C, 1 g/day) as a positive control and the others consumed 240 ml of blueberry juice (total polyphenols 300 mg, proanthocyanidine 76 mg)/day. Using the genomic DNA from peripheral blood, I analyzed methylation status of global and specific genes, i.e. DNMT1, MTHFR, and NQO1, and quantified the biomarkers of oxidative stress, i.e. urinary malondialdehyde (MDA) and 8-hydroxydeoxyguanosine (8-OHdG). I found a borderline significant decrease in urinary 8-OHdG and MDA after consumption of blueberry juice and vt C, respectively (blueberry, p=0.09 for 8-OHdG; vt C, p=0.09 for MDA). Hypermethylation (%) of the MTHFR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blueberry juice or vt C consumption (p = 0.03)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at of NQO1 (p < 0.01). However, the MTHFR-C677T polymorphism did not affect antioxidative or epigenetic changes of blueberry or vt C.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low oxidative stress and methylation), our study suggests presence of antioxidative and epigenetic effects of blueberry and interaction between blueberry or vt C-induced antioxidative action and their epigenetic modulation. 천연물의 항산화 작용과 후생유전체적 기능성은 암 예방 효과를 평가하는데 유용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블루베리는 세포실험과 동물실험을 통해 항산화, 항염증 작용을 비롯하여 다양한 생리활성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블루베리가 인체에서 나타내는 항산화 작용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따라서, 건강한 성인 여성 (10명, 나이 = 23.1 ± 1.6 세)을 대상으로 블루베리의 항산화 효과와 후생유전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임상연구를 수행하였다. 10명의 피험자들 중에, 양성대조군 4명은 비타민 C (1g/1일)를 섭취하였고 실험군 6명은 240ml의 블루베리 쥬스 (총 폴리페놀 300mg, 프로안토시아니딘 76mg)/1일)를 2주 동안 매일 섭취하였다. 말초혈에서 genomic DNA를 추출하여 global 메틸화 상태와 DNMT1, MTHFR, NQO1과 같은 특정 유전자의 메틸화를 분석하였고, 소변 시료에서 산화적 손상 지표인 말론디알데하이드 (MDA; malondialdehyde)와 8-하이드록시데옥시구아노신 (8-OHdG; 8-hydroxydeoxyguanosine)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2주 동안 블루베리 혹은 비타민 C 섭취로 인해 소변 중 8-OHdG와 MDA가 경계선상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블루베리, p=0.09 for 8-OHdG; 비타민 C, p=0.09 for MDA). MTHFR 유전자의 hypermethylation은 블루베리 혹은 비타민 C 섭취에 의해 유의적 감소를 나타냈으며 (p = 0.03), NQO1 유전자 hypermethylation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p < 0.01). 반면, MTHFR-C677T 유전자다형은 블루베리 혹은 비타민 C에 의한 항산화 효과와 후생유전체적 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피험자의 특징을 고려할 때 (낮은 산화적 손상과 메틸화), 본 연구를 통해 블루베리의 항산화 및 후생유전체적 조절 효과의 잠재성을 확인하였으며, 블루베리 혹은 비타민 C 섭취에 의한 항산화 효과와 후생유전체적 조절작용 사이의 상호 작용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Differences in expression of metabolism-related markers between cancer cells and stromal cells according to the molecular subtypes of breast cancer

        Kim, Min Ju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33007

        Alteration of energy metabolism of cancer cells is described by Warburg effect, a phenomenon that tumor cells obtain energy by glycolysis rather than by oxidative phosphorylation. The ‘reverse Warburg effect’ that human breast cancer cells instruct the neighboring stromal fibroblasts to provide energy by aerobic glycolysis is suggested. Breast cancer shows great heterogeneity in tumor and stromal morphology, and it is categorized into molecular subtypes identified by analyzing the gene expresseion profile; luminal A, luminal B, HER-2 type, and basal-like typ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difference of metabolic interaction between cancer cells and stromal cells according to the molecular subtype of breast cancer by investigating the markers related to glycolysis, mitochondrial status, and autophagy statu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ression of these metabolic markers and clinic-pathological parameters. Cell culture of six types of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s (MCF-7, MDA-MB-361, MDA-MB-453, MDA-MB-435S, MDA-MB-231 & MDA-MB-486), co-culture with fibroblasts with inhibition study by siRNA and Western blot analysis for metabolic markers (glycolysis; Glut-1, CAIX, mitochondrial dysfunction; GC1qR, BNIP3, and autophagy; beclin1, LC3A, LC3B) were performed. Tissue microarray from 740 cases of breast cancer samples which underwent mastectomy due to invasive breast cancer from 2002 to 2005 were constructed for immunohistochemical and FISH studies of markers related to molecular classification (ER, PR, HER2, Ki67) and metabolism-related markers (glycolysis; Glut-1, CAIX, MCT4, mitochondrial dysfunction; BNIP3, and autophagy; beclin1, LC3A, LC3B, p62), followed by statistical analysis. Breast cancer phenotypes were classified as luminal A type (ER or/and PR positive and HER-2 negative and Ki-67 LI <14%), Luminal B type [HER-2 negative] (ER or/and PR positive and HER-2 negative and Ki-67 LI ≥14%), Luminal B type [HER-2 positive] (ER or/and PR positive and HER-2 overexpressed or/and amplified), HER-2 type (ER and PR negative and HER-2 overexpressed or/and amplified), TNBC type (ER, PR, and HER-2 negative). The metabolic subtypes were defined as Warburg type (tumor: glycolysis type, stroma: non-glycolysis type), reverse Warburg type (tumor: non-glycolysis type, stroma: glycolysis type), mixed type (tumor: glycolysis type, stroma: glycolysis type), null type (tumor: non-glycolysis type, stroma: non-glycolysis type). In cell line study, the expression levels of metabolic markers [autophagy-related markers (beclin-1, LC3A, LC3B), mitophagy marker (BNIP3), and glycolysis-related markers (CAIX, GLUT-1)] were higher in stromal cells than in tumor cells in MCF-7, whereas tumor cells show higher expression levels of metabolic markers [autophagy-related markers (beclin-1, LC3B), mitophagy marker (GC1qR, BNIP3), and glycolysis-related markers (CAIX, GLUT-1)] than stromal cells in HER2 type and TNBC type. GLUT-1 and LC3B inhibition studies showed reduction in the cancer cell proliferation rate; in luminal type, the reduction rate of cancer cell proliferation was greater in stromal inhibition than in tumoral inhibition, in TNBC type, it was greater in tumoral inhibition than in stromal inhibition. Human breast cancer tissues were classified into 298 (40.3%) cases of luminal A type, 166 (22.4%) cases of luminal B type, 69 (9.3%) cases of HER-2 type, and 207 (28.0%) cases of TNBC type.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and the expression levels of metabolism-related protein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se phenotypes. Tissues were composed of 298 Warburg type (40.3%), 54 reverse Warburg type (7.3%), 62 mixed type (8.4%), and 326 null type (44.0%). TNBC consisted dominant portion of Warburg and mixed types, and luminal A constituted mainly of reverse Warburg and null types (P < 0.001). The mixed type had a higher histologic grade, higher rate of ER negativity, higher rate of PR negativity, higher Ki-67 index, higher rate of activated tumor autophagy status, whereas the null type showed lower histologic grade, higher rate of ER positivity, higher rate of PR positivity, lower Ki-67 index and higher rate of non- activated tumor autophagy status (P≤0.001). Breast cancer is heterogeneous in its metabolic status and the expression levels of metabolism-related markers are different according to molecular subtypes of breast cancer. The metabolic phenotypes of breast cancer have correlations with molecular subtypes along with biology of breast cancer. 암 세포에서 에너지 대사 작용에 대한 이론인 와버그 효과란, 암 세포에서는 일반적인 세포와 같이 산화적 인산화를 통해서가 아니라 호기성 해당작용을 통해 에너지를 얻는다는 것이다. 유방암의 경우 암 세포가 그 주변의 기질에 존재하는 섬유아세포에서 호기성 해당작용을 하도록 유도하여 에너지를 얻는다는 ‘역 와버그’ 효과 이론이 제기되었다. 유방암은 형태학적으로 종양과 기질이 매우 다양한 모습으로 관찰되며, 유전자 발현에 대한 분석을 통해 luminal A, luminal B, HER-2 type, basal-like type 등의 분자아형으로 분류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유방암의 분자아형에 따라 종양세포와 기질세포 사이의 대사작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각 아형 별로 해당 작용, 미토콘드리아 상태, 자가 탐식 상태에 관련된 단백 표지자 발현의 차이를 분석하고 그 차이와 임상-병리학적 지표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in vitro 유방암 세포주 연구를 위해 유방암 분자아형 별로 다섯 가지의 세포주(MCF-7, MDA-MB-453, MDA-MB-435S, MDA-MB-231, MDA-MB-486)를 선택하였고, 섬유아세포와 공동배양 후 Western blot 분석으로 대사 관련 표지자(해당작용; Glut-1, CAIX, 미토콘드리아 기능부전; GC1qR, BNIP3, 자가 탐식; beclin1, LC3A, LC3B)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각 세포주에서 종양세포와 기질세포에 각각 siRNA를 이용한 Glut-1, LC3B 발현 억제 후 세포증식률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인체 조직 microarray 연구는 2002년부터 2005년까지 침윤성 유방암으로 수술적 절제를 시행한 740 예를 대상으로 분자아형 분류에 관한 표지자(ER, PR, HER2, Ki67)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검사와 형광제자리부합검사, 대사 관련 표지자(해당작용; Glut-1, CAIX, MCT4, 미토콘드리아 기능부전; BNIP3, 자가 탐식; beclin1, LC3A, LC3B, p62)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검사를 시행하였다. 분자아형 분류에 관한 표지자(ER, PR, HER2, Ki67)의 결과에 따라 유방암을 luminal A, luminal B, HER-2형, 삼중음성유방암으로 분류하였다. 유방암의 대사아형을 와버그형(종양: 해당 작용, 기질: 비-해당작용), 역 와버그형(종양: 비-해당작용, 기질: 해당작용), 혼합형(종양과 기질 모두 해당 작용), 비해당형(종양과 기질 모두 비-해당작용)과 같이 정의하고 이에 따라 분류하였다. 결과로 얻어진 자료와 환자의 임상-병리학적 지표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세포배양 결과, 다섯 가지의 세포주중 MCF-7에서는 종양세포보다 기질세포에서 대부분의 대사 관련 표지자가 더 높게 발현되었고, 나머지 HER2형과 삼중음성유방암에 해당하는 세포주에서는 그와 반대로 기질세포보다 종양세포에서 더 높게 발현되었다. Glut-1, LC3B 발현을 억제한 후, 세포증식률을 측정한 결과, MCF-7에서는 종양세포에 대한 억제를 시행한 경우보다 기질세포를 억제하였을 때 세포증식률이 더 많이 떨어졌고, 삼중음성유방암에서는 기질세포를 억제한 경우보다 종양세포를 억제하였을 때 세포증식률이 더 많이 떨어졌다. 인체 유방암 조직 microarray 검사 결과, luminal A가 298예(40.3%), luminal B가 166예(22.4%), HER2형이 69예(9.3%), 삼중음성유방암이 207예(28%)였다. 분자아형 별로 임상병리학적 지표와 대사 관련 표지자 발현의 정도가 달랐다. 전체 조직 중 와버그형이 298예(40.3%), 역 와버그형이 54예(7.3%), 혼합형이 62예(8.4%), 비해당형이 326예(44%)였다. 와버그형과 혼합형에서는 삼중음성유방암이 가장 흔한 유형이었고, 역 와버그형과 비해당형에서는 luminal A가 가장 흔한 유형이었다(P<0.001). 혼합형은 높은 조직학적 등급, 높은 ER 음성률, 높은 PR 음성률, 높은 Ki67 지표를 보였고, 종양에서의 자가 탐식 상태의 활성화 비율이 높았다. 이에 반해 비해당형은 낮은 조직학적 등급, 높은 ER 양성률, 높은 PR 양성률, 낮은 Ki67 지표를 보였고, 종양에서의 자가 탐식 상태의 비활성화 비율이 높았다(P≤0.001). 유방암은 대사 작용에서도 다양성을 보이는 종양으로, 분자아형 별로 대사 관련 표지자의 발현 정도는 서로 달랐다. 유방암의 대사아형과 분자아형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유방암의 임상양상과도 관련이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