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실시간 클라우드 서버를 위한 Virtual Runtime 보상 기반 가상 머신 공정 스케줄링 기법

        김경래 ( Kyungrae Kim ),노순현 ( Soonhyun Noh ),홍성수 ( Seongsoo Ho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2 No.1

        가상화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간 응용들을 수행하려는 움직임이 많아지고 있다. 이 응용들의 실시간성을 보장하기 위해 리눅스의 실시간 스케줄러를 활용한 기법들이 제안되었지만, 이 기법들은 가상 머신들의 공정한 수행을 보장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우리는 실시간 클라우드 환경에서 가상 머신 스케줄링의 공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virtual runtime 보상 기반의 가상 머신 공정 스케줄링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실시간 응용으로 인해 CFS 가 인지하지 못한 CPU 시간을 체크하고 이를 virtual runtime 에 반영하여 가상 머신 간의 공정한 수행을 보장한다. 우리는 제안된 기법을 리눅스 커널 상에 구현하였다. 제안된 기법을 적용한 결과, 가상 머신 간의 수행시간 차이가 기존 경우보다 47% 줄어든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디빠왕사(Dīpavaṃsa)』와 『마하왕사(Mahāvaṃsa)』 비교연구 : 붓다의 랑까섬(laṅkādīpa) 예찬을 중심으로

        김경래(Kyungrae Kim) 보조사상연구원 2019 보조사상 Vol.55 No.-

        This series of articles is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first chapter between Dīpavaṃsa and Mahāvaṃsa, which are the oldest and most representative texts among the extant Pāli chronicles. This article especially scrutinizes the narrative of the Buddha’s Praise and Prophecy of Laṅkādīpa found in these two chronicles. The narrative of Dīpavaṃsa consists of six substories, namely, After (1) the Buddha’s Enlightenment, (2) Praising the isle of Laṅkā, (3) Purification of the isle, (4) Three Councils, (5) the Propagation of Asoka’s son Mahinda, (6) Protecting the isle. These stories focus on the inevitable transmission of Buddhist tradition to the isle of Laṅkā. While the Dīpavaṃsa describes this narrative by fifteen verses in detail, the Mahāvaṃsa only by half verse very briefly. Rather, the latter establishes a huge narrative, Visiting of the Buddha’s which describes the Buddha visits the isle of Laṅkā three times in order to purify it. 『디빠왕사(Dīpavaṃsa)』와 『마하왕사(Mahāvaṃsa)』는 고대 스리랑카(랑까섬)를 비롯한 인도불교의 다양한 사료들을 다루고 있는 텍스트로서, 전자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빠알리 연대기이며, 후자는 전자의 연대기적 단점들을 보완한 대표적인 연대기이다. 이들 두 문헌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논자는 정사의 사관에 가려진 테라와다 초기의 다양했던 사료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구체적으로 검토할 주제는 <붓다의 랑까섬 예찬>이다. 『디빠왕사』 1장은 총 15개의 게송들을 바탕으로 이 내러티브를 다음과 같이 구체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① 깨달음 직후, ② 랑까섬 찬탄, ③ 예언: 랑까섬 정화, ④ 예언: 세 번의 결집, ⑤ 예언: 아소까와 마힌다의 등장, ⑥ 랑까섬 보호. 반면, 『마하왕사』는 1송도 되지 않는 짧은 문구를 통해 붓다가 랑까섬을 정법의 장소로 예견하고 있었음을 밝히고 있다. 이처럼 상이한 서술방식에도 불구하고, 이들 두 텍스트에는 동일한 서술의도, 즉 이미 붓다에 의해 랑까섬이 정법의 장소로서 결정되어 있었음을 강조하려는 해석학적 의도가 투사되어 있다. 다만, 전자는 깨달음 직후 붓다의 찬탄과 예언을 서술하는데 초점을 두었다면, 후자는 서사적 완성도를 보완하여 새로운 내러티브(붓다의 랑까섬 방문)를 완성했다. 이러한 차이점을 통해 우리는 두 연대기가 지닌 텍스트적 특징과 해석학적 방법에 대한 일면을 확인할 수 있다.

      • KCI우수등재

        동남아 테라와다의 정체성 확립과 바왕가(bhavaṅga) 개념의 전개 (2) -≷빳타나(Paṭṭhāna)≸ 제1권 (Chaṭṭhasaṅgāyana vol.1) 을 중심으로

        김경래(Kim, Kyungrae) 불교학연구회 2017 불교학연구 Vol.50 No.-

        본 논문은 동남아 테라와다 아비담마에서 독자적으로 발견되는 개념인 ‘바왕가 (bhavaṅga)’의 전개사를 다루는 두 번째 연구이다. 논자는 이 아비담마 개념을 통해 소위 ‘초기불교’라 평가되는 동남아 테라와다 전통의 역사성과 정체성을 재고해보고자 한다. 바왕가는 인식기관과 인식대상의 만남을 통해 촉발되는 능동적인 인식과정의 전후 상태를 지칭하는 테라와다 아비담마의 핵심개념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완성된 형태의 바왕가 용례가 등장한 것은 주석전통에 이르러서였다. 이에 논자는 바왕가 개념의 전개사를 추적하기 위해 앞서 ≷넷띠빠까라나(Nettipakaraṇa)≸ 와 ≷밀린다빵하(Milindapañha)≸를 중심으로 바왕가의 초기 개념을 검토했다. 전자의 경우, 바왕가는 윤회의 직접적인 원인이며 존재(bhava)의 필수요소(aṅga)로서 12연기의 항목들을 지칭하는 용어였다. 그러나 후자에 이르러 이 용어는 꿈조차 꾸지 않는 깊은 수 동남아 테라와다의 정체성 확립과 바왕가(bhavaṅga) 개념의 전면상태, 혹은 비활동적인 心상태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처럼 초기문 헌군에서 바왕가는 비록 인식과정에 사용되는 아비담마 용어는 아니었지만, 그럼에도 존재의 연속성과 심의 비활동 상태를 나타냈다는 점에서 주석전통의 세계관을 위한 모종의 맹아 역할을 해주었다. 이상의 초기 전개사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바왕가가 인식과정 이론에 처음으로 적용된 ≷빳타나(Paṭṭhāna)≸의 전거들을 검토해보았다. 논자가 ≷빳타나≸ 제1권의 8가지 용례들 분석한 결과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바왕가는 ① 비활동적인 이숙-무기심에 속하며, ② ‘조건 짓는 법’으로서 전향과 바왕가(죽음심/재생심)를 위한 조건이 되고, ③ 언제나 무간연과의 관계 속에서 등장한다. The article examines the technical term bhavaṅga found in the Paṭṭhāna, the last book of the abhidhamma treatises. Since the term conveys the distinctive doctrinal perspectives of Pāli abhidhamma, its gradual development represents the historical identity of the Southeast Asian Theravāda tradition. The term refers to the non-active state of mind, which serves as a foundation for active mind-moments, namely, the cognitive process (citta-vīthi). This salient term, however, was not found in the earlier texts, such as Nettipakaraṇa, Peṭakopadesa and Milindapañha. It was defined as a crucial factor of existence or a ‘deep sleep without dreaming’. It has now become a technical term, meaning a non-active mind-moment within the cognitive process, and was first discovered in the Paṭṭhāna. Actually, the Paṭṭhāna and the commentarial texts defined the term similarly. This similarity shows that the Paṭṭhāna had already established the sophisticated doctrine of cognitive process which is based on the bhavaṅga with only minor changes of the technical term. The eight usages of the term are found in the Paṭṭhāna (volume I). From scrutinizing them,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term are revealed as follows: Firstly, the term bhavaṅga is categorised as the resultant indeterminate state (vipāka-avyākata); Secondly, as the conditioning state (paccayadhamma), bhavaṅga produces either the adverting (āvajjana) or other bhavaṅga which is called ‘death consciousness (cuti-citta)’ or ‘rebirth consciousness (upapatti-citta)’; Finally, the term always occurs with the proximity condition (anantara-paccaya).

      • KCI우수등재

        랑카섬 국가종교의 내부분열에 대한 비판적 小考

        김경래(Kim, Kyungrae) 불교학연구회 2015 불교학연구 Vol.44 No.-

        마하왕사 (Mahāvaṃsa) 를 비롯한 빠알리 문헌들은 스리랑카 테라와다 내부분열의 원인을 아바야기리 사원 (Abhayagiri-vihāra) 의 등장으로 규정하고 있다 . 이들에 따르면 , 아바야기리 사원은 왓따가마니 아바야 통치기에 건립되었으며 , 왕권의 후원 을 받아 인도본토의 급진적인 사상을 수용하면서 당시 기득권이었던 마하위하라 세력을 압도했다고 한다 . 그러나 현존하는 빠알리 문헌을 제외하면 , 1,000 년 이상 독자적인 교단을 형성했다고 알려진 아바야기리 사원에 대한 실질적인 증거는 거의 남아있지 않다 . 빠알리 문헌을 제작한 것이 마하위하라 세력이었다는 점을 감안한 다면 , 아바야기리 사원과 관련된 일반론들은 면밀한 재검토를 필요로 한다 .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 기존에 통용되던 역사관을 비판적으로 재검토하기 위해 논자가 선택한 텍스트는 디빠왕사 (Dīpavaṃsa) 이다 . 현존하는 빠알리 문헌 중 최초로 ‘Abhayagiri’ 라는 고유명사를 언급하고 있는 이 텍스트는 여타의 빠알리 문헌들과 달리 당대의 상황을 비교적 건조한 관점으로 담아내고 있다 . 이를 정리해보면 , 자이 나 수행자 ‘ 기리 ’ 가 살던 곳에 ‘ 아바야기리 ’ 라는 명칭이 붙여졌고 , 이후 왓따가마니 아바야가 이 지역 수행자들을 후원했다고 한다 . 그러나 디빠왕사 는 Abhayagiri 라 는 지명만을 언급할 뿐 , ‘ 아바야기리 사원 (Abhayagiri-vihāra)’ 이라는 복합어를 직접 언급하지 않고 있음은 물론 , 이 사원이 정확히 언제 , 누구에 의해 건립되었는지에 대 해서도 아무런 단서를 남기지 않고 있다 . 이러한 서술방식은 왓따가마니 통치기에 아바야기리 사원이 분파의 거점으로서 , 그리고 독립된 사원세력으로서 인식되지 않았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 This article examines the origin of the Abhayagiri monastery in ancient Sri Lanka. According to the Mahāvaṃsa, which has been transmitted by the Mahāvihāra fraternity, the Abhayagiri Monastery was built by the king Vaṭṭagāmani Abhaya, and is where a Jain ascetic named Giri dwelt. Since then, for over a thousand years, the dwellers of Abhayagiri Monastery had been a main rival to those of Mahāvihāra. The verses described in the Dīpavaṃsa, however, have quite different information from that of Mahāvaṃsa. While the Mahāvaṃsa is a Mahāvihāra-centred chronicle, the Dīpavaṃsa, the oldest chronicle among the extant Pāli texts, is a collection of unofficial history. Therefore, the descriptions from the latter possibly illuminate the origin of a fascinating monastery, rather than the advent of an evil monastery of the Mahāvihāra fraternity. Chapter 19 of Dīpavaṃsa describes not only the origin of the name for (paññatti, vohāro), but also the stone stupa (silāthūpa) of Abhayagiri. Nevertheless, the origin of Abhayagiri Monastery is still ambiguous since the verses are awkward in Pāli grammar and structure. Hermann Oldenberg, who edited and translated the Dīpavaṃsa in 1879, tried to understand the problematic passages by comparing them to the Mahāvaṃsa. Lance Cousins criticised the Oldenberg interpretation, and suggested alternative understandings for them. This article, in order to reveal the actual evidence of the origin of the Abhayagiri Monastery, scrutinizes the relevant verses of chapter 19 in the Dīpavaṃsa by critically examining the understandings of Oldenberg and Cousins.

      • KCI등재

        종교적 통치자의 등장__스리랑카 테라와다 후기 Pali 텍스트를 중심으로__

        김경래 ( Kyungrae Kim ) 인도철학회 2015 印度哲學 Vol.0 No.44

        연대기와 주석서를 비롯한 후기 빠알리 문헌들이 제공하는 랑 카섬의 전개상은 마하위하라 세력과 그들을 지지했던 통치자들의 종교적·정치적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의 결과였다. ‘초기’문헌 (즉, 주석 이전의 문헌군)에서 발견되던 ‘마하삼마따’가 후기문헌에서 확대 및 재해석되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초기’문헌에 언급되던 ‘마하삼마따’는 최초의 통치자를 지칭하는 고유명사(이름)가 아님은 물론, 절대권위를 지닌 군주도 아니었다. 그는 통치자로서의 ‘권위’가 아닌 관리인으로서 ‘기능’을 위해 대중의 ‘동의’를 거쳐 ‘승인’된 일종의 고용인에 불과했다. 그러나 연대기(Vamsa)를 포함한 주석전통(Pali-atthakatha)에 이르러 ‘마하삼마따’는 사꺄족의 시조이며 보살과 동일시될뿐더러, 더 나아가 담마디빠(Dhamma-dipa)에 부합하는 최초의 종교적 통치자로 승격되기에 이른다. 이러한 과정은 다음의 세 가지 단계로 정리된다: ① 대중의 동의를 거쳐 선출된 관리자 (‘초기’ 빠알리 문헌), ② 전설적인 최초의 통치자 (다양한 후대 문헌), ③ 붓다의 조상으로서 종교적 순수성을 지닌 랑카섬의 통치자 (빠알리 연대기와 주석서). 후기 빠알리 문헌 속에서 마하삼마따는 종교적·정치적 정당성을 지닌 이상적인 군주의 전형으로 묘사된다. 이러한 개념은 점차 랑카섬의 마하위하라 세력을 지지했던 통치자들에게 적용되기 시작한다. 이를 바탕으로 마하위하라를 후원했던 통치자들은 붓다의 조상이자 전설적인 최초의 통치자 ‘마하삼마따’의 후손으로 여겨지게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semantic changes of the term ‘maha-sammata’ in the later Pali texts and inscriptions, focusing on the legitimation of the Mahavihara’s authority in the isle of Lanka. (In this paper, ‘later’ does not have any chronological meaning. It only means the texts, which are philosophically based on the Tipitaka.) In the Buddhist Canon, the combination of ‘maha’ with ‘sammata’ tells us that one was chosen by the people based on their needs. In this manner, it was sometimes translated to the plural form as ‘land-guardians’ in the Chinese translations. The meaning of it, however, was changed to the legendary name of the first king in the later texts from various Buddhist schools. According to them, the term ‘maha-sammata’ is regarded as a king named Mahasammata who ruled people in the beginning of this present era. Furthermore, the Buddha is described as a descendant of the king Mahasammata in the later texts. Based upon the regal and deific status conferred upon Mahasammata, the later Pali texts, namely Commentaries (Pali Atthakatha) and Chronicles (Vamsa), and the Sri Lankan inscriptions, established the legendary lineage for the political rulers who patronised the Mahavihara fraternity. The rulers, as the ideal religious leaders of Dhammadipa, were inserted into the lineage of Mahasammata in the texts and inscriptions, elevating the rulers, who were devotees for the Mahavihara fraternity, to the status of the Buddha. It holds that the righteous rulers, whom Mahavihara approved as a member of the lineage, are the same as the Buddha (or Bodhisatta). The advent of Mahasammata in the Theravada tradition is sequentially related to the authority of the Mahavihara fraternity.

      • KCI등재

        UML 2.0 기반의 Generic ADL 정의

        노성환(Sunghwan Roh),김경래(Kyungrae Kim),전태웅(Taewoong Jeon),윤석진(Seokjin Yoon) 한국정보과학회 2006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3 No.2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상위 수준 모델인 소프트웨어 아키텍쳐는 아키텍쳐 기술 언어(ADL)를 사용하여 표현된다. 하지만 ACME와 같은 대부분의 ADL들은 별도의 표기형식으로 배워야 하는 부담이 있기 때문에 아키텍쳐를 명세하는 언어로서 정착되지 못하였다. 반면 UML은 범용 모델링 언어로써 소프트웨어 개발의 전 과정에 일관된 표기형식과 폭넓은 지원도구들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사실상의 표준 언어로 자리잡았다. 그러나 UML은 소프트웨어 아키텍쳐를 표현하도록 설계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UML을 사용하여 아키텍쳐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UML을 확장, 변경하여야 한다. 지금까지 아키텍쳐 모델링에 UML을 이용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이러한 연구의 대부분은 아키텍쳐의 핵심 개념들의 표현이 미흡했던 UML1.x에 기반하고 있으며 곧 발표될 UML2.0에서는 이전 버전에서 미흡했던 아키텍쳐 모델링에 유용한 개념들이 많이 추가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UML2.0에 기반한 아키텍쳐 모델링 언어를 정의하였다. UML2.0을 확장하여 Generic ADL을 정의하였으며 정의된 아키텍쳐 모델링 언어는 식당 예약 시스템을 모델링 하는데 사용되었다. Software architecture, which is the high level model of a software system, should be specified with ADLs (Architecture Description Languages) for its clarity and preciseness. Most of ADLs such as ACME, however, have not come into extensive use in industries since ADL users should learn a distinct notation specific to architecture. On the other hand, UML is a de facto standard general modeling language for software developments. UML provides a consistent notation and various supporting tools during the whole software development cycle. UML, being a general modeling language, does not provide all concepts that are important to architecture description. UML should be extended in order to precisely model architecture. A number of researches on architecture modeling based on UML have been progressed. All of them, however, are based on the UML1.x. UML2.0 embraces much more concepts that are important to architecture modeling than UML1.x. In this paper, we defined an architecture modeling language based on UML2.0. We defined Generic ADL by extending UML2.0 and applied the defined Generic ADL to a restaurant reservation system.

      • 건설생산체계의 환경 변화에 따른 기계설비분야 발주시스템 변화 전망

        강병하(Byung Ha Kang),김경래(Kyungrae Kim) 대한설비공학회 2009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9 No.-

        Mechanical facilities in modern buildings and industrial plants become more important in the view points of energy and environment issues. However, mechanical construction fields are still considered as to be subjected to buildings, even though design and construction of mechanical fields in the construction production process is independent of other fields. Recently, 'Framework Act on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been revised since 2007. According to the revision, the barrier of general construction and specialized construction is collapsed and the construction company can register any type of construction classification if they are able to carry out the construction mission. The mechanical construction fields are exempt until 2011 because of the protection of mechanical construction industry. In the present study, the bidding system has been prospected due to the revision of 'Basic Law on Construction Industry' after 2011. The trends for development of mechanical construction fields has been also discussed.

      • 아키텍쳐 모델링을 위한 UML2.0 프로파일

        노성환(Sunghwan Roh),김경래(Kyungrae Kim),전태웅(Taewoong Jeon),승현우(Hyonwoo Seung) 한국정보과학회 200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Ⅱ

        UML을 기반으로 소프트웨어 아키텍쳐를 모델링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특히 UML을 확장 (extension) 하여 UML이 지원하지 않는 핵심적인 아키텍쳐 개념을 명시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기존의 대부분의 연구들은 UML1.x을 기반으로 한다. 이에 비해 공식 발표될 예정인 UML2.0은 아키텍쳐 모델링에 관한 개념을 보다 많이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UML2.0 에도 명시적인 표현이 어려운 아키텍쳐의 핵심 개념들이 여전히 존재한다. 또한 UML2.0은 아키텍쳐 기술에 불필요하거나 관련이 적은 모델링 요소들도 많이 포함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UML2.0에서 표현된 아키텍쳐 모델링 요소를 살펴보고, 아키텍쳐를 표현하기 위해서 UML2.0을 어떻게 아키텍쳐 기술언어에 대한 프로파일로 확장하고 정의할 것인지를 고려한다.

      • KCI등재

        붓다의 깨달음 직후 7주간의 행적 내러티브 연구

        권예림(Ahn, Yealim Kwon),안재근(Jaegeun Ahn),김경래(Kyungrae Kim) 보조사상연구원 2021 보조사상 Vol.60 No.-

        붓다의 깨달음 이후 7주간의 행적은 스리랑카를 비롯하여 테라와다를 신앙하는 다수의 남아시아 국가들에서 다양한 형태로 전승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내러티브를 다루고 있는 연대기와 주석서들을 비교 연구함으로써, 다양한 문헌들 속에서 이 내러티브가 어떻게 묘사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논자가 비교연구를 위해 선정한 텍스트는 테라와다 전통의 대표적인 두 연대기 『디빠왕사(Dīpavaṃsa)』와 『마하왕사(Mahāvaṃsa)』, 그리고 주석서 『빠빤짜수다니(Papañcasūdanī, Majjhima Nikāya Aṭṭhakathā)』이다. 이들 두 연대기는 간략한 게송으로 붓다의 행적을 묘사하고 있음에도 총 7주에 걸친 해당 내러티브의 분명한 기간과 더불어 각각의 장소들 또한 정확히 명시하고 있다. 또한 주석서는 이 7주간의 행적을 화려한 수식어구들과 풍부한 비유들을 통해 구체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특히 주석서의 내러티브는 아비담마의 기원을 묘사하는데 많은 공을 들이고 있으며, 더불어 운문으로 구성된 연대기가 생략하고 있는 구체적인 정보들을 담아내고 있다. 이러한 점은 이전 초기문헌들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후기 빠알리 문헌들에서만 발견되는 서술적 특징이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삼장 이후 테라와다 문헌들이 모종의 일관된 해석학적 의도를 바탕으로 저술되었을 가능성, 그리고 그 의도가 지향하는 목적이 바로 아비담마였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The narrative concerning the traces of the Buddha for 7 weeks after his awakening has been transmitted in diverse forms in Theravādin countries in South Asia. This study investigates how different groups of Pāli literature recount the narrative variously by looking into two chronicles (Dīpavaṃsa, Mahāvaṃsa) and a commentary (Papañcasūdanī). Dīpavaṃsa and Mahāvaṃsa portray the traces of the Buddha in brief verses while underlining that the narrative covers a period of 7 weeks and identifying the specific places the Buddha visited during that time. On the other hand, The same narrative is expressed in Papañcasūdanī through metaphors and embellishments. This version of the narrative contains more detailed information missing in the verses and is notably dedicated to establishing the origin of Abhidhamma. These can be interpreted as characteristics peculiar to later Pāli literature.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possible hermeneutic intentions of Theravāda literature after Tipiṭaka with the establishment of Abhidhamma at the cen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