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iscourse-based Grammar and the Teaching of Academic Reading and Writing in EFL Contexts

        Marianne Celce-Murcia,Yoo Isaiah Wonho 한국영어교육학회 2014 ENGLISH TEACHING(영어교육) Vol.69 No.1

        When one is reading or writing, various forms of bottom-up knowledge—e.g.,grammar, vocabulary, orthography, and the mechanics of written language—interactwith the top-down processes at the level of discourse. One of the reasons Englishlanguage learners encounter a lot of difficulty when they are engaged in academicreading and writing is that they have been taught grammar only at the sentence leveland not at the discourse level. In order to illustrate how discourse-based grammarinstruction can facilitate the acquisition of academic reading and writing, this paperdiscusses various ways in which the following four topics can be dealt with at thediscourse level: cohesion, the tense and aspect system, comma usage, and existentialthere. Obviously, discourse-based grammar instruction should be integrated with theteaching of the other top-down and bottom-up skills necessary for academic readingand writing. EFL teachers, however, need to know more about discourse grammar toeffectively make their learners aware of it and to offer them learning activities thatwill contribute to better reading comprehension and written production.

      • KCI등재

        Impact du port du masque sur l’anxiété et la communication pendant les cours de langue. Enquête.

        Marianne MILHAUD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23 프랑스어문교육 Vol.81 No.-

        Le port du masque en classe, obligatoire en periode Covid, peut entraver la communication verbale en nuisant à la compréhension de la parole, ainsi que la communication non verbale en cachant expressions faciales et états émotionnels, ce qui est contreproductif lors de l’apprentissage d’une langue étrangère. C’est cette gêne que la présente enquête cherche à préciser à travers un questionnaire diffusé auprès d’étudiants de FLE des universités coréennes. Le sondage comporte des questions concernant la communication verbale, non verbale et les manières d’être. Certaines réponses pourraient avoir une dimension culturelle, les étudiants, majoritairement coréens, se sont montrés plus sensibles à l’expression des yeux que de la bouche et seraient donc moins troublés par le masque. Couvrir le visage affecte également la capacité à identifier les membres du groupe et donc les interactions, tous ces facteurs pouvant générer un malaise. Sans surprise les réponses les plus consensuelles concernent son rôle de frein dans la communication verbale, mais paradoxalement, le masque est aussi ressenti par certains apprenants plus sensibles au regard des autres comme un « anxiolytique ».

      • KCI등재

        동북아지역 교육여건에서의 학습자 침묵에 대한 이해

        ( Marianne Milhaud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8 프랑스어문교육 Vol.61 No.-

        서양의 여러 대학에서 고등교육을 이수하는 아시아 학습자들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의 행동양식에 대한 논의가 주목을 받고 있다. 그 이유는, 서방세계에서는 말이라는 것이 열린 사고방식이나 탐구정신의 발로로 인식되어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 왔지만, 동양인들은 소극적이며 말이 없고, 순종적 혹은 맹종적이라는 인식이 과거 영어권 문학을 통하여 널리 확산된바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 대하여 최근 아시아인 연구자들이 반론을 제기하고 있다. FLE수업에서 다수의 한국 학습자들이 느끼고 있으며, 나아가 수업에서의 침묵까지 야기하는 불안감에 대한 실태조사 연구에 이은 본 연구에서는 동북아시아 지역의 교육환경에서 침묵이 어떤 위치를 점하고 있고 어떤 의미를 갖는지에 대한 현재까지의 연구결과에 대해서 개괄적인 검토를 시도하였다. 이들 전문가들이 지적한 침묵의 주요 원인들은 향후 앙케트 작성을 위한 지침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침묵은 의사소통의 부재가 아니기 때문에 다양한 침묵의 동기에 대한 새로운 이해는 교사로 하여금 수업 운용, 소그룹 활동, 무응답에 대한 일방적 해석에 대한 재고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Avec un nombre croissant d'apprenants asiatiques poursuivant des études supérieures dans les universités occidentales, leurs caractéristiques ont suscité de nombreuses discussions car, contrairement à la valorisation en occident du discours, de l'ouverture d'esprit et de l'esprit d'enquête, ces derniers sont souvent considérés à tort comme passifs, silencieux, soumis ou disciplinés et ce point de vue a couramment été reflété dans la littérature anglo-saxonne jusqu'à sa remise en question récente par des chercheurs asiatiques. Faisant suite à une enquête sur l'anxiété ressentie par nos apprenants coréens de FLE et le silence qu'elle induit, le présent article offre un bref tour d'horizon des travaux s'interrogeant sur la place et la signification du silence dans le contexte éducatif de l'Asie du Nord Est. Il servira de préalable à la conception prochaine d'une enquête dont le questionnaire reprendra les principales raisons évoquées par les chercheurs pour justifier ce silence. Une meilleure compréhension de ces différentes motivations aidera assurément les enseignants à revoir leurs pratiques de classe, leur gestion du groupe et surtout l'interprétation non monolithique de ces temps de « non parole », le silence n'étant pas absence de communication.

      • KCI등재

        침묵의 동기 : 한국 FLE 학습자들의 조사를 통하여

        ( Marianne Milhaud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21 프랑스어문교육 Vol.72 No.-

        FLE 학습자들이 경험하는 수업 중 불안과 이에 따른 침묵에 대한 앙케이트 결과를 분석하고, 동북아시아의 교육현장에서 이 침묵이 지니는 의미에 대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작성한 본고는 무엇이 이 침묵을 야기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한국 대학생 287명을 조사하였다. 이 조사는 대조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는데, 능력부족, 체면, 낙오에 대한 두려움에서 오는 소극적 태도가 원인으로 나타났고, 더불어 이러한 억제감을 극복하기에는 부족한 듣기 위주의 수동적 교육이 원인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동시에 침묵은 상대방 즉, 짝이나 교사의 체면을 고려하거나, 학습에 신중하게 참여하기와 같은 긍정적인 행동으로 볼 수도 있다는 결과도 도출되었다. 학습자 침묵의 동기는 복합적이며 한국의 학습문화 풍토도 무시할 수 없는 요인임을 알게 되었다. 이를 잘 이해하면 우리는 한국학습자들에게 나타나는 침묵이 항상 소극적 태도나 능력부족 때문이 아니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에게 참여의 의미를 제공할 수 있는 활동을 고안할 수 있을 것이고, 나아가 일부 구두평가의 관행도 재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Faisant suite à une enquête sur l'anxiété ressentie par les apprenants de FLE et le silence qu'elle induit, ainsi qu'à un tour d'horizon des recherches sur sa signification, le présent travail interroge 287 étudiants sud-coréens de différentes universités coréennes pour tenter de cerner ce qui le motive. Les résultats de l'enquête présentent un tableau contrasté où, parallèlement à des attitudes de réticence liées au manque de compétence, à la crainte de perdre la face, de «se déclasser» ainsi qu'à une formation par l'écoute, le silence apparaît aussi comme un comportement positif de prise en compte de la face de l'autre, pair ou enseignant, d'engagement réfléchi dans l'apprentissage. Mieux comprendre ses multiples motivations, dont la moindre n'est pas la culture d'apprentissage, évitera d'envisager systématiquement ce silence comme une réticence ou une incompétence, mais à lui donner éventuellement une valeur d'engagement et à reconsidérer possiblement certaines pratiques d'évaluation de l'oral.

      • KCI등재

        Writing and Image in Pre-modern Japan - Santo Kyoden's moji-e

        ( Marianne Simon-oikawa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人文科學 Vol.113 No.-

        18세기 일본의 연초 상인이자 예술가였던 산토 교덴(1761-1816)은 모지에의 역사에도 중요한 공헌을 하였다. 모지에는 문자로 그린 그림이다. 일본에서 이러한 종류의 이미지는 에도 시대(1603-1868)에 전성기를 누렸으나, 오늘날에도 여전히 시각 디자인과 광고에 사용된다. 모지에에 대한 교덴의 관심은 1780년대 초반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문자의 시각적 형상에 대한 교덴 자신의 개인적 취향에 바탕을 두는데, 이는 교덴의 작품에서 자주 보인다. 교덴의 관심은 1803년 출간된 『기묘즈이(奇妙圖彙)』에서 절정을 이룬다. 이 책의 첫 페이지에서 교덴은 자신이 창안한 새로운 모지에를 선보이기 전에 전통 모지에의 여러 예를 재현한다. 『기묘즈이』는 모지에의 시각적 역사를 최초로 제공하며, 모지에의 발전에서 획기적으로 중요한 작품이 되었다. 본 논문의 목적은 모지에의 역사에 대한 교덴의 공헌의 형태와 의미를 연구함으로써 이 전환점을 분석하는 데에 있으며, 1803년 이전 교덴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전통 모지에에 대해 짧게 설명한 후, 『기묘즈이』에 수록된 교덴의 창작물과 후대 작품의 특징에 초점을 맞춘다. 본 논문은 여러 중요한 모지에에 관한 기호학적 연구를 의도하나, 역시 문화사의 시각으로 역사를 통해서 모지에를 발견할 수 있었던 매체의 다양성(책에서 수건 또는 벽에 이르는), 모지에의 지위(서예 전통에서 춘화에 이르는), 그리고 모지에 유통의 형세를 논의한다. A tobacco merchant, writer and artist, Santo Kyoden (1761-1816) also made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history of moji-e. Moji-e are pictures (e) made with writing characters (moji). This kind of images reached their peak in the Edo period (1603-1868) in Japan, but are still in use in graphic design and advertising today. Kyoden’s interest in moji-e dates back to the early 1780s and is based on his personal taste for the graphic forms of writing, which is often seen in his work. It culminates in his Kimyozui (Collection of Enigmatic Images) published in 1803: in the first pages of his book Kyoden reproduces several examples of classic moji-e, before presenting new ones he invented himself. Kimyozui gives the first visual history of moji-e, and was to become an important landmark in the evolution of the genr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is turning point, by studying the forms and the meanings of Kyoden’s contribution to the history of moji-e. After a quick presentation of the traditional moji-e that appear in his works before 1803, we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his personal creations in Kimyozui, and their posterity. The paper proposes a semiotic study of a few important moji-e, but also discusses,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history, the multiplicity of the media where moji-e could be found (from books to hand towels or walls), the diversity of their status (from calligraphic tradition to pornographic graffiti), and the conditions of their circulation throughout history.

      • KCI등재

        Western Art in the Meiji Restoration of Japan (1868-1912)

        Marianne LIN(林麗容)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4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41

        The art of Meiji Restoration in Japan was influenced by French art. From 1633 to 1854, during Japan’s Isolationist Era, activity in Japanese local art was very active. Fukuzawa Yukichi believed the concern of the Imperial family was the basis for promoting modernization. Fukuzawa Yukichi was one of the Meiji period"s six great educators. He was dedicated to the cause of introducing Western institutions and thought into Japan. Some people, however, may wonder why such a man wears traditional Japanese robes. Fukuzawa Yukichi advocated Westernization. He considered that Japan must “Leave Asia to go towards Europe” (脫亞入欧), and consequently Japan could quickly imitate Western countries to become an Asian Power nation. The Meiji Emperor adopted his suggestion to let Japan westernize. Western Art was brought to Japan. It was called “the period of Japanese local art.”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Japan learned about Western Art. During this period, France began the policy of colonialization around the world. For this reason, France and Japan became important partners. Due to French art being imported to Japan, Japanese art also was imported to France. Consequently, Japan and France’s art exchanges became very popular. Cultural exchanges between Japan, America, England, and France during the period of the Meiji Restoration showed that art was significant in daily life. During the Meiji Restoration, the famous Western arts included painting, architecture, and sculpture. These three kinds were very outstanding in the Meiji Era. The exchange of Japanese and Western arts reached its peak in the Meiji period. Japan, America, Italy, France and England cooperated in the arts exchanges. During Meiji Restoration, Japan was the first country in Asia to accomplish Westernization. In this period, the West learned Japanese culture, and Japan also learned French culture. In the East, as well as the West, there was cross-cultural reciprocity. The Meiji Restoration digested and absorbed French art and culture, which became a systematic introduction into French art and culture. Therefore, the art and culture of France and Japan were gradually interconnected.

      • KCI등재

        Le français, un choix motivé professionnellement?

        Marianne MILHAUD 프랑스학회 2014 프랑스학연구 Vol.67 No.-

        오늘날 대학생들이 프랑스어를 선택할 때 그 동기는 무엇인가? 이 같은 물음에 대한 답을 얻고자 서울과 대전의 대학에 소속된 4개 프랑스어 전공 학과에 의뢰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여학생들이나 남학생들 공히 직업적 목표와 분명히 연관시켜 프랑스어를 전공으로 선택하고 있으며, 복수전공이나 부전공과 연계하여 자신이 목표로 한 바를 실현하고자 한다는 설문조사 분석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아울러 그들의 학과에 대한 가장 절실한 기대는 프랑스어 습득과 프랑스 문화 전반에 대한 강도 높은 강의라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프랑스어 자체와 직접적인 목표를 지향하는 강의가 아직까지 부족한 현재의 교과 내용을 감안해 볼 때, 학생들의 목표와 요구에 좀 더 가까이 가는 새로운 교과목의 편성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L’anxiété en classe de FLE chez les apprenants plus avancés : étude de cas

        Marianne MILHAUD 프랑스학회 2017 프랑스학연구 Vol.80 No.-

        Phénomène complexe et multidimensionnel qui interfère avec de nombreux types d apprentissage, l’anxiété propre à la classe de langue et identifiée comme telle, a suscité un grand intérêt au cours des dernières décennies, à cause de son impact possible dans l’apprentissage. Le présent travail, constitue la second volet d’une étude précédente de nature quantitative qui nous avait permis de mettre en évidence cette anxiété dans les classes de FLE à l’université, de la mesurer et de déterminer quelles étaient ses principales composantes au moyen d’une échelle fréquemment utilisée dans ce domaine. Bien que l’anxiété diminue régulièrement et de façon significative avec le développement de la compétence de communication, les apprenants se considérant comme plus avancés n’en étaient point dépourvus pour autant. Leurs progrès et leur bonne compétence langagière ne les exonéraient-ils donc pas ? Aussi, pour préciser les ressorts de cette anxiété propre aux étudiants plus avancés en vue d’y remédier, convenait-il de pousser plus avant nos investigations par une approche qualitative reposant sur des entretiens semi dirigés comme méthode de collecte de données. Leur analyse révèle la diversité de personnalité et d’attitudes vis-à-vis de l apprentissage des langues que l’enseignant doit prendre en compte pour traiter les divers types d anxiété des étudiants. Mais il est incontestable que, outre sa sensibilisation aux différences individuelles, sa prise en compte du contexte socioculturel peut se révéler très utile pour soulager la gêne des apprenants, réduire leur appréhension et en même temps créer dans la classe une atmosphère détendue propice à un apprentissage plus efficace.

      • KCI등재
      • KCI등재

        Principales caractéristiques de l'environnement éducatif coréen relatif à l'enseignement du français

        Marianne MILHAUD 프랑스학회 2008 프랑스학연구 Vol.46 No.-

        본고는 한국의 불어교육에 관한 2 부작 논문의 제 1 편으로서 한국의 특수한 교육여건을 불어교육과 연계하여 서술하였고,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한국어 자료뿐만 아니라 불어, 영어 및 기타 외국어로 작성된 자료들을 참고하였지만 자료선정과정에서 주관적 판단이 작용했을 수 있기 때문에 논의의 여지가 있음을 먼저 밝힌다. 창의적 논술보다는 객관적 서술에 주안점을 두었으며, 기존 발표된 내용에 대하여 최근 자료로 갱신하고, 특히 다년간의 불어교육 현장체험을 통하여 불어권적 입장의 서술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하여 불어권역 독자들을 대상으로 정리하였다. 불어교육과 직접 관련이 있는 고등학교 교육에서는, 고교평준화와 더불어 활성화되기 시작한 특수목적고의 발전, 외국대학으로의 진학, 파급효과 등으로 교육비 부담비율이 다양화된 점과 고등학교 교사들의 연수 및 재교육 체계의 일관성, 국제학생성취도평가(PISA)에서의 우수한 평가결과, 멀티미디어 교실조성 등을 교육환경의 특수성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고교평준화 이후 넓어진 대학의 정원과 좁아진 선호대학의 문턱, 양면성을 띈 대학교육에서 높아진 가정의 교육비부담비율, 경제력과 교육성과의 정비례율 증가, 국제무대를 대상으로 한 현대판 맹모삼천 등은 한국대학교육 환경의 특수성으로 지적할 수 있다. 이러한 특수성들은 한국의 전통적 유교사상, 미국교육체계의 영향, 가중된 경제논리 등에서 기인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학교교육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 가운데 하나인 학습자의 동기유발, 적성 및 창의력 개발에 중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출산율 저조로 인한 인적자원의 감소, 외국교육기관의 한국진출, 저소득층에 대한 공교육의 역할증대 등의 현안에 직면한 대학교육이 함께 풀어가야 할 과제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